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232A - 유리창을 차체와 연결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키트 - Google Patents
유리창을 차체와 연결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7232A KR20000057232A KR1019990704594A KR19997004594A KR20000057232A KR 20000057232 A KR20000057232 A KR 20000057232A KR 1019990704594 A KR1019990704594 A KR 1019990704594A KR 19997004594 A KR19997004594 A KR 19997004594A KR 20000057232 A KR20000057232 A KR 200000572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window
- main part
- fixing
- vehicle body
- wind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074085 Scophthalmus aquosus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5—Mounting of windows using positioning means during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Fenc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테두리(12)로 장치된 유리창(11)과 차체부, 즉 차체부의 열린 곳을 유리창으로 막힌 차체부와의 결합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유리창에 차제부로 전향된 측면위의 유리창에 플라스틱으로된 두개 또는 여러개의 고정부(30)가 놓이게 되며, 이 고정부가 하나의 주부분(31)과 하나의 앵커모양 요소로 장비되어 있는 2차부분(32)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두부분이 각각의 하나와 일치하는 접착면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주부분(31)은 이미 설정된 배열형식에 있어서 유리창(11)에 형성되며 동시에 영구적으로 이들과 결합된다. 양 부분(31, 32)의 하나에 접착면에 접착재가 놓이게 되고. 2 차부분(32)가 주부분(31)과 하나가 되고 또한 차체부(20)가 이들의 덮히는 부분에서 접착라우페로 두르게 된다. 이 유리창(11)은 차차부(20)에 놓이게 되고 동시에 고정부(30)의 2차부분(32)이, 앵커모양 요소가 이의 앵커가 걸리는 장소에 삽입될 때 까지 끼워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과제에 근거하는데, 즉 하나의 방법을 제공하는, 즉 이 방법에 의해서 테두리를 가진 유리창이 차체와 간단히 그리고 신속하게 조립되고 그리고 이와함께 지금까지 가능한 방법 보다도 더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야 하는 과제에 근거를 둔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유리창, 즉 이는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접착재료를 이용해서, 이른바 접착라우퍼를 이용해서 자동차 차체와 연결되며, 이 유리창은 여러 고정 부품으로 고정대 모양으로서 장치되고, 이 고정대는 접착재료가 고착이 되는 동안에 유리창을 차체에 대해서 똑바로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는 유리창의 외곽선에서 차체에 배열된다. 이 부품은 이러한 연유에서 유리창의 가장자리로 부터 차체에 놓이게 되고 유리창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며, 이로서 고정부는 유리창과 함께 테두리에 압력을 주어 끼우게 되고 테두리의 생산에 있어서 차창과 함께 사출되게 된다.
제조된 유리창이 차체에 놓일 때에, 유리창은 고정대에 의해서 안내되어지고, 이 고정대는 이와 일치하는 차체의 관통구로 삽입된다. 그런 후에 부가적으로 고정요소는 고정대와 연결되는데, 이는 유리창을 차체에 고정 유지하기 위해서다.
또다른 방법은, 즉 고정대가 맨 처음 사출형태로 테두리에 놓고, 이어서 유리창이 놓게 된다. 이 고정대는 사출형으로 안전하게 되어있고 이어서 안전링에 의해서 풀리게 된다. 이는 매우 간편하고 또한 시간이 절약된다.
이 고정대는 대부분 나사로 장치되어 있는 대 이거나 아니면 이와 비슷한 부품인데, 유리창을 차체에 고정할 경우에 이 부품위로 암나사가 끼워지게 된다. 이 부가적인 조립과정은 마찬가지로 간편하고 또한 시간이 절약된다.
도 1은 테두리를 가지고 여러가지 고정부를 가진 유리창의 작도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2는 고정부의 단체형적인 실시형을 가진 도 1에서 선 2 - 2에 따라서 절단면으로 그려진 유리창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3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고정부의 실시형태을 가진 절단면으로 그려진 유리창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라 고정부의 주 부분을 가진 유리창의 절단면적으로 그려진 횡단면.
도 5는 고정부의 2차 부분의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그려진 도면.
도 6은 고정부의 변경된 두개의 부분으로의 실시형태을 가진 유리창의 절단면적으로 그려진 횡단면.
도 7은 고정부의 주 부분을 가진 도 6을 따른 절단면적으로 그려진 횡단면.
도 8은 도 6에 따라서 2차 부분의 고정부의 측면도.
도 9 및 10은 각각 확대되어 도 7을 따라 그려진 고정부의 2 차부분의 평면도.
도 11 및 13은 도 8에 따라 확대되어 그려진 2차 부부의 측면도.
도 14는 도 8에 따라 확대되어 그려진 2차 부분의 평면도.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유리창에 고정부가 앵커 부품으로 테두리를 이루는 작업 이후에 조립되게 되며, 이 테두리 조립을 위한 압력의 형태가 상관적으로 간단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로서 유리창은 또다시 상관적으로 간단히 그리고 가볍게 압력형태로 끼울수 있으며 이후에도 이를 뺄 수 있게 된다. 이 조립전의 플라스틱으로 된 고정부는 일률적인 조립과정을 통해서 원하는 배열형식으로 간단히 유리창에 장치되며 부착되는 중간재료나 접착재에 의해서 유리창과 영구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차체부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재료가 작업된 이후에 제조된 유리창이 재차 간단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차체부의 설정된 자리에 인접하게 놓이게 되고, 또한 이곳에 고정대를 이용해서 맨처음에 정확한 차체부에 대한 상대위치에 자리를 잡게 된다. 이 유리창은 반드시 차체부에, 고정부의 앵커 부품이 고정 위치에 수용될 때까지 차체부에 밀게 된다. 유리창은 현재 또다른 조처없이 정확한 차체부의 자리에, 즉 접착제가 유리창과 차체부 사이에서 자신의 접착효과가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고정 유지되는데, 이는 당연히 유리창이 영구적으로 차체부에 고정되기 위해서다.
비슷한 방법으로서 청구항 제 2 항에 따라서 테두리가 유리창에 놓이게 된다. 고정부의 주부품은 유리창에 놓이게 되고 또한 마찬가지로 영구적으로 유리창과 결합 된다. 청구항 제 3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테두리를 형성하는 시간과 같이 두가지 형상을 이루는 것을 위한 유일한 하나의 과정인 즉 압력형으로서의 형태완성이 이루어지므로서, 두번째의 압력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어느 경우에도 일률적인 조립과정의 응용이 또한 필요하게 된다. 앵커 부품을 가지고 있는 2차 부품이 주 부품과 영구적으로 연결된 후에, 특히 이들과 접착된 이후에 유리창은 하나의 조립체로서 제조되며, 이 조립체가 단체형인 고정부에서와 같이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과제, 즉 위에서 말한 간단한 방법으로 실행되는 유리창을 제공하는 데에 그 근거를 둔다.
청구항 제 4 항에 따른 유리창에 있어서 유리창 주위에 스스로 그리고 유리창 테두리가 적어도 두개의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이 고정부가 이미 제공되어 있는 유리창의 배열 모양으로 영구적 결합되므로서 유리창은 -접착재 작업을 한 후에- 간단하게 그리고 가볍게 차체부에 놓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위치가 결정된다. 유리창을 압착시킨 후에 유리창은 차체부에 정확한 상대위치에서, 유리창과 차체부 사이에 이루어진 접착재가 자신의 완전한 접착능력에 이를 수 있을 때까지 고정된다.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유리창에 있어서 유리창 주위에 스스로 그리고 두개의 부분으로 된 주부품의 고정부가 유리창의 테두리에 이미 설정된 배열의 형태로 직접 구성되며, 이미 변형되어진 2차부분이 각각 놓이게 되고 영구적으로 유리창과 결합되는 데, 이는 조립용 유리창이 완성되기 위해서 이며, 이 조립이 또한 마찬가지로, 단체형의 고정부와 같이 단순한 방법에 의해서 가능하여진다. 이 유리창에 있는 주부분의 형성은 다음과 같이 큰 장점이 있는데, 이 주부분이 매우 정확하게 위치를 잡고 그리고 이로서 전체 고정부의 2 차부품을 조립한 이후에는 확실히 고정부의 경우보다 더 정확하게 위치를 잡게 되며, 이때의 고정부는 맨처음 추가로 유리창위에 놓고 유라창과 함께 접착된다; 왜냐하면 접착제가 고착이 될 때까지는 고정부의 이동이 있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선택적인 유리창의 형태를 통해서 정밀한 위치 선정을 위해 또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즉 2차 부품에 있어서 원통형의 안내면이 있고, 이 면이 유리창의 면 좌표 기준점에서 매우 정확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로서 유리창은 차체부에 따라 정확히, 다시 말해서 지금까지 보다 더 최소한의 한계오차로서 위치가 선정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청구항 제 7 항에 따른 형태를 통해서 유리창을 차체부에 위치 선정하는 것이 부가적으로 쉬워진다.
청구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따라 유리창이 형태를 이룰 때에는, 주부품이 특히 간단한 형태가 만들어지게 되고, 따라서 자신의 사출모양이 매우 단순하게 형태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서 유리창은 재차 주부품과 함께 매우 간단히 그리고 쉽게 형태로 뽑을 수 있다.
청구항 제 6항에서 제 9 항에 따라서 유리창이 형태를 이룰 때에는, 주부품과 2차부분의 접착면에서의 들어간 부분 및/또는 돌출부 및/ 또는 경사면을 통해서 2차 부분이 회전되지 않는 안전성을 이루고, 이로서 이들은 자신의 정확한 위치로 자리잡게 되어, 이의 안내면은 항상 정확히 자신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면에서 안내 및 위치선정의 문제가 해결되어진다. 청구항 제 6 항, 제 9 항 또는 제 10항에 따라서 유리창이 형태가 이루어지므로서, 2차부분은 자신의 마개를 가지게 되고, 또한 이 마개가 주부분의 들어간 부분에 맞게 이 마개가 끼워지게 되어, 주부품에서의 2차부분이 부가적으로 위치가 선정된다. 그밖에 2차부분이 주 부분을 부가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지지력이 보다 큰 모멘트를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이 되며, 이곳을 통해서 2차부분의 안내면은 안내 및 위치선정의 기능을 유리하게 가지게 된다.
청구항 제 11 항에 따른 형태로서 앵커모양의 요소가 완성되는데, 이 요소는 간단히 그리고 쉽게 배열된 차체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고 그리고 이후에 어떤 또다른 작업이 없이 이 앵커의 위치에 이 요소가 끼워지게 되고 유리창이 차체부에 안전하게, 즉 접착재료가 유리창과 차체부사이에서 충분히 고착될 때까지 고정 유지된다.
청구항 제 12 항에 따른 형태에 따라서 고정부가 완성되는 경우에, 이 고정부는 설계 가능칫수가 작은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큰 강도를 갖는 고정부를 완성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5 항, 제 6 항 그리고 제 13 항에 따른 유리창의 형태는 유리창에서의 주부분의 형태가 단순화되고 또한 다음과 같이 또다른 방법, 즉 테두리 뿐만아니라 주부분을 유일한 작업과정으로 유리창의 설정된 장소에 동시에 형성하는 방법을 이루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 나타나고 있는 실시예의 하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설명 한다.
도 1과 2로부터 나타난 단위 유리창체(10)는 좁은의미에서의 단어 즉 유리창(11)을 의미하며,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플라스틱으로 된 테두리(12)가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테두리(12)는 링모양으로 또한 폐쇄되어 있다. 이의 횡단면 형태는 제 1 프로필부분(13)을 보이고 있고, 이 프로필 부분(13)은 유리창(11)의 측면위에 가장자리 부분(14)에 장치되고 그리고 이곳에 접차재료를 이용해서 유리창과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제 2 프로필 부분(15)은 유리창(11)의 가장자리면(16)에 놓이게 되고 그리고 마찬가지로 접착재료를 이용해서 유리창과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테두리(12)의 제 3 프로필부분(17)은 제 2 프로필부분(17)과 연결되고 또한 유리창(11)의 외곽면의 외부에서 프로필부분(13)으로 부터 전향된 유리창(11)의 측면부에 따라서 연장된다. 프로필부분(17)은 인접하게 유리창(11)의 한면을 둘러싸고 있는 골격(18)과 또다른 외부에 놓이게 된 밀폐골격(19)으로 끝이 난다. 이 둘러싸인 골격(18)은 차체부(20)에서 단위 유리창체을 위한 자리로 사용되고, 자신쪽으로 자동차차체의 한부분을 이룬다.
단위 유리창체(10)가 접착재료의 부착(21)을 이용해서 차체부(20)와 영구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이 단위 유리창체(10)는 이른바 접착라우페라고 하는 한부분에 부착되어진다.
단위 유리창체(10)를 차체(20)로 위치선정하는 데 있어서 작업을 단순화하고 쉽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차체부(20)에 단위 유리창체(10)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접착재료(21)가 충분한 접착능력에 이를 때까지, 단위 유리창체(10)를 단위 유리창체(10)에 여러개의 안내 및 고정부가 배치되며,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고정부(22)로 표현하고 있다.
고정부(22)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혹은 특히 폴리아미드, 또는 한 단위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고정부(22)는 직선을 이루는 경사형 막대모양의 하부부분(23)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는 하나의 평면적인 장소면(24)를 이루고 있으며, 이 장소면과 함께 하부부분(23)은 유리창의 테두리(12) 외부에서 테두리(12)에 의해서 전향된 유리창의 측면부와 인접하게 놓인다. 또한 이는 접착재료(25)를 이용해서 유리창(11)과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하부부분(23)은 다시 안내마개(26)와 연결되고, 이 안내마개는 하부부분(23)에 대해서 계속 뽀족하게 되어 있다.
하부부분(23)과 안내마개(26)의 뽀쪽한 부분 사이에 있는 장소부와 두개로 서로 나누어져서 전향된 측면부위에 각각 하나의 사출아암(27)의 안내마개(26)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장소는 안내마개(26)에서 부터 하부부분(23)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사출아암은 펼쳐지지 않은 상태(도 5)에서는 최소한 직선에 가깝다. 또한 이 사출아암은 안내마개(26)의 연결부에서 고정부(22)의 축(28)에 대해서 설정된 펼침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 사출아암(27)은, 즉 최소한 하부부분(23)의 기준선까지 축(28)의 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이 일어난다.
고정부(22)는 단위 유리창체(10)에 조립보조기를 이용해서 배열모양으로 놓이게 되는데, 이 배열모양은 차체부(20)의 관통구멍(29)의 배열형식과 일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고정부(22)의 외곽선은 관통구멍(29)의 간격과 일치하게 되고, 따라서 고정부(22)와 혹은 이들의 안내마개(26)와 그리고 사출아암(27), 즉 이들을 통해서 관통구멍(29)은, 즉 사출아암(27)이 차체(20)의 반대측면으로 관통구멍(29)을 통해 나올 수 있어야 하고 그리고, 마치 도 2에서 보여 주듯이 관통구멍(29)을 둘러싸고 있는 가장자리로 이 사출아암이 펼쳐질 수 있을 때까지 끼워지게 된다.
단위 유리창체(10)는 다음과 같이, 차체(20)에 인접하게 놓고 이와함께 영구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유리창(11)은 테두리(12)의 평면영역에 접착재료를 분포시키고 테두리(12)를 위해 사출형으로 끼워넣게 된다. 테두리(12)의 재료는 사출형의 공동된 공간으로 사출되고 이로서 테두리(12)가 유리창(11)에 형성된다. 유리창(11)에서의 외곽부분에서 테두리(12)에 의해서 전향된 측면부에 있는 고정부(22)의 배열모양에 고정재료와 접착재료(25)가 배치되어진다. 고정부(22)는 일률적 조립이나 조립보조기를 사용하여 유리창(11)의 설정된 자리에 놓이게 되고 접착재료(25)를 사용해서 이들과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유리창(11)에서 유리창(10)과 차체(20)가 서로 겹치는 영역에서에 부착재(21)가 놓이게 된다. 이 단위 유리창체(10)는 차체에 놓이게 되고 동시에 안내마개(26)를 사용하므로서 위치를 잡게 된다. 단위 유리창체(10)는 이어서 차체(20)를 어떤 상태에 까지 계속해서 누루게 되어야만 하는 데, 즉 안내마개(26)가 사출아암(27)으로 차체(20)의 관통구멍(29)을 관통하고 사출아암(27)이 자신의 사출자리나 또는 앵커모양의 자리를 수용하며, 또한 이 자리에서 단위 유리창체(10)를 차체(20)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며, 또한 접착재료(21)가 충분한 접착능력에 이를 때까지 유리창체에 압력이 가해져야 하는데, 그 이유는 유리창(10)이 더 큰 지지력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이다.
도 3에서 나타나 있는 유리창(11)과 테두리(12)를 가진 단위 유리창체(10)의 위치선정과 단위 유리창체(10)를 차체(20)에 앵커로 걸기 위해서 두부분의 고정부(30)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배열형태에 따라서 고정부(22)과 같이 배치되고 영구적으로 이들과 결합한다.
고정부(30)는 외관상으로 또한 고정부(22)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고정부(30)에 대해서도 같다. 각각의 방법에 있어서 고정부(30)은 주부분(31)는 2 차부분(32)을 가지고 있다(도 4 와 도 5).
주부분(31)은 직선형 원추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이의 정상부에는 공모양으로 둥글게 되어있다. 이를 또한 경사막대라고 말하며, 이에 공모양의 반구로서 놓여있다. 주부분(31)은 테두리(12)와 같은 또는 비슷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이는 의도적으로 유리창(11)에서의 테두리(12)와의 같은 작업과정으로 형성되며, 이로서 테두리(12)에 의해서 전향된 유리창(11)의 측면부 위에 주부분(31)의 음각형이 사출형태로 가공된다. 이후에 2 차부분(32)이 주부분(31)위에 놓이고 그리고 이와 함께 영구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주부분(31)을 위한 재료의 주입은 사출형태로 주입관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주 부분(31)의 하부의 끝과 연결되고 직접적으로 유리창(11)을 따라서 작업된다. 이를 통해서 맨처음 주 부분(31)에 하나의 측면적 돌기(33)가 남아있게 된다. 이것은 곧바로 제거된다. 만약 이것이 계속해서 남아 있으면, 이것은 2차부분 쪽으로 잡아 늘일수 있다. 주부분(31)의 아래측면은 접착 또는 지주면(34)로 사용되고, 이와 같이 주부분(31)은 유리창(11)에 놓이고 이곳에서 접착중간재와 접착재를 사용하여 유리창(11)과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돌기(33)의 외부에 놓여있는 주부분(31)의 외부면은 2차부분(32)을 위해서 접착면(35)을 이루고 있다.
2차부분(32)은 외관상으로 고정부(22)와 똑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의 하부부분(36)은 하부측에서 시작해서 이루어진 공간부(37)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내부면은 하나의 접착면(38)을 이루고 있고, 상기 면은 주 부분(31)의 접착면(35)과 일치하게 된다. 하부분(36)에 둘러싸인 벽에 한쪽면의 여백부(39)가 있으며, 또한 이부분이 주부분(31)의 돌기(33)와 일치한다. 이 여백부(39)는 실제로 도 5 에서 나타나 있는 그림에 대해 90도 회전한 자리에 위치한다. 이는 돌기(33)과 함께 하나의 2차 부품(32)이 회전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2차 부품(32)는, 고정부(22)와 같이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졌다.
단위 유리창체(10)가, 유리창(11), 테두리(12) 그리고 주 부분(13)으로 만들고 단위 유리창체(10)는, 즉 주 부분(31)의 고정면(35) 및/또는 2차 부분(32)의 접착면(38)에 접착재를 놓고, 상기 접착재를 이용해서 영구적으로 이단위 유리창체와 완전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또한 고정부(22)가 유리창(11)에 영구적으로 놓이게 된후에 단위 유리창체(10)는 도 2 에 따른 실시형태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차체(20)와의 연결은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나타나 있는 유리창(11)과 테두리(12)를 가진 단위 유리창체(10)에의 경우에 있어서 위치선정과 단위 유리창체(10)를 앵커로 차체(20)에 걸기 위해서 두부분으로 된 고정요소(40)가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이 고정요소는 몇개의 부분으로 고정부분(30)에 대해 변형된다. 지금까지는 각각의 부분에서 이들의 조립방법 또는 효율성에 따라서 설명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정부(30) 또는 고정부(22)에 대한 설명이 유도되어야 한다.
고정부(40)는 주부분(41)과 2차부분(42)을 가지고 있다(도 7 과 8). 이는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각각 만들어 지고 처음에 서로서로 결합되고 접착재료를 이용해서 영구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주 부분(41)은 처음의 설명에서 처럼 경사막대로 이루어져 있고, 이 경사막대의 원주면은 계속해서 경사막대의 외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경을 이루는 측면부에 경사막대가 두개의 평평한 측면(44)으로 평면화 되어 있으며, 이는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주부분(41)의 축(45)과 평행하게 방향을 이루고 있다. 이 하부측은 평면형의 지지면(46)으로 되어 있고, 이와 함께 주 부분(41)은 유리창(11)에 인접하게 놓이게 되고 또한 이로서 고정중간재와 접착재료를 이용해서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상위의 끝단에는 주부분(41)이 수평적으로 연장된 평평한 정면(47)으로 되어 있다.
도 9와 11에서의 우측에 있는 측면부 위에 또다른 평면(48)이 있으며, 이평면(48)은 어떤 확실한 거리를 두고 지지면(46)위에서 부터 시작되며 또한 이는 경사막대의 외면(43)에 대해서 보다 더 심하게 한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상위 정면(47)의 아래면부터 어떤 확실한 높이내에서 평면(48)과 수평적으로 연장된 평평한 면과 연결되고, 이 평면(48)은 최소한 근접해서 로트결합되는 측면(51)에 최대한 근사하게 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측면(51)은 상위의 정면(47)에 까지 이르게 된다.
주부분(41)은 자신의 축(45) 중심에 공간부(52)를 가지고 있고, 또한 이 공간부가 상위 정면(47)에서 부터 지지면(46)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단 완전히 관통되지는 않는다. 이 공간부(52)는 상위 정면(47)으로 부터 계속해서 가늘어지고 원추형 경사막대 외면에 대해 유리하게 작은 원추형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주 부분(41)은 테두리(12)와 같은 재료 또는 가공역점에 근거해서 상이한 재료로 만들었다. 이는 의도적으로 테두리(12)와 같은 작업과정으로 유리창(11)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테두리(12)에 의해서 이루어진 유리창(11)의 측면부 위에 주부분(41)의 음각이 사출 형태로 제작된다. 주부분(41)을 위한 재료주입은 사출형태로서 주입관을 통과하므로서 이루어지고, 또한 이 주입관은 주부분의 하부끝과 수직적인 유리창 측면(11)부위에서 연결되고 직접적으로 유리창(11)에 따라서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서 측면에 돌기(53)가 남게 되고, 또한 주 부분(41)에 남게 된다. 도 10에서 1 점 쇄선으로 지시하고 있는 소위 사출형 가공재료 주입관과의 연결이 일반적으로 제거된다. 마주보며 자리잡고 있는 주부분(41)의 측면에 돌기(53)와 같은 또는 유사한 또하나의 돌기(55)가 있으며, 이 돌기는 관이 돌출하는 곳에서 만들어지며, 이 돌출관이 도면 10에 있어서의 마찬가지로 1점 쇄선으로 지시하고 있는 이른바 재료 배출구로 유도되고, 이 재료배출구는 마차가지로 나중에 제거된다. 도 12에서 부터 도 14까지 상세하게 2차 부분(42)의 세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소위 하부 종단면(61), 중간 종단면(62) 그리고 상위 종단면(63)을 나타내며, 또한 이들은 여러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고 또한 이에 따른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다.
하위 종단면(61)은 이의 상위끝단에서 최대한 수평에 가까운 정면(64)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정면(64)은 적어도 차체부(66)에 있는 관통구멍(65)의 기본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도 6). 이는 또한 차체부(11)의 지지면으로 사용되고 있다(도 6). 하위 종단면(61)은 자신의 하위측에서 공간부(67)를 가지고 있고, 이 공간부의 공간모양는 주부분(41)의 외형과 일치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2의 좌측에 있는 절단면(68)이 공동된 원추형의 경사막대 외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외면이 주부분(41)의 원추형 경사막대 외면(43)과 일치하게 되고, 그리고 도 12 의 우측에 있는 절단면(69)은 평평한 면로서 이루어져 있고, 이는 주부분(41)에 있는 측면(48)와 일치하게 된다. 같은 방법으로 공간부(67)의 측면부(71)는 주부분(41)에 있는 측면(44)과 일치하게 된다. 이렇게 일치하는 면들은 2차 부분(42)의 접착면(72)을 만들고 있으며, 또한 이들은 2 차부분(41)의 접착면(57)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
공간부(67)의 내부에는 마개(73)가 있으며, 이 마개는 2차부분(42)의 축(74)에 대한 중간부에 있게 되고, 또한 이 마개(73)은 하위 종단면(61)의 상위정면을 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덮고 또한 이 마개가 자신의 외형으로서 주부분(41)에 있는 공간부(67)의 공동된 모양과 일치하게 된다. 이 마개(73)의 외면은 마찬가지로 2차 부분(42)의 접착면(72)의 한부분을 이루어져 있다.
하위 종단면(61)과 연결된 중간 종단면(62)은 하나의 기준선을 가지고 있는데, 즉 차체부(66)의 관통구멍(65) 기준선 보다 작은 기준선이다. 공간부(67)의 원추형 경사막대 모양의 절단면(68) 측면에 놓이는 원주면의 한부분은 원통형 안내면(75)을 이루고, 이는 축(74)에 대해 중간에 있게 된다. 마주보고 앉아 있는 측면위에 중간부의 종단면(62)가 축(74)에 의해서 관통되는 평면에 까지 평평하게 되어있다. 이의 측면위에서 중간 종단면(62)의 상위부분이 사출아암(76)과 연결되고. 이는 또한 연결장소(77)을 아랫쪽으로 뿐만아니라 동시에 축(74) 방향으로 덮고 있으며, 혹은 어떤 정도, 즉 자신의 기준선이 차체부(66) 관통구멍(65)의 기준선위로 돌출되어 나올 정도로 덮고 있다. 작업위치에서 하위 정면(68)이 관통구멍(65)의 가장자리에서 차체부(66)과 연결되어 있다. 도 14 에서 보여 주듯이, 사출아암(76)은 중간의 종단면(62)과 같은 너비와 최대한 근접한 너비를 갖는다. 안내면(75)에 의해 전향된 외면(79)는 원통형의 곡률을 갖고 있으며, 이 곡률이 차체부(65)에 있는 관통구멍(65)의 가장자리의 곡선과 일치하게 된다.
사출아암(76)은 자신의 재료와 칫수의 선택이 이루어지므로서, 이 사출아암(76)은 차체부(66)에 있는 관통구멍(65)으로 고정부(40)가 중간 종단면(62)가 평평하게 되어서 발생하는 자유공간(81)으로 끼워질 때에 탄성 변형이 되고, 자신의 외면이 관통구멍(65)의 가장자리로 따라 들어가게 되며, 그 이전에 사출아암(76)이 관통구멍(65)로 부터 나온 후 재차 자신의 사출장소 또는 고정장소에, 도 6 에서 그리고 12에 그려진것 같이 스프링처럼 작용하고 있다.
중간 종단면(62)과 연결된 상위 종단면(63)은 자유 끝단까지 가늘게 연장된다. 이곳에서 공모양의 정상면(82)이 있으며, 중간 종단면(62)의 원통형의 안내면(75)과 연결된 중간의 종단면(62)의 한 부분이 원추면(83)을 이루고 있다.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측면위에 외면(84)이 경사지게 나와 있고 부분적으로 평탄되어, 사출아암(76)의 외면(79)으로 가는 과정이 매끄럽게 되어 있다.
주부분(41)에서의 돌기(53, 55)가 제거되지 않을 경우에는, 하위 종단면(61)의 하부벽 부분에 두개의 공간부(85)를 이루고, 이의 외곽선이 돌기(53, 55)의 횡단면과 일치하게 된다.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돌기(53, 55)는 한쪽으로 또한 공간부(85)는 다른쪽으로 각각 주부분(41)의 2차 부분(42)으로 정확한 위치선정하는 것을 돕고 그리고 동시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되어 있다.
고정부(40)의 구성을 위한 주 부분(41)과 2차 부분(42)의 제조와 조립은 같은 방법으로, 고정부(30)과 같이 완성된다.
Claims (13)
- 테두리로 장치된 유리창과 차체부, 특히 자동차 차체부와의 연결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유리창과 차체부에 의해 겹친 부분에서 차체부(20)로 저향된 측면위에 테두리(12)가 형성된 이후에 이미 설정된 배열형식에 적어도 두개의 앵커모양의 요소로 장비된 고정부(22)와 유리창(11)이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유리창(11) 및 또는 차체부(20)에 겹친 부분에서 접착재(21)로 둘러싸여지고, 이 유리창은 차체부(20)에 인접해서 놓이고 그리고 동시에 고정부(22)가 각각 차체부(20)의 관통구멍(23)과 일치한 곳에, 앵커모양의 요소가 이들의 앵커가 걸리는 장소에 삽입될 때까지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방법.
- 테두리로 장치된 유리창과 차체부, 특히 자동차 차체부와의 연결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유리창(11)과 차체부(20)가 겹치는 부분에서 차체부(20)로 전향된 측면 위에 최소한 플라스틱으로 된 두개의 고정부(30)에 의해서, 즉 주부분(31)과 앵커모양 요소(27)를 장치한 2차부분(32)을 가지고 있는 고정부(30)에 의해서 주부분(31)이 유리창(11)에 설정된 배치형태로 형성되고 동시에 영구적으로 이들과 결합하게 되며, 주부분(31) 및/ 또는 고정부(30)의 2차부분(32)은 서로 전향된 접착면(35, 38)의 하나에서 접착재로 둘러싸여지고, 고정부(30)의 2차부분(32)이 주부분(31)과 서로 하나가 되고 접착재를 이용해서 이와 영구적으로 결합되며, 유리창(11)및/또는 차체부(20)가 겹치는 부분에서 접착재(21)로 둘러 지고, 유리창(11)은 차체부(20)에 인접하게 놓이며 동시에 고정부(30)의 2차부분(32)이 이와 일치하는 차체부(20)의 관통구멍(29)에, 즉 앵커모양 요소가 이의 앵커가 걸리는 장소까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부(30)의 주부분(31)이 유리창(11)에 테두리(12)와 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방법.
- 유리창이 하나가 있고, 이 유리창(11)에 하나의 테두리(12)가 형성이 되며, 여기에 적어도 두개의 고정부(22)가 있고, 이 고정부가 측면에서 지지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지지면으로 고정부가 접착재(25)로 유리창과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이 고정부가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즉 차체부(20)에 있는 관통구멍(29)과 일치하고 그리고 이를 이용해서 유리창(11)이 차체부(20)에 위치가 선정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고정부가 지지면(24)으로 부터 떨어져 놓인 장소에서 적어도 하나의 앵커모양 요소를 가지고 있르며, 이 요소로 차체부(20)에 배치된 관통구멍(29)의 가장자리로 앵커가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유리창.
- 유리창(11)이 있으며, 이 유리창에 하나의 테두리(12)가 이미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는 유리창이 있고, 적어도 두개의 고정부(30), 즉 주부분과 2차부분(32)을 가지고 있는 고정부가 있으며, 이 주부분에는 하나의 지지면(34)이 있고, 이로서 주부분(31)이 유리창에 인접하게 놓이고 접착재로 유리창(11)과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의 2차 부분은 어떠한 형태, 즉 차체부(20)에 있는 관통구멍(29)와 일치하고 이로서 유리창(11)이 차체부(20)에서 위치가 선정될 수 있으며, 2차 부분(32)에서 적어도 하나의 앵커모양 요소가 있고, 이 요소로 2차부분(32)이 차체부(20)에서 배치된 관통구멍(29)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앵커가 걸릴 수 있고, 또한 접착면(38), 즉 주부분(31)의 접착면(35)과 일치하는 또다른 접착면(38)이 있으며, 이로서 이들이 접착재에 의해서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유리창.
- 하나의 유리창이 있으며, 즉 이 유리창에 하나의 테두리(12)가 이미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두개의 고정부(40), 즉 이는 하나의 주부분(41)과 하나의 2차부분(12)을 가지고 있고, 주부분(41)에는 하나의 지지면(46)이 있으며, 이 지지면으로 주부분(41)이 유리창(11)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고 접착재로 유리창과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2차부분(42)가 하나의 형태을 가지고 있는데, 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체부(66)의 관통구멍(65)과 일치하고, 또한 이 2차부분(42)은 하위 종단면(61)을 가지고 있고, 이 하위 종단면은 상위 끝부분에 놓여 있는 최대한 수평에 가깝운 정면(64)를 가지고 있으며, 이 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체부(66)에 있는 관통구멍(65)의 기준선으로 덮혀져있고, 또한 자신의 하위측에서 하나의 공간부(67)을 가지고 있으며, 이가 주부분(41)과 일치하고 또한 접착면(72)를 가지고 있고, 이 접착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부분(41)의 접착면(57)과 일치하며, 2차부분은 하부 종단면(61)과 연결된 중간의 종단면(62)을 가지고 있고, 이의 기준선은 차체부(66)에 있는 관통구멍(65)의 기준선보다 작으며, 그리고 이의 원주면이 부분적으로 원통형 안내면(75)을 이루고 있고, 이의 외면선이 2차부분(42)의 축(74)에 평행하게 향하고 있으며, 2차 부분(42)이 하나의 중간의 종단면(62)과 연결된 상위 종단면(63)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이것이 2차부분(42)의 자유 끝단(82)까지 계속해서 가늘어지며, 그리고 여기에 2차부분(42)의 중간 종단면(62)에서 앵커모양 요소가 있고, 이 요소가 상위끝의 종단부(62)의 부분에 있는 안내면(75)에 의해서 전향된 측면위에서 이와 연결되고, 이는 종단면(62)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차체부(66)에 있는 관통구멍(65)의 기준선위로 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이는 다음과 같이, 즉 차체부(66)에 있는 관통구멍(65)의 기준선 위로 돌출된 부분(78)이 안쪽의 한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유리창.
- 제 4 항 내지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고정부(22, 30)는 하나의 외곽형태, 즉 지지면(24; 34)에 의해서 전향된 끝단(26)까지 가늘어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주부분(31)은 하나의 곡률을 갖는 외곽형을 가지며, 이는 또한 하나의 외곽형태, 즉 지지면(34)에서 부터 이들에 의해 전향된 끝단까지 가늘어지고, 주부분(31)이 직선형의 원추로 이루어 졌으며, 이가 정상부에서 공모양으로 둥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 제 6 항에 있어서, 주부분(41)이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으로 곡률의 기준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주부분이 하나의 외형, 즉 지지면(46)에서 이에 의해 전향된 끝단까지 가늘어지는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2차부분에서 공간부 및/또는 돌출부(53, 55) 및/또는 주부분의 평탄면(44, 48, 49, 51)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 제 6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주부분(41)에서 공간부(52)가 있으며, 이 공간부는 로트하도록 되어 있고, 고정부(40)의 축(45)에 대해 중간에 배치되어 있고, 주부분(41)의 상위 끝단(47)에 의해서 지지면의 방향으로 덮혀져 있으며 그리고 동시에 가늘어지며, 또한 매우 작은 원추 각도로서 경사막대 외면을 이루고 있으며, 2차부분(42)의 공간부(67) 내부에서 주부분(42)을 위해 하나의 마개(73)가 있으며, 이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부분(41)에 있는 중간의 공간부(52)와 일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앵커모양 요소(27)는 사출아암으로 되어 있고, 서로 전향된 고정부(22)의 측면 또는 2차 부분의 측면 위에 쌍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이가 지지면(24; 34)과 떨어진 놓인 장소에 의해 지지면의 방향으로 덮혀져 있고 동시에 고정부(22)의 종축(28)에 대해서나 또는 2차 부분(32)의 종축에 대해서 이미 설정된 사출각도 아래로 경사가 이루어 지고 또한 종축(28)에 대해서 탄성 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 제 4 항 내지 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단체형의 고정부(22)와 두개의 부분으로 된 고정부(30)의 2차부분은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 제 5 항 내지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개의 부분으로 된 고정부(30)의 주부분(31)이 다음의 재료, 즉 테두리의 재료와 같은 또는 가공의 주안점에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 지고 또한 이 재료가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649762A DE19649762A1 (de) | 1996-11-30 | 1996-11-30 | Verfahren zum Verbinden einer Glasscheibe mit einem Bauteil und Bausatz für das Durchführen des Verfahrens |
DE19649762.0 | 1996-11-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7232A true KR20000057232A (ko) | 2000-09-15 |
Family
ID=781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704594A Withdrawn KR20000057232A (ko) | 1996-11-30 | 1997-11-19 | 유리창을 차체와 연결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키트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EP (1) | EP0941162A1 (ko) |
JP (1) | JP2001504777A (ko) |
KR (1) | KR20000057232A (ko) |
CN (1) | CN1238725A (ko) |
AR (1) | AR010074A1 (ko) |
BG (1) | BG103380A (ko) |
BR (1) | BR9713306A (ko) |
CA (1) | CA2273245A1 (ko) |
CZ (1) | CZ131399A3 (ko) |
DE (1) | DE19649762A1 (ko) |
HU (1) | HUP0001776A3 (ko) |
PL (1) | PL332944A1 (ko) |
WO (1) | WO199802464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4037185B4 (de) | 2004-07-30 | 2006-08-03 | Dura Automotive Plettenberg Entwicklungs- Und Vertriebs Gmbh | Verbindungsclip für ein Zierelement eines Kraftfahrzeugs |
DE102005036908A1 (de) * | 2005-08-05 | 2007-02-08 | Audi Ag | Vorrichtung zum Fixieren einer Scheibe |
DE102007024359C5 (de) * | 2007-05-24 | 2013-10-24 | Webasto Ag | Deckel für ein Fahrzeugdach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Deckels |
CN101835648B (zh) | 2007-10-24 | 2013-03-27 | 皮尔金顿汽车德国有限公司 | 定心销 |
US7976094B2 (en) | 2009-03-04 | 2011-07-12 | Zeledyne, Llc | Folding locator pin for glass panels |
DE102010019593B4 (de) * | 2010-05-05 | 2019-08-14 | Autoliv Development Ab | Fahrzeugbauteil mit einer Baugruppe und wenigstens einem Positionierungszapfen |
CN102616298A (zh) * | 2012-04-10 | 2012-08-01 |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玻璃安装的专用辅具 |
CN104442869A (zh) * | 2014-12-09 | 2015-03-25 |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 一种铁路货车用双密封车窗 |
CN104648092A (zh) * | 2015-01-22 | 2015-05-27 |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汽车后三角窗安装的改进卡扣 |
FR3041393B1 (fr) * | 2015-09-18 | 2018-03-23 | Psa Automobiles Sa. | Procede de collage de toles d’un vehicule automobile |
US10118467B2 (en) * | 2017-03-16 | 2018-11-0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Locating and retention pin |
TR201918999A1 (tr) * | 2019-12-02 | 2021-06-21 | Tofas Tuerk Otomobil Fabrikasi Anonim Sirketi | Yaylanabi̇len sabi̇tleyi̇ci̇ pi̇m |
US11318817B2 (en) * | 2020-04-24 | 2022-05-0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Articulating locating and retention member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307021A1 (de) * | 1983-02-28 | 1984-09-06 |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 Befestigungsanordnung fuer fahrzeugfenster |
FR2543534B1 (fr) * | 1983-03-31 | 1986-08-14 | Saint Gobain Vitrage | Perfectionnement au montage par collage d'un vitrage dans une bai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
FR2543535B1 (fr) * | 1983-03-31 | 1986-08-14 | Saint Gobain Vitrage | Vitrage de securite, et notamment pare-brise pour vehicules automobiles |
DE3400428A1 (de) * | 1984-01-09 | 1985-07-18 |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 Autoglasscheibe fuer die direktverglasung, und verfahren zum einsetzen einer autoglasscheibe in die fensteroeffnung einer fahrzeugkarosserie |
DE3516345C1 (de) * | 1985-05-07 | 1986-07-24 |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 Positioniereinrichtung fuer eine mit dem Aufbau eines Kraftwagens verklebbare Scheibe |
US4712341A (en) * | 1986-08-14 | 1987-12-15 | Ford Motor Company | Modular window assembly clip |
US4777699A (en) * | 1987-04-16 | 1988-10-18 | Sheller-Globe Corporation | Molded hinge assembly |
DE3730345A1 (de) * | 1987-09-10 | 1989-03-30 | Ver Glaswerke Gmbh | Kraftfahrzeugfenster |
JPH01204819A (ja) * | 1988-02-09 | 1989-08-17 | Toyoda Gosei Co Ltd | 自動車用窓ガラス |
JPH01145513U (ko) * | 1988-03-15 | 1989-10-06 | ||
JPH02254012A (ja) * | 1989-03-28 | 1990-10-12 | Hashimoto Forming Ind Co Ltd | 車輌用ウインドウの製造方法 |
US4986595A (en) * | 1990-01-24 | 1991-01-22 | Gold Peter N | Mechanical interlock of curable sealant for modular framed auto glass parts |
JPH04112108U (ja) * | 1991-03-19 | 1992-09-29 | 東海興業株式会社 | 自動車の固定窓用モ−ル付窓材 |
JPH06106976A (ja) * | 1992-09-24 | 1994-04-19 | Mazda Motor Corp | ウインドガラス取付構造 |
US5475956A (en) * | 1992-09-25 | 1995-12-19 | Donnelly Corporation | Panel assembly |
FR2699165B1 (fr) * | 1992-12-16 | 1995-01-20 | Ceca Sa | Procédé de collage verre-métal par adhésif prégélifiable et dispositif d'irradiation pour obtenir la prégélification. |
JP2604141Y2 (ja) * | 1993-12-28 | 2000-04-17 | 株式会社ニフコ | ウィンドシールド仮止め用ファスナ |
GB2284633B (en) * | 1993-12-10 | 1998-02-25 | Nifco Inc | Fastener assembly for securing a windshield on a vehicle body |
DE4404348A1 (de) * | 1994-02-11 | 1995-08-17 | Fritz Richard Gmbh & Co Kg | Verfahren für die Herstellung und den Einbau einer Glasscheibe mit Rahmen, insbesondere an einem Fahrzeugteil |
JP3246828B2 (ja) * | 1994-03-18 | 2002-01-1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輌用ガラス保持構造 |
US5635281A (en) * | 1994-08-12 | 1997-06-03 | Donnelly Corporation | Glazing using a melt-processible gasket material |
-
1996
- 1996-11-30 DE DE19649762A patent/DE19649762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7
- 1997-11-19 HU HU0001776A patent/HUP0001776A3/hu unknown
- 1997-11-19 BR BR9713306A patent/BR9713306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11-19 PL PL97332944A patent/PL332944A1/xx unknown
- 1997-11-19 CN CN97180113A patent/CN1238725A/zh active Pending
- 1997-11-19 CA CA002273245A patent/CA2273245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7-11-19 CZ CZ991313A patent/CZ131399A3/cs unknown
- 1997-11-19 WO PCT/EP1997/006467 patent/WO1998024649A1/de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11-19 EP EP97951245A patent/EP0941162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7-11-19 JP JP52512798A patent/JP2001504777A/ja not_active Ceased
- 1997-11-19 KR KR1019990704594A patent/KR20000057232A/ko not_active Withdrawn
- 1997-11-26 AR ARP970105575A patent/AR010074A1/es unknown
-
1999
- 1999-05-03 BG BG103380A patent/BG103380A/xx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38725A (zh) | 1999-12-15 |
HUP0001776A3 (en) | 2000-10-30 |
HUP0001776A2 (hu) | 2000-09-28 |
BG103380A (en) | 1999-12-30 |
DE19649762A1 (de) | 1998-06-04 |
PL332944A1 (en) | 1999-10-25 |
BR9713306A (pt) | 2000-03-21 |
EP0941162A1 (de) | 1999-09-15 |
CZ131399A3 (cs) | 1999-08-11 |
JP2001504777A (ja) | 2001-04-10 |
WO1998024649A1 (de) | 1998-06-11 |
AR010074A1 (es) | 2000-05-17 |
CA2273245A1 (en) | 1998-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57232A (ko) | 유리창을 차체와 연결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키트 | |
US4860459A (en) | Bubble level | |
US4477116A (en) | Sun visor for automotive vehicles with molding for visor body covering | |
US4237597A (en) | Process for the assembly of shaped leaves | |
US20110173797A1 (en) | Method of Loosely Prefixing at Least Two Components That are to be Firm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 |
KR101863380B1 (ko) | 압력 요소를 갖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유리 패널, 유리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유리 패널을 위한 삽입부 | |
JPS62200009A (ja) | 基板と発泡部分とから成る内装パネル用のパネル固定素子支持フエル−ル | |
CN206841346U (zh) | 车门三角饰板、车门总成和车辆 | |
ES2269796T3 (es) | Articulacion esferica. | |
CN111212532A (zh) | 一种用于电源壳体的防水机构 | |
WO2012153261A1 (en) | Door for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 |
EP3755517B1 (en) | Structural member and/or coupling arrangement and/or method for same | |
CA2970001A1 (en) | Fram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 |
KR102836189B1 (ko) | 와이어를 이용한 꽃 장식 인테리어 유닛 | |
CA1201143A (en) | Window glass raising arm, in particular for an automobile vehicle | |
KR0118476Y1 (ko) | 자동차의 카울체결구조 | |
KR101098422B1 (ko) |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 |
CN110962761A (zh) | 一种窗下框装饰件及车辆 | |
JPH0717583Y2 (ja) | ストップランプ付きリヤスポイラ | |
KR20080005533U (ko) | 자동차 맵포켓 조립체 | |
DE2729725C3 (de) | Außenrückblickspiegel | |
JP2607050Y2 (ja) | 車両用ルーフレールの接着接続部 | |
KR200199862Y1 (ko) | 의자의 좌판 및 등받이 고정구조 | |
JPS624010Y2 (ko) | ||
JPH0230386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905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