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2901A - 장수명 금속 할라이드 램프 - Google Patents

장수명 금속 할라이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901A
KR20000062901A KR1020000013229A KR20000013229A KR20000062901A KR 20000062901 A KR20000062901 A KR 20000062901A KR 1020000013229 A KR1020000013229 A KR 1020000013229A KR 20000013229 A KR20000013229 A KR 20000013229A KR 20000062901 A KR20000062901 A KR 2000006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mp
conductor
metal hali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다마사토
무라세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가즈히로
Publication of KR2000006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0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2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Means for circulating gas or vapour within the discharge space
    • H01J61/523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 H01J61/526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heating or cooling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2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Landscapes

  • Discharge Lamp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금속 할로겐 램프는 전극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긴 수명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는 발광부(1)와 발광부(1)의 각 단부에 있는 밀봉부(2)로 구성되는 아크관(3)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전극(4)은 전극(4)의 방전측 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아크 관(3)의 단부로부터 발광부(1)의 방전실로 연장된다. 각 전극의 다른 단부는 밀봉부(2)에 밀봉된 도체(5)에 접속된다. 발광부(1)와 밀봉부(2) 사이의 경계로부터 도체(5)의 방전측 단부까지 밀봉부(2)에 밀봉된 전극(4)의 부분은 전극 밀봉부 L로 나타낸다. 금속부재(7)는 전극 밀봉부 L을 부분적으로 덮는다. 전극 밀봉부 L의 중량 B(mm)에 대한 금속부재(7)의 중량 A(mm)의 비는 부등식 0.2≤A/B로 정의된다.

Description

장수명 금속 할라이드 램프{LONG-LIFE METAL HALIDE LAMP}
본 발명은 헤드라이트 등에 사용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금속 할라이드 램프가 헤드라이트로서 사용되는 경우, 그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밝기는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도록 금속 할라이드 램프가 기동된 후 신속하게 소정 레벨에 도달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동시 램프의 전극에 높은 런업 전류(run-up current)가 통과함으로써 적절한 광속이 생성되어 램프 기동후 짧은 기간에 소정 레벨의 밝기를 달성하게 된다.
그러나 전극에 높은 런업 전류가 통과하면 전극의 온도를 과도하게 상승시킨다. 전극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함에 따라 전극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분산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분산된 재료는 램프의 수명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제조하는 목적의 하나는 램프의 수명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수명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는 전극을 금속부재로 씌워서 램프의 기동시 전극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은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와트수가 35W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정면도.
도 2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금속부재(7)의 중량 A(mg)에 대한 전극 밀봉부 L의 중량 B(mg)의 비를 각각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대해 변경시켰을 때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수명 및 시감도(luminous efficacy)를 시험한 제 1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
도 4는 램프의 동작이 안정상태에 있는 동안 전극(4)의 외경 D(mm)에 대한 관전류 I1a(A)의 비를 각각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대해 변경시켰을 때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수명을 시험하고 그 램프의 소등여부를 시험한 제 2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
도 5는 발광부(1)와 밀봉부(2) 사이의 경계로부터 금속부재(7)의 방전측 단부까지 전극(4)을 따라 측정된 길이 d(mm)의 비를 금속부재(7)의 외경 OD(mm)에 대해 변경시켰을 때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수명을 시험하고 램프에 크랙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시험한 제 3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할로겐 물질을 함유하는 방전실을 포함하는 발광부와 이 발광부 각 단부에 있는 밀봉부로 구성되는 아크관과; 밀봉부로부터 연장되고, 방전실 내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며 그 대향하는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도록 된 내단부와, 밀봉부 내에 밀봉되며 밀봉부 내에 밀봉된 도체에 접속된 외단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과; 1 대 1의 관계로 상기 전극 쌍에 부착되고 각각이 상기 발광부와 밀봉부 사이의 경계로부터 도체의 내단부로 전극을 따라 측정된 길이의 범위 내에서 하나의 전극을 부분적으로 씌우는 한 쌍의 금속부재를 구비하고, 부등식 0.2≤A/B≤1.6의 관계를 만족시키며, A는 금속부재의 중량(mg)이고 B는 상기 경계와 상기 도체의 내단부 사이의 전극부분의 중량(mg)인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으로부터의 열이 금속부재로 전달되므로 전극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램프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들 목적과 기타의 목적 및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고로 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와트수가 35W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회전타원체가 있다. 금속 할라이드 램프는 발광부(1)와 한 쌍의 밀봉부(2)로 구성되는 아크관(3)을 구비한다. 발광부(1)는 최대 외경이 6mm, 길이가 8mm이다. 밀봉부(2)는 발광부(1)의 양단부에 위치되며, 길이가 13mm, 직경이 4mm이다. 아크관(3)은 석영유리와 같은 재료로 만든다. 한 쌍의 전극(4)은 전극(4)의 단부가 방전실 내에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아크관(3)의 양단으로부터 발광부(1)의 방전실로 연장된다. 각 전극(4)은 텅스텐으로 만들어진다. 텅스텐은 소정량의 산화토륨으로 도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4)의 쌍의 대향단부 사이의 길이는 4mm이다. 각각의 전극(4)은 밀봉부(2)에 밀봉된 도체(5)에 의해 외부 리드 와이어(6)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도체(5)는 몰리브덴 박막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각 전극(4)은 봉형상이며, 직경이 0.25mm, 길이가 7mm이다. 밀봉부(2)에 밀봉된 전극(4)에서 발광부(1)와 밀봉부(2) 사이의 경계로부터 도체(5)의 방전측 단부까지 뻗어있는 부분은 전극 밀봉부 L로 나타낸다(도 2 참조). 이하 발광부(1)와 밀봉부(2) 사이의 경계는 단순히 "경계'라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전측 단부"는 다른 (외측)단부를 제외한 곳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위치에 위치적으로 보다 가까운 내측 단부를 말하는 것이다. 전극 밀봉부 L의 길이는 4mm이며, 금속부재(7)에 의해 부분적으로 씌워져 있다. 본 실시예의 금속부재(7)는 텅스텐 와이어를 60㎛의 두께로 감아서 만들어진 단층 구조물을 갖는 코일이다. 이 와이어는 소정량의 산화 토륨으로 도핑된 텅스텐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전극(4)과 금속부재(7)를 만들기 위해서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부재(7)는 경계로부터 씌워져 있지 않은 소정길이 d(도 2 참조)를 제외하고 도체(5)의 방전측 단부까지 전극(4)을 부분적으로 씌우도록 저항용접에 의해 전극(4)에 고정된다.
저항용접은 도체(5) 부근의 위치에 있는 금속부재(7)와 전극(4) 상에서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 위치는 도체(5)의 방전측 단부로부터 텅스텐 와이어를 2회 감은 만큼 전극(4)을 따라 측정된 거리에 위치된다. 즉, 저항용접은 금속부재(7)의 방전측 단부와 비교하여 온도가 낮은 위치에서 실행된다. 만약 저항용접이 램프 동작중에 온도가 상승하는 위치에서 실행되면 밀봉부(2)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크랙을 피하기 위해 용접된 부분은 램프동작 중에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는 곳에 위치되어야만 한다.
아크관(3)에는 발광물질로서 금속 할로겐 물질, 기동가스로서 크세논 가스와 같은 희가스, 및 수은이 각각 소정량 채워진다. 금속 할로겐 물질로서,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스칸듐 또는 요오드화 나트륨과 요오드화 스칸듐의 혼합물이 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가 헤드라이트로서 사용되면, 금속 할로겐 물질은 혼합비가 76:24~80:20의 혼합범위를 갖는 요오드화 나트륨과 요오드화 스칸듐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전극(4)의 대향 방전측 단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분산된다. 과도한 온도의 상승은 각 전극(4)의 열용량을 높게 유지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전극의 열용량은 전극의 중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램프의 와트수가 35와트인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제 1 실험을 하였다. 제 1 실험에 있어서, 이들 금속 할라이드 램프는 전극 밀봉부 L의 중량 B(mm)에 대한 금속부재(7)의 중량 A(mg)의 비를 각각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대하여 변경하면서 제조되었다. 전원은 각각의 램프에 대하여 외부 리드 와이어(6) 사이에 접속되며, 이 램프는 관전압의 85V, 관전류의 0.41A에서 밝아진다. 본 실험에서 수명과 시감도는 각각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대하여 시험되고 준비된다. 제 1 시험의 결과를 도 3의 표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명시험은 120분 주기동안 다수회 반복적으로 온/오프하는 시험방법에 따라 실행되었다. 램프가 지속되는 동안의 시간 주기는 변화한다. 램프가 꺼지는 동안의 시간 주기 또한 변화한다. 이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810(1997)에 기술되어 있다. 실험에 사용되는 각각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포함된 물질로서는 0.6mg의 수은, 0.25mg의 금속 할로겐 물질이 있다. 요오드화 나트륨과 요오드화 스칸듐의 중량비는 80:20이다. 크세논 가스의 밀봉압력은 실온에서 0.7MPa이다. 광속 보전율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은 IEC 60810에 기술된 표준에 기초한다. 특히 램프가 켜진 다음 1500시간이 경과한 후, 광속이 초기 광속의 60% 이상이면 램프의 광속 보전율은 적절한 것으로 판정된다. 1500시간후 광속이 초기 광속의 60% 미만이면 램프의 보전율은 부적절한 것으로 판정된다.
A/B를 계산하여 구한 값이 실시예 1~6과 비교예 2에서 처럼 0.2 이상이면, 각각의 광속 보전율은 60% 이상으로 되어 상술한 기준을 만족시킨다. 비교예 1의 경우에서, A/B의 값은 0.2미만이고 광속 보전율은 55%이다. 비교예 1에서 사용된 램프는 전극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상술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한편 A/B의 값이 1.6을 초과하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시감도 80lm/W 미만이어서 비실용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 이유는 전극(4)의 온도가 방전에 필요한 만큼 충분히 상승되지 않기 때문이다. 전극(4)의 이러한 낮은 온도는 밀봉부(2)의 열손실에 기인하는 것이다. 열손실은 금속부재(7)에 의해 상당히 증가된 전극(4)의 열용량 때문에 증가된다.
A/B의 값은 발광 보전율이 상술한 기준을 만족시키고 시감도가 실용적인 사용에 적당한 80lm/W 이상이 되도록 부등식 0.2≤A/B≤1.6로서 정의될 필요가 있다. 광속 보전율을 70%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A/B의 값을 부등식 0.8≤A/B≤1.4로 정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부등식에 따르는 본 발명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의해 전극(4)으로부터의 과도한 열을 금속부재(7)로 전달함으로써 전극(4)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비록 A/B의 값이 상술한 부등식으로 표현된 범위 내에 있다하더라도 전극(4)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극 온도의 이러한 과도한 상승은 예를들면 전극(4)의 외경이 극히 작으면서 전극(4)을 통과하는 관전류의 통로가 지나치게 클 때 발생될 것이다. 이러한 가정의 관점에서 제 2 실험이 실행되었다.
제 2 실험은 제 1 실험의 경우에서처럼 35W의 램프 와트수를 갖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제 2 실험에서 사용된 이들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제조하기 위해 전극 밀봉부 L의 중량 B(mg)에 금속부재(7)의 중량 A(mg)의 비를 0.7~0.9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전극(4)의 외경에 대한 안정상태에서의 램프 작동 중의 관전류 I1a(A)의 비를 각각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대하여 변경하였다. 제 2 실험에서 발광 보전율은 이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램프에 대해서 램프가 켜진 후 1500시간이 경과된 후 검사된다. 제 2 실험의 결과를 도 4의 표에 나타내었다. 제 1 실험의 경우에서처럼 관전압과 관전류를 포함하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각각의 램프를 밝혔다. 광속 보전율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또한 동일하다. I1a/D를 계산하여 구한 값이 실시예 7~10과 비교예 3의 경우에서처럼 2.5 이상이면, 각각의 광속 보전율은 60% 이상이 되어 상술한 기준을 만족시킨다. I1a/D의 값이 1.2 미만인 비교예 3의 경우에는 깜박거림이 발생하고 때때로 램프가 소등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방전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불안정한 방전은 전극(4)의 외경 D에 대해 관전류의 값이 너무 작아 글로우 방전 상태로부터 아크 방전상태로 방전이 이동하기 어렵게 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한편, I1a/D의 값이 2.5를 초과하는 비교예의 전극(4)의 경우에는 발광 보전율이 45%로 기준보다 훨씬 낮다. 그 이유는 전극(4)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기 때문이다. 온도의 과도한 상승은 비록 전극(4)의 열용량이 금속부재(7)의 수단에 의해 크게 되더라도 전극(4)의 외경에 대해 지나치게 크게 되기 때문에 발생된다.
I1a/D의 값은 발광 보전율이 상술한 기준을 만족시키고, 램프가 깜박거리거나 소등되지 않도록 부등식 1.2≤I1a/D≤2.5로서 정의될 필요가 있다. 발광 보전율을 70% 이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I1a/D의 값을 부등식1.2≤I1a/D≤1.7로 정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부등식에 따르는 본 발명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구성에 의해 전극(4)의 외경 D에 대해 관전류의 값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극(4)의 온도는 전극(4)으로부터의 과도한 열을 금속부재(7)로 전달함으로써 전극(4)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부등식 1.2≤I1a/D≤2.5는 부등식 0.7≤I1a/D≤0.9 내에 유지될 수 없을 뿐아니라 부등식 0.2≤I1a/D≤1.6 내에도 유지될 수 없다. 램프 와트수 70W 이하인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였을 때 부등식 1.2≤I1a/D≤2.5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봉형전극(4)이 밀봉부(2)에 밀봉되면, 전극(4)과 밀봉부(2)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생긴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극(4)은 전극(4)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의 단면이 원형이다. 전극(4)의 직경이 크면 클수록 틈새 또한 커진다. 단면이 다각형인 전극이 사용되면 전극과 밀봉부 사이의 틈새가 전극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 비해 커진다. 틈새가 크면 발광부(1) 내의 물질이 그 틈새로 들어간다. 이 물질이 틈새로 들어감으로써 발광물질의 양, 즉 발광부(1)에 포함된 금속 할로겐 물질의 양이 감소되어 램프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의 발광 보전율을 감소시킨다. 전극(4)과 밀봉부(2) 사이의 틈새를 고려하여 제 3 실험을 실행하였다.
제 3 실험은 램프 와트수 35W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여 실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이들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제조하기 위해 금속부재(7)의 외경 OD(mm)에 대한 길이 d(mm)의 비를 각각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대하여 변경하였다. 제 3 실험에서 광속 보전율은 이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램프에 대해서 램프가 켜지고 1500시간이 경과된 후 검사된다. 제 3 실험의 결과를 도 5의 표에 나타내었다. 제 1 실험 및 제 2 실험의 경우에서처럼 관전압과 관전류를 포함하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각각의 램프를 밝혔다. 광속 보전율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또한 동일하다.
d/OD를 계산하여 구한 값이 실시예 11~14 및 비교예 6의 경우에서처럼 0.5 이상이면, 각각의 광속 보전율은 65% 이상이 되어 상술한 기준을 만족시킨다. d/OD의 값이 0.5 미만인 비교예 5의 경우에는 광속 보전율이 50%로 되어 상술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그 이유는 그 물질이 밀봉부(2)에 들어가서 발광부(1)에 포함된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한편, d/OD의 값이 3.5를 초과하는 비교예 6의 경우에는 램프가 점등된 다음 1000시간 내에 밀봉부(2)에 크랙이 발생한다. 이 크랙은 전극(4)과 밀봉부(2) 사이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 때문에 밀봉부(2)에 대하여 나타나는 비틀림에 기인한다.
d/OD의 값은 광속 보전율이 상술한 기준을 만족시키고 밀봉부(2)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등식 0.5≤d/OD≤3.5로 정의될 필요가 있다. d/OD의 값은 70% 이상의 광속 보전율을 유지하도록 부등식 1.6≤d/OD≤3.5로 정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부등식에 따르는 본 발명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의 구성에 의해 밀봉부(2)의 밀봉성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발광부(1)에 포함된 금속 할로겐 물질이 밀봉부(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램프의 수명이 길어진다. 또한 전극(4)과 밀봉부(2) 사이의 열팽창 계수에 차이가 있더라도 밀봉부(2)에 비틀림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극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수명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금속부재(7)가 전극 밀봉부 L을 씌우는 길이는 전극 밀봉부 L의 길이의 반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밀봉의 균일성과 열평형의 균일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동일한 효과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가 램프의 반사경 내측에 설정되면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금속부재(7)는 단층 구조를 갖는 코일이다. 그러나 금속부재(7)는 복층 구조를 갖는 코일이어도 좋다. 이와 달리 금속부재(7)를 원통형으로 할 수도 있다. 금속부재(7)의 복층 구조 또는 원통형으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따르면 전극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되어 그 수명이 현저하게 길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비록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충분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면 이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2)

  1. 금속 할로겐 물질을 함유하는 방전실을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 각 단부에 있는 밀봉부로 구성되는 아크관과;
    상기 밀봉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방전실 내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며 그 대향하는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도록 된 내단부와, 상기 밀봉부 내에 밀봉되며 상기 밀봉부 내에 밀봉된 도체에 접속된 외단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과;
    1 대 1의 관계로 상기 전극 쌍에 부착되고 각각이 상기 발광부와 밀봉부 사이의 경계로부터 상기 도체의 내단부로 전극을 따라 측정된 길이의 범위 내에서 하나의 전극을 부분적으로 덮는 한 쌍의 금속부재를 구비하고,
    부등식 0.2≤A/B≤1.6의 관계를 만족시키며, 상기 부등식에서 A는 상기 금속부재의 중량(mg)이고 B는 상기 경계와 상기 도체의 내단부 사이의 전극 일부분의 중량(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부등식 0.5≤d/OD≤3.5를 만족시키며, 상기 부등식에서 OD는 금속부재의 외경(mm)이고 d는 상기 경계로부터 금속부재의 내단부까지 측정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부등식 1.2≤I1a/D≤3.5를 만족시키며, 상기 부등식에서 D는 전극의 외경(mm)이고, I1a는 램프가 안정한 상태에서 동작중인 관전류(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내열 금속 와이어로 만들어진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금속 와이어는 용접공정에 의해 상기 도체 부근의 위치에서 상기 전극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금속 와이어는 적어도 L/2의 길이만큼 상기 도체의 내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을 씌우며, 상기 L은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도체의 내단부까지 측정된 전극의 길이(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L은 대략 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몰리브덴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텅스텐과 소정량의 산화토륨으로 도핑된 텅스텐 중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금속 와이어는 텅스텐과 소정량의 산화토륨으로 도핑된 텅스텐 중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11. 제 3 항에 있어서,
    램프가 안정상태로 동작하는 동안의 램프 와트수는 70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
KR1020000013229A 1999-03-16 2000-03-16 장수명 금속 할라이드 램프 Ceased KR20000062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974699A JP3718077B2 (ja) 1999-03-16 1999-03-16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11-069746 1999-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01A true KR20000062901A (ko) 2000-10-25

Family

ID=1341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229A Ceased KR20000062901A (ko) 1999-03-16 2000-03-16 장수명 금속 할라이드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76555B1 (ko)
EP (1) EP1037256B1 (ko)
JP (1) JP3718077B2 (ko)
KR (1) KR20000062901A (ko)
CN (1) CN1171278C (ko)
DE (1) DE6001319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219B2 (en) * 2000-12-28 2003-09-16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ly insulating lead wire for ceramic metal halide electrodes
WO2002082500A1 (fr) * 2001-03-30 2002-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ampe d'halogenure metallise pour phares de vehicules
JP2003173763A (ja) * 2001-09-28 2003-06-20 Koito Mfg Co Ltd 放電ランプ装置用水銀フリーアークチューブ
DE10214777A1 (de) * 2002-04-03 2003-10-1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Metallhalogenidlampe mit keramischem Entladungsgefäß
JP2004172056A (ja) * 2002-11-22 2004-06-17 Koito Mfg Co Ltd 放電ランプ装置用水銀フリーアークチューブ
WO2005096334A2 (en) * 2004-04-01 2005-10-13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Discharge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charge lamp
DE102004024063A1 (de) * 2004-05-13 2005-12-0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Hochdruckentladungslampe
ATE452418T1 (de) * 2006-09-12 2010-0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euchte mit einem in die quarzglashülle der leuchte integrierten leiter
CN102623277B (zh) * 2012-04-14 2016-03-09 朱惠冲 陶瓷金卤灯电极熔封定位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5401A1 (de) * 1982-02-16 1983-08-2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Hochdruckentladungslampe
JPS60264040A (ja) * 1984-06-12 1985-12-2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高圧ナトリウムランプ
US4968916A (en) * 1989-09-08 1990-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Xenon-metal halide lamp particularly suited for automotive applications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US5107165A (en) 1990-11-01 1992-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Initial light output for metal halide lamp
US5598063A (en) 1992-12-16 1997-01-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ans for supporting and sealing the lead structure of a lamp
JPH08255594A (ja) 1995-03-20 1996-10-01 Matsushita Electron Corp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H10154485A (ja) 1996-11-22 1998-06-09 Stanley Electric Co Ltd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3218560B2 (ja) * 1997-02-07 2001-10-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前照灯用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3039626B2 (ja) * 1997-03-21 2000-05-0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278C (zh) 2004-10-13
JP3718077B2 (ja) 2005-11-16
JP2000268773A (ja) 2000-09-29
US6476555B1 (en) 2002-11-05
EP1037256A1 (en) 2000-09-20
CN1273432A (zh) 2000-11-15
DE60013193D1 (de) 2004-09-30
DE60013193T2 (de) 2005-01-13
EP1037256B1 (en)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7180B1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lighting opt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as light source, and image display system
US6031332A (en) Metal halide lamp having specific filling
US5883469A (en) Halogen lamp with an inherent safety effect
JP5138091B2 (ja) 高効率放電ランプ
US6943498B2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and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system using the same
JP5816244B2 (ja) 改善された放電容器を備える放電ランプ
KR20000062901A (ko) 장수명 금속 할라이드 램프
US6107742A (en) Metal halide lamp
EP1704580B1 (en) Metal halide lamp and luminaire using the same
JP4750550B2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EP1607997A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pressure discharge lamp, high-pressure discharge lamp and lamp unit using such high-pressure discharge lamp, and image display
EP1805784B1 (en) High-pressure gas discharge lamp
JP4832717B2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5528994B2 (ja) 車輌用放電灯
JP2705013B2 (ja) ハロゲン白熱電球
JP4199656B2 (ja) 金属蒸気放電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3412484B2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2005251621A (ja)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1345064A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H0447948B2 (ko)
Heider Single Pinched Metal-Halide Lamps Operated at Wall Loadings above 40 W/cm2
JPH03152825A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S6273551A (ja) 電球口金付蛍光ランプ
JP2001345063A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H0690913B2 (ja) セラミツク放電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3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5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