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47974A - 지폐입출금기 - Google Patents

지폐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974A
KR20000047974A KR1019990055560A KR19990055560A KR20000047974A KR 20000047974 A KR20000047974 A KR 20000047974A KR 1019990055560 A KR1019990055560 A KR 1019990055560A KR 19990055560 A KR19990055560 A KR 19990055560A KR 20000047974 A KR20000047974 A KR 20000047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anknotes
bank
bills
withdraw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1172B1 (ko
Inventor
카토우리이치
마쯔우라쿠니히사
우쯔미이쯔노리
오쿠나켄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3968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4797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0004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7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65H83/025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onto and from the same side of the pile or st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inventory of valuable papers
    • G07D11/25Relocation of valuable papers within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 B65H2405/313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with integrated handling means, e.g. sepa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ile Receiv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 입출금구(20)와 지폐판별부(30)를 지폐입출금기(1)의 상부에, 그리고 지폐수납고(60, 70, 80, 81)를 하부에 배치하고, 지폐반송로를 상부와 하부로 분할가능하게 구성하며,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전체를 둘러싸는 장치광체와는 별도로, 하부지폐반송로와 지폐수납고로 이루어지는 하부지폐기구(1b)만을 둘러싸는 금고광체(106)를 실장할 수 있도록 하며, 하부지폐반송로(개폐반송로)(90)를 금고광체의 이용자조작측 벽면 혹은 이와 반대측의 벽면 근방에 배치하고, 또한 금고광체내의 지폐수납고를 담당직원이 조작하기 위한 개폐문을, 이용자측에서 조작하는 앞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이용자측에 실장하고, 이용자측과 반대측에서 조작하는 뒷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이용자측과 반대측에 실장함으로써, 간소한 지폐반송로구성을 가지는 지폐입출금기, 일본엔화 지폐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이즈의 지폐에 대하여 지폐걸림이 적은 신뢰도 높은 지폐입출금기, 이용자나 담당직원의 조작성과 보안면에서 다양한 사양에 따른 범용성 높은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지폐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종래에는, 예를들어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현금자동인출장치에 실장되는 지폐입출금기는, 이용자가 지폐를 투입하고, 투입된 지폐를 연속배출하고, 또한 이용자에게 방출할 지폐를 수납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상기 지폐판별부를 통과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구비하고, 또한 입금한 지폐를 일단 수납하는 일시보관고와, 입금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와, 출금용 지폐를 연속배출하는 출금고와, 입출금 겸용인 지폐를 수납하여 연속배출하는 리사이클고와, 입금고나 리사이클고에 수납하지 않는 입금지폐나, 출금고에서 연속배출된 지폐 중에서 출금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와, 리사이클고에 대하여 보충할 지폐를 연속배출하고,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회수고 등의 각 유니트를 조합시킨 구성으로 배치되며, 각 유니트의 구성, 배치 및 각 유니트를 접속하는 지폐반송로의 루트는 다양한 구성을 하고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7-267513호 공보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폐감별장치를 한방향으로 통과하는 2개의 고리모양 반송로(8자모양)를 가지며, 한쪽의 고리모양 반송로에 입금고, 출금고 및 일시 보류부를 배치하고, 다른 한쪽의 고리모양 반송로에는 리사이클고 및 회수상자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10-188074호 공보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폐감사부를 쌍방향으로 통과하는 쌍방향 반송로를 가지며, 입출금구 및 일시 보관고(일시 보류수납부), 리사이클고(만엔 및 천엔지폐 수납부)를 접속하고 있다.
현금자동인출장치의 보급에 따라, 지폐입출금기는 종래의 기능이나 성능을 확보하면서, 소형화, 저비용, 사용에 있어서의 편리함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한편, 취급하는 지폐는, 국내에서의 외국지폐 취급의 증가와 외국에서의 지폐입출금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일본엔화 지폐뿐만 아니라, 외국지폐도 취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요구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장치가 있으며, 취급하는 지폐의 금종, 이용자 조작에 관련된 입출금을 위한 지폐슬롯의 배치, 담당직원조작에 관련된 전후면조작, 보안에 관련된 금고광체 등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 높은 지폐입출금기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입금한 지폐를 출금에 리사이클시키는 환류타입의 지폐입출금기에서는, 입출금구와 금종마다 구비한 리사이클고와 지폐판별부와 지폐반송로가 배치되고, 지폐반송로는, 지폐판별부를 중심으로 가지모양으로 합류/분기되는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일본 특허공개 평7-267513호 공보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폐반송로는, 지폐감별장치를 통과하여 입출금구의 하부를 통과하는 제 1 고리모양의 지폐반송로와, 지폐감별장치를 통과하여 리사이클고를 경유하는 제 2 고리모양의 지폐반송로로 이루어지는 "8자 모양"의 지폐반송로를 구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10-188074호 공보에 기재된 예는, 지폐감별부를 쌍방향으로 통과하는 쌍방향 반송로를 가지며, 입출금구 및 일시 보관고, 리사이클고(만엔 및 천엔지폐 수납부)를 접속하고 있다. 이 쌍방향 반송로는, 각각 다른 구동원을 필요로 하는 3개의 쌍방향 반송로로 구성되며, 입금(입금의 확정전 동작, 입금의 확정후 동작), 출금동작시, 각각의 반송로의 방향을 독립적으로 절환할 필요가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금융기관의 자동기 코너에서 하루종일 무인으로 가동되므로, 이용자의 현금 입출금의 거래에 대하여 신뢰성 높은 가동을 필요로 한다. 예를들어, 입금거래에 있어서는, 다양한 이용자가 접히거나 찢어진 지폐, 혹은 동전이나 이물질을 지폐와 섞어서 입금구에 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지폐를 연속투입할 때, 한쪽으로 크게 치우치거나 찢어져 있어 반송상태에 따라서는 지폐반송로에서 걸리게 될 가능성이 많다. 더우기, 외국지폐도 취급할 수 있는 장치에서는, 금종의 수가 일본엔화의 경우보다 늘어날 뿐만 아니라, 지폐의 크기가 금종에 따라서 가로, 세로방향 모두 크게 다른 경우가 많으며, 입금구에 투입한 여러장의 지폐는 제대로 정열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지폐가 접히거나 찢어진 정도도 각국의 지폐의 유통사정차원에서 본다면, 일본엔 보다도 악조건인 지폐들이 있다. 상기 종래예에서는, 복잡한 분기/합류를 가지는 지폐반송로를 경유하고 있다. 따라서, 지폐반송로에서 지폐가 걸리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예에서는, 취급하는 지폐의 금종수에 대해서는 증설할 수가 있어 범용성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이용자, 담당직원의 조작성, 보안에 관한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간소한 지폐반송로구성의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일본엔화 지폐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지폐에 대하여 지폐가 걸리는 경우가 적은 고신뢰도의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이용자나 담당직원의 조작성과 보안면에서 다양한 사양의 현금자동인출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용자나 담당직원의 조작성과 보안면에서 범용성이 높은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출금구와, 지폐판별부와, 지폐수납고와, 지폐반송로를 가지는 지폐입출금기에 있어서, (1) 입출금구와 지폐판별부를 지폐입출금기의 상부에 배치하고, 지폐수납고를 하부에 배치하며, 지폐반송로를 지폐입출금기의 상부와 하부에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전체를 둘러싸는 장치광체와는 별도로, 하부지폐반송로와 지폐수납고로 이루어지는 하부지폐입출금기만을 둘러싸는 금고광체를 실장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지폐반송로를, 금고광체의 이용자 조작측 벽면 혹은 이와 반대측 벽면의 근방에 배치한다. (2) 또한, 지폐수납고를 이용자측 혹은 이용자와 반대측의 어느 한쪽의 수평방향에도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 하부지폐반송로를 개폐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3) 혹은 하부지폐반송로를, 전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이용자와 반대측으로, 후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이용자측으로 되도록 상기 하부지폐기구를 전후반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담당직원의 조작성이나 보안면에서 다양한 사양의 현금자동거래장치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담당직원의 조작성과 보안면에서 범용성 높은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4) 지폐반송로를, 지폐판별부를 통과하여 한방향으로 고리모양으로 반송하는 메인지폐반송로와, 입출금구 및 일시보관고와, 상기 메인반송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유니트반송로와, 하나 이상의 지폐수납고와 상기 메인반송로 사이를 접속하는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수납고반송로로 구성하고, (5) 일시보관고는, 회전드럼을 포함하여, 지폐판별부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순서대로 상기 회전드럼에 감아 보관하고, 소정의 거래가 성립된 후, 상기 회전드럼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감겨진 지폐를 지폐반송로로 반송하는 기구로 구성하고, 일시보관고를, 입금된 지폐 중 지폐판별부에서 금종이 확정된 지폐를 거래가 성립될 때까지 보관하는 입금지폐 일시보관고로 함과 동시에, 출금거래시 상기 지폐수납고에서 연속배출된 지폐 중 지폐판별부에서 금종이 확정되지 않은 리젝트지폐를 거래가 성립될 때까지 보관하는 출금리젝트지폐 일시보관고로 함으로써, 간소한 지폐반송로 구성으로 다양한 크기의 지폐에 대하여 지폐가 걸리지 않는 고신뢰도의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적용한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한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입출금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폐입출금기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현금 자동거래장치의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입출금구의 측면도이다(기본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입출금구의 측면도이다(입금시).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입출금구의 측면도이다(연속배출동작시).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입출금구의 측면도이다(수납동작시).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입출금구의 측면도이다(출금시).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일시보관고의 구성예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입금고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출금고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리사이클고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장전계수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장전수납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회수계수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회수수납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입출금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적용한 현금자동거래장치의 한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3에 나타낸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입출금기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구성의 모식도이다(구성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구성의 모식도이다(입금계수시).
도 3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구성의 모식도이다(입금수납시).
도 3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구성의 모식도이다(취소반환시).
도 3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구성의 모식도이다(출금시).
도 3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구성의 모식도이다(출금리젝트 수납시).
도 3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지폐반송로구성의 모식도이다(놓고 간 지폐의 회수시).
도 39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입출금기구의 제 4 실시예의 한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입출금기구의 제 4 실시예의 다른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5 : 지폐입출금기 1a, 3a, 4a : 상부반송기구
1b, 3b : 하부지폐기구 4b : 하부반송기구
20, 21 : 입출금구 20a, 21a : 지폐슬롯
30 : 지폐판별부 35 : 제어부
40 : 일시보관고 50, 52 : 지폐반송로
60 : 입금고 65 : 리젝트고
70 : 출금고 80 : 리사이클고
81 : 장전·회수고 90, 91 : 개폐반송로
92 : 하부반송로 101, 111 : 현금자동거래장치
101a : 상부정면판 101b : 장치광체
101c : 장치의 앞문 101d : 장치의 뒷문
101e : 전원부 102, 112 : 카드·명세표 처리기구
102a, 112a : 카드슬롯 105 : 고객조작부
106 : 금고광체 106a : 금고광체의 앞면문
106b : 금고광체의 뒷면문 107 : 본체제어부
107a : 버스 107b : 인터페이스부
107c : 담당직원조작부 107d : 외부기억장치
113a : 통장슬롯 114 : 주화입출금기구
114a : 주화슬롯 201 : 셔터
203, 203a : 누름판 204 : 앞판
205, 205a : 뒷판 206, 701 : 피이드롤러
207, 704, 803 : 게이트롤러 210 : 지폐
211, 601 : 스택롤러 212, 604, 804 : 브러시롤러
212a : 탄성부재
213, 404, 602, 603, 702, 802 : 백업롤러
216 : 지폐호퍼 401 : 회전드럼
402 : 감기축 403 : 유도테이프
405 : 입구롤러 411, 412 : 구동원
413 : 토크리미터 501g, 501h, 901a : 반송로
502∼505, 513∼518, 903 : 절환게이트 540, 541 : 접속지폐반송로
605 : 아래 스택가이드 606 : 위 스택가이드
608 : 압출플레이트 609 : 압출보조가이드
610 : 압출지점샤프트 611 : 윗 간막이판
613 : 아래 간막이판 615, 706, 806 : 누름판
616 : 스택진행중인 지폐수납공간 617 : 스택완료된 지폐수납공간
618 : 구동벨트 651 : 간막이판
652 : 상부수납공간 653 : 하부수납공간
705 : 분리가이드 708 : 상면가이드
709 : 바닥판 가이드 711, 811 : 픽업롤러
801 : 스택·피이드롤러 805 : 분리·스택가이드
807 : 바닥면벨트 808 : 바닥판
809 : 하부 긁어냄롤러 812 : 상부 긁어냄롤러
< 제 1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현금자동거래장치(101)의 좌측내부에는 상부정면판(101a)에 설치된 카드슬롯(102a)과 연결되어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방출하는 카드·명세표 처리기구(102)와,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조작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금자동거래장치(101)의 우측내부에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입출금기(1)를 갖추고 있으며, 상부의 기울어진 정면판(101a)에 지폐슬롯(20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입출금기(1)의 하부의 지폐수납부는, 장치광체(101b)와는 별도로 수십 mm의 두꺼운 철판으로 구성되는 금고광체(106)로 둘러싸여 있다. 장치광체(101b)도 견고한 광체구조로 되어 있지만, 금고광체(106)는 더욱 견고한 구조로 되어 있어 보안성을 높이고 있다. 이 현금자동거래장치(101)는 카드, 지폐, 명세표를 매체로 하여 이용자의 입금, 지불, 계좌이체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제어블럭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금자동거래장치(101)에 수납된 카드·명세표처리기구(102), 지폐입출금기(1) 및 고객조작부(105)는, 버스(107a)를 매개로 본체제어부(107)와 접속되어 있으며, 본체제어부(107)의 제어하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체제어부(107)는, 상술한 것 외에, 인터페이스부(107b), 담당직원조작부(107c), 외부기억장치(107d)와도 버스(107a)로 접속되어 있어 필요한 데이터의 주고받기를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101e는 상기 각 기구, 구성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이다.
도 3은, 도 1의 현금자동거래장치 중에서, 본 발명에 관한 지폐입출금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지폐입출금기(1)는,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인출을 수행하는 입출금구(20)와, 지폐의 판별을 수행하는 지폐판별부(30)와, 입금된 지폐를 거래성립까지 일단 수납하는 일시보관고(40)와, 입금시 거래가 성립된 지폐를 수납하는 하나의 입금고(60)와, 출금용 지폐를 수납하는 하나의 출금고(70)와, 입출금 겸용인 2개 의 리사이클고(80)와, 리사이클고(8)에 보충하는 지폐와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회수고(81)와, 지폐판별부(30)를 통해 입출금구(20), 일시보관고(40),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에 대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50)와, 도시를 생략한 제어부로 구성되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5)는 장치의 본체제어부(107)와 버스(107a)를 매개로 접속되며, 본체제어부(107)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입출금기(1)의 상태검출에 따라 지폐입출금기(1)의 제어를 수행하며, 또한 지폐입출금기(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본체제어부(107)로 보낸다. 지폐입출금기(1) 중에서는, 각 유니트(입출금구(20), 지폐판별구(30), 일시보관고(40), 지폐반송로(50),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의 구동모터와 전자솔레노이드, 센서와 접속되며, 거래에 따라 센서에서 상태를 감시하면서 액츄에이터를 구동제어한다.
본 지폐입출금기(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출금구(20), 지폐판별부(30), 일시보관고(40)와, 지폐반송로(50)로 구성되는 상부반송기구(1a)와,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 및 각 수납고의 전면에 배치하는 개폐가능한 반송로(90)로 구성되는 하부지폐기구(1b)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지폐기구(1b)는 약 50mm 정도의 두꺼운 철판으로 구성되는 금고광체(106) 안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부반송기구(1a)와 하부지폐기구(1b)와의 반송로는 연결반송로(501h)로 접속되어 있다.
연결반송로(501h)는, 하부지폐기구(1b)를 둘러싸는 금고광체(106)의 상면철판의 상부반송기구(1a)의 반송로(501g)와 하부지폐기구(1b)의 반송로(901a)의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면철판에 뚫려 있는 슬릿은, 지폐가 통과하기 위한 길이와 상기 슬릿에 반송되어 온 지폐를 협지하여 연속배출하도록 설치된 반송롤러 폭의 크기를 가진다. 하부지폐기구(1b)를 금고광체로 둘러싸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는, 하부지폐기구(1b) 상에 직접 상부반송기구(1a)가 재치된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반송로의 구동원(모터)은, 상부반송기구의 반송로와 하부지폐기구의 반송로에서 따로따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단일한 구동원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반송로(501g-501h-901a)간에 설치된 기어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지폐입출금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금자동거래장치(101)의 우측내부에 실장된다. 장치의 타입에 따라서 전면조작형이나 후면조작형을 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약간 구성이 다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당직원이 장치전면에서 조작하는 타입인 전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장치의 앞문(101c) 및 금고광체(106)의 앞면문(106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문(101c 및 106a))을 열고 또 지폐입출금기(1)의 개폐반송로(90)를 열면, 각각에 손잡이가 달린 수납고가 나타난다. 담당직원은 이 손잡이로 각 수납고를 꺼내어 지폐의 보충 및 회수, 그 밖의 보수작업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당직원이 장치후면에서 조작하는 타입인 후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장치의 뒷문(101d) 및 금고광체(106)의 뒷면문(106b)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문(101d 및 106b)을 열면 각각 손잡이가 달린 수납고가 나타난다. 담당직원은 이 손잡이로 각 수납고를 꺼내어 조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부지폐기구의 앞면 또는 뒷면의 문 근방에 개폐반송로를 설치하는 구성을 도입함으로써, 지폐의 보충·회수조작, 이상발생시 걸린 지폐를 제거하는 조작 등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문의 개폐를 앞 또는 뒤로 바꾸는 정도로 담당직원의 조작을 앞면조작형과 뒷면조작형 모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수납고에 레일을 설치해 두면, 수납고를 부드럽게 끌어낼 수 있다.
또한, 지폐반송로(50)는, 지폐판별부(30)를 쌍방향으로 통과하고, 화살표(501a∼501h) 및 화살표(901a∼901e)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경유하여 입출금구(20), 일시보관고(40),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를 접속시키고 있다. 각 화살표 중 한쪽방향의 화살표는, 지폐가 그 화살표 방향으로만 반송되는 한방향 지폐반송로이며, 양방향의 화살표는 지폐가 거래동작마다 쌍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절환되어 반송되는 쌍방향 반송로이다. 도 6에, 도 5의 지폐반송로(50)(501a∼501h 및 901a∼901e)와 각 유니트(20, 30, 40, 50, 60, 70, 80, 81)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도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도 6에서는 50의 일부, 70 및 81은 생략하고 있다). 이들 지폐반송로(5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로 구동하고, 도 7∼도 13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 거래동작마다 모터의 회전방향을 절환한다. 또한, 지폐반송로(50)의 분기점에는, 절환게이트(502, 503, 504) 및 5곳의 절환게이트(902)가 있으며, 각 거래동작마다 각각 신호(a, b)와 같이 지폐반송방향을 절환한다.
지폐반송로(50) 중, 하부지폐기구(1b)에 있어서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의 앞부분에 있는 5곳의 지폐반송로(901a∼e)는, 일체로 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개폐반송로(90)를 구성하고 있으며, 도 5(a)에 나타낸 앞면조작형 장치에서는, 담당직원은 개폐반송로(90)를 열어 입금고(60),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도 13의 각 거래동작마다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이하 본 실시예의 상기 각 유니트(20, 30, 40, 50, 60, 70, 80, 81)의 상세한 내용과 동작을 도 14∼도 2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입출금구(2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201)를 가지며, 셔터(201)를 화살표(217)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개폐시키고, 도시한 201a의 상태로 이동시켜 열어 도시한 화살표(202) 방향으로 이용자가 출금시의 지폐를 꺼내거나 입금시의 지폐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지폐호퍼(216)는 실선과 파선으로 나타내는 사이를 회전한다.
입금거래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가 지폐를 입금할 때는, 셔터(201)를 열어 지폐호퍼(216)에 지지된 앞판(204)과, 누름판(203), 뒷판(205)의 사이에 지폐(210)가 투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입금된 지폐의 연속배출동작시, 셔터(201)를 닫아 지폐호퍼(216)를 회전시킨 후, 누름판(203)으로 피이드롤러(206)의 방향으로 눌러대어 누름판(203a), 앞판(204a)의 상태로 하여 피이드롤러(206)의 회전동작에 의해 보내지며, 연속배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207)로 2장씩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입출금구(2)의 지폐(210)는 화살표(208) 방향으로 연속배출되고, 지폐반송로(50)로 합류되어 장치내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장치내로부터 출금되는 지폐나 입금시 지폐판별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이유로 리젝트되는 지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내로부터 화살표(501f) 방향으로 반송되어 와서, 회전하는 스택롤러(211)와 백업롤러(213) 사이로 보내진다. 브러시롤러(212)는 백업롤러(213)와 동일축상에 있으며, 탄성부재(212a)가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백업롤러(213)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스택롤러(211)와 백업롤러(213) 사이로 보내진 지폐는, 정지한 브러시롤러(212)의 탄성부재(212a)에 접속하여 탄성부재(212a)의 탄성변형력에 의해 스택가이드(214) 사이에서 마찰저항력을 받으면서 통과하여, 스택롤러(211)와 백업롤러(213)에 의한 협지반송력이 없어지는 도시한 파선(215)으로 나타내는 지폐위치에서 일단 정지하고, 그 직후에 브러시롤러(212)를 회전시켜 누름판(203a), 뒷판(205a) 간의 공간에 집적된다. 이로 인해, 지폐는 수납공간내에서 상방향으로 튀어나가는 일 없이 브러시롤러(212)에 의해 단지 수평방향으로 긁어냄으로써 연속해서 반송되는 지폐끼리 간섭되지 않으며, 상하의 부정렬이 적어 이용자가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호퍼(216)를 회전시킨 후, 셔터(201)를 열어 지폐호퍼(216)에 수납된 지폐를 이용자에게 방출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폐판별부(30)는,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1쌍의 롤러간으로 지폐가 반송되었을 때의 롤러변위를 검출하여, 2장 겹쳐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2장 검출부와, 이미지센서 등으로 지폐의 인쇄 등을 검출하여 지폐의 금종, 진위를 판별하는 감별부로 구성되며, 각 통과지폐의 판별결과를 제어부(35)에 보고한다.
일시보관고(40)는, 입금거래시, 입출금구(20)로부터 입금되어 지폐판별부(30)에서 금종이 확정된 지폐를 순서대로 수납하여 거래가 성립될 때까지 일단 보류하고, 거래가 성립된 후 순서대로 방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아울러,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출금거래시 지폐판별부(30)에서 금종이 확정되지 않은 리젝트지폐를 수납하고 출금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일단 보류하며, 동작이 종료된 후 출금리젝트 수납동작시 리젝트지폐를 방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 구성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의 유도테이프(403)와, 유도테이프(403)와 함께 반송된 지폐를 감는 회전드럼(401)과, 유도테이프(403)만을 감는 감기축(402)과, 회전드럼(401)으로 지폐의 진입을 안내하는 유도테이프(403)와 함께 회전하는 입구롤러(405)와, 대향하는 백업롤러(404)로 구성된다. 유도테이프(403)의 양단을 지지하는 회전드럼(401)과 감기축(402)은, 각각 별도의 구동원(411, 412)에 접속되며, 감기축(402) 측에는 구동원(412)과의 사이에 토크리미터(413)를 두고 있다.
또한, 유도테이프(403)의 초기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초기위치센서와, 유도테이프(403)의 거의 종료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니어풀센서를 설치하고, 입구롤러(405)에는 유도테이프(403)의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의 유도테이프(403)의 감겨진 양을 검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인코더를 설치해 두고, 이들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35)에서 타이밍 등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입구롤러(405)로부터 회전드럼(401) 측의 반송상에 일시보관고 통과센서를 설치해 둘 수도 있다.
수납동작 전에는 유도테이프(403)는 초기위치까지 감기축(402) 측으로 감겨져 있다. 수납지폐를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회전드럼(401)이 유도테이프(403)를 감는 방향으로 구동원(411)을 구동하고, 유도테이프(403)의 주행속도가 지폐의 진입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회전시켜, 절환게이트(503)를 도시한 503a 방향으로 절환하고, 출입구게이트(504)를 도시한 504a의 방향으로 절환하며, 화살표(501c)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입금지폐를 화살표(501d), 화살표(454)를 경유하여 순서대로 회전드럼(401)에 감겨진다. 한편, 감기축(402)은 구동원(412)에 의해 유도테이프(403)에 장력이 걸리도록 토크리미터(413)를 매개로 구동되어 있어, 유도테이프(403)는 휘어지는 일 없이 회전드럼(401)에 지폐와 함께 감겨진다.
방출동작시에는, 감겨진 지폐는 출입구게이트(504)를 도시한 504b의 방향으로 절환하고, 회전드럼(401)을 역으로 회전시켜, 감기축(402)을 감는 방향으로 토크리미터를 매개로 유도테이프(403)에 장력을 걸면서, 수납시와는 반대 순서로 화살표(455)를 경유하여 지폐반송로(50)로 송출된다. 방출동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2종류로서, 절환게이트(504)를 도시한 504a로 하면 화살표(501d, 501c) 방향으로 방출되며, 도시한 504b로 하면 화살표(501e) 방향으로 방출된다.
다시 도 3에 있어서, 입금고(60)는 본 실시예에서는 1개 실장되어 있으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금고 외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기어를 매개로 구동되는 회전하는 스택롤러(601)와, 스택롤러(601)에 대향하는 백업롤러(602, 603)와, 백업롤러(603)와 동일축상에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백업롤러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탄성부재가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브러시롤러(604) 및 아래 스택가이드(605), 위 스택가이드(606)에 의해 스택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지폐수납공간은 윗 간막이판(611)과 아래 간막이판(613) 및 누름판(615)으로 형성되는 스택완료인 지폐수납공간(617)과, 윗 간막이판(611)과 아래 간막이판(613) 및 위 스택가이드(606), 아래 스택가이드(605)로 형성되는 스택진행중인 지폐수납공간(616)으로 이루어진다.
입금고(60)에 수납하는 지폐는, 지폐반송로(화살표901a)에서 절환게이트(903)가 도시한 903b의 상태로 절환되고, 화살표(902a)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회전하는 스택롤러(601)와 백업롤러(602, 603) 사이로 보내진다. 스택롤러(601)와 백업롤러(603) 사이로 보내진 지폐는, 정지한 브러시롤러(604)의 탄성부재(604a)에 접촉하고, 탄성부재(604a)의 탄성변형력에 의해 아래 스택가이드(605)와의 사이에서 마찰저항력을 받으면서 통과하며, 스택롤러(601)와 백업롤러(603)에 의한 협지반송력이 없어지는 위치에서 일단 정지하여, 그 직후에 브러시롤러(60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택진행중인 지폐수납공간(616)으로 연속해서 반송되는 지폐는 서로 간섭이 일어나는 일 없이 집적된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구동벨트(618)를 구동하고, 구동벨트(618)에 연결한 압출플레이트(608), 압출보조가이드(609), 압출지점샤프트(610), 위 스택가이드(606)가 화살표(621, 622) 방향으로 도시한 점선(608a, 609a, 610a, 606a)의 위치까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벨트(618)에 연결한 윗 간막이판(611), 윗 간막이판지점 샤프트(612)가 화살표(625) 방향으로 도시한 점선(611a, 612a)∼(611b, 612b)∼(611c, 612c)의 순서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택진행중 지폐수납공간(616)에 집적된 지폐는, 스택완료된 지폐수납공간(617)의 지폐와 일체가 되어누름판(615)을 화살표(624) 방향으로, 또한 아래 스택가이드(613)를 화살표(623) 방향으로 밀어넣는다. 다음으로, 구동벨트(618)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여 압출플레이트(608), 압출보조가이드(609), 압출지점샤프트(610), 위 스택가이드(606), 윗 간막이판(611), 윗 간막이판지점 샤프트(612)를 초기위치까지 되돌려 상기 스택진행중인 지폐수납공간(616)을 빈 상태로 만들어 다음의 집적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출금고(70)는 본 실시예에서는 1개 실장되어 있으며,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금고 외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기어를 매개로 구동되는 회전하는 피이드롤러(701), 픽업롤러(711)와, 피이드롤러(701)에 대향하여 회전하는 백업롤러(702)와, 피이드롤러(701)에 대향하여 연속배출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704)에 의해 분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출금용 지폐는 바닥판가이드(709), 누름판(706)과 분리가이드(705), 상면가이드(708)로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담당직원에 의해 정렬되어 세트되고, 맨 앞면의 지폐는 누름판(706)에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픽업롤러(711)로 밀어붙혀진다. 누름판(706)은 수납공간내를 가동하여 수납지폐가 감소됨에 따라 연속배출지폐가 픽업롤러(711)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수납지폐를 이동시킨다. 픽업롤러(711)로 밀어붙혀진 지폐는 회전하는 피이드롤러(701)와 픽업롤러(711)의 동작에 의해 송출되며, 연속배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703)에서 2장씩 보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살표(902e)의 방향으로 1장씩 반송되어, 지폐반송로의 화살표(901e) 방향으로 반송된다.
리사이클고(80)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실장되어 있으며, 도 22에 그 구성을 나타내었다.
리사이클고(80)는, 상술한 지폐를 연속해서 수납하는 입금고(60)와 지폐를 연속해서 분리배출하는 출금고(70)의 기능을 모두 갖추어, 수납과 분리연속배출을 할 수 있는 수납고이며, 상술한 출금고(70)에서 설명한 분리기구와 동일한 형상의 스택·피이드롤러(801), 픽업롤러(811)와, 회전하는 백업롤러(802)와, 스택방향으로 회전하고 연속배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803), 게이트롤러(803)와 동일축상에 있으며 탄성부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브러시롤러(804), 및 분리시와 스택시에 가동하는 분리·스택가이드(805)에 의해 스택·분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바닥판(808), 누름판(806)과, 바닥판(808)으로부터 상면에서 지폐 아래면을 지지하도록 걸쳐있는 바닥면 평벨트(807)와, 분리·스택가이드(805)로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지폐는 수납된다. 또한, 수납부 상부의 분리·스택가이드(805) 근방에 톱니모양의 외주형상을 가진 회전하는 상부 긁어냄롤러(812)와, 수납부 하부의 게이트롤러(803) 근방에 톱니모양의 외주형상을 가진 회전하는 하부 긁어냄롤러(809)를 가지며, 스택완료된 지폐의 상하단부를 톱니모양의 외주부가 지지하고, 누름판(806)측으로 긁어내면서 지폐의 위치상태를 유지한다.
분리동작시에는, 분리·스택가이드(805)는 파선(805a)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고, 누름판(806)과 바닥면벨트(807)는 일체로 되어 수납공간내를 가동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연속배출지폐가 픽업롤러(811)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도록 수납지폐를 이동시킨다. 픽업롤러(811)로 밀어붙혀진 지폐는 회전하는 스택·피이드롤러(801)에 의해 보내지고, 연속배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803)에 의해 2장 보내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화살표(902b) 방향으로 1장씩 반송되며, 지폐반송로의 절환게이트(903)는 도시한 903b의 방향으로 절환되어 화살표(901b)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스택동작시에는, 분리·스택가이드(805)는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고, 누름판(806)과 바닥면벨트(807)는 일체로 되어 도시하지 않은 금고 외의 구동원에 의해 수납공간내를 가동하고, 수납지폐의 증가에 따라 화살표(902b) 방향으로 반송된 진입지폐와 수납지폐가 간섭하지 않도록 수납지폐를 분리·스택가이드(8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제어된다. 이때, 상부 긁어냄롤러(812)는 좌측둘레로, 하부 긁어냄롤러(809)는 우측둘레로 회전하고, 스택완료된 지폐의 상하단부를 톱니모양의 외주부가 지지하여 누름판(806) 측으로 긁어내면서 지폐의 위치상태를 유지한다.
장전·회수고(81)는 리사이클고(80)와 동일한 구성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출금거래에는 이용하지 않지만, 리사이클고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지폐입출금기의 동작에 대하여 도 7∼도 13, 도 23∼도 26의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상세한 구성 및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
입금거래시는, 도 7에 나타낸 이용자가 입금한 지폐를 계수하는 입금계수동작과, 도 8에 나타낸 계수한 금액에 대한 이용자의 확인입력후, 금종마다 개별적인 수납고에 수납하는 입금수납동작으로 나누어진다. 이용자의 확인입력시, 취소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낸 취소반환동작을 수행한다.
입금계수동작시(도 7 참조), 입출금구(20)에 투입된 지폐는, 1장씩 분리되어 화살표(501a, 501b)를 지나 지폐판별부(30)에서 지폐의 금종, 진위가 판정된다. 판별이 끝난 지폐는 절환게이트(503)를 503a로 절환하고, 화살표(501c)에서 화살표(501d)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일시보관고(40)에 일단 수납된다. 지폐판별부(30)에서 판별할 수 없었던 지폐나 기울기, 지폐끼리의 간격이 이상하게 된 입금리젝트지폐는 일시보관고(40)로 들어가지 않고 절환게이트(503)를 절환게이트(503b)로 절환하여 화살표(501f)를 통과해서 입출금구(20)로 수납되어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입금수납시(도 8 참조)는, 일시보관고(40)의 회전드럼(401)을 수납시와는 반대로 회전시켜, 감겨져 있던 지폐는 수납시와는 반대 순서이면서 반대방향으로 화살표(501d)로 송출되어 501c, 501b로 반송되며, 지폐판별부(30)를 통과하여 절환게이트(502)를 도시한 502b 방향으로 절환하여 501g, 501h, 901a를 경유해서 입금고(60), 리사이클고(80), 리젝트고(90) 중 어느 한 절환게이트(903)를 도시한 903b 방향으로 절환지정된 수납고에 수납한다. 이 때, 지폐판별부(30)에서 다시 금종, 진위 등을 판정하여 수납고를 지정할 수도 있는데, 입금계수시에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할 때의 모든 지폐의 판별결과를 기억하는 수단을 가지고 이 기억내용에 근거하여 수납고를 지정할 수도 있다. 후자쪽이 수납고의 지정에 필요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지폐반송로 중 화살표(501g, 501h, 901a) 부분을 단축할 수 있다.
취소반환시(도 9 참조)는, 일시보관고(40)의 회전드럼(401)을 수납시와는 반대로 회전시켜 절환게이트(504)를 도시한 (504b) 방향으로 절환하고, 감겨져 있던 지폐는 수납시와는 반대 순서로 화살표(501e, 501f)로 반송되어 입출금구(20)에 수납되어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혹은, 절환게이트(504) 및 지폐반송로의 화살표(501e)부를 설치하지 않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제 1 단계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반송로의 화살표(501c, 501b, 501g, 501h, 901a∼e) 상으로 일시보관고(40)로부터 송출된 단계에서 정지하고, 제 2 단계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반송로를 역전시켜 화살표(901e∼a, 501h, 501g, 501b, 501c, 501f)를 경유하여 입출금구(20)에 수납한다. 입금지폐가 여러장일 때는, 제 1, 제 2 단계의 동작을 반복하여 입금지폐를 이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폐반송로는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출금거래시(도 12 참조)는, 출금고(70)(도 12에서는 생략), 리사이클고(80)의 각 금종마다의 금고에서 소정 매수씩 연속배출하여, 화살표(901e, d, c, b, a, 501h, 501g)를 경유하여 지폐판별부(30)에서 금종을 판별하고, 절환게이트(503)에서 분기시켜 입출금구(20)에 수납하여 이용자에게 지불된다. 지폐판별부(30)에서 판별할 수 없는 출금리젝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지폐는 절환게이트(503)를 도시한 503b로 절환하여 일시보관고(40)에 입금계수시와 마찬가지로 일단 수납된다. 부족분의 지폐는 출금고(70)나 리사이클고(80)로부터 추가로 연속배출되어진다.
출금거래시에 리젝트가 발생하여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한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출금리젝트 수납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금리젝트지폐는 일시보관고(40)로부터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입금고(60)로 수납된다. 혹은, 지폐판별부(30)를 통과할 때에, 다시 금종, 진위를 판별하여, 판별가능한 지폐로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할 수 있는 금종의 지폐는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하도록 하면, 리젝트지폐의 매수를 줄일 수 있어 자금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용자가 입출금구(2)의 지폐를 잊어버리고 놓고간 경우에는, 그대로 입출금구(2)에 남아 장치이상으로서 거래를 중지할 수도 있지만, 후속거래를 속행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놓고간 지폐를 입출금구(2)에서 분리시켜 입금거래와 마찬가지로 판별하여 입금고(60)로 수납시키게 된다.
또한, 도 23∼도 26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장전·회수고(81)를 이용하여, 일시보관고(40)를 경유하여 리사이클고(80)와의 사이에서 장전, 회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장전동작은, 담당직원이 리사이클고(80)에 금종마다 세트하고자 하는 지폐를 개별적으로 세트하는 것이 아니라, 장전·회수고(81)에 일괄적으로 세트하여 장치내에서 자동적으로 리사이클고(80)로 수납하는 동작이다. 우선,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전계수동작에서 장전·회수고(81)로부터 연속배출된 지폐는, 901d∼a, 501h, 501g, 501b를 경유하여 지폐판별부(3)에서 금종을 판별하고, 절환게이트(503)를 절환하여 일단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한다. 다음으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전수납동작에서 일시보관고(40)로부터 순서대로 방출하여 동일한 지폐반송로를 반대로 경유하여 금종마다 지정된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한다. 장전·회수고(81)에 일괄적으로 세트한 지폐의 매수가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할 수 있는 매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장전계수, 장전수납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장전계수시, 금종을 판정할 수 없었던 장전리젝트지폐는, 절환게이트(503)를 도시한 503b 방향으로 절환하여, 501f를 경유하여 입출금구(20)에 수납한다. 모든 장전지폐의 수납동작이 끝난 후에, 입출금구(20)에 수납된 지폐를 입금거래시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장전·회수고(81)에 수납한다. 혹은, 리젝트지폐로서 입금고(60)에 수납할 수도 있다.
회수동작은, 리사이클고(80)가 가득 찼을 때 등의 경우에 담당직원이 개별적으로 리사이클고로부터 지폐를 빼내는 것이 아니라, 자동적으로 리사이클고(80)로부터 소정매수를 장전·회수고(81)로 회수수납하는 동작이다. 장전동작과 반대루트로 이동하는 동작이며,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사이클고(80)로부터 일단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하고, 다음에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시보관고(40)로부터 장전·회수고(81)로 회수한다. 도 25에 나타낸 회수계수동작, 혹은 도 26에 나타낸 회수수납동작에서 금종을 판정할 수 었는 등의 리젝트지폐는, 도 26의 회수수납동작에서 절환게이트(903)를 903b방향으로 절환하여 입금고(60)에 수납한다.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제 2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27의 지폐입출금기의 측면도, 도 28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외관를 나타낸 도, 도 29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도, 도 30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에 있어서, 2는 지폐입출금기, 2a는 상부반송기구, 2b는 하부지폐기구, 21은 입출금구, 65는 리젝트고, 651은 간막이판, 652는 상부수납공간, 653은 하부수납공간, 91은 개폐반송로이며, 도 28에 있어서, 111은 현금자동거래장치, 111a는 정면판, 111b는 테이블면, 112는 카드명세표 처리기구, 112a는 카드슬롯, 113은 통장처리기구, 113a는 통장슬롯, 114는 주화입출금기구, 114a는 주화슬롯, 115는 고객조작부, 2는 지폐입출금기, 21a는 지폐슬롯이며, 도 29에 있어서, 111c는 앞문, 111d는 뒷문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제 2 실시예는, 주로 (a) 입출금구(21)를 지폐슬롯(21a)의 면이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한 점, (b) 하부지폐기구(2b)를 2개의 리사이클고(80)와 개폐반송로(91)로 구성하고 있는 점, (c) 입금고 대신에 리젝트고(65)를 설치한 점 등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특징을 제 1 실시예와의 상기 상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그 밖의 구성,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으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입출금구(21)를 지폐슬롯(21a)이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있는데, 이것은 본 지폐입출금기(2)가 도 28에 나타낸 현금자동거래장치(111)에 실장되기 때문이다. 현금자동거래장치(111)의 상부에는, 상부정면판(111a)에 설치된 카드슬롯(112a)과 연결되어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방출하는 카드·명세표 처리기구(112)와, 통장슬롯(113a)과 연결되어 이용자의 통장을 처리하는 통장처리기구(113)와, 거래표시기(117)를 갖추고 있다. 또한, 장치(111)의 하부에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입출금기구(2) 및 주화를 처리하는 주화입출금기구(114)를 갖추고 있으며, 중간부의 이용자조작면(111b)에는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조작부(115) 및 지폐슬롯(21a), 주화슬롯(11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현금자동거래장치(111)는 카드, 통장, 지폐, 주화, 명세표를 매체로 하여 이용자의 예금, 지불, 계좌이체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입출금구(21)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도 14에 나타낸 입출금구(20)와, 셔터부(201)를 구성하는 셔터기구의 배치각도를 변경시킨 기구로 함과 동시에, 지폐호퍼(216)를, 제 1 실시예에서는 회전동작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구를 실장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의 입출금구(21)에서는 지폐호퍼(216)의 회전동작기구를 없애고 고정시킨 것이다.
(2) 제 2 실시예는, 2a, 2b로 이루어지는 상하분할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하부지폐기구(2b)는 2개의 리사이클고(80)와 개폐반송로(91)로 구성되며, 도 28에 나타낸 현금자동거래장치(111)에 실장되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타입에 의해 앞면조작형이나 뒷면조작형을 취할 수가 있다.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당직원이 장치앞면에서 조작하는 타입인 앞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장치의 앞문(111c)을 열고 지폐입출금기(2)의 개폐반송로(91)를 열면,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손잡이가 달린 리사이클고가 나타난다. 담당직원은 이 손잡이로 리사이클고를 꺼내어 지폐의 세트 등을 조작하는 등 개폐반송로(91)의 조작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당직원이 장치 뒷면에서 조작하는 타입인 뒷면조작형 장치에서는, 장치의 뒷문(111d)을 열면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에 손잡이가 달린 리사이클고가 나타난다. 담당직원은 이 손잡이로 리사이클고를 꺼내어 조작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도입함으로써, 지폐의 보충·회수조작, 이상발생시에 지폐가 걸린 것을 제거하는 조작 등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금고광체를 설치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하부지폐기구의 위에 직접 상부반송기구(2a)를 재치하고 있다.
(3) 상기 (2)에 따라 개폐반송로(91)는 2개의 리사이클고에 맞춘 구성을 가지며,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폐구조를 가지고 있다.
(4)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입금고(60)는 가지지 않으며, 대신에 리젝트고(65)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리젝트고(65)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금고(60)보다 수납공간이 작지만, 간막이판(651)으로 구분된 상부수납공간(652)과 하부수납공간(653)을 가진다. 도 3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환게이트(505)를 도시한 505b의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시보관고(40)로부터 입금수납시의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할 수 없는 비환류지폐나 놓고간 지폐를 리젝트고(65)에 수납할 수 있다(리사이클고(80)에 수납할 수 있는 지폐는 절환게이트(505)를 505a의 상태로 하여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한다). 마찬가지로, 절환게이트(505)를 도시한 505b의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시보관고(40)로부터 출금시의 리젝트지폐를 리젝트고(65)에 수납할 수 있다. 리젝트고(65)의 간막이판(651)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간막이판의 이동제어에 의해 예를들어 상부수납공간(652)에 놓고간 지폐를 수납하고, 하부수납공간(653)에 그 밖의 리젝트지폐, 비환류지폐를 수납함으로써 현금의 엄격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구성의 특징과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1) 입출금구와 지폐판별부를 지폐입출금기의 상부에, 지폐수납고를 하부에 배치하고, 또한 지폐반송로도 상기의 상부와 하부의 기구부에서 분할가능하게 구성하며, 하부의 반송로는 이용자조작측 벽면근방에 배치하고 있으며, 상부와 하부를 나눈 수평면에서 기구가 교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와 하부를 수평면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를 하나의 장치광체에 실장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으며, 지폐를 수납하고 있는 하부를 더욱 견고한 금고광체에 실장하는 구성도 취할 수 있어 보다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동시에 하부의 반송로는 이용자조작측 벽면근방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담당직원이 앞면에서 조작할 수 있는 앞면조작형에도, 또한 뒷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뒷면조작형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조작성, 설치장소, 보안 등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2)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반송기구와 하부지폐기구를 나누어 설치하고 있으며, 입금계수시 등 거래가 성립할 때까지의 지폐는 상부반송기구부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그 지폐가 걸리게 되는 경우에도 하부지폐기구를 둘러싼 금고를 열 필요가 없어져서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이용자에게 소유권이 있는 지폐(상부반송기구에 존재하는 지폐)와 은행에 소유권이 있는 지폐(하부지폐기구에 존재하는 지폐)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3) 수납고를 앞뒤 어느 쪽으로도 탈착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기를 실현하고 있어, 도 2(a), (b), 도 4(a),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앞면조작형 장치, 뒷면조작형 장치중 어느 장치에도 공통적인 구조로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다.
(4) 제 1, 제 2 실시예의 입출금구(20, 21)는, 지폐호퍼를 회전동작에 의해 가동시키고, 이용자가 투입/방출하는 방향을 거의 수직방향으로 하는 도 3에 나타낸 현금자동거래장치와, 거의 수평방향으로 하는 도 1에 나타낸 현금자동거래장치 모두에 실장가능한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어, 이용자의 조작성에 있어서 다양한 사양의 현금자동거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5) 일시보관고는, 일시보관고에 유도테이프에 의한 감기방식을 도입하고, 또한 입금지폐의 일시보관뿐만 아니라, 출금리젝트지폐를 일시 보관함으로써 리사이클고에 일시보관고를 설치한 종래예보다 간소한 리사이클고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금종 입금거래에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시보관고에 유도테이프에 의한 감기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종래예보다 사이즈가 크게 다른 해외지폐에도 용이해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금리젝트지폐의 일시보관시, 접히거나 찢어진 지폐 혹은 기울어져 반송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해서도 지폐가 잘 걸리지 않는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1)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입출금구의 지폐호퍼를 공통으로 하고 있지만, 입금구와 출금구로 따로 나누어 설치할 수도 있다.
(2)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일시보관고(40)로서 회전드럼을 이용한 감기형인 것(도 17 참조)을도입하고 있는데, 실시예에서 설명한 리사이클고(도 22 참조)와 같은 적층형 구성을 도입할 수도 있다.
(3)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개폐반송로(제 1 실시예의 90, 제 2 실시예의 91)를 모든 수납고에 공통으로 설치하고 있는데, 개폐반송로는 각 수납고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4) 반송로의 구동원은, 본 실시예에서는 1개로, 반송로(501g-501h-901a)가 기어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하 따로따로 구동원(모터)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기어에 의한 연결불량 등의 장해가 없어진다.
(5)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수납고는 그 앞뒤에 손잡이를 설치하거나, 하부지폐기구(제 1 실시예의 1b, 제 2 실시예의 2b)는 앞뒤 어느 방향으로도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동시에 앞면조작형 장치와 뒷면조작형 장치에 공통적으로 구성되지만, 앞면조작형 장치 또는 뒷면조작형 장치중 어느 한쪽으로 전용화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구조가 간소화되어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31∼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3 실시예의 지폐입출금기(3)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분할 할 수 있는 상부반송기구(3a), 하부지폐기구(3b)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상부반송기구(3a)는 입출금구(21), 지폐판별부(30), 일시보관고(40), 리젝트고(65)를 지폐반송로(52)로 접속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1) 지폐반송로(52)가 도 32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판별부(30)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이 아니라, 지폐판별부(30)를 화살표(511a) 방향의 한방향으로만 반송하며, 순서대로 화살표(511b, 511c, 511d, 511e, 511f, 511g)를 경유하여 다시 지폐판별부(30)로 돌아가는 고리모양의 메인지폐반송로(51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입출금구(21)의 연속배출구로부터 메인지폐반송로(511)에 달하는 반송로(화살표 512a), 메인지폐반송로(511)로부터 입출금구(21)의 수납구에 달하는 반송로(화살표 512b), 메인지폐반송로(511)로부터 일시보관고(40)의 수납구에 달하는반송로(화살표 512c), 일시보관고(40)의 연속배출구로부터 메인지폐반송로(511)에 달하는 반송로(화살표 512d), 메인지폐반송로(511)로부터 하부지폐반송로(901)에 달하는 반송로(화살표 512e), 하부지폐반송로(901)로부터 메인지폐반송로(511)에 달하는 반송로(화살표 512f), 메인지폐반송로(511)로부터 리젝트고(65)에 달하는 반송로(화살표 512g)로 이루어지는 한방향으로 반송되어 각 유니트와 메인지폐반송로(511)를 접속하는 유니트지폐반송로(512)를 가진다. 하부지폐반송로(90)는 쌍방향반송로로 되어 있다. 또한,메인지폐반송로(511) 및 각 유니트지폐반송로 (512a∼512g)의 분기점에는 절환게이트(513, 514, 515, 516, 517, 518)(첨부한 a, b는 그 상태를 나타낸다)를 실장한다.
도 33∼도 38은, 도 32에 나타낸 지폐반송로상에서 거래내용에 따라 반송되는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3은 입금계수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입출금구(21)로부터의 지폐를 지폐판별부(30)를 통과하여 그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절환게이트(513a, 514b, 516a)를 통과시켜 일시보관고(40)로 수납하거나, 또는 절환게이트(513b)로부터 입출금구(21)로 반환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4는 입금수납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입금계수시에 판별한 결과에 따라 일시보관고(40)로부터의 지폐를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하거나, 리젝트고(65)에 수납하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거래반환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일시보관고(40)로부터의 지폐를 리젝트고 또는 지폐판별부(30)를 통해 입출금구(21)로 반환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6은 출금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리사이클고로부터의 지폐를 지폐판별부(30)에서 판별한 후, 입출금구(21)로 출금하거나, 일시보관고(40)로 수납하거나, 리젝트고(65)로 수납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7은 출금리젝트수납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일시보관고(40)로부터의 지폐를 리사이클고로 수납하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8은 놓고간 지폐를 회수할 때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입출금구(21)로부터의 놓고간 지폐를 지폐판별부(30)를 통과시켜 수납고에 수납하거나 리젝트고(65)에 수납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판별부(30)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이 아니라, 지폐판별부(30)를 한방향으로 반송하는 고리모양의 메인지폐반송로(511)로 구성하고, 하부지폐반송로를 쌍방향 지폐반송로로 구성하여 간소한 반송로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지폐가 걸릴 가능성이 적은 신뢰도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용자의 입금거래에 있어서는, 다양한 이용자가 접히거나 찢어진 지폐, 주화나 이물질을 잘못해서 지폐와 섞어 입금고에 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지폐를 연속배출할 때에 크게 기울어지거나 찢어져 있어 반송상태에 따라서는 지폐반송로에서 지폐가 걸리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외국지폐도 취급하는 장치에서는, 금종의 수가 일본엔화의 경우보다 늘어날 뿐 아니라, 지폐의 사이즈가 금종에 따라서 가로, 세로방향 모두 크게 다른 경우가 많으며, 입금구에 투입한 여러장의 지폐가 가지런히 정렬되어 있을 가능성이 적다. 또한, 지폐의 접힘이나 찢어진 정도도 각국의 지폐 유통사정면에서 본다면, 일본엔화보다도 악조건인 지폐가 있다. 이와 같은 악조건인 지폐를 취급하는 경우, 지폐반송로(50)는 지폐안내면의 구성이 간소하기 때문에 지폐가 걸리는 경우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 39 및 도 40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4 실시예는 지폐반송로(53)의 구성은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2에 나타낸 모식도의 구성을 가지지만, 지폐입출금기(4, 5)의 상부반송기구(4a)와 하부지폐기구(4b)와의 사이에 접속지폐반송로(540, 541)를 구성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도 1과 같은 현금자동거래장치(101)에 탑재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뒷면조작형 장치에는, 도 39에 나타낸 지폐입출금기(4)로 대응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앞면조작형 장치에는 도 40에 나타낸 지폐입출금기(5)로 대응한다. 도 39에 나타낸 입출금기(4)는 상부반송기구(4a)와 하부지폐기구(4b) 사이에 접속지폐반송로(5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0에 나타낸 지폐입출금기(5)는 상부반송기구(4a)와 하부지폐기구(4b) 사이에 접속지폐반송로(5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반송기구(4a)와 하부지폐기구(4b)는 도 39와 동일한 것이지만, 하부지폐기구(4b)가 뒤를 향해 실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뒷면조작형 장치용인 도 39에 나타낸 지폐입출금기(4)와 앞면조작형 장치용인 도 40에 나타낸 지폐입출금기(5)중 어느 쪽에도 담당직원이 지폐수납고(60, 80)를 조작할 때, 하부반송로(92)는 제 1 부터 제 3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개폐반송로(90, 91)와 같이 개폐할 필요없이 금고광체(106)의 문을 개폐하는 것만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담당직원의 조작방법에서 앞면조작/뒷면조작의 선택에 대하여 상부반송로(4a)는 공통적이며, 하부지폐기구(4b) 및 금고광체(106)는 공통인 채로 앞뒤반전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접속지폐반송로(540, 541)의 2종류를 준비해 두어 앞면조작/뒷면조작의 선택에 따라 접속지폐반송로(540, 541)중 어느 한쪽을 이용함으로써 지폐수납고의 조작성이 좋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지폐반송로구성의 지폐입출금기, 일본엔화 지폐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이즈의 지폐에 대하여 지폐가 걸리는 일이 적은 신뢰도 높은 지폐입출금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나 담당직원의 조작성이나 보안면에서 다양한 사양에 따른 범용성 높은 지폐입출금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7)

  1. 거래에 따라서 지폐의 입출금을 수행하는 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지폐를 입출금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상기 입출금구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입출금구로 반송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고와,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지폐수납고를 상기 지폐판별부를 매개로 접속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지폐판별부를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지폐수납고를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지폐반송로는,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상부에 갖추어진 상부지폐반송로와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하부에 갖추어진 하부지폐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지폐수납고는,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하부에 적층시켜 설치하고,
    상기 하부지폐반송로는,
    적층된 상기 지폐수납고를 따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지폐수납고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지폐반송로 자신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지폐반송로는 상기 지폐수납고를 따라 상하(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지폐를 상하(수직)방향으로 상기 하부지폐반송로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고를 탈착할 때,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이용자측 또는 그 반대측에서 탈착조작이 가능하며,
    이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에 대한 이용자측 또는 그 반대측 중 적어도 한쪽측에서 상기 지폐수납고의 탈착을 수행할 경우, 상기 하부반송로를 상기 지폐수납고에 대하여 개폐시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3. 지폐의 입출금을 수행하는 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지폐를 입출금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고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지폐입출금장치는,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지폐판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로서 상기 장치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지폐기구와,
    상기 지폐수납고를 포함하는 유니트로서 상기 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지폐기구를 가지며,
    상기 지폐입출금장치는 상기 상부지폐기구와 상기 하부지폐기구 각각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폐반송로는,
    상기 상부지폐기구내에 설치된 상부지폐반송로와 상기 하부지폐기구내에 배치된 하부지폐반송로로 분할되며,
    상기 상부지폐기구와 상기 하부지폐기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지폐반송로와 상기 하부지폐반송로를 접속하는 접속반송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폐기구가 가지는 상기 지폐수납고의 탈착을 수행할 때, 상기 접속반송로를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하지 않는가에 따라서, 또한 상기 하부지폐기구를 정전 또는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지폐수납고를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앞측 또는 뒤측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5. 이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원하는 거래를 수행하는 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투입된 지폐를 연속배출 또는 이용자에게 지폐를 방출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입금되어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판별된 지폐를 일단 수납하는 일시보관고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연속투입된 지폐를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이용자에게 지폐를 방출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고와,
    상기 지폐판별부를 통과하여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일시보관고와 상기 지폐수납고를 접속하는 지폐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일시보관고는,
    회전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지폐판별부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순서대로 상기 회전드럼에 감아 보관하고, 소정의 거래가 성립된 후, 상기 회전드럼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감겨져 보관되 있던 지폐를 상기 지폐반송로로 반송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일시보관고를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입금된 지폐 중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금종이 확정된 지폐를 상기 소정 거래가 성립될 때까지 보관하도록 입금된 지폐를 일시보관함과 동시에,
    출금거래시, 상기 지폐수납고로부터 연속배출된 지폐 중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금종이 확정되지 않은 리젝트지폐를 이 출금거래가 성립될 때까지 보관하도록 출금의 리젝트지폐를 일시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시보관고에 보관된 지폐 중, 출금거래시에 발생한 리젝트지폐를 상기 지폐반송로에 연속배출한 후, 다시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감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고는,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입금된 지폐만을 수납하는 입금고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고, 수납된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출금하도록 지폐를 환류시키는 리사이클고와,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리젝트지폐로 판별된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를 가지며,
    출금거래시에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판별된 리젝트지폐를 상기 입금고 또는 상기 리사이클고 또는 상기 리젝트고 중 어느 한곳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고는,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입금된 지폐만을 수납하는 입금고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고, 수납한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출금하도록 지폐를 환류시키는 리사이클고를 가지며,
    출금거래시에 발생한 리젝트지폐를 상기 지폐판별부가 다시 감별한 결과, 그 지폐의 금종이 확정된 경우, 상기 입금고 또는 상기 리사이클고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고는,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리젝트지폐라고 판별된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를 가지며,
    출금거래시에 발생한 리젝트지폐를 상기 지폐판별부가 다시 감별한 결과, 그 지폐의 금종이 확정되지 못한 경우 상기 리젝트고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고는,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리젝트지폐라고 판별된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를 가지며,
    출금거래시에 발생한 리젝트지폐를 상기 지폐판별부가 다시 감별한 결과, 그 지폐의 금종이 확정되지 못한 경우 상기 리젝트고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11. 이용자의 거래에 따라서 지폐의 입출금을 수행하는 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입금 또는 출금을 실시하는 입출금구와,
    지폐의 판별을 수행하는 지폐판별부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반송된 지폐의 보관 또는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출금되는 지폐의 보관을 수행하는 지폐수납고와,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지폐수납고를 접속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지폐수납고는,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입출금기구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 지폐수납고를 수직방향으로 쌓아올리듯 복수개를 적층하여 구성하고,
    상기 지폐반송로 일부의 지폐반송로는,
    적층된 상기 지폐수납고에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지폐수납고에 대한 지폐의 반송 또는 상기 지폐수납고로부터의 지폐의 반송을 수행하며,
    상기 지폐수납고 각각은 상기 지폐반송로 일부의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지폐의 수납수단 또는 상기 지폐반송로 일부의 반송로로 반송하는 지폐의 방출수단을 그 내부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고에 포함되는 수납수단 또는 방출수단은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13. 지폐를 입출금하는 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입금된 지폐를 장치내부로 연속투입하거나 또는 장치내부로부터 반송된 지폐를 이용자에게 방출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판별된 지폐를 일단 보관하는 일시보관고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연속배출된 지폐를 보관하거나 또는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방출하는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수납고와,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부는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쌍방향 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입금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송로로 연속배출하여 상기 지폐반송로가 반송하고 있는 지폐를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계수한 후, 상기 일시보관고에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입금계수 동작처리와,
    상기 일시보관고로부터 다시 상기 지폐반송로로 연속배출하여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지폐를 판별한 결과, 상기 지폐수납고로 반송하는 입금수납의 동작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금계수의 동작처리시는, 상기 쌍방향 반송로를 제 1 반송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입금수납의 동작처리시는 상기 제 1 반송방향과는 반대인 제 2 반송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고로부터 상기 입출금구에 지폐를 연속배출하여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지폐를 출금하는 출금동작처리를 가지며,
    상기 입금수납 동작처리시의 지폐의 반송방향과 상기 출금 동작처리시의 지폐의 반송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15. 지폐를 입출금하는 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입금된 지폐를 장치내부로 연속배출하거나 또는 장치내부로부터 반송된 지폐를 이용자에게 방출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판별된 지폐를 일단 보관하는 일시보관고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연속배출된 지폐를 보관하거나 또는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방출하는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수납고와,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지폐반송로는,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지폐판별부를 접속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지폐판별부와 상기 일시보관고를 접속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일시보관고와 상기 입출금구를 접속하는 제 3 반송로와,
    상기 지폐판별부와 상기 지폐수납고를 접속하는 제 4 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지폐반송로 중 적어도 상기 제 2 반송로와 제 4 반송로에 대응하는 반송로에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지폐판별부와 상기 일시보관고와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와 상기 제 3 반송로 각각의 구성을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지폐수납고를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제 4 반송로를 상기 지폐입출금장치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분할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17. 지폐를 입출금하는 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입금된 지폐를 장치내부에 연속배출하거나 또는 장치내부로부터 반송된 지폐를 이용자에게 방출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상기 지폐판별부에서 판별된 지폐를 일단 보관하는 일시보관고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연속배출된 지폐를 보관하거나 또는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방출하는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수납고와,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가지며,
    상기 지폐반송로는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쌍방향 반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보관고는 지폐를 상기 지폐반송로로 연속배출하는 연속배출구와 상기 지폐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수용하는 수납구를 가지며, 상기 연속배출구와 상기 수납구를 동일한 창구로 구성하고,
    상기 지폐수납고 중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입금되는 지폐를 보관하면서 동시에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출금하는 지폐를 보관하는 리사이클고를 가지며,
    상기 리사이클고로부터 상기 지폐반송로로 연속배출하는 연속배출구와 상기 지폐반송로로부터 상기 리사이클고로 수납하는 수납고를 동일한 창구로 구성하고,
    상기 입출금구는 상기 지폐반송로로 지폐를 연속배출하는 연속배출구와 상기 지폐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수용하는 수용구를 가지며, 상기 연속배출구와 상기 수용구를 별도의 창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KR1019990055560A 1998-12-08 1999-12-07 지폐입출금기 KR100351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48413 1998-12-08
JP34841398A JP4135238B2 (ja) 1998-12-08 1998-12-08 紙幣入出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974A true KR20000047974A (ko) 2000-07-25
KR100351172B1 KR100351172B1 (ko) 2002-09-09

Family

ID=1839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560A KR100351172B1 (ko) 1998-12-08 1999-12-07 지폐입출금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8) US6422458B1 (ko)
EP (8) EP2259236B1 (ko)
JP (1) JP4135238B2 (ko)
KR (1) KR100351172B1 (ko)
CN (9) CN1282137C (ko)
DE (4) DE69935111T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031B1 (ko) * 2002-01-07 2005-09-1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폐 수납/지불 장비 및 자동 현금 거래 장치
KR100691604B1 (ko) * 2003-10-28 2007-03-0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US8087656B2 (en) 2007-05-24 2012-01-03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Cash handling system
KR20160081302A (ko) * 2014-12-31 2016-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7124B1 (en) * 1998-11-23 2003-08-19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for use by a merchant and a customer
JP4135238B2 (ja) * 1998-12-08 2008-08-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KR100597101B1 (ko) * 1999-11-22 2006-07-05 엘지엔시스(주)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100597102B1 (ko) * 1999-11-23 2006-07-05 엘지엔시스(주)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DE10008374A1 (de) * 2000-02-23 2001-08-30 Giesecke & Devrient Gmbh Banknotenein- und Ausgabevorrichtung
JP2001256534A (ja) * 2000-03-10 2001-09-21 Fujitsu Ltd 店舗用売上金入金装置
KR100518404B1 (ko) * 2000-06-15 2005-09-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처리 장치
US20030173402A1 (en) * 2000-06-15 2003-09-18 Hiroshi Ogawa Medium processing apparatus
GB2364591A (en) * 2000-07-07 2002-01-30 Ncr Int Inc Self service terminal with an escrow unit
ES2287141T3 (es) * 2000-07-17 2007-12-16 Japan Cash Machine Co., Ltd. Un aparato de manejo de billetes.
SE0003455D0 (sv) * 2000-09-27 2000-09-27 Nybohov Dev Ab Sedelhanteringsmaskin samt anläggning för användning av sådan sedelhanteringsmaskin
JP3916035B2 (ja) 2000-11-24 2007-05-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US6742644B1 (en) * 2000-11-27 2004-06-01 Jcm American Corporation Note acceptor-dispenser validator
US6719120B2 (en) 2000-12-25 2004-04-13 Hitachi, Ltd. Bill receiving/dispensing machine
EP1220166A1 (en) * 2000-12-29 2002-07-03 Ma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anknotes
JP3959706B2 (ja) * 2001-03-01 2007-08-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CA2462128C (en) * 2001-09-28 2013-03-26 Japan Cash Machine Co., Ltd.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US7387236B2 (en) 2001-10-09 2008-06-1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Dispensing of currency
US7066335B2 (en) * 2001-12-19 2006-06-27 Pretech A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cash
GB0130480D0 (en) * 2001-12-20 2002-02-06 Ncr Int Inc Self service terminal
DE10210689A1 (de) * 2002-03-12 2003-10-1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für die Annahme und/oder Ausgabe von Banknoten
JP3931112B2 (ja) 2002-06-05 2007-06-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のお釣り出金方法。
US20050139447A1 (en) * 2002-08-26 2005-06-30 Fujitsu Limited Paper-processing unit and paper-storage unit
CN102063761B (zh) * 2002-10-18 2013-03-13 迪布尔特有限公司 用于分发、接收、和存放纸币和其它金融票据薄片的装置及方法
US7870996B1 (en) * 2002-10-18 2011-01-18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CN1714363B (zh) * 2002-10-18 2012-12-19 迪布尔特有限公司 自动银行机装置
US7721950B1 (en) * 2002-10-18 2010-05-25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JP4160362B2 (ja) * 2002-10-30 2008-10-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集積装置および循環式紙幣入出金機
MXPA05006714A (es) * 2002-12-19 2005-11-23 Diebold Inc Maquina bancaria automatizada surtidora de efectivo con dispositivos de iluminacion de interconexion de usuario.
JP4166098B2 (ja) 2003-02-06 2008-10-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292012B2 (ja) * 2003-02-10 2009-07-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2004310653A (ja) 2003-04-10 2004-11-04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CA2528621C (en) * 2003-06-06 2014-01-14 Jcm American Corporation Enhanced bill acceptor/dispenser for vending machines
JP4200055B2 (ja) * 2003-06-12 2008-12-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引システム
JP2005010967A (ja) * 2003-06-18 2005-01-13 Hitachi Ltd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4362339B2 (ja) * 2003-09-16 2009-11-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309232B2 (ja) * 2003-11-12 2009-08-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類取引装置、紙幣類取引方法及び紙幣類取引プログラム
DE202004020440U1 (de) * 2003-12-12 2005-06-09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Wertscheinautomat
SE527837C2 (sv) * 2004-01-08 2006-06-20 Unjo Ab Styrsystem för sedelhanterare
DE102004024620A1 (de) * 2004-05-18 2005-12-0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rüfung von Banknoten
JP4704777B2 (ja) * 2004-06-01 2011-06-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TWI290307B (en) * 2004-06-01 2007-11-2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JP4838998B2 (ja) * 2005-01-26 2011-12-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CA2502344A1 (en) * 2005-03-24 2006-09-24 Cashcode Company Inc. Validator with recycling cassette and stacker
KR20060129647A (ko) * 2005-06-13 2006-12-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US7500568B2 (en) * 2005-06-16 2009-03-10 Traidis Standalone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epositing and dispensing cash
JP4768329B2 (ja) * 2005-06-17 2011-09-07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US20070001383A1 (en) * 2005-06-20 2007-01-04 Gregory Jantsch Dispensing of currency
JP2006350921A (ja) * 2005-06-20 2006-12-28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TWI300909B (en) * 2005-06-27 2008-09-11 Laurel Prec Machines Co Ltd Paper money input and output device
US7658668B2 (en) 2005-09-17 2010-02-09 Scan Coin Ab Coin handling equipment
JP2007048074A (ja) * 2005-08-10 2007-02-22 Oki Electric Ind Co Ltd 無人契約装置
CN101263531B (zh) 2005-09-17 2010-12-01 斯坎硬币公司 硬币处理设备
CA2523925A1 (en) * 2005-10-20 2007-04-20 Cashcode Company Inc. Banknote recycler protocol adapter
JP4709633B2 (ja) * 2005-11-07 2011-06-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取引装置及び取引方法
SE0502492L (sv) 2005-11-11 2007-05-12 Scan Coin Ind Ab Kontantdepineringsanordning och associerade förfaranden och anordningar
ITTO20050822A1 (it) * 2005-11-21 2007-05-22 Cts Cashpro Spa Apparecchiatura per trattare banconote in mazzetta
US20070187485A1 (en) 2006-02-10 2007-08-16 Aas Per C Cash handling
US20090132407A1 (en) * 2006-02-10 2009-05-21 Romary Associates, Inc. Mobile banking vehicle
WO2007095676A1 (en) * 2006-02-21 2007-08-30 Lim, Corene A cash handling device and system
SE529716C8 (sv) * 2006-03-08 2007-12-04 Scan Coin Ind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kontantdeponering
KR101026893B1 (ko) * 2006-04-18 2011-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장치의 스택구조
DE102006028632A1 (de) * 2006-06-22 2007-12-27 Giesecke & Devrient Gmbh Bearbeitungsvorrichtung für Wertdokumente
US8626669B2 (en) * 2006-08-02 2014-01-07 Valentine Niobrara Llc Secure physical billing system
SE531959C2 (sv) 2006-08-25 2009-09-15 Scan Coin Ind Ab En myntutmatningsanordning och en myntdeponerings- och utmatningsanordning
US20080093437A1 (en) * 2006-10-24 2008-04-24 Ncr Corporation Automated teller machine
CN101589410B (zh) * 2006-11-13 2011-12-28 光荣株式会社 纸币处理装置
JP4889456B2 (ja) 2006-11-24 2012-03-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JP4368888B2 (ja) * 2006-12-15 2009-11-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DE102007028858A1 (de) 2007-06-22 2009-01-02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Wertscheinautomat
RU2461068C2 (ru) * 2007-06-27 2012-09-10 Меи,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ITTO20070721A1 (it) * 2007-10-12 2009-04-13 Cts Cashpro Spa Apparecchiatura per il deposito ed il prelevamento automatico di banconote e relativi moduli di ricezione ed erogazione
JP5261660B2 (ja) 2007-10-17 2013-08-14 旭精工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
JP5178146B2 (ja) 2007-10-30 2013-04-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5233247B2 (ja) * 2007-10-31 2013-07-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収納繰出装置
JP5220385B2 (ja) * 2007-11-02 2013-06-2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構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DE102007057000A1 (de) * 2007-11-27 2009-05-2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für die Annahme und Ausgabe von Banknoten
DE102007056998A1 (de) * 2007-11-27 2009-05-2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für die Annahme und Ausgabe von Banknoten
US8276901B2 (en) * 2008-03-26 2012-10-02 Glory Ltd.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handling method
US20110011778A1 (en) * 2008-03-31 2011-01-20 Norishige Inoue Banknote storing cassette and banknote handling machine
JP5183270B2 (ja) * 2008-03-31 2013-04-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DE102008018935A1 (de) * 2008-04-15 2009-10-22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Einzelblatthandhabungsvorrichtung zur Eingabe und zur Ausgabe von rechteckigen Einzelblättern, insbesondere von Banknoten, in einen bzw. aus einem Behälter
US20090260948A1 (en) * 2008-04-22 2009-10-22 Glory Ltd., A Corporation Of Japan Money handling machine
JP4654268B2 (ja) * 2008-05-28 2011-03-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WO2010011483A2 (en) 2008-07-21 2010-0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for dispersing additive into a fluid stream
JP5155063B2 (ja) * 2008-08-21 2013-02-27 ビーコア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対象物の追尾方法
US8272563B1 (en) * 2008-09-17 2012-09-2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curity to prevent transaction activity until audit is complete
US9014845B2 (en) * 2008-10-22 2015-04-21 Ncr Corporation Item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9004350B2 (en) 2008-10-28 2015-04-14 Glory Ltd. Money handling apparatus
JP5332512B2 (ja) * 2008-10-29 2013-11-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構
JP2010117916A (ja) * 2008-11-13 2010-05-27 Glory Ltd 紙葉類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紙幣入出金装置
JP5212090B2 (ja) * 2008-12-25 2013-06-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5275869B2 (ja) * 2009-03-25 2013-08-2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5284843B2 (ja) * 2009-03-27 2013-09-1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275874B2 (ja) * 2009-03-27 2013-08-2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294959B2 (ja) * 2009-04-16 2013-09-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322770B2 (ja) * 2009-05-15 2013-10-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5340030B2 (ja) * 2009-05-21 2013-11-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267345B2 (ja) * 2009-06-17 2013-08-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5267351B2 (ja) * 2009-06-24 2013-08-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5297919B2 (ja) 2009-07-08 2013-09-25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幣処理機
CN101673429B (zh) * 2009-09-11 2012-01-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传输通道装置
US9189909B2 (en) * 2009-09-25 2015-11-17 Glory Ltd. Banknote handling apparatus
CN102087765B (zh) * 2009-12-08 2012-10-0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收集装置及自助服务终端
KR101080147B1 (ko) * 2009-12-17 2011-11-07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JP5427617B2 (ja) * 2010-01-13 2014-02-2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収納庫および紙幣取扱装置
DE102010004577A1 (de) * 2010-01-14 2011-09-0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CA2692992C (en) * 2010-02-11 2018-05-08 Crane Canada Co. Variable length bill path
CN102254366A (zh) * 2010-05-18 2011-11-2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自动存取款机
JP5387514B2 (ja) 2010-06-11 2014-01-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US9248991B2 (en) * 2010-12-22 2016-02-02 Ncr Corporation Media transport module
US20140060997A1 (en) * 2011-02-22 2014-03-06 Glory Ltd. Money handling system, money settlement apparatus, money teller apparatus and money handling method
EP2680235B1 (en) * 2011-02-22 2019-10-16 Glory Ltd. Paper currency processing device
JP2012198764A (ja) * 2011-03-22 2012-10-18 Glory Ltd 貨幣処理装置
JP5633451B2 (ja) * 2011-03-29 2014-12-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及び、当該紙幣取扱装置に用いる受渡ユニット
JP5457397B2 (ja) * 2011-05-26 2014-04-02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2013012056A (ja) * 2011-06-29 2013-01-17 Glory Ltd 紙幣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5821504B2 (ja) 2011-10-12 2015-1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DE102011055054A1 (de) * 2011-11-04 2013-05-08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mit optimierter Mischspeicherung
JP5786694B2 (ja) * 2011-12-05 2015-09-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5821588B2 (ja) * 2011-12-06 2015-1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EP2807636B1 (en) * 2012-01-23 2019-04-03 Japan Cash Machine Co., Ltd. Document recycle box
GB2500401B (en) 2012-03-20 2020-06-03 Ge Aviat Systems Ltd Apparatus for an aircraft cockpit display
JP5500196B2 (ja) * 2012-03-27 2014-05-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GB2501255B (en) 2012-04-16 2018-04-11 Ge Aviat Systems Ltd Apparatus for aircraft dual channel display
JP5778073B2 (ja) * 2012-04-18 2015-09-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紙葉類取扱方法
CN102663864B (zh) * 2012-04-26 2014-12-03 成都三泰电子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空白票据发售和票据暂存功能的对公票据自助系统
JP5795990B2 (ja) * 2012-05-14 2015-10-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CN103426236B (zh) * 2012-05-22 2016-02-24 冲电气工业株式会社 纸片类收纳输出装置及纸片类处置装置
CN102915591B (zh) * 2012-10-12 2015-01-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atm机验钞方法
JP5892908B2 (ja) * 2012-10-17 2016-03-2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扱装置および現金の返却方法
GB2507524B (en) 2012-11-01 2016-02-24 Ge Aviat Systems Ltd Apparatus for aircraft dual channel display
US9589410B2 (en) * 2013-06-03 2017-03-07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Paper money handling apparatus
JP6252056B2 (ja) 2013-09-13 2017-12-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及び紙幣取引装置
ITMI20131901A1 (it) * 2013-11-15 2015-05-16 M I B S R L Distributore automatico di banconote con verifica zona di prelievo banconote
JP6126038B2 (ja) * 2014-03-28 2017-05-10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US9721414B2 (en) 2014-10-31 2017-08-01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Document cassette displacement actuator for document acceptor
US9934642B2 (en) * 2014-12-18 2018-04-03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Multiclass logical document recycler management
JP2016133966A (ja) * 2015-01-19 2016-07-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引渡装置及びシャッタ開閉機構
WO2016129299A1 (ja) * 2015-02-09 2016-08-1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6492907B2 (ja) * 2015-04-10 2019-04-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CN104821037A (zh) * 2015-04-21 2015-08-0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atm机两轮验钞方法
US9646465B2 (en) * 2015-10-12 2017-05-09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escrow
US9905084B2 (en) 2015-10-12 2018-02-27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articulated note acceptor-presenter
EP3385925A4 (en) 2015-11-30 2019-07-17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oration MONEY MACHINE
KR101830770B1 (ko) * 2016-02-24 2018-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CN105894659A (zh) * 2016-06-15 2016-08-24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存取款口机构
US10710827B2 (en) * 2016-07-13 2020-07-14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Contact stripper/feed wheel implementation
CN106251475B (zh) * 2016-07-27 2022-05-3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压币装置、纸币出入装置以及自动存储款机
JP6823978B2 (ja) * 2016-09-12 2021-02-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WO2018061130A1 (ja) * 2016-09-28 2018-04-0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TWI618034B (zh) * 2016-10-21 2018-03-11 International Currency Tech Corporation Banknote receiver with dual channel automatic banknote determination
JP2018081373A (ja) * 2016-11-14 2018-05-2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収納カセットおよび紙葉類処理機
CN106600815B (zh) * 2016-11-17 2019-02-0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自助设备控制方法及系统
CN108428281B (zh) * 2017-02-15 2020-05-2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存取款机及纸币处理方法
CN108694771B (zh) * 2017-04-11 2019-10-1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及纸币处理方法
CN106991756B (zh) * 2017-05-24 2023-02-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传输装置、下箱体结构及银行自助终端
US10741000B2 (en) * 2018-03-29 2020-08-11 Ncr Corporation Recycling multiple notes from a cassette
JP7218507B2 (ja) * 2018-05-23 2023-02-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US11328551B2 (en) * 2018-07-20 2022-05-10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Modular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CN108961608B (zh) * 2018-08-27 2023-10-13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存折储存箱及包含其的自动存折发放设备
CN109191664B (zh) * 2018-10-23 2024-11-01 深圳市驰卡技术有限公司 外币发放机
CN109559427B (zh) * 2018-11-22 2021-07-0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大额存款设备的存款异常处理方法、系统及金融设备
JP2020190825A (ja) * 2019-05-20 2020-11-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US10755251B1 (en) 2019-11-07 2020-08-25 Capital One Services, Llc Visible and accessible escrow systems and methods
JP7420655B2 (ja) * 2020-06-12 2024-01-2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021196830A (ja) * 2020-06-12 2021-12-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US11915540B1 (en) 2021-03-19 2024-02-27 Wells Fargo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two-way cash recycler
CN113053022B (zh) * 2021-03-30 2022-08-30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银行多用途金融设备的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320A (en) * 1896-01-21 skatcks
US4337864A (en) * 1980-02-22 1982-07-06 Docutel Corporation Currency note dispensing system
JPS57136297A (en) 1981-02-17 1982-08-23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ash cassette
JPS57209590A (en) * 1981-06-19 1982-12-22 Laurel Bank Machine Co Automatic paying/receiving machine
JPS58192167A (ja) * 1982-05-06 1983-11-09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US4639582A (en) * 1984-05-16 1987-01-27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irculating-type bill depositing and disbursing machine
JPS62237314A (ja) * 1986-04-08 1987-10-17 Diesel Kiki Co Ltd 回転角度検出装置
US4722519A (en) * 1986-09-05 1988-02-02 Mars, Inc. Stacker apparatus
JPS63177290A (ja) * 1987-01-19 1988-07-21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KR910008435B1 (ko) * 1987-03-23 1991-10-15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지폐류처리장치
JPS6432398A (en) * 1987-07-29 1989-02-02 Laurel Bank Machine Co Paper money teller machine
JP2685254B2 (ja) * 1988-11-30 1997-12-03 株式会社東芝 自動取引装置
EP0379638B1 (de) * 1989-01-26 1994-11-09 Mars, Incorporated Vorrichtung zur Annahme und Abgabe von Banknoten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JPH0378377A (ja) 1989-08-22 1991-04-03 Hitachi Ltd カメラ一体形vtr
JP2560500B2 (ja) 1989-12-26 1996-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製図方法
JP2667739B2 (ja) * 1990-08-16 1997-10-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自動入出金装置
JPH04158493A (ja) 1990-10-23 1992-06-01 Nec Corp 紙幣自動取扱装置
JPH04158494A (ja) 1990-10-23 1992-06-01 Nec Corp 紙幣自動取扱装置
JPH04264690A (ja) 1991-02-19 1992-09-21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JPH0583874A (ja) 1991-09-18 1993-04-02 Naito Densei Machida Seisakusho:Kk 充電器
JP3253335B2 (ja) * 1992-01-20 2002-02-04 株式会社東芝 現金管理システム
JP2774213B2 (ja) 1992-04-22 1998-07-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可搬型紙葉計数取り込み装置
EP0575711A1 (de) 1992-05-27 1993-12-29 Mars, Incorporated Kurzzeitspeicher für Banknoten
JPH05342448A (ja) 1992-06-09 1993-12-24 Kofu Nippon Denki Kk 紙幣処理装置
JPH06301844A (ja) * 1993-03-31 1994-10-28 At & T Global Inf Solutions Internatl Inc 現金自動取引装置
JP3203913B2 (ja) 1993-12-14 2001-09-04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現金自動入出機における保護装置
US5405131A (en) * 1994-01-10 1995-04-11 Mars Incorporated Currency validator and secure lockable removable currency cassette
US5553320A (en) * 1994-03-16 1996-09-03 Hitachi, Ltd. Automatic cash transaction machine
JP3368347B2 (ja) 1994-03-29 2003-01-20 オムロン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EP0940779B1 (en) * 1994-05-20 2006-08-16 Fujitsu Limited Paper sheet manipulating apparatus
JP3466287B2 (ja) * 1994-08-31 2003-11-10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幣収納繰出し装置
JPH08161582A (ja) 1994-12-01 1996-06-21 Toyo Commun Equip Co Ltd 返却紙幣等の保持装置
DE19536481A1 (de) 1995-09-29 1997-04-03 Siemens Nixdorf Inf Syst Geldannahme- und -ausgabeautomat
GB9523378D0 (en) * 1995-11-16 1996-01-17 At & T Global Inf Solution A cash dispensing apparatus
US5984177A (en) * 1996-08-16 1999-11-16 Transaction Technology, Inc. Multiple configuration automatic teller machine
GB9626835D0 (en) * 1996-12-24 1997-02-12 Ncr Int Inc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assage of multiple superposed sheets along a feed path
JP3365540B2 (ja) 1996-12-24 2003-01-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H10269410A (ja) 1997-03-27 1998-10-09 Glory Ltd 貨幣入出金処理システム
GB9711069D0 (en) * 1997-05-30 1997-07-23 Ncr Int Inc Automated teller machines and method of replenishing the same
US6241244B1 (en) * 1997-11-28 2001-06-05 Diebold, Incorporated Document sensor for currency recycl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US6109522A (en) * 1997-11-28 2000-08-29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self auditing capabilities and system
JP3437432B2 (ja) * 1998-02-02 2003-08-18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GB9812839D0 (en) * 1998-06-16 1998-08-12 Ncr Int Inc Sheet dispensing mechanism
GB9812842D0 (en) * 1998-06-16 1998-08-12 Ncr Int Inc Automatic teller machines
EP0967581A3 (en) * 1998-06-26 2004-06-09 Hitachi, Ltd.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JP4135238B2 (ja) * 1998-12-08 2008-08-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AR031076A1 (es) * 1999-09-21 2003-09-10 Diebold Inc Ma quina automa tica para transaccion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031B1 (ko) * 2002-01-07 2005-09-1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폐 수납/지불 장비 및 자동 현금 거래 장치
KR100691604B1 (ko) * 2003-10-28 2007-03-0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US8087656B2 (en) 2007-05-24 2012-01-03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Cash handling system
KR20160081302A (ko) * 2014-12-31 2016-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3251A1 (en) 2003-11-19
EP2259236A2 (en) 2010-12-08
EP1783700A2 (en) 2007-05-09
EP1783699A3 (en) 2007-06-13
US7216591B2 (en) 2007-05-15
CN1928926A (zh) 2007-03-14
US7011201B2 (en) 2006-03-14
CN1828674B (zh) 2010-11-17
US20020170956A1 (en) 2002-11-21
EP1008965A1 (en) 2000-06-14
CN1532778A (zh) 2004-09-29
JP2000172946A (ja) 2000-06-23
US20040182677A1 (en) 2004-09-23
CN101950443A (zh) 2011-01-19
EP1783701A2 (en) 2007-05-09
JP4135238B2 (ja) 2008-08-20
CN103106730B (zh) 2016-08-24
US6422458B1 (en) 2002-07-23
CN1822055A (zh) 2006-08-23
US20060090983A1 (en) 2006-05-04
CN1928926B (zh) 2012-10-24
US20100164161A1 (en) 2010-07-01
DE69941374D1 (de) 2009-10-15
CN1282943A (zh) 2001-02-07
US20030205618A1 (en) 2003-11-06
CN1282137C (zh) 2006-10-25
EP1783702A2 (en) 2007-05-09
EP1783700A3 (en) 2007-06-27
EP1783701B1 (en) 2011-08-24
CN103106730A (zh) 2013-05-15
EP1783701A3 (en) 2007-06-27
DE69935111T2 (de) 2007-11-22
US7988141B2 (en) 2011-08-02
KR100351172B1 (ko) 2002-09-09
CN101950444A (zh) 2011-01-19
US20090085274A1 (en) 2009-04-02
DE69941613D1 (de) 2009-12-10
CN1828674A (zh) 2006-09-06
EP2259235A2 (en) 2010-12-08
US6572013B2 (en) 2003-06-03
DE69942010D1 (de) 2010-03-25
EP1783702A3 (en) 2007-06-27
DE69935111D1 (de) 2007-03-29
US20070221469A1 (en) 2007-09-27
EP2259236A3 (en) 2011-04-06
CN101950444B (zh) 2012-03-07
EP2259236B1 (en) 2016-03-30
CN1822055B (zh) 2010-04-07
US6889898B2 (en) 2005-05-10
EP1783700B1 (en) 2009-10-28
US7644914B2 (en) 2010-01-12
CN1246806C (zh) 2006-03-22
EP1783699B1 (en) 2009-09-02
EP1363251B1 (en) 2010-02-10
EP1008965B1 (en) 2007-02-14
CN101950443B (zh) 2013-03-06
CN105701909A (zh) 2016-06-22
EP1783699A2 (en) 2007-05-09
EP2259235B1 (en) 2016-05-04
US7464921B2 (en) 2008-12-16
CN105701909B (zh) 2017-08-11
EP2259235A3 (en)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1172B1 (ko) 지폐입출금기
KR100323491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일시보관고
JP3815651B2 (ja) 紙幣入出金機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H11110607A (ja) 紙幣入出金機
JP5153530B2 (ja) 紙幣入出金機
JP4366434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8171451A (ja) 紙幣入出金機
JP4423344B2 (ja) 自動取引装置
JP4845905B2 (ja) 紙幣入出金機
JPH11175801A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02236961A (ja) 紙幣入出金機
JP4292232B2 (ja) 紙幣入出金機
JP4292180B2 (ja) 自動取引装置
JP5498516B2 (ja) 紙幣入出金機
JP3799320B2 (ja) 紙幣カセット及び紙幣取扱装置
KR100372586B1 (ko) 지폐 입출금기
JP5498549B2 (ja) 紙幣入出金機
JP3799321B2 (ja) 紙幣カセット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6190333A (ja) 紙幣入出金機
JP3902980B2 (ja) 自動取引装置
JP4310304B2 (ja) 自動取引装置
JP4866405B2 (ja) 紙幣入出金機
JP2008159086A (ja) 紙幣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060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