[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3728B1 -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728B1
KR100193728B1 KR1019960080899A KR19960080899A KR100193728B1 KR 100193728 B1 KR100193728 B1 KR 100193728B1 KR 1019960080899 A KR1019960080899 A KR 1019960080899A KR 19960080899 A KR19960080899 A KR 19960080899A KR 100193728 B1 KR100193728 B1 KR 10019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knock
plate
paper
pi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528A (ko
Inventor
동 헌 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8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72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7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잉크젯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자동급지대로 부터 초기 프린터 위치로 이송하여 인쇄를 시작할 시 자동급지장치의 픽업로울러(PICK-UP ROLLER) 및 픽업스프링(PICK-UP SPRING)에 의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가 용지를 눌러 이송을 행할 시 가해지는 부하를 동작별로 부하를 절환시키기 위한 잉크젯프린터의 용지 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에 관한것으로, 상기 픽업로울러의 픽업샤프트(PICK-UP SHAFT)에 키(KEY)를 돌출되게 형성하 도록 하고, 전환캠(CAM)을 구비하여 상기 전환캠(CAM)의 샤프트공에 키홈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픽업샤프트(PICK-UP SHAAFT)를 전환캠(CAM)의 샤프트공에 삽입시키는데, 이때 픽업샤프트(PICK-UP SHAFT)의 키(KEY)가 샤프트공의 키홈에 결착되도록 삽입시키도록 장착하고 전환캠(CAM)이 장착되어진 양쪽 측면에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되게 하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한쪽 측면에는 종절리브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종절리브가 전환캠의 안내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의 종절리브가 상,하 이동을 할수있도록 용지적재함에는 리브공을 형성하도록 하므로서, 용지급지장치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달기어를 통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종동기어에 전달되어, 상기 전환캠(CAM)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전환캠(CAM)은 테이퍼 진 상태의 형상이므로 전환캠이 회전함에 따라 하부안내면에 접촉되어있던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의 종절리브는 전환캠(CAM)의 상부안내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는 픽업스프링을 누루게 되어 하강을 행하게 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는 용지적재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환캠(CAM)이 회전을 하게 되면 전환캠(CAM)이 좌,우측으로 이송을 하여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의 종절리브가 전환캠(CAM)의 안내면과 접촉이되도록 하는데 상기 전환캠(CAM)의 좌,우측면에는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전환캠이 중간위치에 있게되면 양단의 압축스프링의 스프링력이 동일하므로 힘이 0인 상태가 되므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반대로 힘이 받게 되므로 종절리브의 작동이 원활하게 되므로, 전환캠(CAM)의 안내면에 따라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가 상,하로 이동을 하게 되어 기기의 라인피딩시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와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에 적재되어진 용지사이에 발생 되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잉크젯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본 발명은 잉크젯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자동급지대로 부터 초기 프린터 위치로 이송하여 인쇄를 시작할 시 자동급지장치의 픽업로울러(PICK-UP ROLLER) 및 픽업스프링(PICK-UP SPRING)에 의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가 용지를 눌러 이송을 행할 시 가해지는 부하를 동작별로 부하를 절환시키기 위한 잉크젯프린터의 용지 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의 용지 자동급지 장치는 용지를 공급해 주기위해 장착되어지는 선행기술에 따른 용지적재함에 용지를 적재하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의 하부에 설치되는 픽업스프링(PICK-UP SPRING)은 스프링력을 갖게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는 픽업스프링(PICK-UP SPRING)의 스프링력에 의해 위로 밀리게되고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가 밀리게 됨에 따라 용지를 용지적재함 위로 밀게 되다.
아울러서 상부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압착되는 용지는 핑거(FINGER)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규제하여 용지가 기기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에서 용지가 픽업되는 것은 핑거(FINGER)의 규제에 의해 핑거(FINGER) 끝에 와있는 용지가 한 장씩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에 의해 픽업되어 급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지가 공급되어짐에 따라 피드로울러와 프릭션로울러(FRICTION ROLLER)에 의하여 용지는 인쇄를 행하도록 노즐부위로 공급이 이루어 지는 것이 일반적인 잉크젯프린터의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잉크젯프린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는 각기 별개로 작용 하여 회전하게 되는 부품들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모터가 구동하여 회전함에 따라 구동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는 서로 맞물려있는 감속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감속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한축에 연결되어 있는 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기어는 다시 전달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며, 상기 전달기어는 다시 라쳇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는 다시 다른 전달기어에 회전력이 전달되어지는데 보통의 경우 레쳇에 스톱퍼를 힌지축에 의해 서로 맞물리게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전달기어가 구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상기 전달기어는 픽업로울러와 같은 축상에 있는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하므로서, 픽업로울러가 회전을 하여 용지를 공급시켜 피드로울러와 프리션 로울러가 서로 물리도록 용지를 이송하게 된다.
이때 피드로울러는 모터의 구동기어에 전달기어로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므로 피드로울러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용지가 물렸을때 용지는 전진하지 않게 된다.
이후 구동모터는 역회전(시계 반대방향)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모터에 결착되어 있는 구동기어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다시 전달기어를 통하여 회전수를 조절하여 종동기어에 그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회전력을 받은 종동기어는 동축상에 연결되어 있는 피드로울러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하여 용지를 초기 프린터 위치로 이송하도록 하여 프린팅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픽업로울러의 구동을 위하여 연결되는 전달기어의 스톱퍼와 라쳇은 동력이 끊어진 상태가 되므로 비구동상태가 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잉크젯프린터의 용지자동 급지장치는 용지의 이송을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 용지적재함의 픽업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에 그 힘을 전달하고 상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는 용지가 적재되어진 상태에서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므로서 용지의 이송후에 라인피딩이 이루어 지게 되면 용지가 급지되면서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와 압축스프링에 의해 작용되는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사이에 용지의 뒷부분이 눌려지게 되므로서 압축력에 마찰계수를 곱한 마찰력이 주가되는 부하를 항상받게 되는 상태가 되므로 이를 고려하면 높은 토르크를 갖는 모터의 선정과 구동계의 설계가 필요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와 픽업로울러(PICK-UP ROLLER) 간의 부하발생이 최대인 상태가 되면 용지가 일정량 이송되어 용지의 끝단이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에서 벗어나게 될 시 상기 발생하는 부하가 사라지게 사라지게 되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와 픽업로울러 (PICK-UP ROLLER)간에 최하의 부하상태가 되므로 라인피딩량의 변화가 초래 되며, 그 변화에 의해 라인피딩량의 불균일 현상이 발생하게 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같은 부하가 작용하는 구간에서는 이송량이 설계치에 미달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리션로울러(FRICTION ROLLER)의 레버에 부착된 압축스프링을 더욱 강하게 해야하므로 부하가 더욱 증가되게 되어 제품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용지의 이송시 발생되어 지는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와, 용지가 적재된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의 이송력과, 라인피딩시 항상 작용하는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측의 부하에 대해 상호관계에 따른 고부하대응 설계를 단순히 라인피딩시 픽업로울러(PICK-UP ROLLER)를 용지와 서로 떨어뜨리므로서, 이송시 발생되어지는 구동부하의 감소와 구동부하의 균일화를 촉진시키고 라인 피딩량의 불균일을 방지하며 구동부하의 감소로 인한 설계치와 동일한 정확한 이송량을 유지시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와 용지사이를 테이퍼진 전환캠(CAM)을 설치하여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와 접촉을 이루게 해주는 기구적인 구조를 구성하여 용지의 픽업동작이 이루어지는 시계방향의 모터회전시는 픽업로울러(PICK-UP ROLLER)가 용지와 접촉이 되어 이송이 이루어 지고 용지의 이송이 끝나 라인피딩이 이루어 지기위해 구동모터가 역회전을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용지와 피딩로울러가 이탈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 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급지장치의 요부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급지 구동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용지급지장치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따른 부호의 설명*
10 : 구동모터11 : 구동기어
12 : 감속기어 13 : 전달기어A
14 : 전달기어B 15 : 종동기어
16 : 전달기어C 17 : 종동기어
18 : 피드로울러
20 : 용지적재함 21 : 녹업플레이트
22 : 픽업스프링 23 : 픽업로울러
24 : 픽업샤프트 24a : 키
25 : 종절리브 26 : 압축스프링A
27 : 압축스프링B 28 : 리브공
30 : 전환전환캠 31 : 샤프트공
31a : 키홈 32 : 안내면
33 : 하부면34 : 상부면
40 : 프리션로울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사시도로서, 부호 1은 잉크젯프린터의 외관을 보여주는 프레임을 나타낸것이며 부호 2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급지장치의 요부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급지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용지급지장치의 확대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캠장치 사시도이다.
용지를 공급해 주기위해 장착되어지는 선행기술에 따른 용지적재함에 용지를 적재하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의 하부에 설치되는 픽업스프링(22)은 스프링력을 갖게된고, 상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는 픽업 스프링(22)의 스프링력에 의해 위로 밀리게되고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가 밀리게 됨에 따라 용지를 용지적재함(20) 위로 밀게 되며, 상부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압착되는 용지는 핑거(FINGER)(미도시)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규제하여 용지가 기기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용지적재함(20)에서 용지가 픽업되는 것은 핑거(FINGER)의 규제에 의해 핑거(FINGER) 끝에 와있는 용지가 한 장씩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에 의해 픽업되어 급지되도록 되어 있는것이고, 용지가 공급되어짐에 따라 피드로울러(18)와 프릭션로울러(FRICTION ROLLER)(40)에 의하여 용지는 인쇄를 행하도록 노즐부위로 공급이 이루어 지는것은 종래의 일반적인 용지 공급방식이다..
이와같이 공급이 이루어지는 잉크젯프린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는 각기 별개로 작용하여 회전하게 되는 부품들을 하나의 구동모터(10)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되어, 구동모터(10)가 구동하여 회전함에 따라 구동기어(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10)는 서로 맞물려있는 감속기어(1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회전수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감속기어(12)가 회전함에 따라 한축에 연결되어 있는 감속기어(1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감속기어(12')는 다시 전달기어A(13)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상기 전달로울러A(13)는 전달기어B(14)에 회전력이 전달되어지는데, 전달기어B(14)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을 행하고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와 같은 축상에 있는 종동기어(15)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하고, 상기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가 회전을 하여 용지를 공급시켜 피드로울러(18)와 프리션 로울러(FRICTION ROLLER)(40)가 서로 물리도록 종이를 이송하게 되어, 피드로울러(18)는 구동모터(10)의 구동기어(11)에 전달기어C(16)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구동기어(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므로 피드로울러(18)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용지가 물렸을때 용지는 전진하지 않게 된다.
이후 구동모터(10)는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0)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모터(10)에 결착되어 있는 구동기어(1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다시 전달기어C(16)를 통하여 회전수를 조절하여 종동기어(17)에 그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회전력을 받은 종동기어(17)는 동축상에 연결되어 있는 피드로울러(18)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하여 용지를 초기 프린터 위치로 이송하도록 하여 프린팅을 실행하게 되는기존의 방식과 거의 동일하게 작동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의 픽업샤프트(PICK-UP SHAFT)(24)에 키를 돌출되게 형성하도록 하고 전환캠(CAM)(30)을 구비하여 상기 전환캠(CAM)(30)의 샤프트공(31)에 키홈(31a)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픽업샤프트(PICK-UP SHAFT)(24)를 전환캠(CAM)(30)의 샤프트공(31)에 삽입시키는데, 이때 픽업샤프트(PICK-UP SHAFT)(24)의 키(KEY)(24a)가 샤프트공(31)의 키홈(31a)에 삽입되도록 장착하고 전환캠(CAM)(30)이장착되어진 양쪽 측면에는 압축스프링(26)(27)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한쪽 측면에는 종절리브(25)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종절리브(25)가 전환캠(CAM)(30)의 안내면(32)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의 종절리브(25)가 상,하 이동을 할수있도록 용지적재함(20)에는 리브공(28)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 되어진 용지급지장치는 구동모터(10)가 구동되어 전달기어(13)(14)에 의해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이 종동기어(15)에 전달되어지므로서, 상기 전환캠(CAM)(30)이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환캠(CAM)(30)은 테이퍼 진 상태의 형상이므로 전환캠(CAM)(30)이 회전함에 따라 하부안내면(33)에 접촉되어있던 녹업플레이트(21)의 종절리브(25)는 전환캠(CAM)(30)의 상부안내면(34)에 접촉하게 되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는 픽업스프링을(22) 누루게 되어 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환캠(CAM)(30)이 회전을 하게 되면 전환캠(CAM)(30)이 좌,우측으로 이송을 하여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의 종절리브(25)가 전환캠(CAM)(30)의 안내면(32)과 접촉이되도록 하는데, 상기 전환캠(CAM)(30)의 좌,우측면에는 압축스프링(26)(27)이 구비되어 전환캠(CAM)(30)이 중간위치에 있게되면 양단의 압축스프링(26)(27)의 스프링력이 동일하므로 힘이 0인 상태가 되므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반대로 힘이 받게 되므로 종절리브(25)의 작동이 원활하게 된다.
전환캠(CAM)(30)의 안내면(32)을 상부쪽으로 회전하면 좌측으로 전환캠(CAM)(30)이 이동되어야 하므로 압축스프링B(27)를 압축하게 되고 반대쪽의 압축 스프링A(26)는 원 상태로 회복되면서 전환캠(CAM)(30)을 좌측으로 밀어주게 되어 전환캠(CAM)(30)의 이동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전환캠(CAM)(30)의 안내면(32)을 하부쪽으로 회전하면 우측으로 전환캠(CAM)(30)이 이동되어야 하므로 압축스프링A(26)를 압축하게 되고 반대쪽의 압축스프링B(27)는 원 상태로 회복되면서 전환캠(CAM)(30)을 우측으로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환캠(CAM)(30)의 안내면(32)에 따라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가 상,하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전환캠(CAM)(30)의 안내면(32)이 하부면(33)에 있게되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는 픽업스프링(22)의 미는 힘에 의하여 상부쪽으로 상승하게 되어 픽업로울러(18)와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에 적재된 용지(P)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종동기어(15)의 회전에 의해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가 회전을 행하게 되므로 용지(P)는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에 의해 공급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환캠(CAM)(30)의 안내면(32)이 상부면(34)에 있게되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를 하부로 밀게 되어 픽업스프링(22)을 합축하게 되고,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21)에 적재되어진 용지(P)는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와 이탈되게 되므로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가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픽업로울러(PICK-UP ROLLER)(23)에 물려 공급되어지는 용지와 적재되어진 용지(P)를 서로 이탈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용지급지장치에 테이퍼형상에 안내면을 가진 전환캠(CAM)을 장착시키고,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의 종절리브가 상기 전환캠(CAM)의 안내면과 접촉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에 의한 초기 이송동작이 끝나고 라인피딩이 시작되면 전환캠(CAM)의 회전에 의해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와 픽업로울러(PICK-UP ROLLER)가 서로 이탈되어지게 되어 라인피딩시에 발생되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게 되어 최초의 부하상태와 최종 라인피딩시의 부하가 서로 같게끔 되고, 라인피딩 구동 부하의 감소에 의해 라인피딩량의 불균일을 방지하게 되어 라인피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으며, 부하에 의한 기기의 수명저하를 해소할수 있다.
그리고, 전환캠(CAM)만을 사용하여 부하를 단속하게 되므로 종래의 복잡한 기기들이 장착되지 않으므로 조립시 작업이 수월하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저렴한 생산비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수 있다.

Claims (4)

  1.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달기어를 통하여 종동기어로 구동력을 전달 하고,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인 픽업샤프트(PICK-UP SHAFT))에 연결되는 픽업로울러(PICK-UP ROLLER)와, 용지적재함 내부에 장착된 픽업스프링과, 상기 픽업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녹업풀레이트(KNOCK-UP PLATE)를 구비하여 용지를 공급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용지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샤프트(PICK-UP PLATE)의 종동기어의 뒷부위에 테이퍼 형상의 전환캠(CAM)이 장착되도록하고 전환캠(CAM)의 양쪽으로 압축스프링이 설치되어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캠(CAM)의 샤프트공에 키홈을 형성하고 픽업샤프트(PICK-UP PLATE)에 키(KEY)를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샤프트공의 키홈에픽업샤프트(PICK-UP PLATE)의 키(KEY)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전환캠(CAM)의 외곽면에 안내면을 형성하여 상부안내면과 하부안내면을 구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의 좌측끝단에 종절리브를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KR1019960080899A 1996-12-31 1996-12-31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19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899A KR100193728B1 (ko) 1996-12-31 1996-12-31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899A KR100193728B1 (ko) 1996-12-31 1996-12-31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528A KR19980061528A (ko) 1998-10-07
KR100193728B1 true KR100193728B1 (ko) 1999-06-15

Family

ID=6642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8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3728B1 (ko) 1996-12-31 1996-12-31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7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528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229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배출장치
US7093830B2 (en) Paper feeding device for inkjet printer
US5378071A (en) Video printer
KR100485792B1 (ko) 급지유닛의 삽입제한장치
US6814436B2 (en) Recording apparatus
KR100193728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EP0294055B1 (en) A paper feeding apparatus, e.g. for use in a printer
JP3926594B2 (ja) 画像形成装置の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238585B1 (ko) 잉크젯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절환장치
US7121542B2 (en) Paper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96592B1 (ko) 스캐너와 프린터가 일체로 된 복합기
KR100513832B1 (ko) 용지 가압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공급 장치
KR100299175B1 (ko) 용지기울음이방지되는프론트로딩타입자동낱장급지장치
KR100419223B1 (ko) 잉크젯 복합기
KR100318731B1 (ko) 프린터용 용지 정렬 장치
KR200156005Y1 (ko) 프린터의 급지장치
KR10025535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200217777Y1 (ko) 복합기의 원고/용지 이송장치
KR100255354B1 (ko)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JPH01272474A (ja) 自動給紙機構
KR19990020520U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장치
KR19990026400U (ko) 잉크헤드 높이 조절장치
KR19990040416U (ko)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 중송방지용 세퍼레이터구조
KR20010063642A (ko) 프린터
JP2000143014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