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60339A -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339A
KR20010060339A KR1020000068308A KR20000068308A KR20010060339A KR 20010060339 A KR20010060339 A KR 20010060339A KR 1020000068308 A KR1020000068308 A KR 1020000068308A KR 20000068308 A KR20000068308 A KR 20000068308A KR 20010060339 A KR20010060339 A KR 2001006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nozzle
continuous
continuous fibers
cir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바야시도시오
단게사토루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2477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603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6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감이 좋고, 높은 파단 연신도를 갖는 부직포를 제공한다.
폴리프로필렌의 연속 섬유(15)에 의해 부직포(26)가 형성되고, 연속 섬유(15)가 0.006∼5.8 d의 섬도, 0.019∼0.030의 복굴절율 및 100∼300%의 인장 파단 연신도를 갖는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A POLYPROPYLENE-BASED NONWOVEN FABRIC AND A METHOD FOR PREPARING I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의 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공보 제2887611호에는 섬도가 1 d 이하의 아주 미세한 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연속 섬유는 용융 방사 공정으로 한번 연신되고, 그 후에 재차 연신됨으로써 섬도가 소정의 값이 된다. 섬도가 작아진 연속 섬유는 포집되어 접착 등에 의해 결합하여 부직포가 된다.
상기 공지 기술에 따르면, 연속 섬유의 섬도가 작고 촉감이 유연한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부직포에 높은 파단 연신도를 부여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부직포의 제조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압출기
2: 서커(sucker)
3: 벨트
4: 고압수 분사 장치
11: 노즐
15: 연속 섬유
16: 안내 통로
18: 입구
19: 출구
26: 부직포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물건의 발명에 관한 제1 발명과, 그 물건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제2 발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폴리프로필렌의 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이다.
이러한 부직포에 있어서, 제1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기 연속 섬유가 0.006∼5.8 d의 섬도, 0.019∼0.030의 복굴절율 및 100∼300%의 인장 파단 연신도를 가지며, 상기 섬유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기계적 교락에 의해 부직포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데 있다.
제1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인장 강도는 1∼3g/d이다.
상기 제2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다수의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폴리프로필렌의 연속 섬유를 연신한 후, 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벨트에 퇴적시키고, 상기 연속 섬유들을 서로 교락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제2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기 노즐 근방을 용융 상태로 압출되고 있는 상기 연속 섬유의 온도 부근이 되도록 보온하고, 입구와 출구와 이들 양자 사이에 연장되는 안내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통로에는 상기 입구에서 출구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온의 압축 에어가 흡출하고 있는 서커의 상기 안내 통로로 상기 연속 섬유를 유도하여 급냉하고, 상기 노즐과 상기 서커 사이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를 연신하여 상기 연속 섬유의 섬도를 작게 하며,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를 소정의 복굴절율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까지 배향시키는 데 있다.
제2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있다.
(1) 상기 연속 섬유가, 상기 노즐 근방에서는 용융 온도 하에서의 섬도가 작아지고, 상기 노즐 근방에서 상기 서커의 입구에 이를 때까지 동안에는 융점 근처의 온도로까지 서서히 강하하며, 상기 서커 내부에 있어서는 상온으로까지 급냉되면서 소정의 복굴절율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까지 연신되는 형태.
(2) 상기 보온은 압출되고 있는 상기 연속 섬유와 거의 동일한 온도의 열풍이 상기 노즐 근방으로 흡출됨으로써 이루어져 있는 형태.
(3) 상기 서커 내부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의 섬도가 0.006∼5.8 d가 되도록 상기 연속 섬유를 연신하는 형태.
(4) 상기 서커 내부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의 복굴절율이 0.019∼0.030이 되도록 상기 폴리프로필렌 분자를 배향시키는 형태.
(5) 고압수의 분사에 의해 상기 연속 섬유들을 서로 교락시키는 공정이 포함되는 형태.
(6) 상기 노즐에서 상기 벨트까지의 거리가 400∼600 mm인 형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부직포 및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부직포(100)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공정에는 용융 방사기(1), 서커(2), 무단 벨트(3), 고압수 분사 장치(4), 권취 장치(6)가 포함되어 있다.
용융 방사기(1)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원료 투입구와 스크류식 압출기를 구비하고, 압출기의 선단에 방사 노즐(11)을 가지며, 노즐(11)의 양측 근방에 열풍 흡출구(12)를 갖는다. 원료로는 폴리프로필렌, 예컨대 MFR이 10∼80 g/10 min의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된다. 노즐(11)은, 예컨대 구멍 직경 0.35 mm인 것이, 도면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멍 간격 1 mm로 하여 일렬로 600개 배열된다. 이 노즐(11)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의 연속 섬유(15)가 0.13∼0.40 g/min/노즐의 비율로 토출된다. 흡출구(12)에서는, 용융된 폴리프로필렌의 온도와 거의 동일한 온도, 예컨대 약 230℃의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약 230℃의 열풍이 1∼3 Nm3/min의 비율로 흡출하고, 압출된 폴리프로필렌의 급격한 온도 저하를 저지하고 있다.
서커(2)는 연속 섬유(15)가 통과하는 안내 통로(16)와, 안내 구멍(16)에서 그 양측에서 개구하고 있는 상온 압축 에어의 분출구(17)를 갖는다. 안내 구멍(16)은 연속 섬유(15)에 대한 입구(18)와 출구(19)를 가지며, 입구(18) 근방에는 분출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서커(2)의 입구(18)와 노즐(11)과의 거리 P는 최대로 500 mm, 바람직하게는 100∼300 mm가 되도록 서커(2)의 위치가 정해진다. 이러한 거리 P를 진행하는 연속 섬유(15)의 온도는 입구(18)에 도달했을 때에 융점 근방으로까지 강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출구(17)에서 출구(19)까지의 거리 Q의 사이에서는, 상온 압축 에어가 출구(19)로 향하여 분출하고 있다. 거리 Q는 20∼50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말하는 상온이란 10∼50℃의 범위를 의미한다. 압축 에어는 압력 0.5∼2 kgf/cm2G, 유량 4∼10 Nm3/min의 비율로 공급된다. 안내 구멍(16)으로 진입한 연속 섬유(15)는 상온 압축 에어에 의해 상온 근방으로까지 급냉됨과 동시에 섬도가 0.006∼5.8 d, 복굴절율 Δn이 0.019∼0.030가 되도록 연신된다. 연신후의 연속 섬유(15)는 1∼3 g/d의 인장 강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단 밸트(3)는 도면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가지며, 서커(2)의 출구(19)로부터의 거리 R이 50∼300 mm이다. 바람직한 벨트(3)에서는, 노즐(11)로부터의 거리가 바람직하게는 300∼15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600 mm가 되도록 거리 P, Q, R이 조정되고 있다. 벨트(3)는 도면의 우측으로 2∼8 m/min의 속도로 주행하고 있다. 벨트(3)는 통기성의 것으로, 이 벨트(3)를 사이에 두고 흡입 상자(21)가 서커(2)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출구(19)로부터 나온 연속섬유(15)는 압축 에어와 흡입과의 작용에 의해 벨트(3)의 폭 방향이나 길이 방향으로 요동하고, 벨트(3) 위에 불규칙한 모양을 그리면서 퇴적하여 웨브(22)를 형성한다.
고압수 분사 장치(4)는 다수의 노즐(23)이 벨트(3)의 폭 방향으로 0.3∼3 mm의 피치로 배열됨으로써 형성된 1 또는 2 이상의 노즐 열(24)과, 벨트(3)를 사이에 두고 노즐 열(24)과 서로 대향하는 흡입 상자(26)를 갖는다. 노즐 열(24)이 2 열인 경우, 예컨대 제1 열의 노즐(23)에서는 20 kgf/cm2의 분사 수류에 의해 웨브(22)의 질을 안정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시하고, 제2 열의 노즐(23)에서는 100 kgf/cm2의 분사 수류에 의해 연속 섬유(15) 중의 일부를 웨브(22)의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거나, 또는 일부를 서로 교락시킴으로써 웨브(22)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킨다. 그러한 후에, 웨브(22)는 건조 공정(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부직포(26)가 되고, 권취 장치(6)에 의해 롤 형태로 권취된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에 있어서, 하기의 운전 조건을 채용하여 얻어진 연속 섬유(15)와 부직포(26)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운전 조건)
사용 수지 폴리프로필렌(MFR = 70 g/10 min)
방사 노즐 구멍 직경 0.35 mm
구멍 수 600
구멍의 피치 1 mm
온도 230℃
토출량 0.13 g/min/노즐
열풍 온도 230℃
유량 1.5 Nm3/min
상온 압축 에어 압력 1.0 kgf/cm2G
유량 6.0 Nm3/min
벨트 방사 노즐부터의 거리 490 mm
주행 속도 4.4 m/min
고압수 분사 처리 제1 열 20 kgf/cm2
제2 열 100 kgf/cm2
(연속 섬유의 물성)
평균 섬유 직경 8.9 μm(0.51 d)
섬유 직경 표준 편차 1.03
인장 강도 1.72 g/d
인장 파단 연신도 6.38 mm
인장 조건: 척간 거리 0 mm
인장 속도 10 mm/min
복굴절율(Δn) 0.027
(부직포의 물성)
평량 34.2 g/m2
두께(측정 하중 3 g/cm2) 0.48 mm
MD 방향의
인장 강도 16550 g/50 mm 폭
인장 파단 연신도 193%
CD 방향의
인장 강도 8248 g/50 mm 폭
인장 파단 연신도 197%
인장 조건: 척간 거리 10 mm
인장 속도 10 mm/min
이들 연속 섬유와 부직포의 물성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연속 섬유(15)는 섬도를 비교적 작게, 예컨대 0.006∼5.8 d로 할 수 있고, 동시에 섬도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 섬유(15)는 부직포(26)가 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거의 열 융착하는 것이 없고, 기계적으로 서로 교락만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속 섬유임에 따라 그 교락의 정도가 약하고, 연속 섬유(15)들은 서로의 움직임을 그다지 구속하는 것이 없다. 그러한 연속 섬유(15)로 이루어진 부직포(26)는 유연하고, 또한 촉감이 좋다. 또한, 복굴절율(Δn)이 0.019∼0.030이 되도록 연신되어 있는 연속 섬유(15)는 그 신장성이 현저히 방해될 정도로 폴리프로필렌 분자가 고도로 배향되어 있지 않고, 높은 파단 연신도를 갖는다. 예컨대, 실시예의 연속 섬유(15)는 척간 거리가 0 mm일 때의 인장 시험에서 6.38 mm로까지 신장한다. 이러한 연속 섬유(15)가 고압수의 분사에 의해 기계적으로 서로 교락함으로써 형성된 부직포(26)는 연속 섬유(15)의 파단 연신도가 높다는 것과, 섬유(15)들의 교락이 약하다는 것에 의해, MD 방향과 CD 방향으로 100∼300%의 높은 파단 연신도를 갖는다. 실시예의 부직포(26)에서는, MD 방향과 CD 방향의 파단 연신도가 193%와 197%이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부직포(26)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의료용의 일회용 가운 등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 이외에 필터나 물걸레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0.006∼5.8 d의 섬도, 0.019∼0.030의 복굴절율 및 1∼3 g/d의 인장 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연속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얻을 수 있고, 이 부직포에서는, 연속 섬유의 방사시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분자의 배향 정도가 낮으며, 또한 연속 섬유가 서로의 움직임을 강하게 구속할 정도로는 교락하지 않는다. 이러한 부직포는 유연하고 촉감이 좋으며, 또한 높은 파단 연신도를 갖고 있다.

Claims (9)

  1. 폴리프로필렌의 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가 0.006∼5.8 d의 섬도, 0.019∼0.030의 복굴절율 및 100∼300%의 인장 파단 연신도를 가지며, 상기 섬유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기계적 교락(交絡)에 의해 부직포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인장 강도가 1∼3 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3. 다수의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폴리프로필렌의 연속 섬유를 연신한 후, 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벨트에 퇴적시키고, 상기 연속 섬유들을 서로 교락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즐 근방을 용융 상태로 압출되고 있는 상기 연속 섬유의 온도 부근이 되도록 보온하고, 입구와 출구와 이들 양자 사이에 연장되는 안내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통로에는 상기 입구에서 출구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온의 압축 에어가 흡출되고 있는 서커의 상기 안내 통로로 상기 연속 섬유를 유도하여 급냉하고, 상기 노즐과 상기 서커 사이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를 연신하여 상기 연속 섬유의 섬도를 작게 하며,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를 소정의 복굴절율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까지 배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가, 상기 노즐 근방에서는 용융 온도 하에서의 섬도가 작아지고, 상기 노즐 근방에서 상기 서커의 입구에 이를 때까지 동안에는 융점 근처의 온도로까지 서서히 강하하며, 상기 서커 내부에 있어서는 상온으로까지 급냉되면서 소정의 복굴절율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까지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은 압출되고 있는 상기 연속 섬유와 거의 동일한 온도의 열풍이 상기 노즐 근방으로 흡출됨으로써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서커 내부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의 섬도가 0.006∼5.8 d가 되도록 상기 연속 섬유를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서커 내부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의 복굴절율이 0.019∼0.030이 되도록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를 배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압수의 분사에 의해 상기연속 섬유들을 서로 교락시키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서 상기 벨트까지의 거리가 400∼6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68308A 1999-11-22 2000-11-17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603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31793 1999-11-22
JP33179399A JP3662455B2 (ja) 1999-11-22 1999-11-22 ポリプロピレン製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339A true KR20010060339A (ko) 2001-07-06

Family

ID=1824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308A KR20010060339A (ko) 1999-11-22 2000-11-17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101854B1 (ko)
JP (1) JP3662455B2 (ko)
KR (1) KR20010060339A (ko)
CN (1) CN1237218C (ko)
AU (1) AU765499B2 (ko)
BR (1) BR0005847B1 (ko)
CA (1) CA2326263C (ko)
DE (1) DE60036994T2 (ko)
ID (1) ID28425A (ko)
SG (1) SG87192A1 (ko)
TW (1) TW487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6752B2 (en) * 2002-05-20 2005-07-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ndable, oriented,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EP1424425A1 (de) * 2002-11-27 2004-06-02 Polyfelt Gesellschaft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otextilien aus schmeltgesponnenen Fasern
US20050106982A1 (en) * 2003-11-17 2005-05-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woven elastic fibrous web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FR2903426B1 (fr) * 2006-07-07 2008-09-12 Rieter Perfojet Soc Par Action Non-tisse utilise comme chiffon d'essuyage,son procede et son installation de production.
JP5063315B2 (ja) * 2006-12-28 2012-10-31 花王株式会社 伸縮シート
EP2379785A1 (en) 2008-12-30 2011-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astic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DK2603626T3 (en) 2010-08-12 2015-03-02 Boma Engineering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FIBERS AND SPECIFICALLY FOR MANUFACTURING A FIBER-CONTAINED NONWOVEN
JP5818636B2 (ja) * 2011-04-06 2015-11-18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熱安定性、柔軟性に優れる不織布
US8623248B2 (en) * 2011-11-16 2014-01-07 Celanese Acetate Llc Methods for producing nonwoven materials from continuous tow bands
JP6238806B2 (ja) * 2014-03-24 2017-11-29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極細繊維不織布および不織布の製造装置
US9303334B2 (en) 2014-05-07 2016-04-05 Biax-Fiberfilm Apparatus for forming a non-woven web
US11598026B2 (en) 2014-05-07 2023-03-07 Biax-Fiberfilm Corporation Spun-blown non-woven web
US9309612B2 (en) 2014-05-07 2016-04-12 Biax-Fiberfilm Process for forming a non-woven web
US10633774B2 (en) 2014-05-07 2020-04-28 Biax-Fiberfilm Corporation Hybrid non-woven web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id web
WO2015171707A1 (en) * 2014-05-07 2015-11-12 Biax-Fiberfilm A non-woven web
EP3655577A4 (en) * 2017-07-17 2021-04-28 Biax-Fiberfilm Corporation SPUN-BLOWN NON-WOVEN BAND
EP3960442B1 (en) * 2019-04-26 2024-05-22 Nitto Denko Corporation Stretchable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581761B2 (ja) 2020-10-14 2024-11-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7223215B1 (ja) * 2021-06-30 2023-02-15 旭化成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用途、並びに不織布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97313A (ko) * 1962-08-30 1900-01-01
US3969462A (en) * 1971-07-06 1976-07-13 Fiber Industries, Inc. Polyester yarn production
US4013816A (en) * 1975-11-20 1977-03-22 Draper Products, Inc. Stretchable spun-bonded polyolefin web
US4347206A (en) * 1980-03-15 1982-08-31 Kling-Tecs, Inc. Method of extruding polypropylene yarn
DE3630392C1 (de) * 1986-09-06 1988-02-11 Rhodi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festigten Vliesen
DE3941824A1 (de) * 1989-12-19 1991-06-27 Corovin Gmbh Verfahren und spinn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ikrofilamenten
JP2887611B2 (ja) * 1990-01-27 1999-04-26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829147B2 (ja) * 1991-03-12 1998-11-25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H0751214A (ja) * 1993-08-09 1995-02-28 Tokyo Gas Co Ltd 食器洗い器
JP3525536B2 (ja) * 1995-02-02 2004-05-10 チッソ株式会社 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不織布
US6013223A (en) * 1998-05-28 2000-01-11 Biax-Fiberfilm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on-woven webs of strong fil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05847A (pt) 2001-07-24
EP1101854B1 (en) 2007-11-07
ID28425A (id) 2001-05-24
DE60036994T2 (de) 2008-08-28
JP3662455B2 (ja) 2005-06-22
CN1237218C (zh) 2006-01-18
SG87192A1 (en) 2002-03-19
CN1297075A (zh) 2001-05-30
BR0005847B1 (pt) 2011-12-27
CA2326263C (en) 2006-12-05
CA2326263A1 (en) 2001-05-22
AU765499B2 (en) 2003-09-18
AU7173900A (en) 2001-05-24
JP2001146670A (ja) 2001-05-29
EP1101854A1 (en) 2001-05-23
DE60036994D1 (de) 2007-12-20
TW487756B (en) 200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0339A (ko)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EP1348051B1 (en) In-line heat treatment of homofilament crimp fibers
US4910064A (en) Stabilized continuous filament web
US6200669B1 (en) Entangl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6114017A (en) Micro-denier nonwoven materials made using modular die units
JP4917227B2 (ja) 不織複合シート材料
US6436512B1 (en) Nonwoven fabric with high CD elonga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528129A (en) Apparatus for producing nonwoven fleeces
JPH06294060A (ja) 結合された複合不織布ウエ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111095A (ko) 비등방성의 신장성 부직포
US6830640B2 (en) Dual capillary spinneret for production of homofilament crimp fibers
US6619947B2 (en) Dual capillary spinneret with single outlet for production of homofilament crimp fibers
EP1313899B1 (en) Filament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7025914B2 (en) Multilayer approach to producing homofilament crimp spunbond
EP1348050A1 (en) Shaped capillary production of homofilament crimp fibers
JP3173911B2 (ja) 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KR19990076286A (ko)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JPH04327258A (ja) ポリメチルペンテン極細繊維ウエ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09947A (ja) 伸縮性を有する複合シート及び該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WO2023008052A1 (ja) 不織布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18207688A (zh) 形成复合无纺布的方法
JPH03269153A (ja) 不織布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1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