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22286A - 산화 올리고당 - Google Patents

산화 올리고당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286A
KR20000022286A KR1019980710708A KR19980710708A KR20000022286A KR 20000022286 A KR20000022286 A KR 20000022286A KR 1019980710708 A KR1019980710708 A KR 1019980710708A KR 19980710708 A KR19980710708 A KR 19980710708A KR 20000022286 A KR20000022286 A KR 20000022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ized
solution
cellulose
oligosaccharides
oligosacchar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존 도일
로웰 샤퍼스테인
엘라인 로리머
폴 윌리암 왓트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메디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메디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메디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2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28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02Oxycellulose; Hydrocellulose; Cellulosehydrate, e.g. microcrystalline cellulose
    • C08B15/04Carboxycellulose, e.g. prepared by oxidation with nitroge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G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 C07G3/00Glycos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20Post-etherification treatments of chemical or physical type, e.g. mixed etherification in two steps, including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이고 산화 재생 셀룰로즈(ORC)와 같은 산화 다당류의 부분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된 올리고당을 제공한다. 올리고당은 상처 드레싱으로서 유용하거나 또는 이러한 제제에 사용되고,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을 결합시키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산화 올리고당
본 발명은 산화 재생 셀룰로즈(ORC)의 올리고당과 같은 산화 올리고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처 드레싱 및 기타 의학적 및 약제학적 적용에 있어서의 산화 올리고당의 용도 및 산화 올리고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ORC는 용혈 작용(haemostasis)을 발생시키고 장벽 물질로서 수술에 따르는 유착을 방지하기 위해 오랫동안 의학적으로 제조 및 사용되어 왔다. ORC의 주요 특징은 체내 이식시에 흡수될 수 있는 것인데 반해, 셀룰로즈는 그렇지 않다. ORC는 중합체의 가수분해에 의해 재흡수되어 신진대사되고 체내로부터 제거되는 작은 올리고당을 수득한다. 셀룰로즈 중량에 대해 10 내지 21%의 카복실 그룹을 수득하기 위한 셀룰로즈의 산화는 실제로 이식 후 2 내지 3주내에 물질의 완전한 흡수를 가능케한다.
ORC는 문헌[참조: US-A-312247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셀룰로즈를 사산화이질소와 같은 산화제에 노출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셀룰로즈 물질의 물리적 형태는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셀룰로즈막, 종이, 스폰지 및 직물은 모두 산화되어 ORC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시판되는 바람직한 물질은 부직 또는 편직물이다. 편직물 형태의 ORC는 흡수성 용혈 작용용으로서 마크 서지셀(Mark SURGICEL)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ORC는 또한 유착 장벽용으로서 마크 인터시드(Mark INTERCEED)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된다.
셀룰로즈 외의 다당류는 또한 산화되어 의학적으로 유용한 용혈 작용성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다당류는 덱스트란, 겔란 검 및 크산탄 검과 같은 미생물성 다당류; 식물로부터 유도된 다당류, 예를 들면 아가, 전분, 콘작, 카라기난, 구아 검, 이눌린 및 펙틴; 및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메틸 셀룰로즈 및 에틸 셀룰로즈와 같은 다당류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처 드레싱용으로서 ORC를 기타 물질과 배합하도록 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문헌[참조: US-A-2517772(Doub et al)]에는 트롬빈이 주입된 ORC로부터 형성된 드레싱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ORC는 명확하게 산성이다. 완전히 수-포화된 ORC 직물 조각 표면의 pH는 1.7만큼이나 낮을 수 있다. 트롬빈과 같은 다수의 단백질성 제제는 고도로 산-민감성이고, 이러한 매트릭스와 접촉시 즉시 불활성화된다. 따라서, Doub 등은 트롬빈을 주입하기 전에 ORC를 중화시켜야한다고 지시하고 있다. 아세트산칼슘, 중탄산나트륨, 암모니아 및 알콜성 에틸아민이 적합한 중화제의 예로 제시되었으나, Doub 등은 ORC를 용액 또는 겔화 및 탈통합화로 인해 물에 정치시킬 때 이의 직물 특성이 손상될 정도로 중화시켜서는 안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문헌[참조: EP-A-0437095]에는 ORC 피혁을 중화시키기 위해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겔화되고, 이의 원래 크기로부터 비틀어지고 강도가 거의 없는 매우 약한 직물이 제조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직물의 신장 강도는, 예를 들어 용혈 작용과 같은 실질적인 용도에는 너무 낮다고 한다. 유사한 결과를 강염기성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문헌[참조: EP-A-0437095]에는 산성 산화 셀룰로즈 물질을 알콜, 및 약산의 약염기성 염소-비함유염 수용액과 접촉시켜 셀룰로즈 물질의 pH를 5 내지 8로 상승시키고, 상승된 pH의 셀룰로즈 물질을 알콜로 세정하여 과량의 염과 물을 제거하고, 셀룰로즈 물질을 건조시켜 알콜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안정한, 무자극성 및 치료학적인 중화된 산화 셀룰로즈 생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르러 ORC 및 기타 산화 다당류를 온화한 알카리성 조건하에 부분적으로 가수분해시켜 의학적으로 유용한 다수의 특성을 갖는 올리고당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Da인 산화 올리고당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산화 올리고당은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제제에 결합하고, 이러한 결합된 제제는 이어서 고수율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화 올리고당은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면 상처 드레싱에 사용되어 이러한 제제를 상처 부위로 전달시킬 수 있다. 산화 올리고당에 의해 결합된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펩타이드 및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PDGF AB, PDGF BB, TGF-β1, TGF-β2, TGF-β3, 염기성 FGF, 산성 FGF 및 가능하게는 EGF 및 TGF-α와 같은 성장 인자를 포함한다.
어떠한 이론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바는 아니나, 산화 올리고당상의 음이온성 카복실레이트 그룹은 펩타이드 및 단백질상의 양이온성 아민 그룹에 착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음이온성 그룹을 갖는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약제로의 착화는,예를 들어 이온성 가교 결합제로서 Ca2+또는 Zn2+와 같은 다가 금속 이온을 사용함으로써 즉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화 올리고당의 추가 장점은 단백질 및 기타 다당류와 같은 기타 물질과 친밀하게 배합(화학적 가교 결합이 있거나 없이)되어 신규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산화 올리고당은 히알루론산, 키토산 또는 알기네이트(특히, 나트륨 알기네이트, 칼슘 알기네이트 또는 혼합된 나트륨/칼슘 알기네이트)와 배합되어 신규 용혈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올리고당, 다당류 또는 단백질과 산화 올리고당의 복합물은 방부제, 항생제, 단백질 성장 인자, 소염제, 진통제, 아프로티닌과 같은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 또는 하이드록사민산과 같은 다양한 치료제에 대한 조절된 방출 매트릭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화 올리고당은 용액 내에 존재하는 동안 목적하는 치료제와 배합될 수 있고(치료제는 용액 내 또는 현탁액 내 존재), 이어서 올리고당은 적합한 수단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 치료제가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는 물질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용매를 예를 들어, 냉동-건조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산화 올리고당은 또한 가교-결합되어 삼차원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올리고당을 매우 저농도의 펩신-가용화 콜라겐이 첨가된 물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어서 카보디이미드를 가교-결합제로서 첨가할 경우, 콜라겐은 삼차원 구조물을 냉동 건조에 의해 수득할 수 있을 정도로, 올리고당간의 브릿징 그룹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산화 올리고당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Da 이상이고, 일반적으로는 100000 미만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Da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화 올리고당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상이한 분자의 혼합 집단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특정 분자량 범위를 갖는 산화 올리고당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자의 90중량% 이상이 특정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당은 불용성 산화 다당류로부터 유도되고 이의 분자량은 중성 및 알카리성 pH에 용해될 수 있을 정도이나, 산성 pH에는 불용성인 수준이다. 이러한 올리고당은 단지 pH를 감소시켜 침전시킴으로써 용액으로부터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다. 그러나, 산화 올리고당은 또한 비휘발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용액으로 이동되어,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용액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올리고당은 이온 교환 고체상 추출 칼럼(예: 미리 메탄올로 활성화되고 희석 아세트산으로 평형화시킨 페닐 붕산 고체상 칼럼)을 사용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이어서 수산화암모늄 희석 용액(예: 0.1M)으로 용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산화 올리고당은 5 내지 2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중량%의 카복실 함량을 갖는다. 올리고당의 카복실 함량은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산화 올리고당 샘플(약 0.2g)을 0.5M 수산화나트륨(5㎖)에 용해시키고 0.1%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용액 2방울을 가한다. 과량의 수산화나트륨을 0.1M HCl로 페놀프탈레인 종말점으로 역적정시킨다(적색이 선명해질 때까지). 0.1M 수산화나트륨 5㎖를 0.1M HCl로 적정하여 블랭크값을 측정한다. 카복실 함량에 대한 값을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상기식에서,
C는 카복실 함량 %이고,
B는 적정 블랭크에 대한 표준 HCl의 용적(㎖)이고,
S는 적정 샘플에 대한 표준 HCl의 용적(㎖)이고,
M은 표준 HCl의 몰농도이고,
W는 샘플의 건조 중량(g)이다[4.5 =(카복실의 밀리그램당량 중량)×100].
본 발명은 또한 분자량이 50000 이상(보다 일반적으로는 100000 이상, 예를 들면, 30000 이상)인 산화 다당류를, 이를 부분 가수분해시키기에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서 알카리성 수용액으로 처리한 후에 용액으로부터, 예를 들면 pH를 7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생성된 산화 올리고당을 회수함을 포함하는, 산화 올리고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기타 알카리(예를 들면, 수성 수산화암모늄)를 또한 사용할 수 있으나, 알카리성 용액은 편의상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중탄산염,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의 용액이다. 처리 조건(특히, pH)은 수득할 생성물에 대한 목적하는 분자량에 좌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 적합한 조건은 통상의 실험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해, 산화된 재생 셀룰로즈를 1M 내지 8M 수산화나트륨에 0℃ 내지 50℃의 온도에서 5 내지 120분 동안 가수분해시켜 1000 내지 20000Da의 분자량 범위의 올리고당을 수득할 수 있거나, 0.01M 내지 1M 중탄산나트륨으로 0℃ 내지 50℃에서 10시간 내지 10일 동안 가수분해시켜 7000 내지 50000 분자량 범위의 올리고당을 수득할 수 있다.
용액이 거의 중성을 나타낼 때까지 무기산과 같은 산을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농축된 염산을 편의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기술된다.
실시예 1
서지셀(SurgicelTM) 직물을 20㎎/㎖의 농도에서 6M 수산화나트륨에 용해시켜 ORC 용액을 제조한다. 침전이 발생하고 pH가 알카리성에서 pH 7 이하로 변할 때까지 6M HCl을 첨가하여 반응을 멈춘 후에 용액을 37℃에서 45분동안 가온처리한다. 침전물을 밤새 정치시킨 후에, 과량의 액체를 제거한다. 침전물을 분자량 1000을 기준으로 분리 제거되도록 튜빙에서 물에 대해 투석시킨 후에, 냉동 건조시켜 분말을 수득한다.
겔 전기영동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올리고당의 분자 크기는 약 1000 내지 15000Da 범위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2
서지셀 직물을 10㎎/㎖의 농도에서 0.1M 중탄산나트륨에 용해시켜 ORC 용액을 제조한다. 모든 ORC가 용해될 때까지 용액을 37℃에서 수일(2-3일)동안 가온처리한다. 침전이 발생하고 pH가 알카리성에서 pH 7 이하로 변할 때까지 6M HCl을 첨가하여 반응을 멈춘다. 침전물을 밤새 정치시킨 후에, 과량의 액체를 제거한다. 침전물을 분자량 1000을 기준으로 분리 제거되도록 튜빙에서 물에 대해 투석시킨 후에, 냉동 건조시켜 분말을 수득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된 분자 크기는 약 1000 내지 30000Da 범위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산화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스폰지를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카복시메틸셀룰로즈(CMC)[제조원: Aqualon Corporation] 7.5g을 교반시키면서 물 500g에 첨가한다. 중합체의 용해시, 용액을 밤새 탈기시켜 포획된 기포를 제거한다. 용액을 3×4×(1/4)인치의 트레이에 붓고, 동결건조기에서 24시간동안 냉동 건조시킨다. 부드럽고, 백색인 수용성 CMC 스폰지를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한다.
CMC 스폰지의 산화를 건식 스폰지 5.8g을 사산화질소 8g을 함유하는 작은 플라스크가 부착된 수지 케틀에 정치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사산화질소를 작은 플라스크에서 수지 케틀로 증발시키도록 하고 CMC 스폰지를 기체 대기내로 감싼다. 기체를 가성 트랩으로 방출시켜 스폰지를 제거하고 물 500㎖에 정치시킨 후에 스폰지를 수지 케틀에 48시간동안 정치시킨다. 산화된 CMC 스폰지는 불수용성이다. 이들을 물로 15분동안 세정한 후에 추가 세정을 위해 신선수에 정치시킨다. 산화된 스폰지의 이러한 세정을 세정수의 pH가 약 3 이상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 백색의 산화된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스폰지를 100% 이소프로필 알콜에 15분동안 정치시킴으로써 건조시킨다. 이를 총 2회 세정한 후에 스폰지를 공기 건조시킨다. 산화된 CMC 스폰지는 부드럽고 안락하며 등장성 염수를 자체 중량의 14배까지 흡수할 수 있다. 이들은 0.5N 수산화나트륨에 가용성이고, 적정에 의한 이의 카복실산 함량이 26.3%임을 특징으로 한다.
스폰지 물질을 10㎎/㎖의 농도에서 0.1M 수산화암모늄에 용해시켜 산화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즈의 용액을 제조한다. 용액을 37℃에서 2시간동안 가온처리한 후에 침전이 발생할 때까지 6M HCl을 첨가하여 반응을 멈춘다. 침전물을 회수하고 분자량 1000Da으로 커팅하여 튜빙에서 증류수에 대해 강도있게 투석시킨 후에, 냉동 건조시켜 분말을 수득한다.
분자량을 겔 전기영동에 의해 측정한 결과 1000 내지 30000Da임이 밝혀졌다.
실시예 4
메틸 셀룰로즈를 실시예 3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화시키고, 산화 물질을 20㎎/㎖의 농도에서 6M 수산화나트륨에 용해시키고 37℃에서 45분동안 가온처리하여 용액을 제조한다. 용액을 원심분리시켜 용해되지 않은 물질을 제거하고, 6M HCl을 첨가하여 올리고당을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킨다. 침전물을 회수하고 분자량 1000Da을 기준으로 분리 제거되도록 증류수에 대해 포괄적으로 투석시킨다. 분자량을 겔 전기영동에 의해 측정하여 1000 내지 5000Da임을 밝혀냈다.
실시예 5
흡착제 물질 100㎎을 함유하고 10㎖ 집수기가 장착된 페닐 보론산(PBA) 고체상 추출 칼럼[제조원: Bond Elut, Varian Associates]을 칼럼을 메탄올 100㎖을 사용하여 활성화시켜 칼럼을 적시고, 0.1M 아세트산 10㎖로 정확한 pH에서 칼럼을 평형화시킨다.
인터시드(InterceedTM) 물질 1g을 6M 수산화나트륨 용액 100㎖에 용해시켜 ORC 용액을 제조한다. 인터시드 물질을 충분히 용해시킨 후에 용액을 pH 3.0으로 산성화시키고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한다. 상등액을 따라내어, 2㎖를 활성화된 PBA 칼럼을 통해 통과시킨다. 이어서 칼럼을 0.1M 아세트산 2㎖ 및 증류수 4×2㎖ 분획으로 세정하여 모든 염 또는 기타 외인성 물질을 제거한다. ORC 올리고당을 0.1M 수산화암모늄 2×2㎖ 분획을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시킨다. 분획을 모아, 냉동시키고 동결건조시켜 분말을 제조한다. 산화 올리고당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한 후에, 질량 스펙트로그래피 분석한 결과 분자량이 600 내지 1200Da 범위임이 밝혀졌다.
실시예 6
콜라겐/ORC 올리고당 스폰지를 하기 방법으로 제조한다. 석회화 콜라겐 직물(0.8g)을 0.01 HCl(pH 3.0) 160㎖에 슬러리시키고 실시예 2와 같이 제조된 ORC 올리고당(분자량 1000-150000Da) 0.16g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15초 동안 균질화시키고, HMDI를 첨가하고(콜라겐 10% w/w) 슬러리를 추가의 2×15초 동안 균질화시킨다. 슬러리를 탈기시키고, 2개의 직경 9㎝의 페트리 접시에 적가하고, 72시간동안 -30℃ 내지 70℃의 열 등을 작동시켜 냉동 건조시킨다.
이어서 콜라겐/ORC 올리고당 스폰지를 플레이트렛-유도된 성장 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에 대한 이의 결합능에 대해 시험한다. 비교의 목적으로, 인터시드(InterceedTM) 및 단순한 콜라겐 스폰지(상기와 같이 제조됨, 단 ORC 올리고당의 첨가는 제외)를 또한 시험한다. 각각의 경우에, 시험 물질의 약간 분(인터시드 직물 약 1㎠ 및 스폰지 1㎝×0.5㎝×0.4㎝)을 측량하고 150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100mM 인산나트륨 이염기성 완충액(총 용적 1㎖)에 실온에서 약 1시간동안 침지시킨다. 이어서 샘플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인산 완충 염수(PBS)에서 2% 소 혈청 알부민(BSA)으로 배양한다. 이어서 PDGF 25ng을 2% BSA을 함유하는 PBS 250㎕내 각각의 샘플에 첨가한 후에, 샘플을 37℃에서 추가의 시간동안 가온처리한다.
이어서 각각의 샘플을 PBS 250㎕로 3회 세정한 후에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샘플을 4.0M 우레아로 세정한다. 원래의 PDGF의 제제 및 샘플 물질로부터의 다양한 세정물의 엘리사(ELISA) 분석은 하기 결과를 제공한다:
PDGF-AB의 결합
샘플 콜라겐 COLL/ORC 인터시드
원래의 제제 100% 100% 100%
비결합물 20.6% 22.95 15.4%
PBS 세정물 1.8% 11.1% 7.5%
0.3M NaCl 4.50% 12.3% 1.9%
0.5M NaCl 22.0% 22.2% 7.7%
1.0M NaCl 11.9% 15.2% 11.2%
2.0M NaCl 3.0% 5.1% 7.8%
3.0M NaCl 0% 4.3% 3.4%
4.0M 우레아 0% 4.0% 9.7%
회수물 63.8% 97.1% 64.6%
상기 결과를 통해 3가지 시험 물질 모두가 PDGF의 유사량으로 결합하나, PDGF는 콜라겐/ORC 올리고당 스폰지로부터 가장 높은 수율로 회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합 특성은 또한 개별적인 비교 물질과 비교시 콜라겐/ORC 올리고당 물질에 대해 특이하게 상이하다. 이러한 관찰은 착물이 외인성 결합 및 내인성 결합에 대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PDGF의 특이한 결합 및 성장 인자의 방출을 가짐을 나타낸다.

Claims (19)

  1.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Da인 산화 올리고당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산화된 세균성 또는 식물성 다당류로부터 유도된 올리고당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산화된 동물성 다당류 또는 산화된 합성 다당류로부터 유도된 올리고당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산화 셀룰로즈 또는 산화 셀룰로즈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올리고당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덱스트란, 겔란 검, 크산탄 검, 아가, 전분, 콘작, 카라기난, 구아 검, 펙틴,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메틸 셀룰로즈, 셀룰로즈 포스페이트, 에틸 셀룰로즈 또는 이눌린의 산화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올리고당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25000Da인 올리고당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산화 올리고당 조성물을 포함하는 국소,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산화 올리고당 조성물이 약리학적 활성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에 결합된 약제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이 성장 인자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상처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당 조성물의 용도.
  11. 제8항에 있어서, 약리학적 활성제가 상처 드레싱제 전반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분포된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약리학적 활성제가 항생제, 방부제 또는 단백질 성장 인자인 용도.
  13. (a)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산화 다당류를 부분 가수분해시키기에 충분한 온도 및 시간동안 알카리성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b) 생성된 산화 올리고당을 상기 용액으로부터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 올리고당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알카리성 용액이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중탄산염의 용액인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산화 올리고당이 산을 사용하여 pH를 7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용액으로부터 회수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산이 농축된 무기산인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산화 올리고당의 알카리성 용액을 제공하고,
    (b)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제제를 상기 알카리성 용액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고,
    (c) 상기 용액 또는 분산액의 pH를 감소시켜 상기 산화 올리고당을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산화 올리고당의 알카리성 용액을 제공하고,
    (b)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제제를 상기 알카리성 용액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고,
    (c) 용매를 상기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용매를 단계 (c)에서 냉동-건조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
KR1019980710708A 1996-06-28 1997-06-27 산화 올리고당 Withdrawn KR20000022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613683A GB2314840B (en) 1996-06-28 1996-06-28 Oxidized oligosacchar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9613683.3 1996-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286A true KR20000022286A (ko) 2000-04-25

Family

ID=1079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708A Withdrawn KR20000022286A (ko) 1996-06-28 1997-06-27 산화 올리고당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907664B1 (ko)
JP (2) JP4302187B2 (ko)
KR (1) KR20000022286A (ko)
AT (1) ATE195742T1 (ko)
AU (1) AU725296B2 (ko)
BR (1) BR9710003A (ko)
CA (1) CA2258849C (ko)
CZ (1) CZ294839B6 (ko)
DE (1) DE69702911T2 (ko)
ES (1) ES2148991T3 (ko)
GB (1) GB2314840B (ko)
GR (1) GR3034853T3 (ko)
HU (1) HUP9903404A3 (ko)
PL (1) PL189194B1 (ko)
PT (1) PT907664E (ko)
WO (1) WO19980004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520A (ko) * 2019-04-30 2020-11-0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바이오셀룰로오스-펩티드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2320B1 (en) 1995-06-07 2006-09-26 Andre Beaulieu Solid wound healing formulations containing fibronectin
GB2344519B (en) * 1998-12-07 2004-05-19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Sterile therapeutic compositions
GB9900150D0 (en) 1999-01-05 1999-02-24 Unilever Plc Treatment for fabrics
GB2354708B (en) * 1999-10-01 2004-06-02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wound contracture
US6309454B1 (en) 2000-05-12 2001-10-30 Johnson & Johnson Medical Limited Freeze-dried composit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U784607B2 (en) * 2000-05-12 2006-05-11 Systagenix Wound Management Ip Co. B.V. Free radical scavenging compositions
CA2347566A1 (en) * 2000-05-12 2001-11-12 Johnson & Johnson Medical, Limited Solid compositions exhibiting selective binding to dissolved iron
WO2002087643A1 (fr) * 2001-04-30 2002-11-07 Beijing Textile Research Institute Matieres styptiques de derives ether de cellulose hydrosolubles
US20030118651A1 (en) * 2001-12-21 2003-06-26 Jampani Hanuman B. Bio-compatible means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to tissue and method of use
US20030124087A1 (en) * 2001-12-26 2003-07-03 Amitie Co. Ltd. Anti-adhesion barrier
US7279177B2 (en) * 2002-06-28 2007-10-09 Ethicon, Inc. Hemostatic wound dressing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40101547A1 (en) * 2002-11-26 2004-05-27 Pendharkar Sanyog Manohar Wound dressing containing aldehyde-modified regenerated polysaccharide
US7252837B2 (en) 2002-06-28 2007-08-07 Ethicon, Inc. Hemostati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ES2286497T3 (es) * 2002-09-11 2007-12-01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Materiales de aposito para heridas que comprenden complejos de polisacaridos anionicos con plata.
GB2392913B (en) * 2002-09-11 2007-04-04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Wound dressings comprising complexes of oxidised celluloses with silver
GB2393120A (en) * 2002-09-18 2004-03-24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Compositions for wound treatment
US8685943B2 (en) 2003-03-12 2014-04-01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reducing diarrhea in a companion animal
US7019191B2 (en) 2003-03-25 2006-03-28 Ethicon, Inc. Hemostatic wound dressings and methods of making same
DE10319808A1 (de) * 2003-04-28 2004-11-18 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Verwendung von Polysaccharid-Derivaten als Mittel zur Stimulierung der Zellproliferation
GB2408206B (en) 2003-11-18 2007-11-28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wound dressing materials
US20040265371A1 (en) 2003-06-25 2004-12-30 Looney Dwayne Lee Hemostat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1689787A2 (en) 2003-11-28 2006-08-16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interpolymers and method of oxidation
US7914812B2 (en) * 2004-09-17 2011-03-29 Dixon David M Wound care dressing and method using same
ES2530989T3 (es) 2004-10-20 2015-03-09 Ethicon Inc Hemostático absorbible
PL1802358T3 (pl) 2004-10-20 2015-07-31 Ethicon Inc Wzmocniony, ulegający absorpcji, wielowarstwowy materiał do zastosowania w wyrobach medycznych oraz sposób jego wytwarzania
US9358318B2 (en) 2004-10-20 2016-06-07 Ethicon, Inc. Method of making a reinforced absorbable multilayered hemostatic wound dressing
US8445671B2 (en) 2005-09-02 2013-05-21 Alltracel Development Services Limited Method for preparing polyanhydroglucuronic acid and/or salts thereof
JP4975996B2 (ja) * 2005-09-30 2012-07-11 東邦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チオン変性ペクチン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GB2444232A (en) 2006-11-30 2008-06-04 Ethicon Inc Wound dressing compositions comprising cell lysates
US20090074837A1 (en) * 2007-09-19 2009-03-19 Ut-Battelle, Llc Bioresorbable Calcium-Deficient Hydroxyapatite Hydrogel Composite
US9376648B2 (en) 2008-04-07 2016-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manipul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fine particles
JP2010284216A (ja) * 2009-06-09 2010-12-24 Hogi Medical:Kk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818055B2 (ja) * 2010-03-17 2015-11-18 静岡県公立大学法人 トリアセチルセルロースブロック共重合体、その中間体、充填剤、および、界面活性剤
US9139662B2 (en) * 2011-03-30 2015-09-22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nanofibers
DE102011007528A1 (de) * 2011-04-15 2012-10-18 Aesculap Aktiengesellschaft Thixotrope Zusammensetzung, insbesondere zur postchirurgischen Adhäsionsprophylaxe
US20140148407A1 (en) * 2011-06-16 2014-05-29 Janet Lesley Scott Aqueous gels
CN104945448B (zh) * 2015-05-22 2018-06-19 上海绿谷制药有限公司 一种氧化型β-1,4-寡聚葡萄糖醛酸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849154A (zh) * 2016-06-02 2018-03-27 郡是株式会社 医用纤维结构和医用层压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128C (de) * 1921-01-03 1922-09-29 Albert Reychler D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erkeloesungen
US2517772A (en) * 1945-05-11 1950-08-08 Parke Davis & Co Neutralized oxidized cellulose products
US3598622A (en) * 1969-02-19 1971-08-10 Cpc International Inc Alkali treated starch compositions
AR243204A1 (es) * 1986-11-21 1993-07-30 Ajorca Sa Un metodo para la depolimerizacion quimica de polisacaridos.
CA2033046C (en) * 1990-01-12 1999-08-03 Lowell Saferstein Process for preparing a neutralized oxidized cellulose product and its method of use
CN1035803C (zh) * 1990-07-24 1997-09-10 中国化工进出口总公司 可溶性止血织物
CA2071137A1 (en) * 1991-07-10 1993-01-11 Clarence C. Lee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vitalizing scar tissue
JP3357996B2 (ja) * 1993-03-26 2002-12-16 ライオン株式会社 金属イオン封鎖性オリゴマー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オリゴマー化合物を含む洗浄剤組成物
US5414079A (en) * 1993-08-03 1995-05-09 Biocontrol Incorporated Oxidized cellulose
DE4411681A1 (de) * 1994-04-05 1995-10-12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niedermolekularer Polysaccharidet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520A (ko) * 2019-04-30 2020-11-0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바이오셀룰로오스-펩티드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14840B (en) 2000-09-06
HUP9903404A3 (en) 2001-03-28
JP5208707B2 (ja) 2013-06-12
PL330825A1 (en) 1999-06-07
ATE195742T1 (de) 2000-09-15
JP2000514110A (ja) 2000-10-24
EP0907664A1 (en) 1999-04-14
BR9710003A (pt) 2000-01-11
DE69702911T2 (de) 2001-02-22
WO1998000446A1 (en) 1998-01-08
JP2009102645A (ja) 2009-05-14
ES2148991T3 (es) 2000-10-16
GB9613683D0 (en) 1996-08-28
CA2258849C (en) 2008-01-22
PL189194B1 (pl) 2005-07-29
CZ294839B6 (cs) 2005-03-16
JP4302187B2 (ja) 2009-07-22
GB2314840A (en) 1998-01-14
DE69702911D1 (de) 2000-09-28
CZ427498A3 (cs) 1999-05-12
PT907664E (pt) 2000-12-29
HUP9903404A2 (hu) 2000-03-28
GR3034853T3 (en) 2001-02-28
AU3269397A (en) 1998-01-21
AU725296B2 (en) 2000-10-12
CA2258849A1 (en) 1998-01-08
EP0907664B1 (en) 200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2286A (ko) 산화 올리고당
EP2809365B1 (en) Haemostatic wound dressing
JP3819567B2 (ja) 多糖類スポンジの製造方法
JP4401438B2 (ja) 慢性創傷治癒のための酸化セルロースおよびその複合体の使用
JP3337472B2 (ja) 創傷治癒剤
CN112370567A (zh) 一种具有抗菌消炎功能的水凝胶活性敷料
CA2288983C (en) Covalently linked n,o-carboxymethylchitosan and uses thereof
JPS6147413A (ja) 活性化合物デポー剤
JPH07102002A (ja) 架橋ヒアルロン酸及びこれらの複合材料
JP2000116765A (ja) 癒着防止用材料
Maire et al. Reten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using functionalized dextran-based hydrogels
CN105801870B (zh) 一种聚唾液酸-透明质酸复合凝胶的制备方法及所得产品和应用
CN114522270B (zh) 止血粉的制备方法
CN106466492A (zh) 一种基于羧甲基壳聚糖的聚电解质止血粉的制备方法
JPS6087219A (ja) 活性物質デポー
JP2004041586A (ja) 生体適合性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431970B (zh) 一种含有促进伤口愈合双药的纤维束/多肽水凝胶及其制备方法
CN114225097B (zh) 一种负载抗菌肽的可自愈水凝胶创面敷料及其制备方法
RU219178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Yamazaki et al. Chitosan derivatives for bioadhesive/hemostatic application: chemical and biological aspects
CN114425307A (zh) 基于颜色响应机制的生物质气凝胶材料、制备方法及应用
JP2006306759A (ja) トロンビン医薬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