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9423B1 -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23B1
KR0129423B1 KR1019950001692A KR19950001692A KR0129423B1 KR 0129423 B1 KR0129423 B1 KR 0129423B1 KR 1019950001692 A KR1019950001692 A KR 1019950001692A KR 19950001692 A KR19950001692 A KR 19950001692A KR 0129423 B1 KR0129423 B1 KR 012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river
vehicle
secure
c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0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2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에 관한 것으로, 종래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고개를 돌리는데 고개의 회전각도가 한정되어 있어서 후방의 전영역에 걸쳐 운전자가 시계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속레버(1)의 후진(Rear)위치시 작동되는 스위치(2)로 된 작동수단과; 상기 스위치(2)에 의해 작동되는 기어(8)가 축설된 정역회전 모터(7)로 된 구동수단과; 상기 모터(7)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기어(8)와 맞물리는 이가 일측에 형성되어 승강개폐되는 미러커버(5)가 설치된 브라켓(3)에 설치되어 노출밀폐되는 미러(4)를 차량실내의 C-필러(6)에 설치구성하여 상기 미러(4)에 의해 후방 전영역의 시계를 확보하여 후진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제1도의 (a)는 차량의 변속레버를 후진에 위치시킨 상태사시도.
(b)는 (a)의 A-A′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작동수단의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도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미러의 설치상태와 이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b)는 (a)의 B-B′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후방시계 확보영역을 평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속레버 2 : 스위치
3 : 브라켓 4 : 미러
5 : 미러커버 7 : 모터
8 : 기어
본 발명은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후진시에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후방시계 범위를 전영역에 걸쳐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양측 윈도우 글라스와 리어 윈도우 글라스를 통한 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백미러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백미러는 그 설치되는 부위에 따라 펜더미러(Fender mirror)와 도어미러(Door mirror), 방현미러(防眩 mirror)로 구분되고 있으며, 이중 상기 펜더미러는 좌우 프런트펜더의 사이드에 부착되는 백미러를 가리키고, 도어미러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도어 즉, 양측 프런트도어에 부착되는 백미러를 가리킨다.
상기 도어미러는 펜더미러에 비해 미러의 면적이 크게 잡히므로 후속차의 위치나 거리 등을 확인하기가 용이한 장점과 디자인이 좋아서 현재 출고되고 있는 자동차들은 거의 도어미러를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펜더미러와 도어미러는 일반적으로 모두 아웃사이드미러라고 불려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방현미러는 자동차의 실내 즉 운전석의 앞쪽 상단에 설치된 미러로서 야간에 후속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의 눈을 현혹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즉, 방현미러는 프리즘의 표면반사와 이면반사를 이용하여 미러의 반사율을 변환시킴으로써 야간에 뒤따라오는 차량의 헤드램프 불빛이 반사되는 빛을 최대한 적게하여 안전운행을 하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이러한 방현미러는 대개 인사이드미러 또는 룸미러라고 불려지고 있다.
이러한 백미러중 프런트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미러 즉, 도어미러 (이하 아웃사이드미러 라고 칭함)는 운전석에서 레버에 의한 수동식으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이 있고, 또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한 전동식으로 미러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현재는 운전의 편의성으로 인해 전동식을 주로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아웃사이드미러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여야만 후방에서 뒤따라 오는 차량의 유무 등을 확인하기가 용이하므로 운전중에도 좌우 미러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전동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아웃 사이드미러와 룸미러는 주행시 운전석에서 고개를 뒤로 돌리지 않고서도 순간적으로 뒤 차선이나 옆 차선에서 뒤따라 오는 차량을 보기 위한 후방시계 확보는 용이하지만 차량의 주차 등을 위해 후진시키고자 할 때의 후방시계를 확보하는데에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후진시 고개를 돌리지 않고 상기의 아웃 사이드미러와 룸미러만으로 주시할 수 있는 후방시계는 한정되어 있어 시계확보가 상당히 좁기 때문에 대개의 운전자들은 후진시 고개를 뒤로 돌려 후방을 주시하면서 후진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운전자가 고개를 돌릴 수 있는 회전각도가 한정되어 있어서 조수석 뒤쪽의 시계확보는 용이하지만 운전석 바로 뒤쪽까지 전 영역에 걸쳐 시계를 안전하게 확보하기가 힘들어 후진시 본의 아니게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후진시에 운전자가 고개를 약간만 돌리더라도 후방의 전 영역 시계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레버의 후진위치시 제어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노출밀폐되는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로 차량의 후진시 상기 미러에 의해 후방시계를 확보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자세한 기술구성과 그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변속레버에 의해 제어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노출밀폐되는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그 구체적인 일실시예를 제1도의 변속레버 후진위치를 나타낸 (a), 작동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b), 제2도의 미러의 설치상태와 그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a), 그리고 미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b)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변속레버(1)의 후진(Rear)위치시 작동되는 스위치(2)로 된 작동수단과; 상기 스위치(2)에 의해 작동되는 기어(8)가 축설된 정역회전 모터(7)로 된 구동수단과; 상기 모터(7)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기어(8)와 맞물리는 이가 일측에 형성되어 승강개폐되는 미러커버(5)가 설치된 브라켓(3)에 설치되어 노출밀폐되는 미러(4)로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0은 차량의 뒷자석에 설치되는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러(4)가 설치된 브라켓(3)은 브라켓(3)의 스냅핀(3a)에 의해 차량실내의 C-필러(6)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고, 상기 모터(7)의 기어(8)에 의해 상하로 움직여 미러(4)를 밀폐노출시키는 미러커버(5)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백판넬(9)에 삽입공(9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러노출을 위한 미러커버(5)의 삽입공(9a)은 미러(4)의 설치위치상 미러커버(5)의 승강작용을 위한 통로역할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이외에 미러(4)가 설치된 브라켓(3)을 일실시에서와 같이 C-필러(6)에서 돌설하지 않고, C-필러(6)에 미러커버 삽입공을 가진 홈을 형성하여 그 홈에 상기 브라켓(3)을 설치하여 구성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를 차량실내에 설치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성요지인데, 상기한 바와같이 미러가 설치된 브라켓의 설치 및 설치위치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방식은 차량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그 작용효과를 일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하면, 운전자가 후진을 하기 위해 변속레버(1)를 후진위치로 옮겼을때 변속레버(1)에 의해 스위치(2)가 작동됨에 따라 정역회전 모터(7)의 기어(8)에 이가 맞물린 미러커버(5)가 상기 모터(7)의 구동에 의해 하강되어 백판넬(9)의 삽입공(9a)으로 삽입되므로써 미러(4)가 노출된다.
이후, 운전자가 고개를 약간 돌리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필러(6)에 설치된 미러(4)에 비친 후방영역 a가 간접적으로 운전자의 시계속으로 들어오게 되고, 후방영역 b는 운전자가 돌린 고개에 의해 직접적으로 운전자의 시계속으로 들어오게 됨에 따라 후방의 전영역, 즉 a∼b의 영역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어 후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진완료후, 변속레버(1)를 후진위치에서 다른위치로 바꾸면 곧바로 상기 스위치(2)에 의해 정/역회전 모터(7)가 역회전됨에 따라 기어(8)와 일측의 랙기어가 치합되어 있는 미러커버(5)는 백판넬(9)에서 상승 작동되어 미러(4)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그 작용에 따라 후진시 종래 후방영역 b는 운전자가 고개를 돌려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었지만 후방영역 a는 시계를 확보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미러를 c-필러에 설치하여 시계를 확보하므로써 후진시 종래보다 훨씬 안전사고 발생율을 줄일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기어에 의해 개폐되는 미러커버와 미러커버의 개폐에 의해 노출밀폐되는 미러를 장치한 브라켓을 c-필러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차량 후진시에 운전자가 약간 뒤로 돌리는 고개에 의해 직접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는곳 이외의 곳을 미러에 의해 간접으로 확보하여 후방 전영역의 시계를 넓게 확보할 수있으므로 차량의 후진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변속레버(1)의 후진변속 여부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모터(7)에 의해 후방 주시용 미러를 출몰되게 설치함에 있어서, c-필러(6) 내면에 미러(4)가 설치된 브라켓(3)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3)의 전면부에는 일측면이 랙기어로 형성된 미러커버(5)를 하부로 슬라이드 개폐되게 설치하되 상기 미러커버(5)의 하단부를 백판넬(9)의 삽입공(9a)속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모터(7)에 축설된 기어(8)와 치합시켜서 후진변속 여부에 따라 모터(7)가 정/역회전되면 상기 미러커버(5)가 승강됨에 따라 미러(5)가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KR1019950001692A 1995-01-28 1995-01-28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Expired - Fee Related KR012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692A KR0129423B1 (ko) 1995-01-28 1995-01-28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692A KR0129423B1 (ko) 1995-01-28 1995-01-28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9423B1 true KR0129423B1 (ko) 1998-04-09

Family

ID=1940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692A Expired - Fee Related KR0129423B1 (ko) 1995-01-28 1995-01-28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42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0964A1 (en) Motor vehicle having a window pane having a sun visor and a cover
KR0129423B1 (ko)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KR0130122B1 (ko) 자동차의 백밀러
KR0131429Y1 (ko) 자동차의 전, 후방사각지대 감지장치
KR10021218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조립체
CN209505583U (zh) 一种汽车后排后视镜结构及汽车
KR200284074Y1 (ko)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사이드미러
KR100334727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930009201B1 (ko) 자동차용 양측면 감시장치
KR19980066256A (ko) 승용차의 후방 반사경 조립체
KR19980018627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자동 개폐장치
KR0126790Y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조립체
KR200366712Y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KR890002738Y1 (ko) 자동차의 백미러
KR19980030438U (ko)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3040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해소용 보조미러
KR19980043659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9990027100A (ko) 자동차 프론트 도어 유리창겸 사이드 밀러용 간이 와이퍼 장치
KR19980030427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00860304B1 (ko)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JPS6221456Y2 (ko)
KR19990020827U (ko) 사각미러를 겸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20010004847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970069600A (ko) 자동차용 후방 백미러
KR19980041033U (ko) 차광판 내장형 썬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