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5982B1 -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982B1
KR100385982B1 KR10-2001-0000151A KR20010000151A KR100385982B1 KR 100385982 B1 KR100385982 B1 KR 100385982B1 KR 20010000151 A KR20010000151 A KR 20010000151A KR 100385982 B1 KR100385982 B1 KR 100385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shaft
tray
pickup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653A (ko
Inventor
최국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9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9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27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printing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36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out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Rollers driven, e.g. feed rollers separate from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6Rollers co-operating with a roller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68Carriage-return mechanisms, e.g. manually actuated
    • B41J19/70Carriage-return mechanisms, e.g. manually actuated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04Mechanical power drives with driven mechanism arranged to be clutched to continuously- operating power source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는,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인쇄기기 내부의 급지경로를 향해 진입시키는 픽업롤러와;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용지의 선단이 부딪힌 후 넘어가도록 그 픽업롤러 후방에 마련된 단차부와; 단차부를 넘어온 용지를 급지경로로 중계 이송하는 피딩롤러와; 픽업롤러를 승강시키면서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승강메카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급지장치는, 트레이에 용지를 적재할 때 픽업롤러를 들었다가 용지를 적재한 후 내려놓게 구성되어 있어서, 트레이의 경사를 급하게 만들지 않더라도 용지 선단이 픽업롤러 밑에 자연스럽게 물리게 되며, 픽업롤러와 피딩롤러 사이에 단차부를 마련하여 맨 위의 용지가 아니면 이 단차부를 넘어가기 어렵게 함으로써, 용지 여러 장이 한꺼번에 급지되는 중송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기의 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인쇄기기 내부로 공급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인쇄기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기기(10) 안으로 공급될 용지(S)가 적재되는 트레이(11)와, 상기 트레이(11)에 적재된 용지(S)를 인쇄기기(10) 안의 급지경로(미도시)로 한 장씩 진입시키기 위한 픽업롤러(1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3)의 구동으로 픽업롤러(12)가 회전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1)에 적재된 용지 중 상기 픽업롤러(12)와 접촉된 최상단의 용지가 인쇄기기(10)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참조부호 14는 픽업롤러(12) 및 용지가 들어가는 인쇄기기(10)의 입구를 보호하는 커버로, 인쇄 시에는 도 2와 같이 닫혀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용지가 인쇄기기(10) 안으로 원활하게 급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용지를 트레이(11)에 적재할 때 그 선단부가 픽업롤러(12) 밑에 잘 끼워지도록 놓아야 한다. 그런데, 용지를 너무 많이 적재하면 그 선단부를 픽업롤러(12) 밑으로 끼워넣기가 어렵기 때문에, 한 번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 용지 양이 20매 내외 정도로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것은 인쇄량이 많을 경우, 사용자에게 용지를 계속해서 보충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주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픽업롤러(12)를 향한 트레이(11)의 기울기를 가능한 한 급하게 기울여 설치해서 용지가 픽업롤러(12) 밑으로 잘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게 되면 인쇄기기(10)의 높이가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생기며, 또한 용지 2장 이상이 한꺼번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중송(重送)이 발생되기도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용지의 중송을 억제하고 트레이에 적재가능한 용지의 양을 크게 늘일 수 있도록 개선된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지장치가 채용된 인쇄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급지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가 채용된 인쇄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급지장치에 있어서 클러치수단을 포함한 승강메카니즘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급지장치에 있어서 피딩롤러의 동력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결합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설명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인쇄기기 110...트레이
120...단차부 130...구동원
140...커버 141...멈춤돌기
210...클러치수단 201...샤프트
211...구동부재 212...스프링클러치
213...부싱 214...결합부재
220...회동부재 230...피딩롤러
250...픽업롤러 213b,221...제1,2돌기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는,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인쇄기기 내부의 급지경로를 향해 진입시키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용지의 선단이 부딪힌 후 넘어가도록 그 픽업롤러 후방에 마련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를 넘어온 용지를 상기 급지경로로 중계 이송하는 피딩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승강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메카니즘은, 동력원과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동축 상에는 상기 피딩롤러가 지지되고, 자유단부 측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피딩롤러와 기어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동부재와; 상기 샤프트와 회동부재를 선택적으로 동력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픽업롤러 및 피딩롤러가 급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회동부재와 샤프트 간의 동력 연결을 끊으며, 반대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회동부재와 샤프트를 동력 연결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되게 함으로써 그 자유단부 측의 픽업롤러가 상기 트레이에서 들려지도록 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를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인쇄기기(100)에는 용지(S)가 적재되는 트레이(110)와, 구동원(130)에 의해 구동되어 용지(S)를 인쇄기기(100) 내부의 급지경로로 진입시키는 급지장치(200)가 구비된다. 참조부호 140은 급지장치(200)를 덮어주는 커버를 나타내며, 실제 사용 시에는 덮인 상태로 사용된다.
상기 급지장치(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130)과 연결된 샤프트(201)와, 그 동축상에 설치된 피딩롤러(feeding roller;230)와, 상기 샤프트(201)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220) 및, 이 회동부재(140)의 자유단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픽업롤러(250)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픽업롤러(250)는 중계기어(240)에 의해 상기 피딩롤러(230)와 연결되어 있어서, 샤프트(20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딩롤러(230)와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20)는 일부러 들어올리는 힘이 없으면, 자중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상의 용지(S)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참조부호 210은 상기 샤프트(201)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부재(220)를 선택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클러치수단을 나타낸다. 이 클러치수단은, 샤프트(201)가 픽업롤러(250)의 급지방향, 즉 용지(S)를 인쇄기기(100) 내부의 급지경로로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샤프트(201)와 회동부재(220) 사이의 동력 연결을 끊음으로써 회동부재(220)가 자중에 의해 내려가도록 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양측의 동력을 연결하여 샤프트(201)의 회전에 따라 회동부재(220)가 들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클러치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220)의 회동축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14)와, 상기 결합부재(214)의 일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부싱(213)과, 일단(212b)은 상기 부싱(213)의 결합홈(213a)에 결합되고 타단(212a)은 상기 결합부재(214)의 결합홈(214a)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치(212)와, 고정핀(211a)에 의해 샤프트(201)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치(212)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되는 구동부재(211)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클러치(212)는 그 내주면이 상기와 같이 구동부재(211)와 접촉되며, 외주면은 상기 부싱(213)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샤프트(201)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부재(211)도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치(212)를 감기는 방향으로 돌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구동부재(211)와 스프링클러치(212)와 부싱(213)이 마찰에 의해 함께 돌아가게 되며, 스프링클러치(212)의 양단(212a)(212b)으로 부싱(213)과 연결된 결합부재(214)도 회전하게 되어, 결국 회동부재(220)가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220)는 상기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로부터 들려진 상태로 돌아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샤프트(201)의 회전이 멈추더라도, 상기 구동부재(211)와 스프링클러치(212) 및 부싱(213) 간의 마찰력이 풀리지 않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샤프트(201)가 반대방향인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211)도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방향은 상기 스프링클러치(212)가 풀리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20)를 들어올리고 있던 상기 구동부재(211)와 스프링클러치(212) 간의 마찰력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회동부재(2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치(212)와, 부싱(213)과, 결합부재(214) 및 회동부재(220)가 모두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상의 용지(S)와 접촉하게 되며, 이후 계속해서 샤프트(201)가 B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딩롤러(230)와 픽업롤러(230)가 회전하면서 용지(S)를 급지경로로 진입시키게 된다.
도 5는 상기 피딩롤러(23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샤프트(201)와의 동력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250)와 중계기어(240)를 통해 기어연결되는 기어부(231)에는 고정핀(231a)이 끼워지는 슬롯(23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213a)은 샤프트(201)에 형성된결합공(203; 도 4)에 끼워져서 상기 슬롯(231c)에 끼워진다. 따라서 샤프트(201)가 회전하면 이 기어부(231)도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250)의 일단에는 바람개비와 같은 단차면(23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면(230a)과 기어부(231) 사이에는 상기 단차면(230a)에 걸리는 톱니부(232a)가 마련된 톱니부재(232)가 설치된다. 이 톱니부재(232)에는 간섭편(232b)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231)에는 그와 간섭되는 간섭돌기(231b)가 마련되어 있어서, 기어부(231)의 회전시 상기 간섭돌기(231b)가 간섭편(232b)에 걸려서 톱니부재(232)를 돌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샤프트(201)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부(231)와 톱니부재(232)가 B방향으로 돌아갈 때에는 상기 톱니부(232a)의 수직면이 상기 단차면(230a)의 수직면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피딩롤러(230)도 샤프트(201)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A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톱니부(232a)의 경사면과 상기 단차면(230a)의 경사면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스쳐 지나가기 때문에, 피딩롤러(2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201)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피딩롤러(230)가 정지된 상태로 회동부재(220)가 돌아가게 되며, 반대로 B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회동부재(220)는 원위치로 내려오고 피딩롤러(230)는 급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250)는 피딩롤러(230)에 기어 연결되어서 회전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를 꼭 채용할 필요는 없지만, 회전방향의 보다 안전한 규제를 위해서 상기 픽업롤러(250)에도 상기 피딩롤러(230)와 마찬가지로, 샤프트(201)가B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회전하도록 상기와 같은 동력 연결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이와 같은 급지장치(200)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201)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수단(210)이 샤프트(201)와 회동부재(220) 간의 동력을 끊게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상의 용지(S)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피딩롤러(230)는 상기 톱니부재(232)가 단차면(230a)에 걸려서 회전함에 따라 B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피딩롤러(230)와 중계기어(240)에 의해 연결된 픽업롤러(250)도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용지(S)를 인쇄기기(100) 안으로 진입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픽업롤러(250)와 피딩롤러(230) 사이에는 용지의 선단이 부딪힌 후 넘어가도록 단차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픽업롤러(250)에 의해 픽업된 용지는 그 선단이 일단 단차부(120)에 부딪힌 후 넘어가면서 피딩롤러(230)에 물리기 때문에, 맨 윗장의 용지가 아니면 상기 단차부(120)를 넘어서 피딩롤러(230)에 물리기가 어렵다. 이것은 용지 여러 장의 한꺼번에 들어가는 중송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구조이다.
한편, 트레이(110)에 적재된 용지(S)가 다 소모되면, 상기 인쇄기기(100)에 마련된 센서(150; 도 3)가 그것을 감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원(130)이 샤프트(201)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클러치수단(210)의 구동부재(211)와 스프링클러치(212)와 부싱(213)이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결합부재(214)와 결합된 회동부재(220)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측으로부터 들려지게 되며, 이때 상기 피딩롤러(230)와 픽업롤러(25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트레이(110)에 용지(S)를 다시 적재한 후 다시 도 7의 상태로 회동부재(220)를 회동시켜서 급지작업을 계속 진행하면 된다. 참조부호 141은 커버(140)에 마련된 멈춤돌기로서, 회동부재(220)가 너무 과도하게 돌아가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트레이(110) 상의 용지(S)가 다 소모되었을 때 상기 픽업롤러(250)를 일단 들었다가 용지를 적재한 후 내려놓게 되므로, 용지를 끼워넣지 않더라도 그 선단이 항상 픽업롤러(250) 밑에 자연스럽게 물리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110)의 경사를 지나치게 높일 필요도 없게 되어 인쇄기기(1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또한 픽업롤러(250)가 들리는 높이만큼 다량의 용지를 한번에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롤러(250)에 의해 픽업된 용지(S)의 선단이 단차부(120)에 부딪힌 후 넘어가면서 피딩롤러(230)에 물리게 되어 있어서, 맨 위의 용지가 아니면 피딩롤러(230)에 물리기 어렵게 되므로, 용지 여러 장이 한꺼번에 급지되는 중송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한 제1실시예와 다른 본 실시예의 특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213)에 제1돌기부(213b)를 마련하고, 상기 케이스(220)에는 상기제1돌기부(213b)와 간섭되도록 도 10과 같은 제2돌기부(221)를 마련한 점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상기한 커버(140)를 열어놓고 사용할 경우를 감안한 것이다. 즉, 용지(S)가 다 소모되어 픽업롤러(250)를 들어올릴 때, 상기 커버(140)의 멈춤돌기(141)가 회동부재(220)의 스토퍼 역할을 하는데, 만일 커버(140)가 열려진 상태라면, 회동부재(22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하게 돌아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픽업롤러(250)를 다시 내려놓으려면 상기 구동부재(211)와 스프링클러치(212)의 마찰력이 해제되면서 회동부재(220)가 원위치로 돌아와줘야 하는데,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는 회동부재(220)가 약간 움직이다가 그 자리에서 정지해버릴 수가 있다. 즉, 구동부재(211)와 스프링클러치(212)의 마찰력이 해제됨에 따라 회동부재(220)가 자중에 의해 회동하게 되는데, 이 순간이 상기 부싱(213)과 결합부재(214)의 입장에서는 스프링클러치(212)를 감는 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셈이 된다. 만일, 회동부재(220)가 지나치게 들리지 않았을 경우에는 회동부재(220)의 회전모멘트가 충분하여 결합부재(214)와 부싱(213)을 함께 돌릴 수 있지만, 도 12와 같은 경우에는 회전모멘트가 충분하지 않아서 스프링클러치(212)의 제동력에 의해 그 자리에서 멈출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돌기부(213b)(221)는 이러한 경우를 감안한 것으로, 회동부재(220)가 자중에 의해 화살표 C방향으로 움직이는 순간, 상기 제2돌기부(221)가 제1돌기부(213b)를 밀어주게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부싱(213)이 스프링클러치(212)가 풀리는 방향으로 약간 돌아가게 되며, 이에 따라 회동부재(220)는 자중에 의해 충분히 돌아올 수 있을 만큼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는 상기 회동부재(220)와 결합부재(214)와 스프링클러치(212) 및 부싱(213)이 함께 회전하여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상의 용지(S) 위에 안착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커버(140)가 열렸을 경우 작동 에러의 가능성까지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는, 트레이에 용지를 적재할 때 픽업롤러를 들었다가 용지를 적재한 후 내려놓게 구성되어 있어서, 트레이의 경사를 급하게 만들지 않더라도 용지 선단이 픽업롤러 밑에 자연스럽게 물리게 되며, 픽업롤러와 피딩롤러 사이에 단차부를 마련하여 맨 위의 용지가 아니면 이 단차부를 넘어가기 어렵게 함으로써, 용지 여러 장이 한꺼번에 급지되는 중송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7)

  1.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인쇄기기 내부의 급지경로를 향해 진입시키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용지의 선단이 부딪힌 후 넘어가도록 그 픽업롤러 후방에 마련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를 넘어온 용지를 상기 급지경로로 중계 이송하는 피딩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승강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메카니즘은,
    동력원과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동축 상에는 상기 피딩롤러가 지지되고, 자유단부 측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피딩롤러와 기어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동부재와; 상기 샤프트와 회동부재를 선택적으로 동력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픽업롤러 및 피딩롤러가 급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회동부재와 샤프트 간의 동력 연결을 끊으며, 반대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회동부재와 샤프트를 동력 연결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되게 함으로써 그 자유단부 측의 픽업롤러가 상기 트레이에서 들려지도록 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축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부싱과;
    일단은 상기 부싱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부싱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스프링클러치와;
    상기 스프링클러치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상방에는 소정의 멈춤돌기가 마련되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범위가 상기 멈춤돌기에 의해 규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에는 제1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픽업롤러를 트레이 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스프링클러치가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부싱이 돌아가도록 상기 제1돌기부를 쳐주는 제2돌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피딩롤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연결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연결수단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부와,
    상기 픽업롤러의 일단면에 형성된 바람개비형 단차면과,
    상기 단차면과 기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며,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상기 단차면에 걸리는 톱니부가 마련된 톱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10-2001-0000151A 2001-01-03 2001-01-03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85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151A KR100385982B1 (ko) 2001-01-03 2001-01-03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151A KR100385982B1 (ko) 2001-01-03 2001-01-03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653A KR20020057653A (ko) 2002-07-12
KR100385982B1 true KR100385982B1 (ko) 2003-06-02

Family

ID=2769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1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5982B1 (ko) 2001-01-03 2001-01-03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00A1 (ko) * 2016-08-03 2018-02-08 최호림 다매 급지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3332B (zh) * 2020-04-30 2025-07-18 厦门汉印股份有限公司 一种打印机的传输方法和送纸辊可升降的打印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237Y1 (ko) * 1990-05-17 1992-11-14 주식회사 미주정공 모라돈 건축장식재의 연결부
KR19980021158U (ko) * 1996-10-18 1998-07-15 문대원 복사기의 카세트 용지이송장치
KR20000015295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중송방지 급지장치
KR100291429B1 (ko) * 1998-03-31 2001-06-01 윤종용 사무용기기의급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237Y1 (ko) * 1990-05-17 1992-11-14 주식회사 미주정공 모라돈 건축장식재의 연결부
KR19980021158U (ko) * 1996-10-18 1998-07-15 문대원 복사기의 카세트 용지이송장치
KR100291429B1 (ko) * 1998-03-31 2001-06-01 윤종용 사무용기기의급지장치
KR20000015295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중송방지 급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00A1 (ko) * 2016-08-03 2018-02-08 최호림 다매 급지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653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694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101198183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6666446B2 (en) Replaceable roller bogie for document feeding apparatus
US7308853B2 (en) Bulk paper feeding device with intermediate conveyor for image forming device
KR101362258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US20040207145A1 (en) Paper-feeding apparatu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69315B1 (ko) 화상형성장치
US7431284B2 (en) Sheet transfer apparatus
US80208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eeding apparatus
KR100453066B1 (ko) 자동 원고 피딩 장치
US6651973B2 (en) Sheet feeder with modular roller support and drive assembly
CN100404273C (zh) 供纸器
KR100385982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EP0555091B1 (en) Paper feeders
JP2002220122A (ja) 給紙装置
KR100285252B1 (ko) 다목적 피더의 중송 방지 장치_
JP3968282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14477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32822B2 (ja) 給紙装置
JP3843684B2 (ja) 給紙装置
JP2004075333A (ja) シート給送装置,それ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KR100437166B1 (ko)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940003117B1 (ko)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급지 장치
JP2004075334A (ja) シート給送装置,それ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KR200144533Y1 (ko) 잉크젯 프린터의 페이퍼 이송 에러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0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