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0217A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217A
KR20040050217A KR1020020077927A KR20020077927A KR20040050217A KR 20040050217 A KR20040050217 A KR 20040050217A KR 1020020077927 A KR1020020077927 A KR 1020020077927A KR 20020077927 A KR20020077927 A KR 20020077927A KR 20040050217 A KR20040050217 A KR 20040050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vacuum cleaner
inlet
hai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석
윤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217A/ko
Publication of KR2004005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2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흡입구몸체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 주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소정위치에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 바이패스공과, 상기 바이패스공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흡입구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흡입구몸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청소대상물 상의 모(毛)를 눕혀 모와 모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킴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 저부가 상측에 노출되도록 하는 스퀴즈가 설치되며, 상기 스퀴즈와 인접한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흡입력발생수단에 의해 상기 스퀴즈에 의해 노출된 모의 저부 공간측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보조흡입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제공하여, 청소 작업시 담요나 카펫 등과 같은 청소대상물의 잔털이나 보풀 내측에 내재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suction assembly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포함한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 진공청소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 본체(1)는 하부커버(1a)와 상부커버(1b)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의 상부커버(1b)에 형성된 흡입공(2)에는 흡입호스(3)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흡입호스(3)의 타단에는 콘트롤부를 갖는 손잡이(4)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에는 연장관(5)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장관(5)의 타단에는 연결관(63)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63)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체(6)가 결합된다.
본체(1)의 내부에는 흡입력 발생 및 이물질 수집을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데,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에는 그 내부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공(2)과,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를 다시 본체(1)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2)에 삽입 결합되는 흡입호스(3)의 일단에는 공기와 함께 본체(1) 내로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봉투(9)가 장착되며, 상기 배출공(11)에는 상기 집진봉투(9)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배기필터(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봉투(9)와 상기 배출공(11)의 사이에는 본체(1)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7) 및 팬(8)이 설치되며, 상기 팬(8)의 전방에는 모터보호필터(1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흡입구체(6)는 사용 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종류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흡입구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불이나 매트리스 등과 같은 침구류 또는 담요나 카펫 등과 같은 잔털이나 보풀이 많은 청소대상물을 청소할 경우에는 침구용 흡입구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침구용 흡입구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구용 흡입구체(60)는 내부에 빈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흡입구체(60)의 외형을 이루는 흡입구몸체(61)와,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바퀴(6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몸체(61)의 후면에는 연결관(63)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저면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61a)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상부면에도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바이패스공(61b)이 형성된다.
전술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를 동작시키면, 본체(1)에 설치된 모터(7)가 구동하여 팬(8)을 회전시킴에 의해 본체(1) 내측에 흡입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흡입구체(60)의 주흡입구(61a)를 통해서 먼지와 이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흡입호스(3)를 통하여 집진봉투(9)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봉투(9)에서 대부분의 이물질이 걸러지며, 걸러지지 않은 미세 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상기 집진봉투(9)를 빠져나와 본체(1)의 후방 측으로 이동하여, 배기필터(12)에 의해 다시 한 번 걸러진 다음, 배출공(11)을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흡입구체(6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 내부의 팬과 모터가 동작하여 흡입구체(6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면, 공기는 흡입구체(60)에 형성된 주흡입구(61a)를 통해 대부분이 흡입되며, 바이패스공(61b)을 통해서도 그 일부가 유입된다.
한편, 침구류의 청소시에는 침구류의 재질이 주로 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60)의 주흡입구(61a)로 상기 침구류의 일부가 흡입되어 주흡입구(61a)를 막게 되어 외부공기가 흡입구체(60)로 유입되지 않아서 실질적으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이 때 상기 흡입구몸체(61) 상부면에 형성된 바이패스공(61b)을 통해 외부공기가 계속해서 유입되므로, 주흡입구(61a)에 달라 붙은 침구류가 상기 주흡입구(61a)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어 계속적인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흡입구체(6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흡입구체(60)는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침구류 또는 카펫 등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나 머리카락 같은 각종 이물질은 용이하게 흡입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담요나 카펫의 특성상 이물질이 그 내측에 깊이 내재된 상태에서 그 상측은 잔털이나 보풀 등에 의해 가려져 있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흡입력 만으로는 이물질이 용이하게 흡입되지 않아 효율적인 청소작업이 이루어지지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 위치에서의 청소작업을 수회 반복하거나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흡입구체의 저면을 과도하게 밀착시키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하였으며, 또는 카펫이나 담요를 일일이 흔들거나 털어 낸 다음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여야 함으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소 작업시 담요나 카펫 등과 같은 청소대상물의 잔털이나 보풀 내측에 내재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침구용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Ⅲ-Ⅲ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흡입구체, 110....저면,
110a....주흡입구, 200....진동발생수단,
310....벤츄리관, 320....흡입유로관,
321....보조흡입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흡입구몸체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 주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소정위치에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 바이패스공과, 상기 바이패스공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흡입구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흡입구몸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청소대상물 상의 모(毛)를 눕혀 모와 모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킴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 저부가 상측에 노출되도록 하는 스퀴즈가 설치되며, 상기 스퀴즈와 인접한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흡입력발생수단에 의해 상기 스퀴즈에 의해 노출된 모의 저부 공간측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보조흡입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주요 구성요소 중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2에 따라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여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는 흡입구몸체(100)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110)에 형성된 주흡입구(110a)와, 상기 흡입구몸체(100) 내측에 형성된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 내측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수단(200)과, 상기 흡입구몸체(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청소대상물의 잔털이나 보풀 저부를 상측에 노출시키는 스퀴즈(120)와, 상기 스퀴즈(120)에 의해 노출된 모의 저부 공간측에 흡입력 발생수단에 의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보조흡입구(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구성하는 상기 흡입구몸체(100)의 내부 일측에는 공간부(101)가 형성되어 본체(1,도1) 내부에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몸체(100)의 저면(110)에는 상기 공간부(101)와 연통된 주흡입구(110a)가 형성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주흡입구(110a)를 통해 흡입되어 연결관(109)과 흡입호스(3)를 통해 본체(1) 내측으로 흡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구몸체(100)의 내부에는 격벽(100a)에 의해 상기 공간부(101)와 분리 구획된 하우징(10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은 상기 격벽(100a)을 통해 공간부(101)와 연통되고 타측은 흡입구몸체(100) 상에 형성된 바이패스공(130)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진동발생수단(200)이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공(130)을 통해 하우징(102)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진동발생수단(2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둘레면 일측에는 공간부(101)와 연통 가능하도록 통공(210a)이 형성된 중공 원통형의 덕트(210)와, 상기 덕트(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210)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상부재(220)와, 상기 덕트(110)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축(233)에 의해 연결된 상판(231)과 하판(232)을 구비하여 상기 부상부재(220)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연결축(233)의 하단에 설치된 진동판(240)을 상하로 진동시키도록 하는 진동부재(23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진동발생수단(200)은, 본체(1) 내부에 설치된 모터(7) 및 팬(8)의 작동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바이패스공(130)을 통해 하우징(102) 내측으로 공기가 흡입될 경우, 공기가 상기 덕트(210)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부상부재(22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부상부재(220)의 상하운동에 의해 진동부재(230)의 상판(231)과 하판(232)을 상하로 타격함으로써, 진동부재(230)의 하단에 설치된 진동판(240)이 청소대상물에 충격을 가해 진동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청소대상물로부터 먼지와 이물질을 분리시키게 된다.
한편, 흡입구몸체(100)의 양 측단부에는 흡입구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바퀴(160)가 장착되며, 흡입구몸체(100)의 저면(110)에는 흡입구몸체(100)의 전후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스퀴즈(120)가 설치된다.
상기 스퀴즈(120)는 흡입구몸체(100)의 저면(110)에 하향 돌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흡입구몸체(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예컨대 카펫이나 담요 등과 같은 청소대상물의 잔털이나 보풀(이하 "모(毛)"라 함)을 흡입구몸체(10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눕혀 모와 모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킴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 저부가 상측에 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모 사이에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 먼지와 이물질들이 상측으로 부유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스퀴즈(120)는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흡입구몸체(100)의 전후 이동에 따라 그 몸체 일부분이 탄성적으로 굽혀지면서 직립상태의 모를 소정 각도로 눕힘과 아울러 모에 마찰력을 가해 모 사이에 내재된먼지와 이물질의 부유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몸체(100)의 내측에는 통공(210a)을 통해 하우징(102)으로부터 공간부(101)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구몸체(100)의 저면(110)에 형성된 보조흡입구(321)를 통해 모와 모 사이에 내재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흡입력 발생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은 유로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그 일단은 덕트(210)의 통공(210a)에 연통되고 타단은 공간부(101) 내측으로 연통되어 상기 바이패스공(13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공간부(101) 측으로 안내하는 벤츄리관(310)과, 상기 벤츄리관(310)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흡입구(321)와 연통된 흡입유로관(3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102)으로부터 공간부(101)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소정 유속으로 상기 벤츄리관(310)을 통과할 경우, 상기 벤츄리관(310)의 중앙부 단면적이 입구측(310a) 및 출구측(310b) 단면적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단면적이 좁은 상기 벤츄리관(310)의 중앙부 내부에서는 공기의 유속이 더욱 빨라져 인접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저압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저압부에 일단이 연결된 흡입유로관(32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흡입유로관(3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흡입구(321)를 통해 그 인접 부위의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어 흡입유로관(320)을 따라 상측으로 안내되고, 벤츄리관(310) 중앙의 토출공(315)을 통해 벤츄리관(310) 내측으로 흡입된 다음, 벤츄리관(310)의 출구측(310b)을 통해 공간부(101) 측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벤츄리관(310)에 연통되는 흡입유로관(320)의 상단부를 최소 단면적을 가짐에 따라 벤츄리관(310) 내에서 가장 낮은 저압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벤츄리관(310)의 중앙부에 연통시킴으로써, 가능한 한 강한 흡입압력을 얻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입유로관(320)과 연통되어 저면(110)에 형성되는 보조흡입구(321)는 스퀴즈(120)와 인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즈(120)에 의해 일측으로 눕혀진 모의 저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그 내부의 먼지와 이물질을 집중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1,도 1) 내에 설치된 모터(7) 및 팬(8)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몸체(100) 내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구몸체(100)의 저면(110)에 형성된 주흡입구(110a)를 통하여 먼지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어 공간부(101)를 통해 본체(1) 측으로 유입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공(130)을 통해 하우징(102) 내측으로 흡입된 공기는 덕트(210)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공기의 유동에 의해 부상부재(22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며, 부상부재(2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진동부재(230)의 상판(231)과 하판(232)을 타격하게 된다.
상기 부상부재(220)가 진동부재(230)의 상판(231)과 하판(232)을 상하로 타격함으로써, 진동부재(230)의 하단에 설치된 진동판(240)이 청소대상물에 충격을 가해 진동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청소대상물로부터 먼지와 이물질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공(130)을 통해 하우징(102) 내측으로 흡입되어 진동발생수단(200)을 동작시킨 공기는 덕트(21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210a)을 통해 덕트(210) 외측으로 배출되며, 덕트(210) 외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력 발생수단을 구성하는 벤츄리관(310)의 입구측(310a)으로 유입된다.
벤츄리관(310)의 입구측(310a)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벤츄리관(310)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출구측(310b)으로 유동한 후, 공간부(101)를 지나 본체(1) 내측으로 흡입된다.
이 때, 상기 공기는 단면적이 작아지는 벤츄리관(310)의 중앙부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높아지며, 공기의 유속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중앙부는 인접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저압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유로관(320) 내부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흡입유로관(320) 하단의 보조흡입구(321)를 통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흡입구(321)의 인접측에는 스퀴즈(120)에 의해 카펫(80)의 모(81)가 일정 각도 만큼 눕혀짐에 따라 모와 모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틈새 사이에 내재된 먼지와 이물질이 보조흡입구(321) 측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흡입유로관(320) 내측으로 공기와 함께 용이하게 흡입된다.
상기 흡입유로관(320) 내측으로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는 토출공(315)을 통해 벤츄리관(310) 내측으로 흡입된 후, 출구측(310b)을 통해 공간부(101)로 배출된 다음, 본체(1) 내측의 집진봉투(9)를 통과하면서 먼지와 이물질은 상기 집진봉투(9) 내에 걸러지게 되고, 먼지와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는 배출구(11)를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청소대상물에 진동을 가함과 아울러 스퀴즈 및 흡입력 발생수단에 의해 카펫이나 담요 등과 같은 청소대상물의 잔털이나 보풀 내측에 내재된 먼지와 이물질까지 용이하게 흡입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침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 뿐만 아니라 카펫이나 담요의 잔털 내부 까지도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펫이나 담요를 일일이 흔들거나 털지 않고도 간편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흡입구몸체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 주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소정위치에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 바이패스공과, 상기 바이패스공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흡입구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흡입구몸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청소대상물 상의 모(毛)를 눕혀 모와 모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킴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 저부가 상측에 노출되도록 하는 스퀴즈가 설치되며, 상기 스퀴즈와 인접한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흡입력발생수단에 의해 상기 스퀴즈에 의해 노출된 모의 저부 공간측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보조흡입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발생수단은,
    유로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공간부 측으로 안내하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에 일단부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조흡입구와 연통된 흡입유로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에 연통되는 흡입유로관의 일단부는 유로의 단면적이 최소가 되는 상기 벤츄리관의 중앙부에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20020077927A 2002-12-09 2002-12-09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040050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927A KR20040050217A (ko) 2002-12-09 2002-12-09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927A KR20040050217A (ko) 2002-12-09 2002-12-09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217A true KR20040050217A (ko) 2004-06-16

Family

ID=3734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927A KR20040050217A (ko) 2002-12-09 2002-12-09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2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735A1 (ko) * 2008-06-27 2009-12-30 에이스전자(주)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101052158B1 (ko) * 2008-10-09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242023B1 (ko) * 2010-10-18 2013-03-12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어셈블리
US8713753B2 (en) 2008-06-18 2014-05-0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8744039B2 (en) 2008-07-04 2014-06-03 Hitachi Medical Corporation X-ray CT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83U (ko) * 1994-07-02 1996-02-14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0282337B1 (ko) * 1998-09-01 2001-02-15 구자홍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382468B1 (ko) * 1998-09-02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JP3525067B2 (ja) * 1998-12-28 2004-05-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3568837B2 (ja) * 1999-09-30 2004-09-22 アマノ株式会社 床面洗浄清掃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83U (ko) * 1994-07-02 1996-02-14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0282337B1 (ko) * 1998-09-01 2001-02-15 구자홍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382468B1 (ko) * 1998-09-02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JP3525067B2 (ja) * 1998-12-28 2004-05-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3568837B2 (ja) * 1999-09-30 2004-09-22 アマノ株式会社 床面洗浄清掃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3753B2 (en) 2008-06-18 2014-05-0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a vacuum cleaner
WO2009157735A1 (ko) * 2008-06-27 2009-12-30 에이스전자(주)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US8744039B2 (en) 2008-07-04 2014-06-03 Hitachi Medical Corporation X-ray CT apparatus
KR101052158B1 (ko) * 2008-10-09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242023B1 (ko) * 2010-10-18 2013-03-12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6085T3 (es) Carcasa de filtro.
CN101674765A (zh) 用于清洁纺织品和其它无张力表面的再循环吸尘器装置
TWI639406B (zh) Electric sweeper
KR2005010334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88612B1 (ko) 물걸레 청소가 가능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US7231687B2 (en) Vacuum cleaner with flow channel switch for blowing and sucking air
KR20200044760A (ko) 먼지비산 방지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09504308A (ja) 真空掃除機の排気流路構造
KR20040050217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05001927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KR10050905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100382468B1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KR20040050216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04919B1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구조
US6813807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secondary dirt and dust collection inlet
JP3187346B2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4202905B2 (ja) 電気掃除機
KR102528335B1 (ko) 미세먼지 제거 모듈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3723104B2 (ja) 電気掃除機
KR200366789Y1 (ko) 진공청소기
KR20190131685A (ko) 먼지비산 방지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014704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모터 냉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