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4847A -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847A
KR20010004847A KR1019990025592A KR19990025592A KR20010004847A KR 20010004847 A KR20010004847 A KR 20010004847A KR 1019990025592 A KR1019990025592 A KR 1019990025592A KR 19990025592 A KR19990025592 A KR 19990025592A KR 20010004847 A KR20010004847 A KR 20010004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eflective film
curved
outside
fl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일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2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4847A/ko
Publication of KR2001000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8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아웃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평면경 또는 곡면경만으로 사용함에 따라 각각의 단점으로 인하여 후방의 시야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웃 사이드 미러의 하우징(10) 전면에 고정구(20)를 설치하되, 고정구(20)에는 전면에 투명한 유리(21)를 설치하고 상기 유리(2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후방에는 반사막(22)을 설치하며, 상기 반사막(22)의 후방에는 구동수단(40)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구(30)를 설치함에 따라, 아웃 사이드 미러를 평면경 또는 곡면경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구동수단(40)을 작동시켜 작동구(30)에 의해 반사막(22)이 평면 또는 곡면이 되도록 하므로서,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평면경이나 곡면경으로 사용하면서 후방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Out side mirror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주행중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아웃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평면경과 곡면경으로 간단히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후방의 시야를 보다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 자동차에 설치되는 백 미러는 자동차의 실외에 설치되어 주로 차체의 옆쪽 및 뒤쪽을 확인하는 아웃 사이드 미러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리어 윈도우를 통해 뒤쪽의 상황을 확인하는 인 사이드 미러로 대별된다.
어느 미러에 대해서나 요구되는 기능은 뒤쪽과 옆쪽의 외부 정보를 뒤를 돌아보지 않고서도 볼 수 있어야 하며, 또 직접 시계로 잡힐 수 없는 차체 근처 맹역부의 정보를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볼 수 있도록 영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 사이드 미러에는 일반적으로 평면경이 사용되고 있으며, 야간에 후속차의 전조등이 조사되었을 경우 미러의 반사광이 운전자의 눈에 들어가면 현혹상태로 되기 쉽기 때문에 방현 미러가 개발되어 지금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방현 미러에는 프리즘경을 사용한 것과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나 액정을 사용한 것이 있는데, 상기 프리즘식은 미러의 표면반사와 이면반사를 이용한 것으로서 낮에는 반사율 약 80%인 이면반사를, 밤에 현혹될 때에는 반사율 4%인 표면반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되는 구조이다.
또한 일렉트로크로믹식은 미러의 거울면에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를 사용하여 전기 화학적인 산화 환원반응에 따라서 광셔터 효과로서 반사율을 바꾸는 것으로서 일부의 것은 광센서에 의해서 밤에 후속차의 현혹광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반사율을 저감하는 구조로 된것도 있다.
그리고 아웃 사이드 미러는 현재 도어 미러가 일반적이며 트럭, 버스용 아웃 사이드 미러는 차체구조 및 요구되는 시계조건에 따라 그 크기 및 구조가 다르다.
그리고 이러한 아웃 사이드 미러는 미러의 각도조정을 실내에서 할 수 있는 리모트콘트롤 미러와 표준 미러, 보행자에 대한 안전기구의 유무에 따라 완충식(가도식)과 고정식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전동 격납식, 히터 장착, 와이퍼 장착, 초음파 물방울 제거식 미러나 일렉트로크로믹식 등의 자동 방현 미러도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리모트콘트롤 미러의 거울면은 미국에서는 평면경(운전석), 유럽에서는 평면경이나 곡률반경 1200㎜ 이상의 곡면경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모재 1.9㎜의 판유리에 크롬의 반사피막을 붙인 곡률반경 1000㎜ 의 곡면경이 대부분의 차종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이 상기와 같이 평면경 또는 곡면경 한가지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차선변경 등을 위해 후방이나 옆차선에서 뒤따라 오는 차량과의 거리를 정확히 인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곡면경보다 평면경이 유리하지만 상기 평면경은 후방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인식이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곡면경은 상술한 바와같이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정확히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평면경 또는 곡면경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운전자가 후방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면서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 사이드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투명한 유리의 후면쪽으로 소정거리를 이격시킨 위치에 유연성이 있는 반사막이 위치되도록 하여 고정구에 함께 설치하고, 상기 반사막의 후면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반사막을 밀어주는 곡면형 작동구를 설치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행할 때 평상시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평면경으로 이용하다가 필요시에는 작동구로 반사막을 곡면형으로 만들어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곡면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가 후방의 시야를 정확히 판단하여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가 평면경으로 사용되는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가 곡면경으로 사용되는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고정구
21 : 유리 22 : 반사판
30 : 작동구 40 : 구동수단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이 평면경인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이 곡면경인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구(20)를 설치하되, 고정구(20)에는 투명한 유리 (21)가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리(2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후방에는 유연한 반사막(22)이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반사막(22)의 후방에는 구동수단(40)에 의해 전,후로 작동되는 곡면형의 작동구(30)가 설치되도록 한 아웃 사이드 미러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1)은 구동수단의 일 예로 사용된 모터이며, (42)는 상기 모터(41)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이고, (31)은 상기 피이언기어(42)와 맞물리며 작동구(30)와 연결된 랙기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행을 하는 과정에서 후방을 시야를 확인할때, 후방에서 오는 차량과 거리를 용이하게 인지하기 위해서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이 평면경일 때가 유리하며, 후방을 전체적으로 보거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이 곡면경일 때가 유리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해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평면경으로 사용하다가 곡면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전자가 후방의 시야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여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내부 전면에 고정구(2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구(20)에 설치되는 거울은 투명한 유리(21)와 반사막(22)으로 구성되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반사막(22)의 후방에는 구동수단(40)에 의해 전,후로 작동되는 작동구(30)가 설치되며, 이때 상기 작동구(30)의 형상은 반사막(22)과 형상이 유사하며, 반사막(22)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20)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21)와 반사막(22)은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40)은 모터(41) 또는 엑츄레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모터(41) 또는 엑츄레이터의 구동방법은 운전자가 운전석 내부에서 스위치 또는 버튼을 조작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을 모터(41)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터(41)의 일측에는 피니언기어(42)를 설치하고 작동구(30)의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2)와 맞물리도록 랙기어(31)를 설치하므로서, 모터(41)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 피니언기어(42)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랙기어 (31) 또한 전진 및 후진을 하게 되면서 작동구(30)를 전진 및 후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주행중 차선을 변경하기 위해 후방에서 오는 차량의 거리를 정확히 판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터(41)를 구동시켜 랙기어(31)를 후진시키면 작동구(30)가 반사막(22)으로 부터 떨어지면서 반사막(22)은 전면의 투명한 유리(21)와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투명한 유리(21)와 반사막(22)이 수평상태를 이루면 유리(21)를 통해 반사막(22)으로 반사되는 사물의 형태가 평면경으로 볼 때와 똑같은 형태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방의 전체적인 상황을 알고 싶거나 사각지대를 최대한 해소하고자 할 경우, 구동수단(40)을 작동하여 도 2 에 예시한 바와 작동구(30)를 반사막(22)쪽으로 이동시키면 반사막(22)이 투명한 유리(21)쪽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반사막(22)은 자체적으로 유연성이 있으므로 작동구(30)의 곡면형상을 따라 곡면형태가 되면서 투명한 유리(21)를 통해 곡면형태의 반사막(22)이 비쳐져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은 곡면경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황에 따라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곡면경과 평면경을 간단히 변경하면서 후방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행을 하면서 아웃 사이드
미러를 통해 후방의 상황을 인지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구동수단을 간단히 조작하여 아웃 사이드 미러의 거울을 평면경으로 사용하거나 곡면경으로 사용하므로서, 운전자가 후방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판단하면서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를 구성함에서,
    하우징(10) 내부의 고정구(20)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한 유리(21)와;
    상기 유리(21)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구(20) 후방에 설치되는 연질의 반사막(22);
    상기 반사막(22)의 후방에 위치하며 반사막(22)을 향해 돌출되도록 곡면을 이루고 있는 작동구(30);
    상기 작동구(30)를 반사막(22)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4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수단(40)은 모터(41)를 사용하되 모터(41)에는 피니언기어(42)를 설치하고 작동구(30)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2)와 맞물리는 랙기어 (31)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KR1019990025592A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Ceased KR20010004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92A KR20010004847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92A KR20010004847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47A true KR20010004847A (ko) 2001-01-15

Family

ID=1959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592A Ceased KR20010004847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48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25A (ko) * 2001-06-23 2003-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이드미러
WO2008094886A1 (en) 2007-02-01 2008-08-07 Drexel University Reflective su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25A (ko) * 2001-06-23 2003-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이드미러
WO2008094886A1 (en) 2007-02-01 2008-08-07 Drexel University Reflective su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6456B2 (en) Dimming mirror with blind zone sub-mirror and indicator
JPS63306947A (ja) 自動車用後視鏡
KR20010004847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JP4289297B2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を利用したスイッチ装置
KR200146067Y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CN218892506U (zh) 一种汽车防撞装置用汽车后视镜
JP3276864B2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KR200156427Y1 (ko) 자동차용 사각지역시계확보용 아웃사이드 미러
KR20120119704A (ko)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차선변경시스템 및 차선변경방법
KR1998003040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해소용 보조미러
KR200200813Y1 (ko) 자동차용 실내 후사경
JP2008213592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2566886Y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KR200146066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19990005527U (ko) 눈부심 방지용 룸 미러 조절장치
KR19980024407U (ko) 자동차용 룸미러의 눈부심 방지장치
KR200481826Y1 (ko) 차량 전방 투시 사이드 미러
JPH051185B2 (ko)
KR19980030427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JPH0651352A (ja) バックミラー
KR19980030438U (ko)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36161A (ko) 자동차용 백 미러
KR0129423B1 (ko)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KR200297568Y1 (ko) 프런트미러
KR19980043659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5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3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