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85499A - 백 라이트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백 라이트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499A
KR20010085499A KR1020010009140A KR20010009140A KR20010085499A KR 20010085499 A KR20010085499 A KR 20010085499A KR 1020010009140 A KR1020010009140 A KR 1020010009140A KR 20010009140 A KR20010009140 A KR 20010009140A KR 20010085499 A KR20010085499 A KR 2001008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acklight
valid
operated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239B1 (ko
Inventor
이시가키준지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8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될 수 있을 때, 제어부는 먼저 메모리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조작키의 유효성 또는 무효성을 규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색인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는 어떤 키가 동작되는 가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백 라이트의 점등을 개시한다. 그 후, 제어부는 타이머로 설정된 조명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어떤 키가 다시 조작되는 것을 검출하여, 조작부가 유효키인지를 결정한다. 유효키가 조작되면,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는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들은 제어부의 타이머로 설정된 조명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점등된다. 그러나, 제어부의 타이머로 설정된 조명 시간이 경과하면, 백 라이트는 소등된다.

Description

백 라이트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Mobile telephone with back light function}
본 발명은 텐-키 및 기능 조작키들을 조명중인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조작키가 조작부 및 표시부에서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스크롤과 선택 결정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들을 포함하고, 기능 조작을 위하여 키 입력 또는 키 조작이 완료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백 라이트를 소등하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는 단지 필요한 부분에서만 백 라이트가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점등되어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에,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가능한 많이 백 라이트에 의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하는 휴대 전화기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6-120864호 및 평11-284712호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평6-120864호에서, 백 라이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제공되고, 배터리의 전력 소모는 발광 다이오드의 전체 발광 모드에 더하여, 절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소등하는 전력 절약 모드로 감소된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11-284712호에서, 백 라이트의 온/오프 조작을 실행하는 백 라이트 키가 하우징부에 제공되고, 백 라이트는 백 라이트 키의 오프 조작에 의하여 소등 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무익한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 공개 평6-120864호에서, 발광 다이오드의 전체 발광 모드의 절반을 소등하는 전력 절약 모드의 조건들이 소유자에 의하여 설정되고 입력되어야만 되고, 이는 복잡하게 된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11-284712호에서, 하우징부는 백 라이트를 온/오프하기 위한 백 라이트 키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백 라이트 키는 백 라이트 제어를 위해 수동을 조작되어야만 되고, 이는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만들어졌으며, 단지 필요한 부분에서만 백 라이트가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 음성 정보 통신 모드 또는 게임과 같이 동작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점등되는 것에 의하여,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휴대 전화기를 실현하기 위한 회로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백 라이트를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흐름도.
도 4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텐-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유효, 무효를 규정하는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백 라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 : 안테나 2 : 착신/충전 램프
3, 25 : 수신기 4, 23 : 액정 표시부
5 : 좌측 소프트 키 6 : 통화 개시키
7 : 텐-키 8 : i 워프 키
9, 26 : 송화기 10 : 외부 접속 단자
11 : 음성/매너 키 12 : 전원/종료/ 응답 보류 키
13 : 우측 소프트 키 14 : 네비게이션 키
15 : 이어폰 마이크로폰 단자 16 : 적외선 포트
21 : 무선 통신부 22 : 제어부
24 : 제 1 백 라이트 24' : 제 2 백 라이트
27 : 메모리 28 : 기능 조작키 조작부
29 : 텐-키 조작부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텐-키 및 기능 조작키들을 조명중인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조작키가 조작부 및 표시부에서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스크롤과 선택 결정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들을 포함하고, 기능 조작을 위하여 키 입력또는 키 조작이 완료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백 라이트를 소등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유효키와 무효키가 네비게이션 키 및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텐-키에 할당되고 유효키가 조작될 때, 단지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네비게이션에서 스크롤을 위한 키와 다이얼링에 사용되는 다수의 텐-키들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유효키로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백 라이트는 유효키의 동작을 위하여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게임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되고, 네비게이션 키와 다이얼링을 위하여 사용되는 텐-키들이 게임의 내용에 대응하는 유효키로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텐-키들의 일부는 게임의 조작에서 유효키들로서 동작되고, 백 라이트는 유효키의 동작을 위하여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양태는, 조작부에 있는 텐-키 및 기능 조작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고,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스크롤과 선택 결정의 조작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를 기능 조작키가 포함하도록 하고, 텐-키 입력 또는 기능 조작을위한 키 조작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조명중인 백 라이트를 소등하도록 작용하는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이트 검색이고 네비게이션 키에서 스크롤하기 위한 키가 조작될 때,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네비게이션 키에서 방향 스크롤만이 조작될 때, 단지 표시부에 있는 백 라이트만이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발명은, 조작부에 있는 텐-키 및 기능 조작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고,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스크롤과 선택 결정의 조작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를 기능 조작키가 포함하도록 하고, 텐-키 입력 또는 기능 조작을 위한 키 조작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조명중인 백 라이트를 소등하도록 작용하는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키와 텐-키에 유효키와 무효키를 미리 할당하기 위한 테이블이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또한 테이블을 색인하여 설정하기 위하여 유효키/무효키 설정 조작부가 키 조작부에 제공되어, 동작되는 유효키 및 무효키를 미리 할당하도록 조작되며, 유효키가 조작될 때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애플리케이션이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동작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백 라이트는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에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유효키의 조작을 위하여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발명은, 조작부에 있는 텐-키 및 기능 조작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고,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스크롤과 선택 결정의 조작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를 기능 조작키가 포함하도록 하고, 텐-키 입력 또는 기능 조작을 위한 키 조작이 종료된 후 점등되어 있는 백 라이트를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소등하도록 되어 있는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텐-키 또는 기능 조작키가 조작될 때, 키 조작이 유효키인지 또는 무효키인지를 결정하고, 키 조작이 유효키인 것으로 결정되면,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예를 들어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i 모드 기능)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안테나(1), 착신/충전 램프(2), 수신기(3), 액정 표시부(4), 전화 번호부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좌측 소프트 키(5), 통화 개시버튼(6), 텐키 또는 다이얼 키(7),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i 모드 기능)에 기록된 사이트(프로그램)를 표시할 수 있는 i 워프 키(8, i-warp key), 송화기(9), 외부 접속 터미널(10), 음성/매너 키(11), 전원/종료/응답 보류키(12), 또한 재다이얼/클리어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우측 소프트 키(13), 각각의 상하 좌우 방향으로 표시를 선택하는 스크롤 기능을 가지며 중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선택 결정을 행하는 네비게이션 키(14), 이어폰 마이크로폰 단자(15), 및 적외선 포트(16)를 포함한다.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는 디지털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는 온라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작 모드를 수반하며, 센터에 기록된 사이트(프로그램) 접속 서비스, 인터넷 접속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및 전자 메일(i 모드 메일)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된 구조를 가지는 휴대 전화기를 실행하기 위한 회로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는 안테나(20)를 통한 무선 통신부(21)의 수신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무선파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부(21)는 제어부(22)로 수신된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부(22)는 액정 표시부와 같은 표시부(23)에 전화 번호와 같은 수신된 정보를 표시한다. 더욱이, 제어부(22)는 수신된 정보를 음성 정보로 변환시켜 수신부에 있는 스피커(25, 수신기)를 통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아울러, 송화기(26, 마이크로폰)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제어부(22)로 음성을 송신하고, 무선 통신부(21)의 송신부(도시되지 않음) 및 안테나(20)를 통하여 통화 상대로의 무선 송신을 실행한다. 제어부(22)는 메모리(27)에 통화동안의 통화 내용 등의 음성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정보를 읽는다.
텐-키 조작부(29)는 텐-키의 조작을 통하여 제어부(22)에 다이얼 신호를 입력하고, 기능 조작키 조작부(28)는 예를 들어 제어부(22)에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을 입력하도록 기능한다. 텐-키 및 기능 조작키들이 통화 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 1 백 라이트(24)와 제 2 백 라이트(24')들은 점등되어서, 키 조작이 명확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필요한 부분에 있는 백 라이트만이 비음성 정보 통신과 같은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점등되어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이 연장된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이러한 회로 블록들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에 수용된다.
도 3은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백 라이트들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제어부(22)가 조작부(28 및 29)들중 어느 하나가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조작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S.31), 제어부(22)는 제 1 백 라이트(24) 및 제 2 백 라이트(24')를 점등시키는 것을 개시한다(S.32).
다음에, 제어부(22)는 메모리(27)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동작키의 유효성 또는 무효성을 규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색인하고, 제어부(22)의 타이머에 의한 알고리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조작부(28 및 29)중 어느 것이 다시 조작되는 가를 검출하고, 조작부(28 또는 29)가 유효키인지를 결정한다(S.33).
유효키가 조작도면,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24)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24')들은 제어부(22)의 타이머에 의한 조명 시간 설정이 경과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점등된다(S. 34). 유효키가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연속적으로 눌려지면, 타이머는 재설정되어서,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24)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24')들이 연속적으로 점등된다.
그러나, 제어부(22)의 타이머로 설정된 조명 시간이 경과하면, 제 1 백 라이트(24)와 제 2 백 라이트(24')들은 소등된다(S.35).
한편, 유효키가 단계 S.33에서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32에서 점등을 개 시한 제 1 백 라이트(24)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24')들은 무효키가 작동될지라도 제어부(22)의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점등된다(S.36).
도 4는 메모리(27)에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텐-키와 네비게이션 키의 유효성 또는 무효성을 규정하기 위한 테이블의 예이다. 예를 들면,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i 모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사이트 검색에서, 네비게이션 키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스크롤이 유효하고, 네비게이션 키의 선택 결정은 무효하다고 정의되고, 텐-키의 선택 결정은 무효하다고 정의된다. 문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중간부에 입력되는 경우에, 무효성은 유효성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텐-키가 애플리케이션에서 조작될지라도, 백 라이트는 점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텐-키에 있는 다이얼링 키(2,4,6 및 8)들은 이것들이 게임의 조작키로 할당되기 때문에 유효하다고 정의되고, 다른 다이얼링 키들은 무효하다고 정의되며, 기능 조작키는 유효하다고 정의된다. 따라서, 텐-키에 있는 다이얼링 키들이 조작될지라도, 단지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관계된 다이얼링 키의 조작만이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키 조작부는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키와 텐-키에 유효키와 무효키를 미리 할당하기 위한 테이블을 색인하여 설정하기 위한 유효/무효키 서정조작부를 구비한다. 유효/무효키 설정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동작이 유효키와 무효키를 미리 할당하는 것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조작부(28 및 29)들중 어느 것이 제 1 실시예(도 3의 S.32 참조)에서 조작되는 것이 감지될 때 제 1 백 라이트(24)와 제 2 백 라이트(24')가 점등되는 한편, 조작부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조작될 때(S.41) 조작키가 유효키 또는 무효키인지가 결정된다. 조작키가 유효키이면,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24)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24')들이 점등된다(S.43).
그런 다음, 타이머로 설정된 조명 시간이 경과하면(S.44), 제 1 백 라이트(24)와 제 2 백 라이트(24')들은 소등된다(S.45).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유효키가 연속적으로 눌러지면, 타이머는 재설정되어서, 제 1 백 라이트(24)와 제 2 백 라이트(24')들은 연속적으로 점등된다. 단계 S.42에서, 조작키가 무효키인 것으로 결정될 때, 백 라이트는 점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조작이 개시된 후에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서 조명이 실행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서, 텐-키 및 기능 조작키들을 조명중인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조작키가 조작부 및 표시부에서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스크롤과 선택 결정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들을 포함하고, 기능 조작을 위하여 키 입력 또는 키 조작이 완료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백 라이트를 소등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유효키와 무효키가 네비게이션 키 및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텐-키에 할당되고 유효키가 조작될 때,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되고, 무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백 라이트는 점등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서, 네비게이션의 상하 및 자와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키와 다이얼링에 사용되는 다수의 텐-키들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유효키로서 할당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백 라이트는 유효키의 동작을 위하여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서, 게임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되고, 네비게이션 키와 다이얼링을 위하여 사용되는 텐-키들이 게임의 내용에 대응하는 유효키로서 할당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텐-키들의 일부는 게임의 조작에서 유효키들로서 동작되고, 백 라이트는 유효키의 동작을 위하여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양태에 따라서, 휴대 전화기는 조작부에 있는 텐-키 및 기능 조작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고,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스크롤과 선택 결정의 조작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를 기능 조작키가 포함하도록 하고, 텐-키 입력 또는 기능 조작을 위한 키 조작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조명중인 백 라이트를 소등하도록 작용하는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이트 검색이고 네비게이션 키에서 스크롤하기 위한 키가 조작될 때,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네비게이션 키에서 방향 스크롤만이 조작될 때, 단지 표시부에 있는 백 라이트만이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라서, 휴대 전화기는 조작부에 있는 텐-키 및 기능 조작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고,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스크롤과 선택 결정의 조작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를 기능 조작키가 포함하도록 하고, 텐-키 입력 또는 기능 조작을 위한 키 조작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조명중인 백 라이트를 소등하도록 작용하는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네비게이션 키와 텐-키에 유효키와 무효키를 미리 할당하기 위한 테이블이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제공되고, 또한 테이블을 색인하여 설정하기 위하여 유효키/무효키 설정 조작부가 키 조작부에 제공되어, 동작되는 유효키 및 무효키를 미리 할당하도록 조작되며, 유효키가 조작될 때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동작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백 라이트는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에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유효키의 조작을 위하여 점등된다. 그러므로,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조작부에 있는 텐-키 및 기능 조작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고,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스크롤과 선택 결정의 조작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를 기능 조작키가 포함하도록 하고, 텐-키 입력 또는 기능 조작을 위한 키 조작이 종료된 후 점등되어 있는 백 라이트를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소등하도록 되어 있는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텐-키 또는 기능 조작키가 조작될 때, 키 조작이 유효키인지 또는 무효키인지를 결정하고, 키 조작이 유효키인 것으로 결정되면,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내장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조작부에 제공되는 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키 조작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조명중인 백 라이트를 소등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조작부에 있는 키에 유효키와 무효키를 할당하기 위한 할당부와;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는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를 포함하며,
    유효키가 조작될 때 제 1 백 라이트와 제 2 백 라이트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부에 있는 키는 텐-키와,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스크롤 및 선택 결정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키를 가지며,
    유효키와 무효키는 네비게이션 키와 텐-키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키에서 스크롤을 위한 키와, 다이얼링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의 키들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유효키로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게임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되며, 네비게이션 키와 다이얼링을 위한 텐-키는 게임의 내용에 대응하는 유효키들로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은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6. 조작부에 있는 텐-키 및 기능 조작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고, 적어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스크롤과 선택 결정의 조작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키를 기능 조작키가 포함하도록 하고, 텐-키 입력 또는 기능 조작을 위한 키 조작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조명중인 백 라이트를 소등하도록 작용하는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텐-키와, 네비게이션 키를 포함하는 기능 조작키를 조명하는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는 제 2 백 라이트를 포함하고;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이트 검색이고 네비게이션 키에서 스크롤하기 위한 키가 조작될 때 단지 제 2 백 라이트만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7. 조작부에 있는 키들과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지며, 키들의 입력 또는 조작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백 라이트를 소등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조작부에 있는 키들에 미리 유효키와 무효키를 할당하기 위한 테이블과;
    키 조작부에 제공되는 테이블을 색인하여 설정하기 위한 유효/무효키 설정 조작부와;
    키들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2 백 라이트를 포함하며;
    유효키가 조작될 때, 제 1 백 라이트와 제 2 백 라이트들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9. 조작부에 제공된 키와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며, 키 조작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조명중인 백 라이트를 소등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키가 조작될 때 조작된 키가 유효키 또는 무효키인지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유효키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조명하는 제 1 백 라이트와;
    표시부를 조명하는 제 2 백 라이트를 포함하며;
    조작된 키가 유효키인지를 결정부가 결정할 때, 제 1 백 라이트와 제 2 백 라이트들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조작부에 있는 키는 텐-키와,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스크롤 및 선택 결정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유효키와 무효키가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결정되고,
    애플리케이션은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KR1020010009140A 2000-02-25 2001-02-23 백 라이트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KR100715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0193A JP4318370B2 (ja) 2000-02-25 2000-02-25 携帯電話装置
JP2000-50193 2000-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499A true KR20010085499A (ko) 2001-09-07
KR100715239B1 KR100715239B1 (ko) 2007-05-08

Family

ID=1857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140A KR100715239B1 (ko) 2000-02-25 2001-02-23 백 라이트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8534B2 (ko)
EP (1) EP1128642A3 (ko)
JP (1) JP4318370B2 (ko)
KR (1) KR100715239B1 (ko)
CN (1) CN1254987C (ko)
AU (1) AU781987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88B1 (ko) * 2006-08-08 2008-07-14 (주)멜파스 복수의 접촉 센서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디지털 기기를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370B2 (ja) * 2000-02-25 2009-08-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US7117019B2 (en) * 2001-03-30 2006-10-03 Motorola, Inc. Display and keypad backlight manageme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892081B1 (en) * 2001-05-31 2005-05-10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ing content sensitive menu keys in keypad locked mode
JP2003125061A (ja) 2001-10-16 2003-04-25 Fujitsu Ltd 携帯端末
JP3729124B2 (ja) * 2001-11-28 2005-12-2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FI20012358A0 (fi) * 2001-11-30 2001-11-30 Nokia Corp Matkaviestinlaite ja menetelmä ohjelmistotoimintojen suorittamiseksi
KR100422799B1 (ko) 2001-12-13 2004-03-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백라이트 제어 방법
US6797998B2 (en) 2002-07-16 2004-09-28 Nvidia Corporation Multi-configuration GPU interface device
JP2004146962A (ja) * 2002-10-23 2004-05-20 Nec Corp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キー操作表示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7016701B2 (en) * 2002-12-23 2006-03-21 Motorola, Inc.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llumination pattern and method thereof
FI114950B (fi) * 2003-06-24 2005-01-31 Nokia Corp Menetelmä päätelaitteen syöttö- ja näyttöosan visualisoimiseksi ja vastaava päätelaite
KR20050001525A (ko) * 2003-06-25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절전방법
US7221964B2 (en) * 2004-02-27 2007-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LCD backlight duration proportional to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LCD display screen
US7499003B2 (en) * 2004-03-31 2009-03-0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sappearing interface system
US20050221791A1 (en) * 2004-04-05 2005-10-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ensor screen saver
USD515535S1 (en) * 2004-05-25 2006-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D515537S1 (en) * 2004-06-01 2006-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7502010B2 (en) * 2004-08-31 2009-03-10 Nvidia Corporation Variable brightness LCD backlight
US8941594B2 (en) * 2004-10-01 2015-01-27 Nvidia Corporation Interface, circuit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CN101146143B (zh) * 2006-09-13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节能电子装置及节能方法
JP2008172600A (ja) * 2007-01-12 2008-07-24 Nec Corp 携帯端末及びキー入力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20080204412A1 (en) * 2007-02-22 2008-08-28 Peter On User interface navig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761846B2 (en) * 2007-04-04 2014-06-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20080248836A1 (en) * 2007-04-04 2008-10-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ing hydraulic control
US7876199B2 (en) * 2007-04-04 2011-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ing a shape memory alloy
US20090015560A1 (en) * 2007-07-13 2009-01-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 device
US20090132093A1 (en) * 2007-08-21 2009-05-21 Motorola, Inc. Tactile Con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Device
JP2009118384A (ja) * 2007-11-09 2009-05-28 Nec Corp 携帯機器、入力支援方法およ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US8866641B2 (en) * 2007-11-20 2014-10-2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keypad of a device
JP2008167472A (ja) * 2008-01-28 2008-07-17 Kyocera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5029399B2 (ja) * 2008-02-08 2012-09-19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10114706A (ja) * 2008-11-07 2010-05-20 Toshiba Corp 携帯端末
CN101753663B (zh) * 2008-12-16 2014-01-15 浪潮乐金数字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键盘背景灯的实现方法及移动终端
US8224391B2 (en) * 2009-07-20 2012-07-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an LED backlight unit
CN101626425A (zh) * 2009-08-04 2010-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终端的省电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864A (ja) 1992-10-06 1994-04-28 Toshiba Corp 携帯無線電話装置
JPH0872996A (ja) * 1994-08-31 1996-03-19 Tatsuno Co Ltd 給油装置
JP2877195B2 (ja) * 1996-03-19 1999-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携帯無線端末装置及びそのバックライト駆動方法
US5881377A (en) * 1996-08-29 1999-03-09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blanking control method therefor
JPH10224289A (ja) * 1997-02-07 1998-08-2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無線装置
US6310609B1 (en) * 1997-04-17 2001-10-3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User interface with guide lights
JP2972710B2 (ja) 1998-03-27 1999-11-0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on/off機能付き携帯電話機
GB2336457A (en) 1998-04-14 1999-10-20 Ford Motor Co Button carrier and display backlight
DE29911406U1 (de) * 1999-06-30 1999-11-11 Siemens Ag Tastatur
DE29911496U1 (de) * 1999-07-01 1999-09-16 Voit, Walter, 68259 Mannheim Vorrichtung zum Tränken von Tieren
JP4318370B2 (ja) * 2000-02-25 2009-08-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88B1 (ko) * 2006-08-08 2008-07-14 (주)멜파스 복수의 접촉 센서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디지털 기기를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324401A (en) 2001-08-30
KR100715239B1 (ko) 2007-05-08
CN1254987C (zh) 2006-05-03
AU781987B2 (en) 2005-06-23
JP4318370B2 (ja) 2009-08-19
CN1310571A (zh) 2001-08-29
US6678534B2 (en) 2004-01-13
US20010027123A1 (en) 2001-10-04
EP1128642A2 (en) 2001-08-29
JP2001245044A (ja) 2001-09-07
EP1128642A3 (en) 200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239B1 (ko) 백 라이트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JP4024444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1086233A (ja) 照明機能付携帯機器
GB2347592A (en) Portable telephone with backlit display
JPH07307776A (ja) 携帯電話機
JP2005354544A (ja) 携帯機器
JP2009027713A (ja) 携帯電話装置
JP2000245070A (ja) 無線通信機
US20020071058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4265749B2 (ja) 液晶リモコン付き電子装置
JP3842673B2 (ja) 通信端末
JPH09252342A (ja) 表示機能付き携帯型電話機
JP4124244B2 (ja) 携帯電話
JPH04241549A (ja) 携帯電話機
JP4240567B2 (ja) 電子機器、及び、点灯制御方法
JP2001245035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1175229A (ja) 携帯電話機
JPH11298581A (ja) 無線電話装置
JP2002247177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キー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
JP3797315B2 (ja) 照明機能付携帯機器
JP4123268B2 (ja) 携帯電話
JP2002101195A (ja) 携帯電話機
KR20050106599A (ko)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기 운용 방법
KR200214781Y1 (ko) 조명램프를 가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KR2003003389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