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7162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162B1
KR101457162B1 KR1020070117416A KR20070117416A KR101457162B1 KR 101457162 B1 KR101457162 B1 KR 101457162B1 KR 1020070117416 A KR1020070117416 A KR 1020070117416A KR 20070117416 A KR20070117416 A KR 20070117416A KR 101457162 B1 KR101457162 B1 KR 10145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ct
suction port
guide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792A (ko
Inventor
홍승기
이현주
주재만
이준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162B1/ko
Priority to EP08157946.8A priority patent/EP2060219A3/en
Publication of KR2009005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1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의한 소음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은 청소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는 주흡입구와 상기 주흡입구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유로를 포함하는 흡입판과, 상기 주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가이드유로상의 공기의 일부가 상기 주흡입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흡입덕트로 유입되도록 상기 가이드유로와 상기 흡입덕트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시 발생하는 흡입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진공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원이 내장된 청소기본체, 피청소면과 마주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흡입노즐에서 흡입한 오물을 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연장유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흡입노즐에는 오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이 전달되는 흡입구가 흡입노즐의 대략 중앙에 단일 형상 또는 복수개로 설치된다. 따라서, 흡입구가 설치된 중앙부에는 흡입력이 강한 반면, 흡입구의 양측부로 갈수록 흡입력은 낮아진다. 이로 인해,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노즐의 중앙부에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잘 흡입할 수 있어 청소의 효율이 좋으나, 양측부에는 청소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흡입구의 양측부에 가이드유로를 설치하여 흡입구 양측부에도 상기 흡입구를 통한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양측부의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된 집진공기가 흡입구에서 한꺼번에 모아져, 이로 인해 유속의 증 가 및 공기의 상호 충돌시 발생하는 와류로 인해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32443호에는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은,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 및 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한다. 하부하우징은 중앙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흡입구 양측에 배치되어 흡입구 측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유로가 형성된다. 상부하우징은 하부하우징과 결합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커넥터로 이동시키는 통로를 제공한다. 소음저감리브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양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가이드유로에는 측면 가장가리측에 개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유로의 전방 및 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이 개구를 통해 측방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과 합쳐져 높은 와류가 형성되고 그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입구가 중앙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가 흡입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유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유동교란이 발생하여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의한 소음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청소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는 주흡입구와 상기 주흡입구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유로를 포함하는 흡입판과, 상기 주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가이드유로상의 공기의 일부가 상기 주흡입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흡입덕트로 유입되도록 상기 가이드유로와 상기 흡입덕트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로에는 보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주흡입구와 연통되는 제1개구와, 상기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보조흡입구와 연통되 는 제2개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흡입판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흡입구는 상기 가이드유로의 중앙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며, 상기 보조흡입구는 상기 가이드유로의 양측부에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입판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는 상기 힌지축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흡입구는 상기 주흡입구의 양측에 대응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보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연통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덕트로 안내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흡입판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유로의 테두리영역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은 청소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는 상기 흡입구측으로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흡입체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 가이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로의 테두리에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턱부는 상기 가이드유로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체의 측면방향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한 측면단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체는 공기의 흐름을 안냉하는 가이드유로와 상기 가이드유로 의 중앙측에 마련되어 청소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흡입구과, 상기 주흡입구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보조흡입구를 구비하는 흡입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흡입구와 연통하는 제1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흡입구와 연통하는 제2개구를 구비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보조흡입구와 상기 제2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은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로와, 상기 가이드유로의 중앙측에 마련되어 청소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흡입구과, 상기 주흡입구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보조흡입구를 구비하는 흡입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흡입구와 연통하는 제1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흡입구와 연통하는 제2개구를 구비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보조흡입구와 상기 제2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은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소정깊이 함몰 형성된 가이드유로와, 상기 가이드유로상에 형성되어 먼지 등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흡입구를 구비하는 흡입판과; 상기 주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먼지 등을 안내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판은 상기 가이드유로상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흡입구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흡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주흡입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흡입덕트로 유입되도록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가이드유로와 흡입덕트를 연결하는 바이패스유로를 구비하여 가이드유로내의 유동교란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유로의 테두리부에 단턱을 형성하여 특정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유동의 교란을 최소화하여 유동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2의 흡입판과 흡입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포함되는 흡입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의 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마련되고, 본체(1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연결파이프(11)와 연결호스(12)가 구비된다.
연결파이프(11)의 일단에는 손잡이부(13)가 마련되고, 이 손잡이부(13)의 일측에는 진공청소기의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부(14)가 마련된다. 연결파이프(11)의 타단에는 본체(1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체(2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는 손잡이부(13)에 마련된 조작부(14)를 조작하면, 본체(10)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공기를 흡입체(20), 연결파이프(11), 연결호스(12)를 통해 본체(10) 내로 흡입한다. 이때 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본체(10)의 집진봉투(미도시)에 집진됨으로써 청소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체(2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40)와, 커버부(40)의 하면에 마련되어 청소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51,53)가 형성된 흡입판(50)과, 흡입판(50)으로부터 흡입된 먼지 등을 포함하는 공기를 연결파이프(11)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흡입덕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버부(40) 상부에는 비록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하드플로워(hard floor) 청소기능 또는 카펫 등의 청소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전환하는 버튼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며, 버튼유닛(미도시)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브러쉬유닛(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하드플러워를 청소할 때 버튼유닛를 동작시켜 브러쉬유닛을 흡입판(50)으로부터 돌출되며, 카펫 등을 청소하고자 할 때 브러쉬유닛을 흡입체(20)내로 삽입시킨다. 이와 같은 버튼유닛과 브러쉬유닛은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커버부(40)의 중앙부에는 주흡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 등을 본체(10) 로 안내하기 위한 흡입덕트(30)가 흡입판(5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흡입덕트(3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주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제1개구(32)를 통해 흡입덕트(30)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부재가 마련될 수있다.
흡입덕트(30)는 흡입판(50)과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힌지축(31)이 형성되며, 흡입덕트(30)의 중앙 하부에는 흡입판(50)의 주흡입구(5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전달받기 위한 제1개구(32)가 형성된다. 또한 힌지축(31)은 내부가 중공되어 후술할 보조흡입구(5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전달받기 위한 제2개구(33)가 형성된다.
또한 흡입덕트(30)의 후측에는 흡입체(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바퀴(35)가 장착되는 바퀴장착부(34)가 형성된다.
커버부(40)는 흡입체(2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도록 흡입판(50)의 상부에 결합된다. 커버부(40)에는 흡입덕트(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4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부(41)를 통해 흡입덕트(30)는 흡입체(20)의 외부로 노출된다.
흡입판(50)은 중앙부에 청소면의 오물 등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주흡입구(51)가 형성된다. 주흡입구(51)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소정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주흡입구(51)는 다양한 형상의 단일의 홀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흡입구(51)의 양측에는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흡입구(51)에서부터 흡입판(50)의 양 측 단부까지 연장되게 흡입판(50)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유로(52)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가이드유로(52)는 흡입판(50)의 세로폭 방향으로 소정폭을 가지며, 흡입판(5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바닥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가이드유로(52)는 흡입판(50)의 양측 단부에서 주흡입구(51)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진공청소기를 구동시키면 흡입력이 발생하여 오물 등을 포함한 공기가 가이드유로(52)를 따라 유동하여 흡입판(50)의 중앙에 형성된 주흡입구(51) 및 이와 결합된 제1개구(32)를 통해 흡입체(20)로 유입되어 본체(10)로 안내된다.
이러한 청소과정에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가 가이드유로(52)를 따라 주흡입구(51)로 유동함에 따라 유동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흡입체(20)의 전방에서 가이드유로상으로 유입되는 기류(A기류)와 흡입체(20)의 후방에서 가이드유로(52)상으로 유입되는 기류(B기류) 및 흡입체(20)의 측방에서 가이드유로(52)상으로 유입되는 기류(C기류)가 가이드유로(52)상에서 서로 혼합되면서 유동교란이 발생하여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유동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이드유로(52)상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가이드유로(52)를 따라 유동하지 아니한 채로 흡입덕트(3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주흡입구(51)측으로 흐르는 가이드유로(52)상의 공기의 일부를 주흡입구(51)를 바이패스시켜 흡입덕트(30)로 유입시키기 위해 가이 드유로(52)와 흡입덕트(30)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닛(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유닛(60)은 가이드유로(52)와 흡입덕트(30)를 연결하는데, 가이드유로(52)의 양측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보조흡입구(53)가 형성되고, 흡입덕트(30)에는 제1개구(32)와 이격되어 마련된 제2개구(33)를 형성된다. 이때 연결유닛(60)은 그 일단(61)이 보조흡입구(53)와 연결되고, 타단(62)이 제2개구(33)와 연결되어 보조흡입구(53)와 제2개구(33)를 연통시키는 연결관형태로 마련된다.
연결유닛(60)은 플렉서블한 관으로 마련되는데, 이는 흡입체(20)의 움직임 및 흡입덕트(30)의 회동에 관계없이 보조흡입구(53)와 제2개구(33)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위함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덕트(30)의 회동을 위해 형성된 힌지축(31)내부에 제2개구(33)를 형성함으로써 흡입체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보조흡입구(53)와 제2개구(33)사이에서 흡입공기가 외부로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유로상의 유동교란은 A,B,C기류가 만나는 가이드유로의 양 측 가장자리에서 크게 발생하므로 보조흡입구는 가이드유로(52)의 양측 가장자리 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이드유로(52)의 테두리 즉, 전면, 후면, 측면테두리(54,55,56)의 높이를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측면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종래기술과 같이 측면테두리를 낮게 하여 발생하는 유동교랸을 저감시켜 소음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측면테두리(56)의 높이를 전면, 후면 테두리 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거나,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측면테두리를 낮게 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보조흡입구(53)의 단면적보다 연결유닛(60)의 일단(61) 및 제2개구(33)의 단면적을 작게 하여 비교적 큰 먼지 등은 보조흡입구(53)에 걸리게 하여 연결유닛(60)내의 먼지 걸림형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흡입성능의 저하없이 가이드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유동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진공청소기를 구동시키면 흡입력이 발생하여 흡입체(20)가 청소면의 먼지 등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흡입체(20)의 전방, 후방, 측방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가이드유로(52)를 따라 주흡입구(51)를 통해 흡입체(20)로 유입된다.
가이드유로(52)에는 전방, 후방, 측방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유동교란이 발생하게 되는데, 가이드유로(52)를 따라 주흡입구(51)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보조흡입구(53)를 통해 주흡입구(51)를 바이패스하여 흡입덕트(30)로 유입시킴으로써 가이드유로(52)상의 유동교란을 저감시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 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판과 흡입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20)의 커버부(40)와 흡입덕트(3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흡입판(70) 및 연결유닛(80)의 구성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흡입판(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흡입구(71)를 중심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보조흡입구(73)가 형성된다.
즉, 주흡입구(71)의 양측 각각에 가이드유로(72)를 따라 복수의 보조흡입구(73)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유닛(80)은 주흡입구(71)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보조흡입구(73)로 유입되는 공기가 단일의 공간으로 모을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대략 사각형 형상의 제1연결부(81)와, 제1연결부(81)의 일측과 흡입덕트(30)의 제2개구(33)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비해 보조흡입구(7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이지게 되므로 가이드유로(72)상의 소음감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2실시예와는 달리 연결유닛을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가이드유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포함되는 흡입체를 하측에 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흡입체(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40)와, 커버부(40)의 하면에 마련되어 청소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91)가 형성된 흡입판(90)과, 흡입판(90)으로부터 흡입된 먼지 등을 포함하는 공기를 연결파이프(11)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흡입덕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3실시예에서는 흡입판에 보조흡입구가 형성되지 아니하며, 흡입덕트의 힌지축에 제2개구 역시 형성되지 아니한다.
제3실시예의 흡입체(20'')의 하면을 형성하는 흡입판(90)은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흡입구(91)측으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흡입판(90)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 가이드유로(92)가 형성된다.
가이드유로(92)는 흡입구(91)에서부터 흡입판의 양 측 단부까지 연장되게 흡입판(90)의 가로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가이드유로의 테두리에는 단턱부(93,94,95)가 형성되며, 단턱부는 가이드유로(92)의 전,후방에 형성된 단턱부(93.94)와 가이드유로(92)의 가로방향 측단부에 형성된 단턱부(95)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에서 측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형성된 흡입판의 측면 가장자리측 개구를 제거하고, 가이드유로(92)의 전, 후방의 단턱부(93,9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측면단턱부(95)를 형성함으로써 소음발생의 일 요인이었던 측방(D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동을 저감시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측방향 청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측방향 흡입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후방 및 측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가이드유로내에 유동교란이 증가하여 도8(a)와 같은 소음분포가 형성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가이드유로(92)의 가로방향 측단부에 단턱부(95)를 형성함으로써 유동교란의 주요한 원인이었던 측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저감함으로써 도8(b)와 같은 소음분포를 형성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에서 발생되는 최대소음이 도8(a)의 I부에서와 같이 53dBA 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최대소음은 도8(b)의 I'부에서와 같이 49bBA 로 소음이 저감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에 가이드유로의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부는 제1,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1,2실시예에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소음저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만 한정하지 아니하며 가이드유로와 흡입덕트를 연통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유로의 형태 역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와 흡입체가 분리된 진공청소기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체와 흡입체가 일체로 형성된 진공청소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의 흡입판과 흡입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포함되는 흡입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의 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판과 흡입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포함되는 흡입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20 : 흡입체
30 : 흡입덕트 31 : 힌지축
32 : 제1개구 33 : 제2개구
40 : 커버부 50 : 흡입판
51 : 주흡입구 52 : 가이드유로
53 : 보조흡입구 56 : 측면테두리
60 : 연결유닛

Claims (13)

  1. 청소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는 주흡입구와 상기 주흡입구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유로를 포함하는 흡입판과,
    상기 주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가이드유로상의 공기의 일부가 상기 주흡입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흡입덕트로 유입되도록 상기 가이드유로와 상기 흡입덕트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로에는 보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주흡입구에 연통되는 제1개구와, 상기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보조흡입구에 연통되는 제2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입판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는 상기 힌지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흡입판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흡입구는 상기 가이드유로의 중앙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며, 상기 보조흡입구는 상기 가이드유로의 양측부에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구는 상기 주흡입구의 양측에 대응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보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연통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덕트로 안내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흡입판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유로의 테두리영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로의 테두리에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는 상기 가이드유로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측면방향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한 측면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주흡입구와 상기 주흡입구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유로를 포함하는 흡입판과,
    상기 주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가이드유로 상의 공기의 일부가 상기 주흡입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흡입덕트로 유입되도록 상기 가이드유로와 상기 흡입덕트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로에는 보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흡입구는 상기 주흡입구의 양측에 대응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보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연통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덕트로 안내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70117416A 2007-11-16 2007-11-16 진공청소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5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16A KR101457162B1 (ko) 2007-11-16 2007-11-16 진공청소기
EP08157946.8A EP2060219A3 (en) 2007-11-16 2008-06-10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16A KR101457162B1 (ko) 2007-11-16 2007-11-16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792A KR20090050792A (ko) 2009-05-20
KR101457162B1 true KR101457162B1 (ko) 2014-11-03

Family

ID=4041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4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7162B1 (ko) 2007-11-16 2007-11-16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060219A3 (ko)
KR (1) KR101457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7889A1 (de) 2011-04-21 2012-10-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augkopf für eine Düse eines Bodenstaubsaugers
EP2752229A1 (en) * 2011-08-31 2014-07-09 ANT Corporation Suctioning apparatus for a fibrous filter, and filtering device using same
DE102013108893B4 (de) * 2013-08-16 2019-03-14 Wessel-Werk Gmbh Staubsaugerdüse
DK2944242T3 (da) * 2014-05-14 2019-11-11 New Ermes Europe Srl Sugehoved til en støvsuger eller lignende med forbedret basispladekanal
CN104146658B (zh) * 2014-08-22 2017-01-11 林小泉 一种地刷
EP3838091A4 (en) * 2018-08-21 2021-09-15 Guangzhou Xiaoluo Robotics Co., Ltd. DUST COLLECTION GUIDE STRUCTURE, DUST COLLECTION MECHANISM AND FLOOR SWEEPING ROBOT
EP3937747A1 (de) * 2019-03-12 2022-01-19 Thomas Marks Staubsaugerdüse
CN113243820A (zh) * 2021-05-19 2021-08-13 上海高仙自动化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地刷组件及清洁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165A (ko) * 2002-01-25 2004-10-07 제임스 알. 알톤 에지-청소 덕트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노즐 조립체
KR100569308B1 (ko) 2003-08-26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KR100736068B1 (ko) * 2006-10-31 2007-07-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7179A (en) * 1987-05-29 1988-05-31 Shop-Vac Corporation Nozzle with improved coupling for a vacuum device
KR100592095B1 (ko) * 2004-11-03 2006-06-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KR101212291B1 (ko) * 2005-12-30 201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165A (ko) * 2002-01-25 2004-10-07 제임스 알. 알톤 에지-청소 덕트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노즐 조립체
KR101018971B1 (ko) 2002-01-25 2011-03-03 제임스 알. 알톤 에지-청소 덕트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노즐 조립체
KR100569308B1 (ko) 2003-08-26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KR100736068B1 (ko) * 2006-10-31 2007-07-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0219A2 (en) 2009-05-20
KR20090050792A (ko) 2009-05-20
EP2060219A3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KR100613102B1 (ko)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RU2335229C2 (ru)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KR101018971B1 (ko) 에지-청소 덕트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노즐 조립체
KR100357939B1 (ko) 전기청소기
KR10101237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2012016572A (ja) 吸引捕集装置
TWI615121B (zh) 用於吸收粗顆粒和細粉塵的吸嘴
US20060093501A1 (en)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100504919B1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구조
JP3540552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9980086439A (ko) 전기청소기용 솔
KR100254073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KR10073606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KR20040050217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628183B1 (ko) 진공 청소기
KR20070032443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10055314A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환류공기 유로구조
KR101573740B1 (ko) 다중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수단 및 상기 흡입수단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KR0137488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JPH11113816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0210971Y2 (ko)
KR20010026686A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
KR100667861B1 (ko) 진공청소기
KR100628199B1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