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64308A - 수정 발진 회로 - Google Patents

수정 발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308A
KR20010064308A KR1019990064476A KR19990064476A KR20010064308A KR 20010064308 A KR20010064308 A KR 20010064308A KR 1019990064476 A KR1019990064476 A KR 1019990064476A KR 19990064476 A KR19990064476 A KR 19990064476A KR 20010064308 A KR20010064308 A KR 20010064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oscillation frequency
crystal oscillator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동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이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이노텍(주)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1999006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4308A/ko
Publication of KR2001006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30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03B5/3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2/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reduction of undesired oscillations
    • H03B2202/02Reduction of undesired oscillations originated from natural noise of the circuit elements of the oscillator

Landscapes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수정 진동자와, 상기 수정 진동자의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발진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출력시키는 버퍼를 포함하는 수정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의 고조파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증폭기의 출력단에 밴드 패스 필터를 설치하여 수정 발진 회로를 오버톤스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에서 고조파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정 발진 회로{CRYSTAL OSCILLATION CIRCUIT}
본 발명은 수정 발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정 발진 회로에 고조파 신호를 제거하는 밴드 패스 필터를 설치하여 수정 발진 회로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중 고조파 신호를 제거하도록 하는 수정 발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수정 발진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진동자(10)와, 증폭기(20) 및 버퍼(30)로 구성된다.
수정 진동자(10)는 입력되는 외부 신호에 의해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증폭기(20)는 수정 진동자(10)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소정 레벨 증폭시킨 후 180도 위상을 반전시켜 출력하도록 수정 진동자(10)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며, 버퍼(30)는 증폭기(2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안정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증폭기(20)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의 위상을 180도 반전시켜 출력하도록 증폭기(20)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CL은 로드(load) 콘덴서이고, Rf는 증폭기(20)로 출력 신호를 피드백시키는 피드백 저항이며, R1은 수정 진동자(10)로 과대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정 진동자(10)에서 기본 주파수 외의 주파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저항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정 발진 회로는 기본 발진 주파수보다 높은 발진 주파수를 발생하는 오버톤스 모드(overtones mode)에서 사용하는 경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에 고조파 신호가 포함되어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증폭기의 출력단에 밴드 패스 필터를 설치하여 수정 발진 회로를 오버톤스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에서 고조파 신호를 제거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정 발진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정 발진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정 진동자 20 : 앰프
30 ; 버퍼 100 : 밴드 패스 필터
C10: 콘덴서 L10: 코일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수정 발진 회로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수정 진동자와, 상기 수정 진동자의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발진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출력시키는 버퍼를 포함하는 수정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의 고조파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 회로는 상기 수정 진동자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에 직렬 연결되는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정 발진 회로의 구성 및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수정 발진 회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정 발진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도 2를 보면, 밴드 패스 필터(100)는 증폭기(20)에서 출력되는 고조파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콘덴서 C10과, 코일 L10으로 구성된다.
콘덴서 C10은 수정 진동자(10)의 출력단과 증폭기(20)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고, 코일 L10은 콘덴서 C10의 후단에 직렬 연결된다.
이러한 수정 발진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수정 진동자(10)에서 발진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면 증폭기(20)에서 수정 진동자(10)의 발진 주파수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밴드 패스 필터(100)는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게 된다. 이는밴드 패스 필터(100)의 코일 L10과 콘덴서 C10의 용량에 따라 제어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희망하는 발진 주파수가 30㎒일 때, 코일 L10은 0.47μH, 콘덴서 C10은 56㎊로 설정하면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밴드 패스 필터(100)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는 약 30.1㎒가 된다.
결국 밴드 패스 필터(100)에서 발진 주파수에 포함된 고조파 신호를 제거하고, 원하는 대역의 발진 주파수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정 발진 회로에 의하면 증폭기의 출력단에 밴드 패스 필터를 설치하여 수정 발진 회로를 오버톤스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에서 고조파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Claims (2)

  1.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수정 진동자와, 상기 수정 진동자의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발진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출력시키는 버퍼를 포함하는 수정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의 고조파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발진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로는,
    상기 수정 진동자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에 직렬 연결되는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발진 회로.
KR1019990064476A 1999-12-29 1999-12-29 수정 발진 회로 Ceased KR20010064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476A KR20010064308A (ko) 1999-12-29 1999-12-29 수정 발진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476A KR20010064308A (ko) 1999-12-29 1999-12-29 수정 발진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308A true KR20010064308A (ko) 2001-07-09

Family

ID=1963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476A Ceased KR20010064308A (ko) 1999-12-29 1999-12-29 수정 발진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43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6284A (zh) * 2017-11-10 2018-02-06 广东圣大电子有限公司 一种高频晶体振荡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6284A (zh) * 2017-11-10 2018-02-06 广东圣大电子有限公司 一种高频晶体振荡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439B2 (en) Fast start-up crystal oscillator
JP4213172B2 (ja) Pll発振回路
EP1253711B1 (en) Class D amplifier
EP1184968A3 (en) High-frequency crystal oscillator
JP3634753B2 (ja) 同期信号発生器
US6225872B1 (en) Resonator having a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a resonance mode
KR100366836B1 (ko) 신호주파수 변환회로
KR20010064308A (ko) 수정 발진 회로
JPS62109406A (ja) 発振回路
US5694091A (en) Circuit arrangement to double the clock frequency for a data transmission system
JPH04134913A (ja) 水晶発振器
US7292108B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frequency synthesizer
JP4279167B2 (ja) 圧電振動子の発振回路
JPH05129833A (ja) 発振回路
JPH0846432A (ja) 正弦波発生器
JP2010153972A (ja) 高周波コルピッツ回路
JPH01233903A (ja) オーバートーン水晶発振回路
JPS5824884A (ja) 水晶時計
JPH02122706A (ja) オーバトーン用発振回路
JPH066594Y2 (ja) オ−バ−ト−ン水晶発振回路
JPS60192405A (ja) 発振回路
JP2002368540A (ja) 圧電発振器
JP2655661B2 (ja) 弾性表面波発振器
KR20100018705A (ko) 수정발진기
JPH11266127A (ja) 差動変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8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