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020A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22020A KR20000022020A KR1019980062815A KR19980062815A KR20000022020A KR 20000022020 A KR20000022020 A KR 20000022020A KR 1019980062815 A KR1019980062815 A KR 1019980062815A KR 19980062815 A KR19980062815 A KR 19980062815A KR 20000022020 A KR20000022020 A KR 200000220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suction
- duct
- vacuum cleaner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5)
-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와 상기 주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 본체로 보내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주공기유로와,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입구와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주공기유로로 보내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보조공기유로를 가지는 흡입구몸체와; 상기 보조공기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유로는 상기 보조흡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구몸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개방부와 상기 주공기유로와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관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방향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부상부재와; 상기 부상부재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상하운동하면서 상기 덕트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동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덕트의 외측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는 상기 덕트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최소한 1개 이상의 부상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는 상기 덕트의 하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힘을 받는 상판과, 상기 덕트의 상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하강하는 힘을 받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가 회전하면서 상하운동하기 위하여 상기 부상부재의 연결부재는 수직선상에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보조부상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부상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기 덕트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개폐판과, 상기 부상부재의 하강에 따라 상기 덕트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부개폐판과,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의 상면 및 하면중 최소한 하나의 면에는 흡음방진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그 끝단에는 진동판이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하강운동시 상기 진동판이 상기 흡입구몸체를 직접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상면에 흡음방진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하단은 하우징의 하면 및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그 끝단에는 진동판이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하강운동시 상기 진동판이 침구류를 직접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흡입구몸체의 주흡입구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유로 내부의 소정 위치에 진동발생수단이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유로는 상기 흡입구몸체의 상측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격벽과, 하측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격벽과 상기 하부격벽의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관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방향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부상부재와; 상기 부상부재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상하운동하면서 상기 덕트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동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는 상기 덕트의 하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힘을 받는 상판과, 상기 덕트의 상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하강하는 힘을 받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부상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기 덕트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개폐판과, 상기 부상부재의 하강에 따라 상기 덕트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부개폐판과,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하단은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그 끝단에는 진동판이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하강운동시 상기 진동판이 침구류를 직접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진동판이 설치되며 상기 주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흡입구몸체의 장변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저면에는 다수의 보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상면 및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 중의 최소한 한곳에는 다수의 흡음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내측에는 다수의 중공형상의 안내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의 상면에는 상기 안내부재에 의하여 안내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구에는 흡음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구에는 상기 보조공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진동발생수단의 작동상태를 볼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폐판 및 하부개폐판의 상면 및 하면 중의 어느 한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덕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연결축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중간부는 절개된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아래에는 위치고정용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바닥지지판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지지판을 분리 세척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판은 상기 진동판의 뒤에 위치하며 저면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제1가로부재와, 상기 주흡입구의 뒤에 위치되며 저면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흡입력을 상기 주흡입구로 집중시키는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부재의 후방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판에는 세로로 다수의 세로부재가 설치되어 진동판의 작동중지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바닥과 피청소체의 표면 사이에는 소정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소정 직경의 보조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은 연장되어, 상기 연결축의 연장부와 상기 덕트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개폐판 및 하부개폐판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탄성재질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은 연장되며, 상기 덕트에는 안내공을 가지는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의 연장부와 상기 안내공의 사이에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에는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 외부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로는 상기 보조공기유로의 통공과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유로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보조공기유로의 과부하시 개방되는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는 상기 상부격벽에 설치되는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전단에 설치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는 상기 상부격벽에 형성된 통공의 상단에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통공의 하단에 긴밀히 접촉되는 탄성재질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관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방향에 따라 수평운동하는 부상부재와; 상기 부상부재의 수평운동에 따라서 수평운동하면서 상기 덕트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부상부재의 수평운동에 따라 상기 덕트의 일측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개폐판과, 상기 부상부재의 수평운동에 따라 상기 덕트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부개폐판과,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을 안내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폐판 및 하부개폐판에는 수평운동하는 이동판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입구와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보내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보조공기유로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사지용 흡입구체.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용 흡입구체.
-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입구와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보내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보조공기유로를 가지며, 저면에는 피타격부재를 안내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진동발생수단의 저면에 결합되는 타격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격장치용 흡입구체.
-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바닥지지판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지지판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판은 상기 주흡입구의 전방에 위치하며, 저면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제1가로부재와, 상기 주흡입구의 뒤에 위치되며 저면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흡입력을 상기 주흡입구로 집중시키는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부재의 후방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2815A KR100282337B1 (ko) | 1998-09-01 | 1998-12-31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US09/237,888 US6161251A (en) | 1998-09-01 | 1999-01-27 |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
GB9902223A GB2341084B (en) | 1998-09-01 | 1999-02-01 |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
JP11024437A JP3094012B2 (ja) | 1998-09-01 | 1999-02-01 | 真空掃除機用の吸入口体 |
DE19907122A DE19907122C2 (de) | 1998-09-01 | 1999-02-19 |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
CNB991118715A CN1230113C (zh) | 1998-09-01 | 1999-08-02 | 真空吸尘器的吸嘴 |
ES009901864A ES2187222B1 (es) | 1998-09-01 | 1999-08-12 | Boquilla de succion para aspiradora. |
EA199900700A EA001254B1 (ru) | 1998-09-01 | 1999-08-31 |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9980035908 | 1998-09-01 | ||
KR1019980035908 | 1998-09-01 | ||
KR1019980062815A KR100282337B1 (ko) | 1998-09-01 | 1998-12-31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2020A true KR20000022020A (ko) | 2000-04-25 |
KR100282337B1 KR100282337B1 (ko) | 2001-02-15 |
Family
ID=2663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62815A KR100282337B1 (ko) | 1998-09-01 | 1998-12-31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6161251A (ko) |
JP (1) | JP3094012B2 (ko) |
KR (1) | KR100282337B1 (ko) |
CN (1) | CN1230113C (ko) |
DE (1) | DE19907122C2 (ko) |
EA (1) | EA001254B1 (ko) |
ES (1) | ES2187222B1 (ko) |
GB (1) | GB2341084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0216A (ko) * | 2002-12-09 | 2004-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KR100700533B1 (ko) * | 2001-10-05 | 2007-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안마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360935B (en) * | 2000-04-06 | 2003-01-29 | Reckitt Benckiser | Vacuum cleaner having a secondary inlet for drawing in airborne particles |
GB0008370D0 (en) * | 2000-04-06 | 2000-05-24 | Reckitt & Colmann Prod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
JP2003070092A (ja) * | 2001-08-23 | 2003-03-07 | Yukio Tsunoda | スポンジダンパー付きスピーカー |
KR20040050217A (ko) * | 2002-12-09 | 2004-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DE102004011745A1 (de) * | 2004-03-03 | 2005-09-22 | Alfred Kärcher Gmbh & Co. Kg | Staubsaugerdüse |
JP2005296621A (ja) * | 2004-04-13 | 2005-10-27 |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 吸入ブラシ組立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
US7143470B2 (en) * | 2004-06-18 | 2006-12-05 | Mark D. Bosses | Vacuum cleaner nozzle including mechanical beater and sonic beater |
US7234198B2 (en) * | 2004-06-18 | 2007-06-26 | Bosses Mark D | Vacuum cleaner nozzle including mechanical beater and sonic beater |
US7225505B2 (en) * | 2004-06-18 | 2007-06-05 | Bosses Mark D | Vacuum cleaner nozzle including mechanical beater sonic beater |
DE102004031633A1 (de) * | 2004-06-30 | 2006-02-09 | Schott Ag | Bakteriozid dotierte bzw. beschichtete Konstruktionsteile in Waschmaschinen, Wäschetrocknern oder dergleichen |
KR100642076B1 (ko) * | 2004-07-01 | 2006-11-10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GB2426697B (en) * | 2005-06-03 | 2007-09-05 | Kwang Dong Prec Co Ltd |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
WO2009154360A2 (ko) * | 2008-06-18 | 2009-1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의 노즐 |
US8312594B2 (en) * | 2008-06-27 | 2012-11-20 | Nilfisk-Advance, Inc. | Carpet cleaning wand having uniform air flow distribution |
JP5286332B2 (ja) * | 2010-07-15 | 2013-09-11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KR101242023B1 (ko) * | 2010-10-18 | 2013-03-12 |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어셈블리 |
CN103190862B (zh) * | 2012-01-06 | 2015-12-09 |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 风动地刷及其真空吸尘器 |
GB201208873D0 (en) * | 2012-05-17 | 2012-07-04 | Eaglestone Brian J | Vacuum system |
EP2914154A4 (en) * | 2012-11-02 | 2016-06-22 | Zenith Technologies Llc | DUAL SUCTION ASPIRATOR |
DE102019106215A1 (de) * | 2019-03-12 | 2020-09-17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Vorsatzgerät für einen Staubsauger und Verfahren zum Ableiten einer elektrischen Aufladung bei Nutzung eines Staubsaugers mit einem Vorsatzgerät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94500C (de) * | 1930-03-24 | Sachsenwerk Licht & Kraft Ag | Mundstueck fuer Staubsauger | |
US2178003A (en) * | 1931-04-22 | 1939-10-31 | Hoover Co | Suction cleaner |
US2031957A (en) * | 1932-04-05 | 1936-02-25 | Electrolux Corp | Suction nozzle |
GB446841A (en) * | 1934-12-04 | 1936-05-07 | Melvin Sivyer Hurley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ction cleaners |
US2280751A (en) * | 1939-07-07 | 1942-04-21 | Helen L Davis | Vacuum cleaner nozzle |
GB656581A (en) * | 1948-08-25 | 1951-08-29 | Horace George Walkling Knight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cuum cleaners |
US2658228A (en) * | 1950-04-22 | 1953-11-10 | Lewyt Corp | Vacuum cleaner nozzle |
DE1109844B (de) * | 1952-10-21 | 1961-06-29 | Kurt Pause | Saugklopfgeraet |
US2864119A (en) * | 1953-09-14 | 1958-12-16 | Wilford P Crise | Vacuum cleaner for drawing air through and intermittently over surface being cleaned |
US2825925A (en) * | 1954-04-05 | 1958-03-11 | Hoover Co | Suction nozzle with suction powered agitator |
US3203023A (en) * | 1960-06-30 | 1965-08-31 | Sunbeam Corp | Cleaning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
DE1844732U (de) * | 1961-10-19 | 1962-01-11 | Herbert Schmidt | Mundstueck fuer staubsauger. |
US3225379A (en) * | 1964-01-22 | 1965-12-28 | Rexair Inc | Rug tool |
DD73128B1 (de) * | 1969-01-03 | 1980-01-30 | Kurt Brendel | Einrichtung zur selbsttaetigen regulierung des unterdrucks fuer teppichklopf- und -kehrgeraete |
US3750221A (en) * | 1971-12-30 | 1973-08-07 | Gen Signal Corp | Sonic beater nozzle |
CH580476A5 (ko) * | 1974-08-08 | 1976-10-15 | Sig Schweiz Industrieges | |
US4091496A (en) * | 1975-10-28 | 1978-05-30 | Wilfrid Desrosiers | Vacuum cleaner nozzle |
US4023234A (en) * | 1975-11-05 | 1977-05-17 | Health-Mor, Inc. | Edge cleaning nozzle construction for suction cleaners |
DE7825557U1 (de) * | 1978-08-28 | 1979-08-23 |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 Staubsauger mit einer ueber ein saugrohr angeschlossenen saugduese |
DE3045392A1 (de) * | 1980-12-02 | 1982-07-01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5600 Wuppertal | Geraet zur reinigung von textilen flaechen |
US5033148A (en) * | 1988-10-12 | 1991-07-23 | Daniel J. V. D. Chauvier |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submerged in a liquid |
JPH09234173A (ja) * | 1995-12-28 | 1997-09-09 | Tec Corp |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 |
-
1998
- 1998-12-31 KR KR1019980062815A patent/KR1002823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
- 1999-01-27 US US09/237,888 patent/US6161251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2-01 JP JP11024437A patent/JP309401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2-01 GB GB9902223A patent/GB2341084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2-19 DE DE19907122A patent/DE19907122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8-02 CN CNB991118715A patent/CN123011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8-12 ES ES009901864A patent/ES2187222B1/es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8-31 EA EA199900700A patent/EA001254B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0533B1 (ko) * | 2001-10-05 | 2007-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안마장치 |
KR20040050216A (ko) * | 2002-12-09 | 2004-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187222B1 (es) | 2004-04-01 |
EA199900700A1 (ru) | 2000-04-24 |
GB2341084B (en) | 2000-11-15 |
CN1230113C (zh) | 2005-12-07 |
JP3094012B2 (ja) | 2000-10-03 |
KR100282337B1 (ko) | 2001-02-15 |
EA001254B1 (ru) | 2000-12-25 |
JP2000070191A (ja) | 2000-03-07 |
GB9902223D0 (en) | 1999-03-24 |
US6161251A (en) | 2000-12-19 |
DE19907122A1 (de) | 2000-03-09 |
CN1248423A (zh) | 2000-03-29 |
DE19907122C2 (de) | 2003-04-03 |
ES2187222A1 (es) | 2003-05-16 |
GB2341084A (en) | 2000-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82337B1 (ko)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
KR101356519B1 (ko) | 진공 청소기 | |
EP1535560B1 (en) | Dust-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for both wet and dry cleaning using the same | |
AU2009261077B2 (en) | Nozzle for a vacuum cleaner | |
JP2006141977A (ja) | サイクロン集塵装置 | |
CN101390725A (zh) | 电动吸尘器的吸口体以及具备该吸口体的电动吸尘器 | |
CN102770057B (zh) | 真空吸尘器的吸嘴 | |
KR20060122521A (ko) | 진공청소기 | |
RU2380025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основного корпуса пылесоса | |
JP2004174044A (ja) | 電気掃除機 | |
KR20170094629A (ko) |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 |
KR20040050217A (ko)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
KR100437370B1 (ko) |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 |
JPH0947386A (ja) |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 |
KR20040050216A (ko)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
KR20000001454A (ko) | 진공청소기의 흡입/불기겸용 흡입구의 구조 | |
JP2009172213A (ja) | 電気掃除機 | |
JPH09182697A (ja) |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 | |
KR20040096024A (ko) | 진공청소기의 배기장치 | |
KR100677878B1 (ko) | 진공청소기 | |
JP3225183B2 (ja) |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 |
KR20060058292A (ko) | 진공청소기용 물걸레 브러쉬 | |
KR830001682B1 (ko) | 전기 소제기 | |
JPH09182699A (ja) |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 | |
JPH0947387A (ja) |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0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