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2799B1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백라이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백라이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799B1
KR100422799B1 KR10-2001-0079058A KR20010079058A KR100422799B1 KR 100422799 B1 KR100422799 B1 KR 100422799B1 KR 20010079058 A KR20010079058 A KR 20010079058A KR 100422799 B1 KR100422799 B1 KR 10042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ode
backligh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993A (ko
Inventor
최규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1-007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799B1/ko
Priority to US10/185,119 priority patent/US6930671B2/en
Priority to EP02254583A priority patent/EP1320245A1/en
Priority to JP2002201858A priority patent/JP2003198691A/ja
Priority to CNB021409196A priority patent/CN100387079C/zh
Publication of KR2003004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993A/ko
Priority to HK03106364.2A priority patent/HK1054148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79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백라이트를 다양한 모양으로 발광하도록 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 각각의 백라이트들에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를 한 개 씩 할당하여 백라이트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백라이트를 다양한 모양으로 발광시키는 효과를 연출하고 아울러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백라이트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백라이트(Back-light)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백라이트의 점멸 수순을 다르게 하여 복수개의 백라이트 점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단말기의 각종 인터럽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백라이트 점멸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Method of Dynamically lightening Back-lights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단말기의 상태(예를 들면, 통화 대기시, 호 개통시,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채팅, 게임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발광시키고(다이나믹 효과 연출),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소비를 절감 하기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개인의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백라이트는 단말기의 키패드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에 빛을 제공해 주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단말기의 플립(또는 폴더)을 오픈할 때나 키패드 입력이 있을 때 발광(on)하고, 플립을 닫거나 일정 시간 키패드 입력이 없으면 꺼지는(off) 동작을 수행한다. 백라이트가 단말기에 빛을 제공하는 것은 단말기 사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종래의 기술같은 단순한 동작은 사용자에게 아무런 감흥을 주지 못하며, 단말기 통화가 길어질 경우 백라이트가 지속적으로 발광하므로 인해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키패드 입력 후 일정 시간 후에는 백라이트가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나, 이러한 자동 오프 기능은 어두운 곳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 각각의 백라이트들에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를 한 개씩 할당하여 백라이트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백라이트를 다양한 모양으로 발광시키는 효과를 연출하고 아울러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단말기의 백라이트와 GPIO의 연결 및 배치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6 : 백라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백라이트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백라이트(Back-light)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백라이트의 점멸 수순을 다르게 하여 복수개의 백라이트 점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단말기의 각종 인터럽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백라이트 점멸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back light)에 다이나믹한 효과를 주기 위해서 각각의 백라이트(일반적으로는 대략 6~10 개를 사용함)에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를 하나 씩 할당하여 백라이트를 제어한다. 단, LCD 배면에 위치한 백라이트는 안정적인 디스플레이를 위해 다이나믹한 효과를 주지 않는다.
상기 다이나믹한 효과는 통화 대기시, 호 개통시,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채팅, 게임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점멸 효과를 연출하여 백라이트의 점멸 만으로도 현재 단말기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항상 모든 백라이트가 켜져 있는대신 매순간 한 두개의 백라이트만 켜지게 되므로 전력 소비의 감소에도 도움을 준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키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11)와, 키 입력부(11)에서 전달된 키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12)와, 디코딩부(12)에서 디코딩된 신호로 해당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3)와,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 수행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4)와, 제어부(13)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15)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키가 조작되면, 키 입력부(11)는 이 조작된 키를 입력받아 디코딩부(12)로 전달해 주고, 디코딩부(12)는 이 입력된 키를 디코딩하여 제어부(13)로 전달해 준다.
이후, 제어부(12)는 키 값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4)로부터 읽어와, 디코딩부(12)에서 전달된 키 값에 해당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동작 수행부(15)는 제어부(1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백라이트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상태(통화 대기시, 호 개통시,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채팅, 게임 등)에 따라 백라이트를 다양한 모양으로 발광(바람직하게는 하기의 모드 0 ~ 모드 7)시키는 효과를 연출하는 프로그램이 상기 메모리부(14)에 저장되어 있어, 제어부(13)의 제어하에 동작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백라이트와 GPIO의 연결 및 배치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다수의 백라이트들(1~6) 각각에 GPIO가 하나 씩 연결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에는 대략 6 ~ 10개의 백라이트가 사용되는데, 한 두 개의 GPIO의 연결을 통해 전체 백라이트를 온/오프한다. 백라이트의 갯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6 개의 백라이트를 배치구성함을 전제로 한다.
단말기의 백라이트를 다양한 방법으로 발광하는 효과를 주기 위해서, 각각의 백라이트들에 GPIO를 각각 한 개 씩 할당한다. 즉, 하나의 백라이트에 하나의 GPIO를 연결하여 각각의 백라이트를 제어한다. 다만, LCD 배면에 위치한 백라이트는 안정적인 디스플레이(display)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하기와 같이 7 개의 모드를 사용하여 백라이트를 제어함을 가정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이나 설정에 따라 모드의 갯수와 동작 방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모드 0 : 모든 백라이트들이 오프(Off)된 상태, 즉 백라이트의 초기상태(플립(또는 폴더)이 닫힌 경우나 키패드 입력이 일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
2. 모드 1 : 모든 백라이트들이 온(On)된 상태(키패드 입력이 인식되었을 경우).
3. 모드 2 : 도 2에서와 같이 각 백라이트들에 번호가 붙어 있다고 가정할 때, 각 백라이트들이 시계 방향(1 - 2 - 4 - 6 - 5 - 3 - 1) 또는 반시계 방향(1 -3 - 5 - 6 - 4 - 2 - 1)으로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점멸한다. 동시에 발광하는 백라이트는 하나 이상 가능하다.
4. 모드 3 : 백라이트들이 다운(Down) 방향으로 2 개가 한 쌍이 되어 점멸한다.(1,2 - 3,4 - 5,6 - 1,2)
5. 모드 4 : 백라이트들이 업(Up) 방향으로 2 개가 한 쌍이 되어 점멸한다.(5,6 - 3,4 - 1,2 - 5,6)
6. 모드 5 : 백라이트들이 업다운 방향으로 2 개가 한 쌍이 되어 점멸한다.(1,2 -3,4 - 5,6 - 3,4 - 1,2 - 5,6)
7. 모드 6 : 백라이트들이 무작위하게 1 개 씩 점멸한다. (예:1 - 6 - 3 - 2 -5 - 4 - 3 - 6 - 1 - 5...)
각각의 모드들은 일정한 수로 반복할 수 있거나, 혹은, 일정 시간 동안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모드들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플립(또는 폴더)의 개폐, 키패드 입력, 메시지 혹은 메일 수신 등의 외부 입력 등에 의한 인터럽트 (Interrupt)가 발생하기도 하고, 프로그램되어 있는 모드의 반복 횟수나 타이머등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때, 현재의 모드에서 새로운 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벡라이트의 효과는 사용자에 맞게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제어 방법은, 모드 0에서부터 시작하고(200), 인터럽트 발생여부를 판단한다(210). 판단 결과,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경우엔 다음 단계인 모드 선택 단계(220)에서 어떤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231 내지 236) 선택된 모드로 이동하고,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200).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백라이트가 오프된 상태(200)에서 단말기의 플립(또는 폴더)을 열거나 단말기의 파워가 온되는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에 모드 2를 선택하여(210→220→232), 모드 2 상태를 실행하다가(232) 약 3초 동안 입력이 없으면 모드 6으로 전환하여(220→236) 약 0.5 초간 무작위 점멸한 후(236), 다시 모드 0으로 전환하여 모드 0 상태를 유지한다(220→200).
한편, 키패드 입력이 인식되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모드 1 또는 모드 5(전력 절감 모드)로 전환하여(220→231, 235). 모드 1(또는 모드 5) 을 실행하다가(231,235), 이 때 통화(send)버튼을 누르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모드 4로 전환하여(220→234) 모드 4를 실행하고(234), 호 개통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모드 6으로 전환하여(220→236) 약 0.5 초간 무작위 점멸 후(236), 다시 모드 0 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모드 1인 상태(all back light ON)가 5 초 지나면 전력 소비 감소를 위해 자동으로 모드 5로 전환되도록 하였지만, 이 과정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또는 메일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모드 6으로 전환하여(220→236) 2-3 초간 무작위 점멸한다(236). 또한, 확인되지 않은 메시지 또는 메일이 있는 경우, 주기적으로 모드 6으로 전환하여(220→236) 2-3 초간 무작위 점멸한다(236).
또한, 파일 다운로드 인터럽트 발생시 모드 3으로 전환하여(220→233) 모드 3을 실행하는데(233), 한 싸이클(cycle) 을 "1,2 - 3,4 - 5,6" 이라고 할 때 각 싸이클 간에 1 초의 간격을 둔다. 또한, 파일 업로드 인터럽트일 경우, 모드 4로 전환하여(220→234) 모드 4를 실행하며(234), 파일 다운로드시와 같이 한 싸이클을 "5,6 - 3,4 -1,2" 라고 할 때 각 싸이클간에 1 초의 간격을 둔다.
각 모드 실행 단계에서, 플립(또는 폴더)을 닫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즉시 모드 0으로 전환한다(210→2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백라이트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통화 대기시, 호 개통시,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채팅, 게임 등에 차별화된 백라이트 효과를 주어, 백라이트의 발광 상태만으로도 현재 단말기가 어떤 상태인지를 알 수 있게 하여 단말기 사용을 보다 편리하고 다양하게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한 두 개의 백라이트만 켜지게 되므로, 모든 백라이트가 항상 켜져 있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백라이트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백라이트(Back-light)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백라이트의 점멸 수순을 다르게 하여 복수개의 백라이트 점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단말기의 각종 인터럽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백라이트 점멸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는,
    상기 단말기의 뚜껑을 열 경우, 특정 시간 동안 키패드 입력이 없을 경우, 메시지나 메일을 수신할 경우,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경우, 단말기의 뚜껑을 닫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백라이트 점멸 모드는,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
KR10-2001-0079058A 2001-12-13 2001-12-1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백라이트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22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058A KR100422799B1 (ko) 2001-12-13 2001-12-1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백라이트 제어 방법
US10/185,119 US6930671B2 (en) 2001-12-13 2002-06-27 Method for dynamically lightening backlights of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EP02254583A EP1320245A1 (en) 2001-12-13 2002-06-28 Method for dynamically lightening backlights of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JP2002201858A JP2003198691A (ja) 2001-12-13 2002-07-10 無線通信端末におけるダイナミックな効果演出のための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
CNB021409196A CN100387079C (zh) 2001-12-13 2002-07-10 移动通信终端的动态背光照明方法
HK03106364.2A HK1054148A1 (zh) 2001-12-13 2003-09-08 移动通信终端的动态背光照明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058A KR100422799B1 (ko) 2001-12-13 2001-12-1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백라이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993A KR20030048993A (ko) 2003-06-25
KR100422799B1 true KR100422799B1 (ko) 2004-03-16

Family

ID=1971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0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2799B1 (ko) 2001-12-13 2001-12-1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백라이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0671B2 (ko)
EP (1) EP1320245A1 (ko)
JP (1) JP2003198691A (ko)
KR (1) KR100422799B1 (ko)
CN (1) CN100387079C (ko)
HK (1) HK1054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91B1 (ko) * 2002-08-28 2004-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백라이트 제어 장치
CN1602132A (zh) 2003-09-24 2005-03-3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发光装置的系统与方法
DE60317674T2 (de) * 2003-10-08 2008-10-30 Research In Motion Ltd., Waterloo Selektive Tastaturbeleuchtung
KR100598057B1 (ko) * 2003-12-29 2006-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인터럽트 핸들러 설정/해제에 따른 키 입력 검사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0427B1 (ko) 2004-01-05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및 배경 색상변경 방법
CN1717080A (zh) * 2004-06-30 2006-01-04 西门子(中国)有限公司 一种手机发光二极管信息显示系统的显示调度装置及调度方法
JP2006041832A (ja) * 2004-07-26 2006-02-09 Nec Saitama Ltd 表示部照明の切り替え機能付き携帯無線端末
KR100700095B1 (ko) * 2004-12-27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암시야모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GB2423960A (en) * 2005-03-10 2006-09-13 Nokia Corp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keypad with a light source to illuminate different sets of keys according to the mode of operation
US7649526B2 (en) * 2005-12-23 2010-01-19 Apple Inc. Soft key interaction indicator
CN101146143B (zh) * 2006-09-13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节能电子装置及节能方法
US8049709B2 (en) 2007-05-08 2011-11-01 Cre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olid state lighting panel
US8493316B2 (en) 2010-04-22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Adjusting backlight intensity based on a progress of a task
CN103117048B (zh) * 2012-12-04 2016-01-2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lcd静电黑屏恢复方法及装置
US9606966B2 (en) 2014-07-16 2017-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ergy and effort efficient reading sessions
CN110300212A (zh) * 2018-03-21 2019-10-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炫彩灯动态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864A (ja) * 1992-10-06 1994-04-28 Toshiba Corp 携帯無線電話装置
KR19990030241U (ko) * 1997-12-30 1999-07-2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회로
KR20000009556A (ko) * 1998-07-25 2000-02-15 윤종용 키패드의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
JP2001034398A (ja) * 1999-07-22 2001-02-09 Denso Corp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
JP2001358808A (ja) * 2000-06-09 2001-12-26 Kyocera Corp 操作ボタン付き装置
KR20020078388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 밧데리의 사용시간 연장장치
KR20030042723A (ko) * 2001-11-23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백라이트 엘이디 배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2665B2 (ja) * 1988-11-09 1998-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付携帯無線機
US5398022A (en) * 1993-01-22 1995-03-14 Uniden America Corporation Pager with display illumination
US5425077A (en) * 1993-07-08 1995-06-13 U.S. West Advanced Technologies, Inc. Mobile telephone user interface including fixed and dynamic function keys and method of using same
US5894298A (en) 1997-03-14 1999-04-13 Northern Telecom Limited Display apparatus
US6310609B1 (en) * 1997-04-17 2001-10-3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User interface with guide lights
JP3406201B2 (ja) 1997-09-30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U6037599A (en) 1998-10-01 2000-04-26 Ericsson Inc. Cellular telephone with sequentially lighted keypad
GB2345410A (en) 1998-12-31 2000-07-05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control in portable device; battery saving
JP3282721B2 (ja) 1999-02-02 2002-05-2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通信装置
US6498600B1 (en) * 1999-08-18 2002-12-24 Ericsson Inc.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keypads that illuminate in response to proximity of a user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electronic devices
GB2356760B (en) 1999-11-23 2004-06-23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telephone handset
JP4024444B2 (ja) 1999-12-27 2007-12-19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
JP3438693B2 (ja) * 2000-02-03 2003-08-18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部付き電子機器
JP4318370B2 (ja) 2000-02-25 2009-08-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FI108582B (fi) * 2000-05-02 2002-02-15 Nokia Corp Näppäimistön valaisujärjestely, joka mahdollistaa näppäinten muuttuvan ja yksilöllisen valaisemisen, sekä menetelmä sen käyttämiseksi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864A (ja) * 1992-10-06 1994-04-28 Toshiba Corp 携帯無線電話装置
KR19990030241U (ko) * 1997-12-30 1999-07-2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회로
KR20000009556A (ko) * 1998-07-25 2000-02-15 윤종용 키패드의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
JP2001034398A (ja) * 1999-07-22 2001-02-09 Denso Corp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
JP2001358808A (ja) * 2000-06-09 2001-12-26 Kyocera Corp 操作ボタン付き装置
KR20020078388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 밧데리의 사용시간 연장장치
KR20030042723A (ko) * 2001-11-23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백라이트 엘이디 배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0245A1 (en) 2003-06-18
KR20030048993A (ko) 2003-06-25
JP2003198691A (ja) 2003-07-11
US6930671B2 (en) 2005-08-16
CN100387079C (zh) 2008-05-07
US20030112216A1 (en) 2003-06-19
CN1426259A (zh) 2003-06-25
HK1054148A1 (zh)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799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이나믹한 효과 연출을 위한백라이트 제어 방법
JP2001215914A (ja) 表示部付き電子機器
KR100306275B1 (ko)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에서시계기능을이용한빽라이트제어방법
JPH09231194A (ja) 携帯端末
JPH05297373A (ja) ディスプレイの照明装置
CN103854611A (zh) 背光控制方法、装置、遥控器及移动终端
JP2002094656A (ja) 無線通信端末
JPH11284712A (ja) バックライトon/off機能付き携帯電話機
CN203276793U (zh) 背光控制装置、遥控器及移动终端
JP3879565B2 (ja) 携帯電話機
JP2640995B2 (ja) 個別選択呼出受信器
JP2004023496A (ja) 携帯端末装置
JP2001202184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JPH11184486A (ja) トーン信号発生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2300269A (ja)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及び携帯電話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100453322B1 (ko) 아이들모드 또는 슬립모드 상태 무선 단말기의 lcd 온/오프 방법
KR19980048189A (ko)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빽라이트 제어방법
KR100632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내 알람기능을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JP2000259575A (ja) 携帯用情報機器
KR100451215B1 (ko) 휴대 단말기 백라이트 구동 방법
JP2003069669A (ja) 携帯型通信装置
KR19990010666A (ko) 이동통신단말기 전원 예약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5204B1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타임 기능 수행 장치 및 그 방법
JP2003158571A (ja) 携帯型通話装置
JP2003018291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