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08218A - 시멘트 첨가제 - Google Patents

시멘트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218A
KR20010108218A KR1020017010300A KR20017010300A KR20010108218A KR 20010108218 A KR20010108218 A KR 20010108218A KR 1020017010300 A KR1020017010300 A KR 1020017010300A KR 20017010300 A KR20017010300 A KR 20017010300A KR 20010108218 A KR20010108218 A KR 20010108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monomer
cement additive
polycarboxylic acid
polyalkylene glyc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452B1 (ko
Inventor
야구치미노루
나가미네히데노리
가네이게이타
Original Assignee
에스. 발렌티
엠비티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발렌티, 엠비티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에스. 발렌티
Publication of KR2001010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45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04B24/2647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C04B24/26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88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onomers
    • C04B24/2694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onomer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C04B2201/52High compression strength concretes, i.e. with a compression strength higher than about 55 N/mm2, e.g. reactive powder concrete [RP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및/또는 그의 염,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로서, 상기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가 단량체 성분으로서 적어도 불포화 폴리알킬렌 글리콜형 단량체 및 불포화 모노 또는 디카복실산형 단량체로 구성된 공중합체를 1 종 이상 함유하는 시멘트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첨가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현저한 지연 효과없이 우수한 흐름을 갖고, 공기 흡입이 적다. 상기 첨가제는 증기 양생을 위해 콘크리트와 함께 사용할 경우, 거푸집을 조기에 제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시멘트 첨가제{CEMENT ADDITIVE}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멘트 첨가제가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흐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되어 왔다. 상기 첨가제는 일반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잘 작용하지만, 고강도 및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렇게 효과적이지 못한데, 이는 상기 공중합체가 과량의 공기를 혼입시키고 응결을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기성 콘크리트 제품에 있어서, 거푸집에서 소비되는 총 시간을 감소시키고, 거푸집을 제거할 때의 결함을 방지할 것이 매우 요구된다. 이러한 제품에 있어서는, 증기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할 때 양호한 외관이 또한 매우 요구된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폴리카복실레이트 물질이 제안되어 왔지만, 어떠한 것도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여, 지연된 응결 및 낮은 유동성과 같은 문제점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시멘트 첨가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멘트 슬러리, 시멘트 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강도 양상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되는 시멘트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특정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함유한 시멘트 첨가제가 다양한 콘크리트에 대한 높은 분산 능력을 갖고,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개선 및 보유하고, 또한 기성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기술된 모든 문제점을 완화시키고 때때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증기 양생 후 거푸집 제거를 비교적 빨리 수행하여 공기 폭기가 적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및/또는 그의 염,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함유한 시멘트 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상기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는 1 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되, 상기 공중합체의 단량체는 적어도 불포화 폴리알킬렌 글리콜형 단량체(A) 및 불포화 모노 또는 디카복실산형 단량체(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가 단량체 성분으로서 불포화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형 단량체(C), 및/또는 전술한 단량체(A) 및 (B) 또는 단량체(A), (B) 및 (C)와 중합가능한 단량체(D)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시멘트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량체(A)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고, 단량체(B)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이고, 단량체(C)가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이고, 단량체(D)가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인 전술한 시멘트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되, 단, 모두가 메틸은 아니고;
R4는 -CH2O-, -(CH2)2O-, -C(CH3)2O- 또는 -O-이고;
R1, R2, R3및 R4의 총 탄소수는 3이고;
R5O는 C2-C4옥시알킬렌기의 1 종 이상이고, 2 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 또는 랜덤일 수 있고;
R6은 수소, C1-C22알킬기, 페닐기 또는 C1-C18알킬페닐기이고;
p는 평균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식에서,
R7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9는 수소, 메틸 또는 -(CH2)qCOOM2이고;
R10은 -(CH2)r-이고;
q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고;
M1및 M2는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이다.
상기 식에서,
R11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CH2)uCOOM3(여기서, u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M3은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임)이고;
R13O는 C1-C4옥시알킬렌기의 1 종 이상이고, 2 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 또는 랜덤일 수 있고;
R14는 수소, C1-C22알킬기, 페닐기 또는 C1-C22알킬페닐기이고;
s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t는 평균 1 내지 300의 정수이다.
상기 식에서,
R15, R16, R18및 R1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되, 단, 모두가 메틸은 아니고;
R17O는 C2-C4옥시알킬렌기의 1 종 이상이고, 2 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 또는 랜덤일 수 있고;
w는 평균 1 내지 300의 정수이고;
v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중 단량체(A) 및 (B)의 조성비가 단량체의 총 몰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100 몰%이고, 상기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본원에 언급된 모든 분자량(MW)은 표준으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됨)이 3,000 내지 100,000인 전술한 시멘트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여기서, 알킬렌은 하나 이상의 C2-C4종이고,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말단기는 수소, C1-C18알킬기 또는 페닐기임)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전술한 시멘트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한 전술한 시멘트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멘트에 첨가된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의 양이 시멘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1.0 중량%이고, 시멘트에 첨가된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양이 시멘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25 내지 0.5 중량%인 전술한 시멘트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에서의 전술한 시멘트 첨가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 양생에 의한 기성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에서의 전술한시멘트 첨가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시멘트 첨가제를 고강도 콘크리트 혼합물에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혼합물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시멘트 첨가제를 콘크리트 혼합물에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기 양생에 의한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콘크리트 혼합물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에 있어서, 단량체(A)는 전형적으로는 전술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렌 옥사이드 1 내지 100 몰이 불포화 알콜, 예를 들어 3-메틸-2-부텐-1-올, 3-메틸-3-부텐-1-올, 2-메틸-3-부텐-2-올에 부가된 화합물이다. 불포화 알콜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B)의 예는 화학식 2의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및 시트라콘산을 포함한다. 이들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C)는 전형적으로 화학식 3의 화합물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불포화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형 단량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의 모노에스테르, 이들 글리콜의 말단 수소가 에테르화된 유도체 등,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200)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400)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600)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1000) 모노아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MW 2000)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4000)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6000) 모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200)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400)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600)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1000)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2000)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MW 4000)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MW 6000) 모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이들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D)는 전형적으로 화학식 4에 따른 화합물이고, 구체적인 예로는 불포화 폴리알킬렌 글리콜 디에스테르형 단량체 및/또는 스티렌, 스티렌설폰산 및/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최대 C22의 알킬),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최대 C22의 알킬),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모노에스테르(최대 C22의 알킬 및/또는 최대 C3의 알킬렌 글리콜및 1 내지 300개 알킬렌 글리콜 단위), 말레산 디에스테르(최대 C22의 알킬 및/또는 최대 C3의 알킬렌 글리콜및 1 내지 300개 알킬렌 글리콜 단위),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아미드 메틸프로판설폰산 및/또는 그의 염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렌, 스티렌설폰산 및/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부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부틸 에스테르,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메틸 모노에스테르, 말레산 에틸 모노에스테르, 말레산 메틸 디에스테르, 말레산 에틸 디에스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메틸프로판설폰산 및/또는 그의 염, 메탈릴 설폰산 및/또는 그의 염을 포함한다. 이들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의 비제한적인 구체적인 예는 문헌[JP A H5-306152, JP A H6-211949, JP A H9-286647 및 JP A H10-236858]에 기술된 것들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에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한 단량체(A) 및 (B)의 조성비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몰%이고,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00,000이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에서,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150,00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50,000이고, 알킬렌은 하나 이상의 C2-C4종이고, 2 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 또는 랜덤일 수 있고,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말단기는 수소, 최대 C18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본 발명의 시멘트 첨가제에서, 바람직한 비율은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가 100 중량부이고,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가 5 내지 5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시멘트 첨가제는 바람직하게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가 시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고,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가 시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25 내지 0.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목적하는 강도 전개를 달성하고, 증기 양생 후 거푸집 제거까지 소비되는 시간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양이고, 이러한 한계 밖의 적합한 비율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는 강성 콘크리트, 소성 콘크리트, 고유동성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그라우트, 콘크리트 등에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물/시멘트 비가 낮은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가장 현저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는 바람직하다면 기타 첨가제와 혼합하여 그 다용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기타 첨가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통상적인 감수제(리그노설포네이트, 옥시카복실레이트, 폴리알킬설포네이트, 폴리카복실레이트), 공기량 조절제, 건조 수축 감소제, 경화촉진제, 응결지연제, 기포제, 기포저지제, 녹방지제, 응결 촉진제, 조기 강화제, 백태 방지제, 블리딩 방지제, 펌핑 보조제 및 수용성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는 일반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 및 증기 양생 콘크리트와 같은 다양한 콘크리트에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만을 사용해서는 결코 수득될 수 없을 정도의 고 분산 능력을 나타낸다. 어떤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이는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상승작용의 결과로 생각된다. 이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유동성을 유지시킴으로써, 강도 전개를 증가시키고 증기 양생 후 거푸집 제거까지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사용된 거푸집에서 소비되는 시간의감소 및 콘크리트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제품에서의 결함의 감소와 같은 경제성을 얻게된다는 점에서 후자가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함유한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하는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시멘트 첨가제 중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문헌[JP A H5-306152, JP A H6-211949, JP A H9-286647 및 JP A H10-236858]에 기술된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시멘트 첨가제 중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는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이러한 시멘트 첨가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조성(하기 표 3에 나타냄)은 18.5±1 cm의 슬럼프 및 4.5%의 공기량을 갖도록 설계한다. 각각의 경우에서 물질의 총량은 80 리터이고, 모든 물질을 100 리터 팬형 강제 혼합 믹서에 첨가하고, 120 초동안 혼합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슬럼프, 공기량, 응결 시간 및 압축 강도에 대해서 측정한다. 또한, 증기 양생에 의해 강도 양상을 촉진시키는 경우의 압축 강도를 측정하였다.
1) 슬럼프: JIS A 1101에 따라 측정됨,
2) 공기량: JIS A 1128에 따라 측정됨,
3) 응결 시간: JIS A 6204 부록(Supplement) 1에 따라 측정됨,
4) 압축 강도
일반 양생: JIS A 1108에 따라 측정됨.
증기 양생: 샘플을 20℃에서 2 시간동안 미리 양생시킨 후, 2 시간 30 분내에 65℃로 가온하고, 65℃에서 4 시간동안 유지시킨다. 4 시간에 걸쳐 20℃로 냉각시킨 후, JIS A 1108에 따라 시험을 수행한다.
사용된 물질
혼합용 물: 수돗물,
시멘트: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밀도 3.16 g/cm3),
잔골재: 오이 리버(Oi River) 산모래(비중 2.59, FM=2.74),
굵은 골재: 오우메(Oume) 쇄석(비중 2.65, MS[중간 크기]=20mm).
상기 측정 결과들은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표에서,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4는 일반 시멘트로부터 수득된 결과들이고, 실시예 14, 15 및 비교예 5, 6은 고강도 콘크리트로부터 수득된 결과들이다.
실시예 1 내지 7은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의 유형을 변화시킨 경우이고, 실시예 1 및 8 내지 13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유형을 변화시킨 경우이다.
비교예 1 내지 5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이고, 비교예 2 내지 4 및 6은 본 발명내의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와 다른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이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13의 비교, 및 비교예 5와 실시예 14 및 15의 비교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와 함께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한 일반 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는 둘다 응결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나타내고, 이로써 슬럼프 값은 커지고(유동성임), 60 분동안의 슬럼프 저하는 적어지고(고 유동성임), 일반 양생 및 증기 양생 둘다에 대해 바람직한 압축 강도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내지 4 및 6은 본 발명내의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가 아닌 화합물을 사용한 것들이지만, 응결의 지연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에서 압축 강도의 전개는 충분하지는 않았다.
샘플 마크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성분 이름 평균 분자량
PAG-1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
PAG-2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PAG-3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0
PAG-4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0
PAG-5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00
PAG-6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블록 중합체 4000
PAG-7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레산 에스테르 5000
(블렌드)
콘크리트의 유형 W/C(%) s/a(%) 단위량(kg/m3)
W C S G
일반 콘크리트 50 46 160 320 823 993
고강도 콘크리트 35.6 44 160 450 741 968

Claims (11)

  1.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및/또는 그의 염,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로서, 상기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가 단량체 성분으로서 적어도 불포화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형 단량체(A) 및 불포화 모노 또는 디카복실산형 단량체(B)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의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시멘트 첨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가 추가로 불포화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형 단량체(C), 및/또는 상기 단량체(A) 및 (B) 또는 단량체(A), (B) 및 (C)와 공중합가능한 단량체(D)로부터 유도되는 시멘트 첨가제.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량체(A)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고, 단량체(B)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이고, 단량체(C)가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이고, 단량체(D)가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인 시멘트 첨가제: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되, 단, 모두가 메틸은 아니고;
    R4는 -CH2O-, -(CH2)2O-, -C(CH3)2O- 또는 -O-이고;
    R1, R2, R3및 R4의 총 탄소수는 3이고;
    R5O는 C2-C4옥시알킬렌기의 1 종 이상이고, 2 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 또는 랜덤일 수 있고;
    R6은 수소, C1-C22알킬기, 페닐기 또는 C1-C18알킬페닐기이고;
    p는 평균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7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9는 수소, 메틸 또는 -(CH2)qCOOM2이고;
    R10은 -(CH2)r-이고;
    q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고;
    M1및 M2는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이다.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R11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CH2)uCOOM3(여기서, u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M3은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임)이고;
    R13O는 C1-C4옥시알킬렌기의 1 종 이상이고, 2 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 또는 랜덤일 수 있고;
    R14는 수소, C1-C22알킬기, 페닐기 또는 C1-C22알킬페닐기이고;
    s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t는 평균 1 내지 300의 정수이다.
    화학식 4
    상기 식에서,
    R15, R16, R18및 R1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되, 단, 모두가 메틸은 아니고;
    R17O는 C2-C4옥시알킬렌기의 1 종 이상이고, 2 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 또는 랜덤일 수 있고;
    w는 평균 1 내지 300의 정수이고;
    v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중 단량체(A) 및 (B)의 조성비가 단량체의 총몰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100 몰%이고, 상기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100,000인 시멘트 첨가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이고, 여기서 알킬렌이 하나 이상의 C2-C4종이고,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말단기가 수소, C1-C18 알킬기 또는 페닐기인 시멘트 첨가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비율로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한 시멘트 첨가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멘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양은 시멘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시멘트에 대한 폴리카복실산형 공중합체의 양이 0.05 내지 1.0 중량%이고, 시멘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시멘트에 대한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양이 0.0025 내지 0.5 중량%인 시멘트 첨가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혼합물.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를 포함하는, 증기 양생에 의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혼합물.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를 고강도 콘크리트 혼합물에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를 고강도 콘크리트 혼합물에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KR20017010300A 1999-02-15 2000-02-15 시멘트 첨가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786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35350 1999-02-15
JP03535099A JP4394765B2 (ja) 1999-02-15 1999-02-15 セメント添加剤
PCT/EP2000/001275 WO2000048961A1 (en) 1999-02-15 2000-02-15 Cement addi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218A true KR20010108218A (ko) 2001-12-07
KR100786452B1 KR100786452B1 (ko) 2007-12-17

Family

ID=1243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70103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6452B1 (ko) 1999-02-15 2000-02-15 시멘트 첨가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762220B1 (ko)
EP (1) EP1152995A1 (ko)
JP (1) JP4394765B2 (ko)
KR (1) KR100786452B1 (ko)
CN (1) CN1138720C (ko)
AU (1) AU771540B2 (ko)
CA (1) CA2360412A1 (ko)
IN (1) IN2001MU00967A (ko)
MX (1) MX234484B (ko)
NZ (1) NZ514196A (ko)
TR (1) TR200102352T2 (ko)
WO (1) WO2000048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210B1 (ko) * 2009-06-23 2012-01-20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초고강도 콘크리트 혼화제용 고분자 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35684A (en) * 1999-11-29 2008-06-30 Nippon Catalytic Chem Ind Copolymer for cement admixtures and its production process and use
SG101990A1 (en) 2000-08-11 2004-02-27 Nippon Catalytic Chem Ind Cement dispersant and cement composition comprising this
WO2002043704A1 (en) * 2000-12-01 2002-06-06 Kyowa Hakko Kogyo Co., Ltd. Composition improved in solubility or oral absorbability
KR100771024B1 (ko) 2001-05-28 2007-10-29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시멘트 첨가혼합물 및 시멘트 조성물
US6911494B2 (en) 2001-09-28 2005-06-28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FR2837819B1 (fr) * 2002-03-28 2004-07-09 Quille Entreprise Compositions de betons de fibres organiques,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elements fabriques
CN100542989C (zh) 2003-03-05 2009-09-23 株式会社日本触媒 水泥外加剂、水泥组合物及其铺设方法和生产水泥硬化产品的方法
JP4486314B2 (ja) * 2003-04-03 2010-06-23 Basfポゾリス株式会社 セメント添加剤
WO2004089845A1 (en) 2003-04-08 2004-10-21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EP1655272A1 (en) * 2004-11-04 2006-05-10 Mapei S.p.A. Superplasticizers for extending the workability of mortars
CN1314614C (zh) * 2004-12-10 2007-05-09 武汉理工大学 聚羧酸系混凝土减水剂及制备方法
DE102006027035A1 (de) * 2005-06-14 2007-01-11 Basf Construction Polymers Gmbh Polyether-haltiges Copolymer
DE102005061153A1 (de) * 2005-12-21 2007-06-28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opolymere auf Basis von ungesättigten Mono- oder Dicarbonsäure-Derivaten und Oxyalkylenglykol-Alkenylether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2090596A1 (de) * 2008-02-13 2009-08-19 Construction Research and Technology GmbH Copolymer mit Polyetherseitenketten und Hydroxyalkyl- und Säurebausteinen
US7973110B2 (en) * 2008-06-16 2011-07-05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opolymer synthesis process
JP2012071997A (ja) * 2010-09-28 2012-04-12 Sanyo Chem Ind Ltd セメント分散剤用単量体
FR2987619B1 (fr) * 2012-03-01 2015-04-24 Francais Ciments Retardateur de prise pour ciment sulfo-alumineux
EP2644578A1 (en) 2012-03-30 2013-10-02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Copolymer for dispersant for cement, dispersant for cement, and cement composition
EP2687498A1 (de) 2012-07-20 2014-01-22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ditiv für hydraulisch abbindende Massen
EP2769964A1 (de) * 2013-02-26 2014-08-27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ditiv für hydraulisch abbindende Massen
EP2873657A1 (en) 2013-11-13 2015-05-20 Huntsman Petrochemical LLC Admixture composition to improve strength of cement cured products
EP2896603A1 (de) * 2014-01-21 2015-07-22 Basf Se Calciumsulfat-Zusammensetzung umfassend ein Additiv
US9919968B2 (en) * 2014-09-30 2018-03-20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Low-to-mid-range water reduction using polycarboxylate comb polymers
WO2016207429A1 (en) 2015-06-26 2016-12-29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ditive for hydraulically setting compositions
JP6781591B2 (ja) * 2016-08-26 2020-11-04 日本製紙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用レオロジー改質剤
US11021395B2 (en) 2018-01-29 2021-06-01 Lawrence L Kuo Method for low-to-mid-range water reduction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CN111675777A (zh) * 2020-07-07 2020-09-18 四川恒泽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密实增强剂及其制备方法
CN112708060B (zh) * 2020-11-03 2022-09-27 科之杰新材料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防腐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CN112708061B (zh) * 2020-11-03 2022-09-27 科之杰新材料集团有限公司 一种酯类防腐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2388A (ja) * 1990-10-02 1992-05-15 Aisin Chem Co Ltd 湿式摩擦材
CH682237A5 (en) 1990-12-29 1993-08-13 Sandoz Ag Styrene]-maleic acid half-ester copolymer, used as cement additive
JP2774445B2 (ja) * 1993-12-14 1998-07-09 花王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混和剤
JPH0850894A (ja) * 1994-08-09 1996-02-20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溶媒二次電池
MY114306A (en) * 1995-07-13 2002-09-30 Mbt Holding Ag Cement dispersan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cement composition using dispersant
TW419447B (en) * 1996-02-22 2001-01-21 Nippon Catalytic Chem Ind Cement composition
JP3729580B2 (ja) * 1996-12-17 2005-12-21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吹付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US6174980B1 (en) * 1996-12-26 2001-01-16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dispersant,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xylic acid for cement dispersant and cement composition
US5912284A (en) 1996-12-26 1999-06-15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ditive, its production process and use
US6166112A (en) * 1997-03-10 2000-12-26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JP3285526B2 (ja) * 1997-12-02 2002-05-27 花王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混和剤
JP4155616B2 (ja) * 1998-01-20 2008-09-24 株式会社日本触媒 セメント混和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並びにその調製方法
US6294015B1 (en) * 1998-01-22 2001-09-25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US6087418A (en) * 1998-01-22 2000-07-11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210B1 (ko) * 2009-06-23 2012-01-20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초고강도 콘크리트 혼화제용 고분자 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8961A1 (en) 2000-08-24
IN2001MU00967A (en) 2005-07-15
AU2804900A (en) 2000-09-04
MX234484B (es) 2006-02-16
TR200102352T2 (tr) 2002-01-21
JP4394765B2 (ja) 2010-01-06
CA2360412A1 (en) 2000-08-24
AU771540B2 (en) 2004-03-25
CN1340036A (zh) 2002-03-13
CN1138720C (zh) 2004-02-18
JP2000233957A (ja) 2000-08-29
MXPA01008211A (es) 2002-07-30
NZ514196A (en) 2004-06-25
EP1152995A1 (en) 2001-11-14
KR100786452B1 (ko) 2007-12-17
US6762220B1 (en) 2004-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452B1 (ko) 시멘트 첨가제
US6310143B1 (en) Derivatized polycarboxylate dispersants
AU640545B2 (en) Additive composition for cement admixture
JP2628486B2 (ja) セメント用分散剤
US20030144385A1 (en) Oligomeric dispersant
EP0692465B1 (en) Hydraulic composition
JP4531799B2 (ja) セメント添加剤
JP2001294466A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及び水硬性組成物
US20190084881A1 (en) Cement additive, cement composition, and raw material for cement additive
EP0983976A1 (en) Surfactant composition and its use as a dispersing agent in concrete
JP2003335562A6 (ja) スランプロス防止に優れるセメント減水剤
JP4551506B2 (ja) セメント成形品の表面美観改良剤
JP2002187755A (ja) 水硬性組成物用分散剤
JPH0536377B2 (ko)
JP3759432B2 (ja) 水硬性組成物用分散剤
JP4896443B2 (ja) 遠心成形硬化体の製造方法
JP3436901B2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JPH0558696A (ja) セメント混和剤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JP4709359B2 (ja) 水硬性組成物
JP3206981B2 (ja) コンクリート用混和剤
JP3206982B2 (ja) コンクリート用混和剤
JP2617903B2 (ja) セメント分散剤
JP2000026144A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JPH08133805A (ja) 自己充填性コンクリート組成物
JPH0648799A (ja) 高流動性コンクリー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9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2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215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1108

Appeal identifier: 2007101003482

Request date: 2007032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2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508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