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48463A -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463A
KR20000048463A KR1019990064447A KR19990064447A KR20000048463A KR 20000048463 A KR20000048463 A KR 20000048463A KR 1019990064447 A KR1019990064447 A KR 1019990064447A KR 19990064447 A KR19990064447 A KR 19990064447A KR 20000048463 A KR20000048463 A KR 2000004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layer
polysilicon
single crystal
silic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872B1 (ko
Inventor
칼 래든스
울리케 그뤼닝
존 드브로쎄
잭 만델만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노쓰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노쓰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노쓰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0004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8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9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capacitor and the transistor being in a same trench
    • H10B12/395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capacitor and the transistor being in a same trench the transistor being vertic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8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being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10B12/038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being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wherein the transistor is vertic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8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being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10B12/038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buried strap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5Making the transistor
    • H10B12/053Making the transistor the transis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반도체 몸체 내에 형성된 메모리 셀은 저장 캐패시터로서 폴리실리콘 충전물을 가진 수직 트랜치부와 상기 트랜치부의 주위벽들내에 형성된 소스, 상기 반도체 몸체의 정상부 표면과 공통되는 표면을 가지고 상기 반도체 몸체 내에 형성된 드래인을 가지고, 또한 수직 및 수평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채널 영역 및 상기 트랜치부의 상부 부분내에 존재하는 폴리실리콘 게이트를 가진다. 제조 공정은 저장 노드 역할을 하는 폴리실리콘 충전물 부분의 정상부의 산화물 층 및 게이트 도체부 역할을 하는 폴리실리콘 충전물 부분을 절연시키는 단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본 발명은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에 관한 것이며, 특히 메모리 셀들의 배열이 행과 열로 배치되며 각 메모리 셀은 저장 캐패시터와 직렬인 스위치를 포함하여 비트들이 상기 스위치의 제어하에 판독되고 기록되는 반도체 칩(몸체)를 포함하는 DRAM 에 관한 것이다.
저장을 위한 캐패시터와 직렬인 스위치를 사용하는 종류의 DRAM 은 모든 집적 회로들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DRAM의 계속적인 경향은 단일 칩내에 저장된 메모리 셀들의 갯수를 증가시키는 것이고 현재 수백만에 달하며 계속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반도체 칩의 크기를 제한하면서 DRAM 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열의 개별적인 메모리 셀들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메모리 셀은 스위치 및 캐패시터로서, 절연된 게이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insu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stor;IGEF)로 공지된 n-채널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MOSFET)를 사용한다. 칩내의 깊은 수직 트랜치로서 형성되고, 인접한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된 저장 캐패시터의 사용은 매우 광범위하다. 상기의 경향과 관련하여, 단일 반도체 칩내에 형성된 셀들의 갯수를 매우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랜치의 정상부에 형성된 수직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향으로 흐르고 있다.
수직 트랜치 저장 캐패시터 및 수직 트랜지시터를 모두 사용하는 메모리 셀에서 발생되는 문제는 상기 저장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 사이의 필요한 절연을 편리하게 제공하는 문제이다.
도 1∼14는 반도체 몸체(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 일부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DRAM 에 사용하기 위한 한 쌍의 메모리 셀들의 형성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비율은 대략적인 것이며, 트랜치의 배경선은 실제적인 단면을 도시하지 않으며, 다른 개구(opening)들은 도시되지 않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표준 PAD 층 14 : 수직 트랜치
16 : 산화 방지층 20 : 실리콘 이산화물층
24 : TTO 층 28 : 게이트 유전체
30 : 게이트 42 : 드래인
43 : 소스 44 : 접촉 영역
본 발명의 한 면은 폴리실리콘-충전된 수직 트랜치내에 저장 노드가 위치하고 상기 트랜치의 주위벽을 따라 트랜지스트의 일부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저장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 사이에 더욱 우수한 유전체 절연을 가져오는 메모리 셀을 반도체 몸체내에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상기 셀들이 동시에 반도체 몸체에 형성되어 DRAM 을 형성시킨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저장 노드와 트랜지시터의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랜치의 정상부에서의 추가적인 실리콘 산화물 층의 성장을 위한 산화 장벽으로서 노드 유전체 층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다른 중요한 요소는, 게이트 도체와 저장 노드의 더욱 양호한 분리를 위해 실리콘 산화물로 채워진 상승된(raised) 얕은 트랜치의 사용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도체 몸체(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 몸체(기판))내에 형성된 깊은 수직 트랜치가 형성되고, 이후에 비교적 두꺼운 LOCOS 타입 칼라부(collar)가 산화물 칼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트랜치의 벽들 위의 실리콘 질화물 저장 노드 유전층 및 트랜치의 상부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트랜치는 그후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충전되고 함몰부는 상기 충전부의 정상부에 형성된다. 잔류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는 산화되어 트랜치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 위에 산화물층(트랜치 정상부 산화물)을 형성한다. 반도체 몸체는 모든 유전층의 트랜치의 정상부의 주위벽들을 노출시키고 또한 트랜치의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를 감싸는 산화물 칼라부의 부분을 에칭시키지만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에 고정된 트랜치 정상부 산화물층의 부분을 남기는 습식 등방성 에칭(wet isotropic etch)에 노출된다. 상기 고정된 트랜치 정상부 산화물층의 주위부를 감싸기 위해 트랜치를 포함하는 웨이퍼의 정상부 위로 도핑된 실리콘의 층을 퇴적한다. 상기 벽층은 트랜치의 도핑된 폴리실리콘 충전물을 연결하는 도체 스트랩(strap)을 제공할 것이며, 수직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상기 트랜치의 주위벽들 따라 형성될 것이다. 감싸고 있는 실리콘 층은 상당수 벗겨져 트랜치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위의 산화층의 주위를 둘러싸는 트랜치의 주위벽상의 일부만을 남기게 된다. 이것은 전술한 역할을 수행한다. 트랜치 정상부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몸체위에 성장된 새로운 산화물 층이 존재한다. 상기 새로운 산화물 층은 수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유전체 역할을 하여, 트랜치의 상부 부분을 충전하기 위해 반도체 몸체의 정상부 위에 현재 퇴적된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전술한 링크 실리콘 부분을 절연시킨다. 상기 새로운 폴리실리콘 층은 게이트 및 수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터 도체를 제공한다. 상기 게이트 도체 폴리실리콘 층은, 상기 DRAM 의 메모리 셀들 사이의 절연을 제공할 실리콘 산화물로 충전될 얕은 트렌치에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패턴화된다.
상기 공정의 나머지는 종래 기술의 얕은 트랜치 절연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래인은 트랜치에 인접한 단결정 실리콘내에 형성되고, 소스와 드래인 사이의 채널은 트랜치의 주위벽에 따른 벌크(bulk) 단결정 실리콘의 수직 부분, 및 단결정 실리콘의 정상부 표면의 수평 부분을 모두 포함한다.
어떤 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은 반도체 몸체내의 트랜지스터 및 저장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종류의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 셀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 셀은 비교적 깊은 트랜치 및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치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충전되고, 유전층에 의해 반도체 몸체와 절연되고, 그리고 메모리 셀의 저장 노드 역할을 하는 깊은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은 정상부에 산화물 층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몸체의 부분인 드래인 영역, 및 트랜치의 더욱 깊은 부분의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의 주위벽을 따라 반도체 몸체 내부에 배치된 소스 영역, 및 수직 및 수평 부분들을 포함하는 깊은 트랜치의 주위벽 및 반도체 몸체의 정상부 표면을 따라 소스 및 드래인 영역 사이에 연장된 채널 영역, 및 트랜치의 상부 부분을 충전하고, 트랜치의 더욱 깊은 부분의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에 형성된 유전층에 의해 트랜치 몸체의 더욱 깊은 부분의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도핑된 실리콘 게이트 도체부, 및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유전체의 일부로서 형성된 유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메모리 셀들로 형성된 반도체 몸체(예를 들면, 실리콘 웨이퍼, 기판)[1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DRAM 구조에서, 다수의 DRAM 들의 기본적인 구조들로 먼저 형성된 비교적 큰 실리콘 웨리퍼로 처리된 제품의 사용은 일반적이다. 상기 제품은 그 후 각각 1 이상의 DRAM 들을 수용할 다수의 분리된 실리콘 칩들로 절단된다. 반도체 몸체의 한정된 부분들에 대해 상기 DRAM 을 형성하는 공정을 논의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상부 표면[10a]를 포함하는 반도체 몸체[10](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로부터 시작된다. 반도체 몸체[10]에 형성된 메모리 셀들은 스위치로 n-채널 MOSFET들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에서 비트들을 기록하고 판독하는데 필요한 보조적인 회로들은, 메모리 셀 어래이들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회로 엘리먼트들이 n-타입 전도성 도핑의 표면 웰(well)들에 형성될 중심 어래이 영역을 감싸는 주변 영역들에 형성될 것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반도체 몸체들로 시작할 때 다른 모양들을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 몸체는 일정하게 도핑된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상의 실리콘 에피택셜 층 또는 절연층, 또는 다른 전도성의 반도체 기판내의 특정 전도성으로 형성된 웰일 수 있다. 메모리 셀들에 있어서 스위치들로서 p-채널 MOSFET 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되는 공정은 반도체 몸체[10]내의 분리된 깊은 수직 트랜치들[14]의 형성으로 시작된다. 결국, 반도체 몸체[10]의 정상부 표면[10a]은 표준 PAD 층[12]로 덮혀진다. 상기 PAD 층[12]은 일반적으로 실리콘 산화물의 얇은 하부층 및 실리콘 질화물 질화물의 두꺼운 상부층을 포함한다.
PAD 층[12]은 비교적 깊은 트랜치들[14]이 형성되는 하부 실리콘을 노출시키기 위해 패턴화된다. 트랜치[14]는 일반적으로 이방성 반응 이온 에칭(anisotropic reactive ion etching;RIE)에 의해 형성되어 수직 주위벽들을 가지게 된다. 트랜치[14]가 형성된 후, 트랜치의 주위벽들은 적합한 유전체, 일반적으로 실리콘 질화물의 산화 방지층[16]으로 선 배치된다. 그후 트랜치[14]는 적합한 저항물[18]로 충전되고 상기 저항물은 트랜치[14]의 정상부의 주위벽들만 노출되게 남겨지도록 함몰된다. 상기 결과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반도체 몸체[10]는 p-타입 전도성 실리콘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실리콘의 정상부 표면[10a]은 패턴화된 PAD 층[12]으로 덮혀져 트랜치[14]를 형성하는데, 상기 트랜치의 주위벽들이 유전층[16]으로 덮혀지고 저항물[18]로 부분적으로 충전된다.
다음으로, 트랜치[14]의 노출된 주위벽상의 유전층[16]은 에칭으로 벗겨지고, 트랜치[14]에 여전히 묻혀있는 저항체[18]는 적절한 형태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다. 실리콘 이산화물 층[20]은 트랜치의 하부 영역의 방지층[16]에 의해 마스킹(masking)된 트랜치의 상부 영역에서 열적 산화에 의해 성장된다. 이것은 트랜치[14]의 상부 부분의 주위벽들이 비교적 두꺼운 실리콘 산화물 칼라부[20]로 덮혀지고 상기 트랜치[14]의 나머지 부분들은 비교적 얇은 유전층[16]으로 덮혀지도록 한다. 포토리지스트(photoresist)[18]에 의해 덮혀져 있었던 실리콘 질화물 방지층[16]의 나머지들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형성된 저장 캐패시터의 노드 유전층으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층[21]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치[14]의 벽들위에 형성된다. 상기 층[21]은 일반적으로 실리콘 산화물 층 및 실리콘 질화물 층의 조합이다.
트랜치[14]는 n-타입 도핑된 폴리실리콘[22]으로 충전된다. 일반적으로 마지막에는, 트랜치[14]는 과충전되고 그후 반도체 몸체[10]의 정상부 표면[10a]은 PAD 층[12]을 에칭 정지부로서 사용하여 평탄화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평탄화는 화학적 기계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CMP)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트랜치[14]가 충전되고 평탄화된 후, 반응 이온 에칭 또는 건식 에칭이 사용되어 트랜치의 폴리실리콘 충전물[22]의 정상부에 함몰부[23]를 형성한다. 상기 결과는 정상부에서 함몰된 것으로 도시된 폴리실리콘 충전물[22]과 함께 도 4 에서 도시된다. 층[21]은 함몰부[23]내의 칼라 층[20]위에 퇴적된 채 남아 있다.
이 순간, 트랜치의 폴리실리콘 충전물[22]의 정상부는 산화 분위기내에서 반도체 몸체[10]를 가열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산화되어 트랜치 정상부 산화물(trench top oxide;TTO) 층[24]을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형성한다. 잔류 실리콘 질화물[21]은 상기 산화동안 트랜치[14]의 충전되지 않은 정상부의 주위 벽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반도체 몸체[10]는 습식 에칭을 겪게 되는데, 상기 에칭은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화물 모두를 에칭할 수 있어 노출된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을 에칭하여 도 6 에 도시된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는데, 상기 도면에는 칼라부[22]의 정상부가 제거된 트랜치[14]의 상부 주위벽 부분[14a]을 따라 노출된 반도체 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폴리실리콘 충전물[22]의 주위벽들의 정상부[25] 또한 노출되어 있다. 에칭에 의해 높이가 감소된 TTO 층[24]은 여전히 트랜치 폴리실리콘 충전물[22]의 정상부에 잔류하는 부분[24a]을 가진다.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22]의 주위벽들의 정상부[25]는, 캐패시터의 저장 노드인 트랜치에 잔류하는 폴리실리콘 충전물[22]과, 트랜치[14]의 주위벽[14a]에 형성될 수직 트랜지시터 사이의 낮은 저항 연결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결국, 반도체 몸체[10]는, 트랜치[14]의 노출된 표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몸체[10]의 노출된 표면들 위에 n-도핑된 폴리실리콘 층[26]을 퇴적하기 위해, 저압 화학적 증착법(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LPCVD) 공정에 노출된다. 상기 결과는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층[26]은 이전에 노출된 표면[25]에서 폴리실리콘 충전물과 접촉하는 스트랩 부분[26a]을 포함한다.
도 8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후 반도체 몸체[10]는 다른 등방성 에칭 공정에 의해 노출된 실리콘 층[26]의 대부분을 제거하지만 이전에 노출된 표면[25]에서 폴리실리콘 충전물과 접촉하는 스트랩 부분[26a]은 남기게 된다.
상기 진하게 도핑된 n+ 타입의 스트랩 부분[26a]은, 다음 공정에서 발생될 가열중에, n 타입 도펀트(dopant)를 제공하는데, 상기 도펀트들은 밖으로 확산되고 단결정 실리콘내에 형성될 트랜지시터의 n+ 타입 전도성 소스 영역[43](도 14 에 도시)을 형성한다. 도 9 에서와 같이, 표면[10a]상의 잔류 PAD 층[12]이 제거되어 하부 실리콘을 노출시키고, 실리콘 산화물[28]의 층은 평면 정상부 표면[10a] 및 노출된 트랜치 주위벽들 및 정상부 트랜치 산화물[24a]을 포함하는 반도체 몸체[10]의 노출된 표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산화물 층[28]은 트랜치[14]의 주위를 따라 형성될 수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유전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고, 또한 상기 TTO 층[24]의 잔류 부분[24a]에 의해 제공된 전기적 절연에 가산된다.
형성될 수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도체부(게이트)로서 사용되기 적합한 진하게 도핑된 폴리실리콘[30]의 층 및 실리콘 질화물[32]의 층이 도 10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례로 상기 표면위에 퇴적된다. 상기 층의 도핑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역할을 폴리실리콘 층[30]이 하도록 적절하게 선택된다. 상기 폴리실리콘 층[30]은 일반적으로 각 깊은 트랜치 위에 대략적으로 중심을 가지는 오목한 부분[32a]을 가지고, 상기 오목한 부분은 정합 제어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 질화물 층[32]은 그 후 2 개의 초기 트랜치들[14]의 양쪽에 반도체 몸체[10]의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패턴화되고, 또한 패턴화되어 반도체 몸체[10]의 중심 부분을 노출시키고, 상기 반도체 몸체의 중심 부분은 실리콘 산화물[36]로 충전되며, 상기 산화물은 반도체 몸체[10]의 상기 부분에 형성된 두 개의 셀들을 서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초기 깊은 트랜치들[14]위의 중심에 위치된 절연 트랜치[34]가 형성되었다. 트랜치[34]는 2 개의 초기 트랜치들[14]의 양쪽에 일부[34a]를 가진다. 실제로,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트랜치[34]는 상기 배열내의 모든 깊은 트랜치들[14]을 서로 서로 절연시키는 연속적인 트랜치이며, 상기 트랜치 일부[34a]는 깊은 트랜치[14]의 인접한 쌍(미도시)와 한 쌍의 초기 깊은 트랜치들[14]을 절연시킬 상기 트랜치[34]의 일부이다.
트랜치 절연을 제공할 실리콘 산화물[36]은 반도체 몸체[10]의 표면[10a]위에 퇴적되고 상기 PAD 층[32]상의 CMP 정지부에 의해 평탄화되어 연속적인 트랜치[34]내에 실리콘 산화 충전물[36]을 제공하여 도 12 에서 도시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실리콘 질화물 층[32]을 제거하여 하부 폴리실리콘[30]을 노출시키고, 그후 트랜지스터의 열(row)의 각 게이트 도체부를 상호 연결하는 워드 라인 역할을 할 표면위에 도체 층[38]이 퇴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워드 라인 도체는 텅스텐 또는 백금 규화물과 같은 금속 규화물이다. 상기 도체층[38]은 그후 실리콘 질화물 층[40]으로 덮혀져 도 13 에 도시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실리콘 질화물 층[40] 및 도체부[38]은 그후 리소그라피에 의해 패턴화되고 에칭된다. 통상적인 형태로, 반도체 몸체[10]의 정상부 표면[10a]에 트랜지스터의 n+ 타입 전도성 드래인 영역[42]이 형성되어 도 14 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가 완성된다. 2 트랜지스터 각각은 n+ 타입 전도성 소스[43](실리콘 n+ 타입 부분[26a]에서 형성된), 게이트 유전체[28], 게이트[30], 및 드래인 영역[42]를 포함한다. 분리된 접촉 영역[44]은 각 드래인 영역[42]에 연결된다. 영역[44]은 각각 별도의 비트 라인에 연결된다. 반도체 몸체[10]가 다양한 공정 동안 겪는 가열은, TTO 층[24]의 잔류 부분[24a]의 위의 실리콘 산화물 층[28]의 부분 위에 연장될 수 있도록 n+ 타입 영역의 경계선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키기 위하여 n+ 타입 소스 영역[26a]의 밖으로 도우너(donor) 도펀트의 충분한 확산을 제공하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드래인 영역[42]은 실제적으로 상기 공정의 다양한 초기 단계들에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의 나머지 부분들은 통상적인 것들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몸체[10]의 표면 위를 지나는 비트 및 워드 라인들, 및 접촉 플러그 및 비트 및 워드 라인들 사이의 상호 연결에 사용되는 다양한 접촉 플러그를 절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의 유전체 층이 제공된다.
도 14 에서, 저장 캐패시터의 제 2 플레이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인 n+ 타입 전도성 층[47]이 도시된다.
저장 노드가 수직 트랜치[14]의 더욱 깊은 부분의 도핑된 폴리실리콘 충전물[18]에 의해 형성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소스[43]는 트랜치의 중간 부분의 주위벽내에 형성되고, 트랜지스터 드래인[42]은 반도체 몸체[10]의 정상부 표면[10a]에 형성되고,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채널은 트랜치의 주위벽 부분을 따라 부분적으로 소스[42] 및 드래인[43] 사이에 연장되고, 반도체 몸체의 정상부 표면[10a]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메모리 셀이 만들어 졌다. 상기 트랜치의 폴리실리콘 저장 노드의 유전체 절연은 초기 TTO 층[24]의 부분[24a] 및 부가된 유전층[28]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적용예에서, 당업계의 일반적인 실무에 따라, 저장 노드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영역이 소스 영역으로 기술되었지만, 동작시 소스 및 드래인 영역은 판독 및 기록 동작에서 반대의 역할을 한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며,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은, 트랜치의 폴리실리콘 충전물 및 게이트 도체부 사이의 유전층을 종래 기술의 공정에서 제공하던 것보다 더욱 두꺼운 유전층으로 제공하는 공정에 있다.
상기 저장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 사이의 절연을 편리하게 제공한다.

Claims (4)

  1. 반도체 몸체내의 트랜지스터 및 저장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종류의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 셀에 있어서,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충전된 깊은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주위벽들을 가진 비교적 깊은 트랜치부로서, 유전층에 의해 상기 반도체 몸체와 절연되고 상기 메모리 셀의 저장 노드 역할을 하고, 그리고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은 정상부에 산화층을 포함하는 상기 비교적 깊은 트랜치부; 및
    상기 반도체 몸체의 부분인 드래인 영역, 상기 트랜치부의 더욱 깊은 부분의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에서 주위벽을 따라 상기 반도체 몸체내에 존재하는 소스 영역, 수직 및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몸체의 정상부 표면 및 상기 깊은 트랜치부의 주위벽을 따라 상기 소스 및 드래인 영역들 사이로 연장된 채널 영역, 및 상기 트랜치의 상부 부분을 충전시키고, 상기 트랜치부의 더욱 깊은 부분내의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에 형성되었던 유전층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유전체의 일부로서 형성되었던 유전층에 의해 상기 트랜치부의 더욱 깊은 부분내의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도핑된 실리콘 게이트 도체부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 셀.
  2. 저장 캐패시터와 직렬인 스위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리콘 산화물의 하부층과 실리콘 질화물의 상부층을 포함하는 2중 층을 단결정 실리콘 층의 정상부 표면위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층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2중 층을 패턴화하는 단계;
    반응성 이온 에칭에 의해 상기 단결정 실리콘 층 내에 수직 주위벽들을 가지는 깊은 트랜치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들의 벽들 위에 실리콘 질화물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부 부분은 충전시키지 않은 채 상기 트랜치부들을 저항 물질로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단결정 실리콘 벽들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랜치부의 충전되지 않은 상부 부분의 상기 벽들에서 상기 실리콘 질화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노출된 단결정 실리콘 벽들 위로 비교적 두꺼운 칼라부 산화물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주위벽들에서 상기 잔류 방지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저장 캐패시터의 유전층으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상기 트랜치부의 벽들위에 실리콘 질화물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를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레벨 위로 노출된 상기 칼라부 산화물의 부분을 남긴 채, 상기 칼라부 산화물의 중간 지점의 레벨에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높이가 맞도록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에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의 상기 도핑된 폴리실리콘의 정상부 위에 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함몰부의 상기 주위벽들을 따라 단결정 실리콘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트랜치부내의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정상부 주위로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칼라부 산화물 및 마지막에 언급한 산화물 층을 에칭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 및 상기 단결정 실리콘 층을 연결하는 스트랩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핑된 실리콘으로 상기 함몰부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노출된 상부 부분, 상기 트랜치부의 정상부의 상기 산화물 층의 정상부, 및 상기 스트랩 부분의 위에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전층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유전층으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게이트 도체부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상기 트랜치부의 빈 상부 부분을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상기 단결정 실리콘의 상기 산화물 층으로 덮혀진 표면 위로 연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셀들을 서로 분리시키는데 적합한 얕은 트랜치부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지막에 언급된 도핑된 폴리실리콘 층을 패턴화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은 트랜치부의 상기 영역에 인접한 상기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래인으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영역을 상기 단결정 실리콘 층내에 형성하여, 상기 스트랩 실리콘 부분에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으로 확산에 의해 형성된 소스 영역과 상기 드래인 영역 사이에 트랜지스터의 채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캐패시터와 직렬인 스위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층의 상기 단결정 정상부 표면은 소정의 전도성 타입이고, 상기 실리콘 층에 형성된 상기 드래인 영역은 상기 정상부 표면과 반대의 전도성 타입이고, 상기 실리콘 스트랩 층은 상기 정상부 표면과 반대의 전도성 타입이고, 그리고 상기 깊은 트랜치부의 상기 더욱 깊은 부분내의 상기 실리콘 충전물은 상기 정상부 표면과 반대의 전도성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캐패시터와 직렬인 스위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 형성 방법.
  4. 저장 캐패시터와 직렬인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
    소정의 전도성 타입의 단결정 실리콘 층내에 수직 주위벽들을 가진 비교적 깊은 트랜치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벽들위에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부 부분의 상기 주위벽들 위에 비교적 두꺼운 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정상부의 상기 주위벽들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결정 실리콘 층의 것과 반대의 전도성 타입으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상기 트랜치부를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 위에 정상부 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내의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상부 부분의 상기 주위벽들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상부 레벨 이하로 상기 비교적 두꺼운 산화물 칼라부를 에칭하는 단계, 및 상기 단결정 실리콘 층 및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상부 부분의 상기 노출된 주위벽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정상부 산화물 층의 주위벽 부분을 에칭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상부 부분의 상기 노출된 주위벽 및 상기 단결정 실리콘 층 사이의 상기 공간을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트랜치부의 미충전된 부분내에 도핑된 폴리실리콘의 층을 퇴적하는 단계;
    상기 단결정 실리콘 층에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을 연결하는 도체 스트랩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공간내에 퇴적된 상기 도핑된 폴리실리콘의 부분만을 남기도록 상기 마지막 퇴적된 폴리실리콘 층을 에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간내에 퇴적된 상기 도핑된 폴리실리콘내의 도펀트들은 상기 단결정 실리콘 층내로 확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결정 층의 표면의 수평 부분,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주위벽들에 따라 상기 소스의 영역까지의 수직 부분, 및 상기 정상부 트랜치 산화물 층을 포함하는 상기 트랜치부의 상기 폴리실리콘 충전물의 상기 정상부 위에 연장된 수평 부분을 가지는 게이트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 수평 부분들 및 수직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게이트 유전층 위에 도핑된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유전층의 상기 단결정 층의 표면의 수평 부분에 인접한 상기 단결정 층 내에 드래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캐패시터와 직렬인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9990064447A 1998-12-29 1999-12-29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22,391 US6255683B1 (en) 1998-12-29 1998-12-29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9/222,391 1998-12-29
US09/222,391 1998-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463A true KR20000048463A (ko) 2000-07-25
KR100624872B1 KR100624872B1 (ko) 2006-09-19

Family

ID=2283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44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872B1 (ko) 1998-12-29 1999-12-29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55683B1 (ko)
EP (1) EP1017095A3 (ko)
JP (1) JP2000196045A (ko)
KR (1) KR100624872B1 (ko)
CN (1) CN11618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9226B1 (en) * 2000-09-27 2003-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protecting array top oxide
US6621112B2 (en) * 2000-12-06 2003-09-16 Infineon Technologies Ag DRAM with vertical transistor and trench capacitor memory cell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6576945B2 (en) * 2001-02-05 2003-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a compact trench-capacitor DRAM cell with body contact
DE10111755C1 (de) * 2001-03-12 2002-05-16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peicherzelle eines Halbleiterspeichers
TW506059B (en) * 2001-09-25 2002-10-11 Promos Techvologies Inc Forming method for shallow trench
US6959108B1 (en) * 2001-12-06 2005-10-25 Interactive Design, Inc. Image based defect detection system
US6838722B2 (en) * 2002-03-22 2005-01-04 Siliconix Incorporated Structures of and methods of fabricating trench-gated MIS devices
US6586300B1 (en) * 2002-04-18 2003-07-01 Infineon Technologies Ag Spacer assisted trench top isolation for vertical DRAM's
US7847344B2 (en) * 2002-07-08 2010-12-07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utilizing oxide-nitride nanolaminates
US7221586B2 (en) * 2002-07-08 2007-05-2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utilizing oxide nanolaminates
US7221017B2 (en) * 2002-07-08 2007-05-2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utilizing oxide-conductor nanolaminates
US8629019B2 (en) * 2002-09-24 2014-01-14 Vishay-Siliconix Method of forming self aligned contacts for a power MOSFET
US6727141B1 (en) * 2003-01-14 2004-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AM having offset vertical transistors and method
TWI225678B (en) * 2003-04-15 2004-12-21 Nanya Technology Corp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rench top isolation layer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DE10321739A1 (de) * 2003-05-14 2004-12-09 Infineon Technologies Ag Bitleitungsstruktu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20050151182A1 (en) * 2004-01-13 2005-07-14 Yi-Nan Chen Isolation structure for trench capacitor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I229940B (en) * 2004-01-30 2005-03-21 Nanya Technology Corp Memory cell with a vertical transis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DE102004031385B4 (de) * 2004-06-29 2010-12-09 Qimond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egfeldeffekttransistoren in einer DRAM-Speicherzellenanordnung, Feldeffekttransistoren mit gekrümmtem Kanal und DRAM-Speicherzellenanordnung
US7132333B2 (en) 2004-09-10 2006-11-07 Infineon Technologies Ag Transistor, memory cell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stor
JP2006229140A (ja) * 2005-02-21 2006-08-3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US7494876B1 (en) 2005-04-21 2009-02-24 Vishay Siliconix Trench-gated MIS device having thick polysilicon insulation layer at trench botto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583485B1 (en) 2005-07-26 2009-09-01 Vishay-Siliconix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for integrated circuits
US8110469B2 (en) 2005-08-30 2012-02-07 Micron Technology, Inc. Graded dielectric layers
US7544545B2 (en) 2005-12-28 2009-06-09 Vishay-Siliconix Trench polysilicon diode
JP2009524248A (ja) * 2006-01-18 2009-06-25 ビシェイ−シリコニクス 高い静電放電性能を有する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構造
JP2007220734A (ja) * 2006-02-14 2007-08-3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709402B2 (en) 2006-02-16 2010-05-04 Micron Technology, Inc. Conductive layers for hafnium silicon oxynitride films
US10600902B2 (en) 2008-02-13 2020-03-24 Vishay SIliconix, LLC Self-repairing field effect transisitor
US7968876B2 (en) * 2009-05-22 2011-06-2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hase change memory cell having vertical channel access transistor
US9230810B2 (en) 2009-09-03 2016-01-05 Vishay-Siliconix System and method for substrate wafer back side and edge cross section seals
US9425305B2 (en) 2009-10-20 2016-08-23 Vishay-Siliconix Structures of and methods of fabricating split gate MIS devices
US9419129B2 (en) 2009-10-21 2016-08-16 Vishay-Siliconix Split gate semiconductor device with curved gate oxide profile
JP5736394B2 (ja) 2010-03-02 2015-06-17 ヴィシェイ−シリコニックス 半導体装置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DE112012002136B4 (de) 2011-05-18 2025-03-27 Vishay-Siliconix Halbleitervorrichtungen
US8642423B2 (en) 2011-11-30 2014-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lysilicon/metal contact resistance in deep trench
CN107078161A (zh) 2014-08-19 2017-08-18 维西埃-硅化物公司 电子电路
US11217541B2 (en) 2019-05-08 2022-01-04 Vishay-Siliconix, LLC Transistors with electrically active chip seal ring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218144B2 (en) 2019-09-12 2022-01-04 Vishay-Siliconix, LLC Semiconductor device with multiple independent gat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989A (en) * 1986-02-20 1989-01-31 Fujitsu Limit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trench capacitor with polysilicon lined lower electrode
JPH01253956A (ja) * 1988-04-04 1989-10-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法
JPH025467A (ja) * 1988-06-23 1990-01-10 Texas Instr Japan Ltd 半導体装置
US4945069A (en) * 1988-12-16 1990-07-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rganic space holder for trench processing
TW425718B (en) * 1997-06-11 2001-03-11 Siemens Ag Vertical transistor
US5831301A (en) * 1998-01-28 1998-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Trench storage dram cell including a step transfer device
US6074909A (en) * 1998-07-31 2000-06-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ntrolled deep trench top isolation 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55683B1 (en) 2001-07-03
KR100624872B1 (ko) 2006-09-19
EP1017095A2 (en) 2000-07-05
CN1262527A (zh) 2000-08-09
CN1161841C (zh) 2004-08-11
JP2000196045A (ja) 2000-07-14
EP1017095A3 (en) 200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872B1 (ko)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EP1003219B1 (en) DRAM with stacked capacitor and buried word line
US5937296A (en) Memory cell that includes a vertical transistor and a trench capacitor
US5065273A (en) High capacity DRAM trench capacitor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S5214603A (en) Folded bitline, ultra-high density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access transistors stacked above trench storage capacitors
US6590259B2 (en) Semiconductor device of an embedded DRAM on SOI substrate
US578033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shaped capacitors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integrated circuits
US6265742B1 (en) Memory cell structure and fabrication
US6008513A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cells with minimum active cell areas using sidewall-space bit lines
US5854105A (en) Method for mak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ells having double-crown stacked capacitors with center posts
US20020196651A1 (en) Memory cell layout with double gate vertical array transistor
KR20000006181A (ko) 절연칼라를포함하는트렌치커패시터및그제조방법
US6762447B1 (en) Field-shield-trench isolation for gigabit DRAMs
KR100530304B1 (ko) 비대칭 내부 스페이서를 갖는 dram 셀, 그 dram 셀의 형성 방법 및 집적 회로 형성 방법
KR19990006509A (ko) 산화 응력이 감소된 소자와 그 제조 방법
JP2004104135A (ja) Soi型トランジスタを用いたsoi型トランジスタ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US7125790B2 (en) Inclusion of low-k dielectric material between bit lines
US5656532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oaxial capacitor of a semiconductor device
USRE32090E (en) Silicon integrated circuits
KR100441569B1 (ko) 수직 트랜지스터 디램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1818B1 (ko) 메모리 셀 형성 방법
US20020197801A1 (en) Method for forming a single wiring level for transistors with planar and vertical gates on the same substrate
US6130127A (en) Method for mak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ells having cactus-shaped stacked capacitors with increased capacitance
HK1024983A (en) Dram with stacked capacitor and buried word line
HK1009207A (en) Memory cell that includes a vertical transistor and a trench capac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