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10140A - 스마트 카드를 접속하는 접촉날을 개선한 전기 접속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를 접속하는 접촉날을 개선한 전기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140A
KR20010110140A KR1020010030188A KR20010030188A KR20010110140A KR 20010110140 A KR20010110140 A KR 20010110140A KR 1020010030188 A KR1020010030188 A KR 1020010030188A KR 20010030188 A KR20010030188 A KR 20010030188A KR 20010110140 A KR20010110140 A KR 2001011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oon
insulator
plan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리꼬에르베
삐짜르이베
Original Assignee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11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1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한 수평 윗면(16)이 있는 접촉체를 형성하는 절연체(12) 및 2개의 축, 길이 방향축과 가로 방향축에 관하여 굽혀서 절연체(12)의 윗면(16)쪽으로 내려가게 연장하는 스푼(3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980)을 형성한 접촉 영역(88)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체가 뒤집어진 스푼의 형태인 접촉단(30)을 각각 포함하는 탄성 적으로 변형 가능한 길이 방향 접촉날로 이루어지는 전기 접속기(10)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접촉 스푼(30)의 측면(80)이 상기 절연체(12)의 윗면 (16)의 수평면에 관하여 기울어지는 거의 평면으로써 카드가 판독 기록 장치(94)에 넣어질 때 카드의 하나의 모서리가 연동할 수 있는 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드를 접속하는 접촉날을 개선한 전기 접속기{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BLADES FOR CONNECTING A SMART CARD}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의 주면 중 하나의 주면 상에 그 카드를 판독 기록 장치에 삽입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전기 접촉 패드가 있는 스마트 카드를 접속하는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개의 수직 방향,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편평한 수평 윗면이 있는 절연 재료의 접촉 유지체와,
상기 길이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배열된 탄성 변형날의 형태인 복수의 전기 전도체로 이루어진 타입의 접속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 접촉날은
상기 절연체의 윗쪽 평면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절연체의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하는 상기 카드(C)에 해당하는 패드와 접촉하기 위하여 굽어진 제1 단과,
상기 날을 상기 절연체에 접속하는 중앙부와,
상기 날은 상기 판독 기록 장치의 처리 회로에 접속하는 제2 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굽은 접촉단이 위측에서 내려가는 스푼의 전체 형태이고, 그 스푼의 외부 볼록면이 위쪽으로 지향되어 상기 날의 접촉 영역 또는 끝을 형성하고, 2개의 길이 방향축 및 가로 방향축에 관하여 굽혀져서 전체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접촉 스푼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체의 윗면 쪽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한 타입의 접속기도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에 대하여는 문서 US-A-5 527 192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서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기는 칩 카드라 불리는 스마트 카드를 상기 절연체의 편평한 윗면에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는 판독 기록 장치와 관련되게 설계된다.
각 접촉날(12)은 상기 접촉날의 전체의 길이 방향축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에 관하여 대칭으로 설계하고, 접촉 스푼의 형태에서 각 접촉단(30)은 상기 스푼의 길이 방향 중앙 평면 및 수직 방향 중앙 평면에 관하여도 대칭이다. 따라서, 각 스푼은 상기 절연체의 수평 윗면(22)에 수직인 길이 방향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하기 위하여 상기 스푼의 돔 부분을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거의 평면인 길이 방향의 2개의대향 측면 볼(cheek) 또는 플랜지(64)를 갖는다.
각각 수직으로 지향된 편평한 측면은 상기 절연체를 안쪽으로 연장하고, 말하자면, 상기 날의 정지 위치에서, 아래쪽 모서리는 상기 절연체의 윗면의 평면 아래에 수직으로 놓인다.
이러한 설계로 인하여 접촉날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특히 물체를 상기 장치에 삽입할 때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수직 측면(64)의 가로 방향의 아래쪽 모서리(26)는 상기 절연체의 윗면에 놓인다.
이러한 설계로 인하여 상기 판독 기록 장치 및/또는 한 방향 및/또는 전술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접속기에 상기 카드가 위치되거나 삽입될 때 전체적으로 불만족스럽게 된다.
이것은 상기 카드가 상기 절연체의 윗면의 평면에 평행하지만 가로 방향으로 삽입될 때, 또는 2000년 2월 18일에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번호 제00/02006호에 예시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를 전체적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위치시키는 경우에 특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더욱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2개의 큰 측면 볼을 갖는 스푼의 대칭 설계는 상기 직면하는 행의 접촉 스푼을 1.27㎜의 패치로 겹쳐서 절단하는 산업 공정에 치수가 맞지 않는 스푼의 가로 방향 축폐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점을 치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의 접속기를 제공함으로써, 카드가 기록 판독 장치에 넣어질 때 카드(C)의 모서리와 연동할 수 있는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체의 윗면의 수평면에 관하여 경사진 거의 평면을 특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촉 스푼은 수직 길이 방향에서 중앙 평면에 관하여 비대칭으로 설계를 하고,
상기 접촉 스푼의 경사진 측면은 상기 절연체의 수평 윗면의 평면에 관하여 약 45。의 각을 이루고,
상기 접촉날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접촉 스푼의 경사진 측면의 아래쪽 길이 방향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절연체 윗면의 평면 아래에 수직으로 놓이고,
상기 접촉날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접촉 스푼의 경사진 측면 아래쪽 길이 방향 모서리는 상기 절연체 윗면의 평면 아래에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위치되며,
상기 접촉 스푼의 경사진 측면은 길이 방향에 평행인 거의 평면 중심부 및 상기 접촉 스푼의 길이 방향축에 관하여 경사진 2개의 단부, 즉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고,
상기 접촉 스푼의 경사진 측면의 중심부는 상기 접촉 스푼의 접촉 최상부에 관하여 길이 방향으로 중심에 있고,
상기 접촉 스푼의 경사진 가로 방향면은 상기 접촉 스푼의 중심에 돔 모양의최상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접촉날의 길이 방향 중앙축은 상기 접촉 스푼의 수직 길이 방향 중심 평면에 거의 놓이고, [sic] 접촉 최상부는 상기 접촉 스푼의 수직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접촉날의 길이 방향 중심축은 상기 접촉 스푼의 수직 길이 방향 중심 평면에 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즉 상기 접촉 최상부는 상기 접촉 스푼의 수직 길이 방향의 중심 평면에 놓이며,
상기 접촉단은 상기 절연체의 정지 표면을 지탱하는 것에 의해 수직 상방으로 탄성력이 가해짐으로서 상기 절연체에 관하여 상기 접촉날의 정지 상태를 결정하는 노우즈(nose)에 의해 길이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연체는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나타나고, 그 각각의 하우징이 접촉날을 수용하고, 상기 접촉날이 뒤에서 앞으로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굽은 접촉단의 통로에 대하여 절연체의 편평한 윗면에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각 날의 중앙 연결부는 절연체의 위쪽 평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헤어핀의 형태로 굽은 부분이고, 자유단이 상기 날의 연결단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날을 상기 절연체에 조이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1 분기 및 자유단이 상기 날의 굽은 접촉단에 의해 연장되는 제2 분기를 갖는데, 상기 제1 및 제2 분기는 상기 접속기의 중심쪽으로 향하는 중심 U형 밴드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도 1은 왼쪽에서 도 8에 도시된 타입의 접촉날에 제공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접속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등축의 투시 상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기의 상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속기의 왼쪽의 측면도.
도 4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접속기의 절연체를 왼쪽에서 투시한 등축의 투시 상부도.
도 5는 상기 절연체를 오른쪽에서 투시한 등축의 투시 하부도.
도 6은 도 2의 라인(6-6) 상에 수직 길이 방향 평면을 통한 절단도.
도 7은 도 2의 라인(7-7) 상에 수직 길이 방향 평면을 통한 절단도.
도 8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전기 접속기를 갖춘 8개의 접촉날 중 한 개의 접촉날의 확대 투시도.
도 9는 접속 탭의 설계에 의해 도 8의 접촉날과 다른 종래의 접촉날의 변경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8의 유사도.
도 10은 도 1내지 8에 도시된 접속기와 비슷한 접속기의 제1 예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3개의 접촉날 쌍을 갖는 도 1과 유사도.
도 11은 도면의 화살표(F11)에 따라 오른쪽에서 도 10의 접속기를 투시한 투시 상부도.
도 12는 수평 카드(C)가 가로 방향(T)으로 삽입될 수 있는 판독 기록 장치에서 도 10 및 11의 접속기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3은 도 10 및 11의 접속기의 투시 밑면도.
도 14는 도 10 및 11의 접속기의 상부도.
도 15a 및 15b는 도 14에서 화살표(F15A 및 F15B)를 따라 부분 절단한 측면도.
도 16은 도 14의 화살표(F16)를 따른 길이 방향 단면도.
도 17은 도 10 내지 16의 접속기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접촉날 중 한 개를 도시하는 도 8 및 도 9의 유사도.
도 18은 접속기의 접촉 스푼의 형상이 가로 방향으로 중심 평면에 대하여 접촉날의 접촉 스푼과 대칭인 도 10내지 16에서 접속기의 접촉날의 다른 설계를 도시하는 도 17의 유사도.
도 19 및 20은 도 17 및 18에서 화살표(F19 및 F20)에 따른 투시 상부도.
도 21 및 22는 도 19 및 20에서 화살표(F21 및 F22)에 따른 투사 밑면도.
도 23 내지 33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접촉날에 고정된 얇은 접속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0 내지 12의 유사도.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대규모 접촉날의 상부도.
도 35는 도 34에서 화살표(F35)에 따른 측면도.
도 36은 도 34의 화살표(F36)에 따른 길이 방향 단면도.
도 37은 도 34의 라인(37-37)에 따른 절단도.
도 38 내지 41은 도 34 내지 37의 유사도이고, 접촉날의 변경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시도.
도 42 및 43은 2000년 2월 18일에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00/02006호의 도면 72 내지 78의 유사도이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카드를 접속기에 삽입하고 추출하는 2가지 단계를 도시하는 도시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날 및 접촉 스푼을 스트립으로 절단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개략도.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직, 수평, 위, 아래, 앞, 뒤, 왼쪽, 오른쪽 등의 용어는 도면을 참조로 무제한으로 이용될 것이다.
도 1 내지 7은 종래 기술의 교시에 따른 전기 접속기(1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1999년 5월 7일에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번호 제99/05857호에 공지된 전체의 설계에 따르면, 상기 접속기(10)는 성형으로 만들어지고, 전도 재료로 만들어진 일련의 8개의 접촉날(14)에 대하여 접촉 홀더를 형성하는 지지 요소로 이루어지는 절연 플라스틱 재료(12)의 몸체로 필히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속기(10)는 대칭의 2개의 직각을 이루는 수직 평면, 즉 길이 방향 평면(PL) 및 가로 방향 평면(PT)에 대하여 2중 대칭으로 설계한 것을 나타낸다. 그 대칭선은 도 2에 도시되고, 교선(C)의 점은 접속기의 중앙을 구성한다.
도 1 내지 7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쌍으로 정렬된 접촉날(14)의 4개의 쌍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기(10)는 8개의 접촉날을 갖고, 그 각각의 접촉날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스마트 카드 상에 대응하는 전도 패드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2)는 2개의 수직 방향, 즉 길이 방향(L) 및 가로 방향(T)으로 연장하는 평면에 수평인 윗면(16), 수평 아랫면(18), 수직 방향의 2개의 대향 길이방향 측면(20) 및 수직 방향의 2개의 대향된 후방의 가로 방향 측면(22)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편평한 직사각형의 평행관의 전체 형상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공지된 일반적인 설계에 따르면, 상기 절연체(12)는 쌍으로 2개의 일련의 4개의 하우징(24)을 정렬시킨다.
각각의 하우징(24)은 해당하는 가로 방향 배면(22)에 길이 방향으로 나타내고, 상기 아랫면(18)에서 수직 하방으로 개방되고, 윗면(16)에서 수직 상방으로 개방도니다.
각 하우징(24)은 상기 윗면(16)에 교점이 윗면에 형성된 홀의 윗쪽 길이 방향 모서리에 해당하는 2개의 편평면(27)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경계된다.
각 하우징(24)은 길이 방향에 전방으로, 즉 상기 접속기의 중심(C)쪽으로 수직 가로 방향 분할(28)에 의해 경계된다.
각 하우징(24) 및 접촉날(14)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계된 [sic]는 탄성 변형 전도 재료로 만들어진다. 각 접촉날(14)은 절단 및 접힌 전도 요소를 구성한다. 각 접촉날(14)은 대칭(PL)의 길이 방향 평면에 평행한 수직 평면에 및 길이 방향(L)으로 연장한다.
각 접촉날(14)은 볼록하게 수직 상방으로 지향된 스푼의 전체 형상을 갖고, 전기 접속기(10)를 갖춘 판독 기록 장치(도시 안함)에 삽입될 수 있는 스마트 카드 상에서 해당하는 패드와 연동될 수 있게 설계되는 볼록하게 굽은 제1 접촉단 (30)을 갖는다.
각 날(14)의 굽은 접촉단(30)은 거의 수평인 노우즈(32)에 의해 길이 방향에 후방으로 연장되며, 그 노우즈의 기능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더욱 특히, 상기 노우즈는 상기 경사단(30)의 경사진 후방 길이 방향부(33)를 연장한 방향으로 또는 수평으로 바람직하게 연장한다(도 6을 보아라).
또한, 각 접촉날(14)은 도 1내지 8에 도시된 예로서, 상기 절연체(12)의 아랫면(18)의 평면에 있는 아랫면(35)과 그 해당하는 후방 횡단면(22)을 넘어 절연체 (10)의 바깥쪽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장하는 접속단(34)을 갖는다.
각 접속단(34)은 각 날(14)이 프린팅 회로 기판 상의 전도 트랙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탭(도시 안함), 예컨대, 표면 장착 기술을 이용하는 납땜 또는 "납땜 없는" 기술을 이용하는 접촉에 의해 탭을 구성한다.
각 날(14)의 굽은 접촉단(30) 및 연결단(34)은 헤어핀형 중심 결합부(38)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각 날(14)의 중심 결합부(38)는 거의 수평에 수직인 방향으로(또는 문서 FR A 2 714 53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및 상기 절연체(12)의 밑면(18)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분기(40) 및 상기 제1 분기(40)와 예리한 각을 형성하는 제2 분기를 갖고, 그 분기들은 그 측면에 U 형태의 중심 밴드(44)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상기 중심 밴드(44)는 상기 접속기(10)의 중심쪽으로, 즉 가로 방향 중심 칸막이(28)쪽으로 굽혀서 판독 기록 위치에 끝이 위치할 때 그 스마트 카드의 칩 위에 전도 패드와 거의 일치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하학적인 배치에 의해 상기 접속기를 매우 콤팩트하게 만들어서 프린팅 회로 카드에 차지하는 공간을 작게하며, 그 길이 방향 치수는 대향하는 2개의가로 방향면(22)을 분리하는 거리에 해당하는 반면, 그 가로 방향 치수는 대향하는 2개의 갈이 방향면(20)을 분리하는 거리에 해당한다.
접속기, 특히 절연체(12)의 다양한 소자의 크기는 거의 인접한 날의 쌍을 통과하는 수직 중심 평편과 길이 방향 측면(20)을 분리하는 가로 방향 거리(D)가 2개의 인접한 날(14)(도 2를 보아라), 즉 D=P/2를 분리하는 표준 피치(P)의 1/2과 같다. 따라서, 형성된 접속기 몸체의 모든 접촉날(14)이 일정 피치(P)만큼 분리되도록 그들의 측면(20)을 통하여 인접한 접속기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12개의 인접한 전도날을 가진 해당하는 절연체를 그룹화하고, 예컨대 4쌍의 날을 가진 3개의 접속기 또는 3쌍의 날을 갖는 4개의 접속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각 측면에 12개의 날을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세로면(20)을 분리하는 절연체(12)의 가로 방향 치수 또는 폭에 정교함으로 부여하기 위하여, 그들의 각각은 상기 주입 게이트로부터 흐르는 중심 리세스(21)를 갖거나, 상기 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해 형성된 조각들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날(14)의 상기 제1 분기(40)의 자유단(46)은 상기 날의 평균 폭보다 크고, 상기 굽은 접촉단(30)의 노우즈(32)의 형태로 상기 자유단에 일치하여 길이 방향, 즉 수직으로 연장하고, 공지된 방법으로, 상기 굽은단(30)을 갖는 상부 분기 (42)가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굽을 때 노우즈(32)가 통과할 수 있는 홀(45)이 있다.
각각 확개된 자유단(46)은 상기 연결 탭(34)에 의해 연장된다. 공지된 방법으로, 각 자유단(46)에는 상기 날(14)을 장착해서 하우징(24)의 제위치에 내장하기 위하여, 각 하우징(24)에서 각각의 보상 측방 슬롯(52 및 54)에 수용되는 측방 하푼(lateral harpoon) 및 측방 안정 탭(50)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푼(47)의 이는 상기 탭(50)처럼 그 하우징(24)의 제위치에 상기 접촉날914)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절단 길이 방향 탭을 따라 형성된다.
각 하우징(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모서리에 의해 정의되는 슬롯(60)을 형성하는 윗면(16)으로 이동하여 상기 날(14)의 굽은 접촉단(30)의 통로 및 상기 중상 결합부(38)의 제2 분기(40)의 부분 통로를 만든다.
각 슬롯(60)은 모서리(62)의 전방에서 길이 방향으로 경계되어 지고,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상기 절연체(12)의 일부로서 성형된 가로장(66)의 후방 가로 방향 모서리(64)에 의해 후방에 경계가 만들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60)은 상기 윗면(16)의 중심에서 상기 요소가 "픽 앤드 플레이스(pick and place)"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슬롯을 제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흡입하여 픽업될 수 있는 고체 표면을 자유롭게 떼어낸다.
각 가로장(6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삽입하는 쳄버(68)와 함께 상기 하우징(24)의 상부 및 후방 가로 방향단에 배열된다.
각 가로장(6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의 정지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상기 관련 접촉날(14)의 노우즈가 탄성에 견디는 경사진 내부 아랫면(70)에 의해 중지되는 구성을 한다.
따라서, 각 접촉날(14)의 굽은단(30)은 약간의 탄성 압력으로 상기 윗면(16)에 대하여 정교한 기하학적인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각 접촉 스푼(30)의 접촉최상부(S)의 수직 치수 또는 높이는 상기 절연체(12)의 윗면(16)의 평면에 대하여 정의된다.
상기 가로장(66)은 아래의 가로장(74)이 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절연체(12)를 강화하는데 기여한다.
상기 가로장(66)에 의해 제공된 재료의 연속성은 접촉날(14)의 스푼(30)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데, 그 노우즈(32)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물체를 상기 하우징(24)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간섭을 예방할 수 있고, 상기 카드를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삽입하는 슬롯을 통하여 액세스 가능한 부분인 윗부분이 상기 가로장(66)에 의해 차단된다.
도 9에 도시된 접촉날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탭(34)이 짧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 탭(34)은 상기 접속기(10) 내측에 전체적으로 위치되고, 그것의 최대의 길이 치수는 그 대향 가로 방향면(22)을 분리하는 거리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기 탭(34)은 상기 하우징(24)에 입구를 통하여 자외선 납땜 재흐름 빔 (infrared solder-reflow beam)에 의해 외부로부터 볼 수 있고 엑세스할 수 있다.
상기 분기(40)에 대한 연결 탭(34)의 수직 하방으로 오프셋 때문에, 그리고, 상기 연결 탭(34)이 상기 노우즈(32)에 수직으로 위치되거나, 상기 중심 방향에서 전방에 역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홀(45)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상기 탭(34)에 의해 제공된 간격에 의해 상기 접촉날(14)이 얇은 접속기에 대한 작업 위치(카드 삽입)에서 또는 상기 하우징(24)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동안 굽혀질 수 있다. 각접촉날(14)을 길이 방향의 삽입 위치에 놓일 때, 각 가로장(66)은 상기 볼록하게 굽은단(30)의 전방 세로 방향부의 경사진 윗면(31)과 연동하여 상기 홀(45)을 들어가는 노우즈(32)와 수직 하방으로 탄성 이동한다.
종래의 다양하게 공지된 설계에 있어서, 특히 도 8 및 9에 2가지가 도시되는데, 각 접촉날의 스푼은 대칭의 세로축을 통과하는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태를 일반적으로 갖고, 그 2개의 인접한 날을 분리하는 피치는 이러한 2개의 날의 대칭 (AL)의 2개의 축을 분리하는 가로 방향 거리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설계는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되는 방향"I"에서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판독 기록 장치의 제위치에 카드를 놓는데 적합하며, 상기 카드의 전체 평면은 상기 절연체의 윗면(16)의 평면에 거의 수평이거나 평행이 된다.
이러한 길이 방향의 삽입 동안에, 상기 카드의 전방 가로 방향 모서리는 상기 경사단(30)의 경사진 후방 세로 방향부(33)와 연동한다. 이것은 상기 삽입측에 배열된 날의 행이 평행한 4개의 날과 동시에 연동하는 카드를 삽입하기 위하여 날이 굽혀지는 램프 효과를 발생하고, 상기 홀(45)을 통과하는 노우즈(32)와 수직 하방으로 탄성에 의해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른 행의 각 날에 대하여 볼록하게 굽은단(30)의 전방 길이 방향부의 경사진 윗면(31)과 연동한다.
반대로, 상기 절연체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 특히 상기 카드가 상기 접속기의 윗면(16)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길이 방향에 수평으로 카드를 삽입하는 것이 실제로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도 6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힌 스푼의 형태에서 각 접촉단 (30)이 전체 길이 방향의 2개의 측방 볼 또는 플랜지(80)를 갖기 때문이고, 여기서 각각은 평면이고 수직으로 지향되며, 즉 상기 길이 방향 중간 평면(PL)에 평행하게 수직 하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스푼의 돔형 상부를 수직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각 측방 플랜지는 방향 (T)에서 카드의 가로 방향 삽입을 막는 정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카드의 길이 방향으로 지향된 모서리는 2개의 정렬날의 2개의 직면하는 측방 플랜지에 맞댄 상기 장치에 가로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 문제점은 카드가 수평 평면에 삽입될 때 또는 2000년 2월 18일에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00/020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경사진 방향에서 조차도 동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접촉날의 설계는 겹쳐져 있는 절단 공정을 이용하여 접촉날을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0 내지 22에 도시된 타입의 접속기를 이용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접속기의 일반적인 설계는 절연체의 구조적인 세부 사항, 특히 그 높이 이외에, 도 8 내지 9를 참조로 설명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접속기와 유사한 모든 점에서 종합적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기의 중심부 아래에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남기고, 예컨대 상기 접속기가 장착되는 프린팅 회로 기판 상에 모든 소자를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종래의 접속기와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의 접촉날(14)이 있다.
이후에 기술될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접촉 스푼(30)은 세로축(AL)을 통하여 접촉날의 일반적인 대칭 수직면에 대하여 불균형 또는 비대칭으로 설계 한다.
이것은 도 10 내지 14에 관하여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12)의 수평 윗면916)에 대하여 그리고 수직에 대하여 거의 45도 기울어진 형상 및 윤곽을 갖는 측면(80) 형태의 플랜지를 갖는다. 이것은 도 10 내지 14에 관하여 특히 도시된다.
상기 접촉날(14)의 모든 경사진 측면(80)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3개의 날쌍(14)의 6개의 그룹 중에 있고, 접속기의 동일한 측방에 가로 방향, 여기서 도 10에 관하여 왼쪽에 가로 방향으로 지향된다.
반대로, 도 11에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촉날(30)은 상기 경사진 측면 (80)의 반대측에 측방 플랜지가 없다.
이러한 비대칭 설계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날을 생산하고, 이러한 접속기의 설계 및 치수를 어떠한 방법으로도 수정함이 없이, 즉 그 제조 및 생산 요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날 또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접촉날을 수용할 수 있는 절연체의 공동 치수를 수정함이 없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접속기에 접촉 스푼을 일체로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절연체의 동일한 측에 모든 경사진 측면(80)의 방향 때문에, 상기 접속기(10)를 갖춘 날의 스푼(30)은 모두 동일하지 않고, 2 타입의 날이 필요하다. 즉 3개 날의 행을 구성하는 제1 타입의 3 개의 날 및 3개의 인접한 날의 행을 구성하는 다른 타입의 3 개의 날이 필요하다. 그 날들은 스푼 영역에 도 4에 대하여 가로 방향면(PT)에 대칭으로 설계하여 쌍으로 정렬된다.
장점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설계는 접촉날의 스트립으로 겹쳐있는 직면하는 접촉쌍에 속한 2개의 접촉날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다.
도 14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푼(30)의 볼록 돔의 최상부(S)는 상기 스푼이 카드 상에 해당하는 패트와 접촉하는 점이고, 상기 스푼의 대칭인 길이 방향축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접촉날에 속하는 스푼과 비교하여, 상기 세로축(AL) 상에 최상부(S)가 놓여 있는 그 최상부의 이러한 가로 방향 오프셋은 약 0.25㎜이고, 이러한 오프셋은 가로 방향폭과 비교하여 매우 작고, 상기 스마트 카드 상에 패드 또는 접촉 영역의 약 1.7㎜과 같으며, 이러한 설계는 상기 오프셋을 허용한다.
비대칭 스푼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날과 관련되는 특정 절연체(12)를 설계할 때, 상기 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상기 스푼(30)의 상부(S)가 카드 상의 전도 패드의 중심에 거의 있도록 상기 스푼(30)의 상부(S)를 재위치시키기 위하여 접촉 유지체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스푼(30)을 고려하면, 그 경사진 측면(80)이 길이 방향으로 거의 평면인 중앙부 또는 작은 평면(82) 및 2개의 단부 또는 작은 평면, 즉 전방 작은 평면(84) 및 후방 작은 평면(86)으로 필히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여기서, 각각의 단부 및 작은 평면은 중앙 작은 평면(82)과 동일한 전체의 방향을 갖지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돔형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스푼(30)의 다른 부분 및 영역에 결합되고, 그 영역(88)의 중심부 또는 상부는 모든 방향으로 둥근 돔 형태를 갖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진 측면(80)의 중앙 작은 평면(82)은 상기 중앙 돔(88)의 길이 방향 모서리(90)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스푼(30) 및 돔(88)의 최상부에 관하여 길이 방향에 대칭으로 정렬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면에 도시된 그 나머지 상태에서 각각의 접촉날(14)을 고려할 때, 각각 경사진 후방 플랜지(80)의 하부 길이 방향 모서리(92)가 상기 절연체(12)의 상부 수평면(16)의 평면 아래에 수직으로 놓인다.
도 12는 기록 판독 장치를 형성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10) 또는 상기 장치에 스마트 카드(C)를 삽입하는 슬롯(96)을 갖는 장치에 대한 제1 예를 도시하고, 상기 카드의 밑면(98)에는 전도 패드가 있다(도시 안함).
상기 전자 장비 및 장치의 설계는 이러한 카드가 상기 절연체의 가로 방향 (T)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날(14)의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 의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슬롯 (96)을 통하여 들어가는 카드(C)의 길이 방향(L)의 모서리가 연속적으로 만나는 다양한 접촉 스푼의 45도 경사진 측면과 연속하여 접촉한다는 것을 알았다.
도 12에 관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T)으로 상기 장치(94)에 상기 카드(C)를 삽입하는 힘의 효과에 기인하여, 상기 모서리(100)는 상기 경사면(80)을 갖는 아래의 정지부[sic]를 통하여 연동하여 측면(80)의 대략 45도 경사진 방향으로 인한 램프 효과에 의하여 상기 스푼(30)을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
경사진 측면(80)을 갖는 비대칭 스푼(30)을 갖는 각 접촉날(14)의 일반적인 설계는 상기 측면(80)을 갖는 카드(C)의 모서리(100, 102)의 연동에 의한 램프 효과에 대하여 충분히 전체를 보강하여 상기 스푼(80)에 제공된 하방 수직력으로 변환함으로써[상기 날(14)의 전체 상부]수직 평면에 일반적으로 끝을 변형시킨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설계에 의하여, 상기 카드가 상기 절연체(12)의 상부면 (16)을 따라 슬라이딩 함으로써 3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케이스(94)에서 상기 슬롯(96)의 모서리로부터 반대측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가로 방향만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날 바깥쪽에 완전한 2중 설계 대칭을 하는 접속기가 전자 장비에 "정확하게" 정의된 방향으로 정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산업상의 대량 생산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는 빈 스트립 형태로 운반되고, 각 접속기는 접속기를 수용하는 스트립의 공동에 공지된 방법으로 신뢰성 있게 지향된다.
상기 소자들을 장착할 때 정확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 및 "픽 앤드 플래이스"로 불리는 기술에 의해 확실해진다.
도 23 내지 3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날로 고정된 접속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 접속기(10)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일반적인 설계이지만, 도 10 내지 22를 참조로 기술되는 경사면과 비슷한 경사면(80)과 불균형 또는 비대칭인 스푼을 갖는 접촉날에 고정된다.
도 23 내지 33에 도시된 접속기(10) 및 그 절연체(12)는 박형이고, 확장 설계한 접촉날을 이용하여 만들며, 즉 헤어핀 형태의 180도 밴드 없이 만들고, 이러한 타입의 간단한 확장 날은 "크로스"날 이라고 부른다.
도 23 내지 29에 도시된 얇은 접속기가 고정되는 각 날(14)의 접촉 스푼(30)은 도 10 내지 22에 도시된 스푼(30)과 동일하게 설계한다.
이것은 각 날이 비대칭으로 설계한 것을 도시하는 도 34 내지 37에 도시된 접촉날의 세부도를 참조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날의 다른 도시예는 도 38 내지 41에 도시된다.
이러한 설계에 따르면, 상기 접촉 스푼(30)은 상기 접촉날(14)의 길이 방향 중심축(AL)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이러한 타입의 가로 방향 오프셋 스푼형 날은 도 34 내지 37에 도시된 날과 비슷한 "크로스 타입 날"을 참조로 도시되지만, 물론 도 10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틸레버(cantilever)" 형 날에도 적용된다.
길이 방향축(AL)에 대하여 상기 스푼(30)의 오프셋은 도 38에 관하여 가로 방향에 하방이며, 길이 방향축(AL) 상에 접촉 스푼(30)의 최상부(S)를 "재위치" 할 수 있다.
물론, 가로 방향 오프셋 스푼의 설계는 절연체의 설계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속기에 관하여 수정되어 공동의 형상 및 치수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접촉날이 길이 방향으로 그 해당하는 공동으로 삽입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34 및 38을 비교하면, 상기 스푼(30)의 길이 방향 중심축(AM)이 도 34 내지 3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날(14)의 길이 방향 중심축(AL)과 거의 일치하는 반면에, 도 38 내지 4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푼(30)의 길이 방향 중심축(AM)이 상기 날(14)의 길이 방향 중심축(AL)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이 명백히 도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4와 38을 비교하면, 상기 스푼(30)의 길이 방향 중심축(AM)이 도 34 내지 3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날(14)의 길이 방향 중심축(AL)과 거의 일치하는 반면, 도 38 내지 4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푼(30)의 길이 방향 중심축(AM)이 상기 날(14)의 길이 방향 중심축(AL)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명백히 볼 수 있다.
도 42 및 43은 카드(C)가 접속기에 삽입되거나 제위치에 놓여지고, 다른 한편 전체의 가로 방향 삽입으로, 또 다른 한편, 상기 접속기(10)의 절연체(12)의 윗면(16)의 수평면에 대하여 카드(C)의 전체 평면으로부터 비교적 큰 경사에서 삽입되는 접속기(10)에 이용될 때 본 발명의 접촉날에 제공된 장점을 도시한다.
특히,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C)의 모서리(100,102)가 연동하는 경사진 측면(80)은 카드(C)를 손쉽게 삽입하는 동안 접촉날이 멀리 이동하게 하기 위한 램프 효과로부터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경사진 측면을 갖는 비대칭 스푼의 본 발명에 따른 설계는 상기 직면하는 접촉쌍에 속하는 스푼의 겹친 절단의 산업상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카드를 측방에서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겹침 절단 공정은 도 44에 도시되고, 금속을 절약할 수 있지만, 상기 접촉 스푼의 윗면을 커버하는 모든 귀금속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귀금속, 예컨대 금은 전기 도금법(귀금속의 연속 스트립의 증착) 또는 상감 세공(inlay)이라 불리는 방법(기판의 금속으로 귀금속의 연속 스트립의 공동 롤링에 의한 외층) 중 한가지 방법에 의해 상기 접촉 스푼을 절단하고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증착된다.
특허 US-A-5 527 192의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높이의 2/3 만큼 절연체의 윗면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스마트 카드가 측방으로 삽입되는 대칭 스푼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촉은 제조 비용이 비싸고, "상감 세공"을 이용하여 산업상의 척도로 결코 생산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이러한 스푼의 가로 방향 추폐선이 실제적으로 1.27㎜ 이상이고, 따라서, 겹침 절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관하여, 주목할 점은 상기 접촉날이 접속기의 가장 비싼 요소이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의 접속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귀금속을 절약하여 산업 척도에 맞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a) 확실하게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상기 절연체의 윗면에 대하여 스마트 카드의 높이 방향 위치에 변화를 고려하여(한편, 상기 표준 카드의 두께이 ±0.08 ㎜ 변화로, 다른 한편, 상기 생산의 허용치 및 판독 케이스의 조립에 의한). 상기절연체의 윗면 이상의 접촉 높이는 적어도 0.5㎜ 이다.
b) 상기 스푼의 경사면과 상기 카드 모서리의 정확한 측방 접촉을 위하여, 상기 끝의 아래 모서리(92)는 상기 절연체의 윗면(16)의 평면에 약 0.1㎜가 놓일 것이다.
c) 접촉하는 동안 상기 스푼 상의 카드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가로 방향으로 수평 요소의 값이 너무 큰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비대칭 스푼의 경사면(80)은 상기 절연체의 면의 수평 평면에 약 45도의 각을 갖는다.
d) 카드를 뺄때, 끝이 긁히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특히 상기 경사면(80)으로부터 반대측에 있는 스푼의 "측방" 모서리와 이러한 접촉 패드의 예리한 모서리의 접촉), 상기 스푼의 상부에 약 0.2㎜의 돔부를 제공하는데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비대칭 스푼의 가로 방향 추폐선이 같게되도록 스푼을 설계함에 있어서,
(0.5 + 0.1)+ 0.2 = 1.05 ㎜.
따라서, 이러한 값은 상기 1.27 ㎜로 겹침 절단을 허용한다.
반대로, 0.35 ㎜의 "돌출" 높이에서 조차도, 2개의 경사면(80)에 제공된 대칭 스푼은 다음식의 추폐선을 갖는다.
(0.5 + 0.1)+ 2 = 1.273 ㎜.
이 식은 1.27 ㎜로 겹침 절단을 허용하지 않는다.
상기 절단 공정은 상기 접촉날 및 스푼이 겹침 절단 후에 도시되는 하부에서 및 상기 접촉날(14) 및 스푼이 그 최종 형태로 도시되는 상부에서 도 4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도면은 상기 접촉 스푼(30)의 윗면을 커버하는 귀금속의 스트립(B)의 윤곽을 도시하고, 따라서, 2개의 대향되고 인접한 스푼 사이의 귀금속의 저렴한 비용을 도시한다.
동일한 행의 접촉날이 절단되어 형성될 때, 그 접촉날은 접속기의 절연체에 길이 방향으로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가로 방향 스트립(200)에 의해 2.54 ㎜ 피치로 함께 결합된다.
본 발명은 카드가 기록 판독 장치에 넣어질 때 카드의 모서리와 연동할 수 있는 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체의 윗면의 수평면에 관하여 경사진 평면을 특정하여 접속기에 카드를 삽입할 때 만족스럽게 할 수 있다.

Claims (13)

  1. 주면 중 한 주면(98) 위에 복수의 정렬된 전기 접촉 패드가 있는 스마트 카드(C)를 접속하는 전기 접속기(10)에 있어서,
    2개의 수직 방향, 즉 길이 방향(L) 및 가로 방향(T)으로 연장하는 평면에 수평인 윗면(16)을 갖는 절연 재료의 접촉 유지체,
    상기 길이 방향(L)에 평행이 되도록 배열된 탄성 변형날의 형태인 복수의 전기 전도체 (14)로 이루어진 타입의 접속기와,
    굽은 접촉단(30)이 위측에서 내려가는 스푼 전체의 형태이고, 그 스푼의 외부의 볼록면이 위쪽으로 지향되어 상기 날(14, 30)의 접촉 영역(88) 또는 끝(S)을 형성하고, 2개의 축, 즉 길이 방향축 및 가로 방향축에 관하여 굽혀져서 전체의 길이 방향의 접촉 스푼(3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80)을 형성하여, 절연체(12)의 윗면 쪽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타입의 접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접촉날(14)은 상기 절연체(12)의 윗쪽 평면(16)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절연체의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하는 상기 카드(C)에 해당하는 패드와 접촉하는 굽은 제1 단(30)과,
    상기 날(14)을 상기 절연체(12)에 연결하는 중앙부(38, 40)와,
    상기 날(14)을 상기 판독 기록 장치의 처리 회로에 접속하는 제2 단(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 스푼(30)의 상기 측면(80)은 절연체(12)의 윗면(16)의 수평면에대하여 기울어져서 상기 카드(C)의 모서리(100, 102)가 판독 기록 장치(94)의 제위치에 놓여질 때 연동할 수 있는 램프를 형성하는 거의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푼(30)은 그 수직 길이 방향 중앙 평면(AM)에 비대칭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푼(30)의 경사진 측면(80)은 상기 절연체(12)의 수평 윗면(16)의 평면에 약 45°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날(14)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접촉 스푼(30)의 경사진 측면(80) 아래의 길이 방향 모서리(92)의 최소의 일부분이 상기 절연체(12)의 윗면(16)의 평면 아래에 수직으로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날(14)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접촉 스푼의 경사진 측면(80)의 아래에 길이 방향 모서리(92)가 상기 절연체(12)의 윗면(16)의 평면 아래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푼의 경사진 측면(80)은 상기 길이 방향(L)에 평행인 거의 평면 중심부(82) 및 상기 접촉 스푼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단부가 경사져 있는 2개의 전방부(84) 및 후방부(8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푼(30)의 경사진 측면(80)의 중심부(82)는 상기 접촉날(30)의 접촉 최상부(S)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중심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푼(30)의 경사진 가로 방향면 (80)은 상기 접촉 스푼(30)의 중심에 있는 돔 모양의 최상부 영역(88)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날(14)의 길이 방향 중앙축(AL)은 상기 접촉 스푼(30)의 수직 길이 방향의 중앙 평면(AM)에 근접하게 놓여 있고, 상기 접촉 최상부(S)는 상기 접촉 스푼(30)의 수직 길이 방향의 중앙 평면(AM)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날(14)의 길이 방향 중앙축(AL)은 상기 접촉 스푼(30)의 수직 길이 방향의 중앙 평면(AM)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상기 접촉 최상부(S)는 상기 접촉 스푼(30)의 수직 길이 방향의 중앙 평면(AM)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30)은 상기 절연체(12)의 정지면(66.70)에 대하여 견뎌서 상기 절연체(12)에 대하여 접촉날(14)의 정지 상태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수직 상방으로 탄성력을 받는 노우즈(32)에 의해 길이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12)는 하우징(24)이 길이 방향으로 나타나는 가로 방향면을 적어도 하나의 후방 수직 평면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경계되며, 상기 각각의 하우징이 접촉날(14)을 수용하고, 상기 접촉날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길이 방향의 삽입에 의해 제위치를 차지하며, 상기 각 하우징이 상기 굽은 접촉단(30)의 통로에 대하여 절연체(12)의 편평한 윗면(16)에서 개방부 (6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14)의 중앙 연결부(38)는 상기 절연체(12)이 윗 평면(16)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헤어핀의 형태로 굽은 부분이고, 자유단이 상기 날(14)의 연결단(34)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날(14)을 상기 절연체(12)에 조이는 수단(47)을 포함하는 제1 분기(40) 및 자유단이 상기 날(14)의 굽은 접촉단(30)에 의해 연장되는 제2 분기(42)를 갖는데, 상기제1 분기 (40) 및 제2 분기(42)는 상기 접속기의 중심쪽으로 향하는 중심 U형 밴드(38)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KR1020010030188A 2000-06-05 2001-05-30 스마트 카드를 접속하는 접촉날을 개선한 전기 접속기 KR20010110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7139A FR2809871B1 (fr) 2000-06-05 2000-06-05 Connecteur electrique a lames de contact perfectionnees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circuit(s) integre(s)
FR0007139 2000-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140A true KR20010110140A (ko) 2001-12-12

Family

ID=885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188A KR20010110140A (ko) 2000-06-05 2001-05-30 스마트 카드를 접속하는 접촉날을 개선한 전기 접속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54607B2 (ko)
EP (1) EP1162699A1 (ko)
JP (1) JP2002042933A (ko)
KR (1) KR20010110140A (ko)
CN (1) CN1327277A (ko)
CA (1) CA2345199A1 (ko)
FR (1) FR2809871B1 (ko)
SG (1) SG101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622A (ja) * 2000-12-28 2002-07-19 D D K Ltd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US6730134B2 (en) * 2001-07-02 2004-05-04 Intercon Systems, Inc. Interposer assembly
JP3746240B2 (ja) * 2002-02-28 2006-02-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595939B2 (ja) * 2002-03-29 2004-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07013B2 (ja) * 2002-05-10 2005-10-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695628B2 (en) * 2002-05-17 2004-02-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attery connector
DE10238661B3 (de) * 2002-08-23 2004-02-26 Lumberg Connect Gmbh & Co. Kg Elektrische Kontaktiervorrichtung, insbesondere zur Verbindung einer Spannungsquelle mit einer elektronischen Schaltung
DE10243479A1 (de) * 2002-09-19 2004-03-25 Neutrik Aktiengesellschaft Steckerkontakt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ungen
JP3682655B2 (ja) 2002-10-28 2005-08-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0377432C (zh) * 2002-11-08 2008-03-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645261Y (zh) * 2003-01-30 2004-09-29 莫列斯公司 智能用户识别模块卡连接器及其端子
TWM249262U (en) * 2003-08-13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connector
JP2008500682A (ja) * 2004-04-20 2008-01-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CN2711921Y (zh) * 2004-05-20 2005-07-2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用户身份识别模块卡连接器
US7641777B2 (en) 2004-09-07 2010-01-05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Biological testing system
USD524752S1 (en) * 2004-09-30 2006-07-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D517492S1 (en) * 2004-09-30 2006-03-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D517995S1 (en) * 2004-09-30 2006-03-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TWD108593S1 (zh) * 2004-12-03 2006-01-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池連接器
CN1832267A (zh) * 2005-03-10 2006-09-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US7350705B1 (en) 2005-03-28 2008-04-01 International Technologies & Systems Corp. Compact robust smart card reader
TWM280586U (en) * 2005-04-01 2005-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361060B2 (en) * 2005-08-04 2008-04-22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 with bifurcated conductor
USD531958S1 (en) * 2005-11-18 2006-11-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JP2007149394A (ja) * 2005-11-24 2007-06-14 Jst Mfg Co Ltd コネクタ
TWM300874U (en) * 2006-06-02 2006-11-11 Advanced Connectek Inc Battery connector
CN100521381C (zh) * 2006-06-27 2009-07-29 日本压着端子制造株式会社 电连接器和电连接器的连接构造
US7341485B2 (en) * 2006-07-24 2008-03-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and grid array socket
US8758047B2 (en) 2007-05-07 2014-06-24 Ortronics, Inc. Port replication assembly with adapter cable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8182294B2 (en) 2007-05-07 2012-05-22 Ortronics, Inc. Connecto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7628657B2 (en) * 2007-05-07 2009-12-08 Ortronics, Inc. Connector assembly for use with plugs and preterminated cables
CN201112761Y (zh) * 2007-07-19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695286B2 (en) * 2007-09-18 2010-04-13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emiconductor electromechanical contact
US7713069B2 (en) * 2008-05-02 2010-05-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US20100323564A1 (en) * 2009-06-19 2010-12-23 Clark Stephen H Bifurcated Electrical Contact
US8118617B2 (en) * 2009-09-30 2012-02-21 Apple Inc. Jack assemblies with cylindrical contacts
CN201667425U (zh) * 2009-11-20 2010-1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430318B2 (en) * 2010-01-08 2013-04-30 Datalogic ADC,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reading with low profile arrangement
EP2540148B1 (en) 2010-02-25 2016-09-28 Thomson Licensing Miniature multilayer radiative cooling case with hidden quick release snaps
KR20130077841A (ko) 2010-05-19 2013-07-09 톰슨 라이센싱 열 부하를 발산하는 셋탑 박스
CN201741894U (zh) * 2010-06-28 2011-02-0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FR2966289A1 (fr) * 2010-10-19 2012-04-20 Radiall Sa Systeme d'interconnexion entre des cartes electroniques.
EP2684375B8 (en) * 2011-03-09 2017-12-13 Thomson Licensing Set top box or server having snap-in heat sink and smart card reader
JP5479406B2 (ja) * 2011-06-30 2014-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BR112014000762A2 (pt) 2011-07-14 2017-02-14 Thomson Licensing conversor set top bos tendo dissipador de calor snap-in e leitor de cartão inteligente com uma contenção para reter o dissipador de calor
JP5919997B2 (ja) 2012-04-26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6025194B2 (ja) * 2012-11-12 2016-11-16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KR200474113Y1 (ko) 2013-03-08 2014-08-22 히로세코리아(주) 유심카드 소켓
CN103746209B (zh) * 2014-01-15 2017-02-15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卡连接器
CN105449470B (zh) 2014-07-29 2018-02-16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5337072B (zh) * 2014-07-29 2017-11-10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端子
US9590331B2 (en) 2014-10-28 2017-03-07 Kabushiki Kaisha Toshiba Card connector
CN205282702U (zh) * 2015-12-03 2016-06-01 美国莫列斯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7492728A (zh) * 2017-01-12 2017-12-1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565237B (zh) * 2017-05-12 2020-04-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7456096B2 (ja) * 2019-06-11 2024-03-27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CN118786587A (zh) * 2022-01-18 2024-10-15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带有吸收材料的卡缘连接器
FI20226158A1 (en) * 2022-11-27 2024-05-28 Sisaeilmasepaet Oy A system comprising stackable modules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a moving objec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665A (en) * 1992-05-15 1993-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GB9306177D0 (en) * 1993-03-25 1993-05-19 Amp Gmbh Smart card connector
FR2713407B1 (fr) * 1993-12-01 1996-01-12 Pontarlier Connectors Cadre de contact et connecteur pour carte.
JPH11250966A (ja) * 1997-12-22 1999-09-17 Whitaker Corp:The コネクタ
FR2773275B1 (fr) * 1997-12-26 2000-01-28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de tres faible epaisseur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DE19829551C2 (de) * 1998-07-02 2000-12-14 Amphenol Tuchel Elect Kontaktträger
TW383922U (en) * 1998-09-04 2000-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49231A1 (en) 2001-12-06
US6454607B2 (en) 2002-09-24
FR2809871B1 (fr) 2002-07-19
CN1327277A (zh) 2001-12-19
FR2809871A1 (fr) 2001-12-07
JP2002042933A (ja) 2002-02-08
CA2345199A1 (en) 2001-12-05
EP1162699A1 (en) 2001-12-12
SG101978A1 (en)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0140A (ko) 스마트 카드를 접속하는 접촉날을 개선한 전기 접속기
US6358074B2 (en) Card detecting connector
US7033221B2 (en) Connector for high capacity smart cards
US7354279B2 (en) Floating connector
US4558912A (en) Edge connector for chip carrier
US739019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terminal
US5254017A (en) Terminal for low profile edge socket
EP0567007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urface mouting
KR100347242B1 (ko) 일체형지지구조를갖춘전기커넥터
EP0146295B1 (en) Edge connector for chip carrier and strip of contacts therefor
EP0975067A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reference terminals
JPS62500059A (ja) 導電接点
US1041873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1490907B (zh) 电缆连接器
JP2003297460A (ja) コネクタ
US10573985B2 (en) Assembly including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counterpart connector component
CN1116712C (zh) 具有低电感触点系统的卡片边沿连接器
US20060128229A1 (en) Battery connector
KR200314796Y1 (ko) 협폭의 전기 커넥터
CN1092408C (zh) 连接电子存储器卡的改进型电连接器
US6620002B1 (en) Contact strip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22520873A (ja) インターポーザ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US8591263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cable and terminal of same
US6575779B1 (en) Pressure-contact terminal
JP2537631Y2 (ja) 印刷回路板の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