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6730A - 온도 정합 지연층 - Google Patents

온도 정합 지연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730A
KR19990076730A KR1019980704849A KR19980704849A KR19990076730A KR 19990076730 A KR19990076730 A KR 19990076730A KR 1019980704849 A KR1019980704849 A KR 1019980704849A KR 19980704849 A KR19980704849 A KR 19980704849A KR 19990076730 A KR19990076730 A KR 1999007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liquid crystal
group
high molecula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5621B1 (ko
Inventor
비트 파울루스 피이터 데
스티븐 제임스 피켄
앙드레 스틴베르겐
마르틴 보스마
Original Assignee
샬크비즈크 피이터 코르넬리스 ; 페트 귄터
아크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샬크비즈크 피이터 코르넬리스 ; 페트 귄터, 아크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샬크비즈크 피이터 코르넬리스 ; 페트 귄터
Publication of KR1999007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6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33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side chain
    • C09K19/3876Polyoxyalkylene polymers
    • C09K19/388Polyepox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22Cyclic ethers having at least one atom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26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8Materials and propertie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21Thermal instability, i.e. DC drift, of an optical modulat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reduction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15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twisted orientation, e.g. comprising helically oriented LC-molecules or a plurality of twisted birefringent sub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약간 가교된 고분자량 물질층 및 기판으로 이루어진 지연층과 액정물질을 함유하는 표시장치 소자로 구성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분자량 물질은 그의 Tg 이상에서 네마틱상 및 작업온도에서 적어도 100Pa.s의 동적 점도를 가지며, 표시장치 소자의 저분자량 물질의 Tc와 고분자량 물질의 Tc의 차이(Tccell)는 -30℃ 내지 +30℃, 바람직하게 -20℃ 내지 +20℃, 특히 -10℃ 내지 +10℃의 범위에 있고, 고분자량 액정 물질의 Tg는 50℃미만이며, 고분자량 물질은 능동소자의 저분자량, 액정물질의 것에 상응하는 Tc를 사용한다면, 상기 지연층의 지연값의 온도 의존성이 능동소자의 것에 상응하며, 이와 같이, 상기 지연층의 지연값은 사용되는 표시장치내 온도범위내에서 능동소자의 것에 상응하고, 고분자량 액정물질의 가교화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연층이 핀홀의 형성 및 원하지 않는 비틀림의 변화가 일어나기 어렵고, 개선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도 정합 지연층
본 발명은 고분자량 물질층 및 기판으로 이루어진 지연층과 저분자량 액정 물질을 함유하는 능동소자로 구성된 액정 표시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복굴절 효과에 의해, 초비틀림 네마틱(super twisted nematic, STN) 액정 능동소자는 콘트라스트 및 시야각이 떨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그리고 무채색이 아니며, 그의 사용이 컬러 표시장치에 제한된다. 비틀림 네마틱(twisted nematic, TN) 소자에서, 시야각은 최적이 아니다. 액정 표시장치 소자의 시야 특성은 지연층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균일하게 신축된 폴리머 필름으로, 주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은 종종 지연층으로 사용된다. 비록 상기 층이 (S)TN 액정 표시장치의 광학 거동을 상당히 개선시켰다고 할지라도, 요구되는 비틀림 구조가 부족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능동소자의 복굴절 효과를 완전히 보정할 수 없다. (S)TN 액정 표시장치의 좋지않은 컬러 효과는 능동소자의 광축에 수직하게 그의 광축으로 쌓은 제2 (S)TN층을 사용함에 의해 더 성공적으로 보정된다. 수직 입사광에 대한 적정 보정은 (S)TN층이 같은 절대 지연값(Δn.d), 같은 분산(Δn의 파장 의존성), 동일한 비틀림각 및 (S)TN 능동소자의 것에 반대되는 비틀림 방향을 가질 때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은 표시장치가 작동하는 모든 온도에서 사용된다.
(S)TN 지연층의 우수한 보정 특성은 D-STN 표시장치에서 볼 수 있으며, 수직 입사광에 대한 STN 능동소자의 광학효과는 반대로 비틀려 있는 제2 동일 STN 소자를 사용함에 의해 완전히 보정될 수 있다. D-STN 표시장치는 높은 상특성을 갖지만, 그들의 큰 중량 및 두께로 고민한다. D-STN 표시장치의 단점은 고분자량 액정 물질을 기본으로 한 (S)TN 지연층을 사용함으로서 피할 수 있다. 상기 지연층은 대개 고분자량 물질의 메소제닉 부분이 칼라마이틱(calamitic, 막대형) 구조를 가질 때는 양복굴절이고, 고분자량 물질의 메소제닉 부분이 디스코틱(discotic, 디스크형) 구조를 가질 때는 음복굴절을 갖는다. WO 96/06145에서는 액정 폴리에테르 지연층이 기술되어 있다. WO 96/03476에서는 액정 유리의 지연층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지연층에서 (S)TN 액정 능동소자에 대한 보정은 오직 하나의 얇은 경량층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틀림각, 비틀린 방향 및 지연층은 쉽게 (S)TN 능동소자의 것과 어울릴 수 있다. WO 95/09379에서는 (S)TN 능동소자의 조건에 어울리도록 상기의 층의 분산을 훌륭히 바꾸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적정 지연층을 얻기위해서 상기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가 온도의 변화를 받게된다면, 지연값이 역시 변하고, 반면에 상기 비틀림각, 비틀린 방향 및 상기 분산이 온도 변화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 온도의 증가로 액정 능동소자의 지연값의 감소(및 반대로)는 능동소자에서 사용된 저분자량 액정물질의 복굴절의 감소에 의해 일어난다. 상기 액정물질의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은 상기 온도가 맑음 온도(Tc)에 도달할 때 증가되며, 반면에 액정 물질의 복굴절(및 연속적으로 복굴절의 변화)은 Tc 이상에서 0이다. 지연층에 사용되는 공지된 고분자량 액정 물질은 표시장치가 사용되는 온도의 범위에서(-40 내지 90℃, 이후, 작업온도로 함) 능동소자에 사용된 저분자량 액정물질보다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이 더 작다. EP 678567에서는 양복굴절을 갖는 중합화된 액정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지연층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된 지연층상에서 표시장치 소자의 성질에 대하여 보정층의 성질은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이와 같이 지연층과 표시장치 소자에서 유사한 온도 의존성을 얻기위한 조건이 알려져 있지 않다. 액정 표시장치에 대한 콤펜세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EP 573278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지연층과 표시장치 사이의 온도-정합 보정을 얻기위해서보다는 필름의 두께면에서 높은 정도의 균일성을 얻는데 관한 것이다. 특히, 지연층과 표시장치 소자 사이의 온도-정합 보정을 얻기 위한 조건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액정 곁사슬 폴리머의 제조에 대해 상세한 합성 방법이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보정층을 얻기위한 방법은 실시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경량, 저비용 및 다루기에 용이한 잇점을 가지고, 표시장치가 사용되는 온도범위에서 개선된 온도-정합 보정거동을 보이는 지연층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분자량 물질층 및 기판으로 이루어진 지연층과 액정 물질을 함유하는 어드레스가능한 표시장치 소자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분자량 물질은 그의 Tg이상에서 네마틱상 및 작업온도에서 적어도 100Pa.s의 동적 점도를 가지며, 표시장치 소자(Tccell)의 저분자량 물질의 Tc와 고분자량 물질의 Tc의 차이는 -3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 특히 -10℃ 내지 +10℃의 범위내에 있고; 고분자량 액정 물질의 Tg는 50℃미만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능동소자의 액정 물질은 저분자량 물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분자량 물질층은 약간 가교되어 있다.
고분자량 물질이 능동소자의 저분자량 물질의 것에 상응하는 Tc에서 사용되었을 때, 지연값의 온도 의존성은 능동소자의 것에 상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연층의 지연값은 사용되는 표시장치의 온도범위안에서 능동소자의 것에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고분자량 물질은 1000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고분자량 물질은 ((초) 비틀림) 네마틱 구조를 얻기위해서 그의 Tg 이상에서 네마틱 또는 디스코틱 네마틱상을 가진다. 또한 고분자량 물질의 동적 점도는 작업온도에서 100Pa.s이상이며, 이는 자체적으로 상기 지연층의 기계적 탄성에너지가 충분히 높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Tg 및 Tc 값은 미세주사열량계법(DSC)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에서 약간 가교되었다는 것은 55℃ 이상의 온도에서 107Pa.s이상으로 동적점도를 바꾸지 않기위해 가교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상기는 EP-A1-0,423,881에서 기술된 아크릴레이트 네트워크의 경우로, 상기 공보의 6번째 칼럼의 34-43줄에 기술되어 있다.
고분자량 액정 물질을 약간 가교시킴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연층은 온도 변화에 의한 비틀림각의 원하지 않는 변화 및 핀홀 형성에 덜 영향을 받으며, 개선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다.
상기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기위해서 고분자량 액정 물질은 50℃미만의 Tg, 바람직하게 -50 내지 +35℃의 Tg, 특히 0 내지 +35℃의 Tg를 가지며, 60 내지 130℃의 Tc,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의 Tc를 가지며, 이는 상기 능동소자에 대한 저분자량 액정 물질은 대개 상기 범위내의 Tc를 가지며, -50 내지 +35℃의 Tg에서 적당한 동적점도를 갖는 물질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균일한-판상 배향된 지연층 및 키랄 네마틱((S)TN을 포함) 지연층에 관한 것이다. 상기 균일한 판상 지연층의 경우에, 적정 온도 정합 지연층이 얻어지지만, (S)TN 능동소자의 보정을 위하여, 지연층이 동일한 비틀림각, 반대의 비틀림 방향, 같은 지연값을 가질 때 최적의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고분자량 물질층이 키랄 네마틱 구조를 가질 때 바람직하다.
키랄 네마틱구조는 배향된 기판에 또는 두 개의 배향된 기판 사이에 키랄 도판트를 함유하는 고분자량 액정물질을 놓고, 선택적으로 다른 기판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기판 중 하나를 주어서 얻어질 수 있다.
배향된 기판을 제조하기위한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기판 자체는 단일방향으로 연마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 기판은 예를들면 폴리이미드, 폴리비닐 알콜, 유리, 비결정 폴리올레핀, 치환된 셀룰로오스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판은 얇게 배향된 층을 갖춘다. 상기는 연마될 수 있는 얇은 중합체층으로 예를들면 폴리이미드, 폴리비닐 알콜 등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얇게 배향된 층은 90°미만, 대개 60° 또는 86°의 각에서 증발된 SiOx층이다. 낮은 유연성의 기판으로 유리 또는 석영이 SiOx증발에 사용된다. 상기 배향기술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 부가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겠다. 물론 다른 배향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향기의 회전방향을 조절하고(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및/또는 90°이상의 회전각을 얻기위하여, 또는 오직 하나의 배향기판이 충분한 회전각을 얻기위해 사용될 때, 상기 액정물질이 키랄물질, 소위 키랄 도판트와 혼합된다. 원래, 특정 광학 활성 화합물이 이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콜레스테롤 유도체 및 4-[(4-(헥실옥시)벤조일)옥시]벤조산 2-옥틸 에스테르가 있다. 일반적으로, 키랄 도판트의 5중량% 이하가 액정물질의 총량에 대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액정 물질 자체는 키랄 중심을 갖는다. STN 표시장치 소자의 회전각은 전형적으로 180-270°(또는 -180 내지 -270°)이지만, 다른 적절한 값일 수 있다. 90°(또는 -90°)의 회전각의 경우에, 상기 필름은 대개 “비틀림 네마틱”으로 불린다. TFT-TN 보정층에 대해, 90°(또는 -90°)의 회전각이 요구된다. 상기 회전각이 더 커지면, 상기 필름은 “초비틀림 네마틱”으로 불린다. 또한, 본 발명은 0°(비틀리지 않음) 내지 90°(또는 -90°)의 작은 회전각을 갖는 지연층에 관한 것이다. 360°를 초과하는 회전각에서, 상기 구조는 단일층내에서 한 번 이상의 완전한 회전을 한다. 완전한 회전에서 상기 구조에 의해 커버된 길이는 피치라고 부른다. 본 발명은 또한 1 피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층(10피치 이상에서도)에 관한 것으로서, 콜레스테릭 반사기로 사용되는데 적당한다.
광학 지연값(=Δn(복굴절)×d((S)TN층의 두께)은 층의 두께에 대해 적당한 값을 선택함으로서 조절될 수 있다. 두 개의 배향기판을 사용할 때, 상기는 적당한 크기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대개 유리구, 폴리머구 또는 실리카구가 스페이서로 사용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배향기판이 사용될 때, 상기 층의 두께는 압출-코팅, 메니스쿠스-코팅 및 방사-코팅과 같은 정확한 코팅 기술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연층이 편광기와 능동소자 사이에 놓일 수 있다. 지연층에 대한 기판으로 편광기 또는 능동소자벽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액정 표시장치의 중량 및 두께가 또한 감소된다.
상기 지연층에 대해 적당한 고분자량 액정물질이 폴리에테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에테르 및 폴리실록산과 같은 액정 곁사슬 폴리머, 액정 유리로부터 선택된다.
활성화된 모노머 기작에 따라 중합화된 액정 폴리에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PCT/EP 95/03176에서, 폴리에테르는 활성화된 모노머 기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거기에 기술되어 있는 폴리에테르는 상기에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 Tc가 너무 높거나 또는 Tg가 너무 높다. 상기 공보에 기술된 방법을 가지고, Tc 및 점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액정 폴리에테르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고분자량 물질이 (a) OH-함유 화합물 및 (b) 메소제닉기-함유 모노-에폭시드로 이루어진 모노머 혼합물를 중합화함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PCT/EP 95/03176에 개시된 폴리에테르에서 시작하여, 점도 및 Tc조건을 만족시키는 폴리에테르가 몇 개의 단계에 의해 얻어진다. 먼저 스페이서를 갖는 메소제닉기-함유 모노-에폭시드를 사용한다. PCT 출원에 기술된 폴리에테르는 옥시라닐메톡시 부분(예를 들면 메소제닉기가 아닌 화합물의 일부)을 갖는 메소제닉기-함유 모노-에폭시드에서 제조된다. 메소제닉기-함유 화합물이 더 긴 스페이서로 사용될 때, 만족스러운 Tc 및 점도를 갖는 폴리에테르가 얻어진다.
두 번째 방법은 모노머 혼합물에서 비메소제닉 에폭시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에폭시드로 옥시라닐메탄(프로필렌 옥시드), 2-에틸헥실글리시딜 에테르 및 옥시라닐에탄 및 더 낮은 메소제닉기 밀도를 포함하는 것이다. 전체 에폭시드 화합물의 40mole% 이하가 옥시라닐메탄이다. 상기 지방족 에폭시드-함유 폴리에테르가 전에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새로운 지방족 에폭시드-함유 액정 폴리에테르에 관한 것이다.
활성화된 모노머 기작에 따라 액정 폴리에테르를 제조할 때, 상기 모노머 혼합물내 에폭시드기/히드록시기 비율은 5:1 내지 1:1의 범위에 있다. 상기는 결과적으로 주로 고리형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부반응이 좁은 분자량 분포의 중합체가 형성되는 정도로 억제된다. 더욱이, 활성화된 모노머 기작에 의해 거의 독점적으로 형성되는 폴리에테르는 필수적으로 OH-말단화되고, 가교에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에서, 모노-OH-함유 화합물 및 디- 및 트리-OH-함유 화합물을 갖는 특정 OH-함유 화합물이 사용된다. 상기의 예로는 지방족 알콜, 디올, 트리올, 아크릴레이트 알콜, 아크릴레이트 디올, 메소제닉기-함유 알콜 및 화합물의 비방향족 부분에서 OH기를 함유하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적당한 모노-OH-함유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과 같다.
HO-(Y)m-Z
(상기 화학식 1에서, Z는 H(m≠0일 때), -O-C(O)-CH=CH2, -O-C(O)-C(CH3)=CH2, 4-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고리형, 방향족, 또는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을 나타내고;
상기 화합물은 메소제닉기, -CH(CH2-O-C(O)-CH=CH2)2, -C(CH2-OC(O)-CH=CH2)3, -C(CH2-O-C(O)-CH=CH2)2-CH3, -CH(CH2-O-C(O)-C(CH3)=CH2)2, -C(CH2-OC(O)-C(CH3)=CH2)3또는 -C(CH2-O-C(O)-C(CH3)=CH2)2-CH3로 이루어지고;
Y는 -CH2-, -C(CH3)2-, -CH(CH3)-, -CH2-O-ψ1-(CH2)m- 또는 -HC[-(CH2)m-O-ψ1-(Q)n2-R1]-을 나타내고, 여기서 변수 Y는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으며;
m은 OH기와 비교하여 α 또는 β위치에서 산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은 제외되는 조건에서 독립적으로 0-12의 정수를 나타내며;
Q는 -C(O)-O-, -C=C-, -C=N-, -N=C-, O-C(O)-, -C≡C-, -N=N- 또는 -N(→O)=N-을 나타내고;
R1은 -O-R2, -NO2, -CN, -HC=C(CN)2, -C(CN)=C(CN)2또는 -R2를 나타내고;
R2는 1-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CH2)k-O-C(O)-CH=CH2, -(CH2)k-O-C(O)-C(CH3)=CH2또는 -(CH2)x-OH를 나타내고;
x는 0-12의 정수를 나타내고;
k는 R1=-O-R2일 때 k가 0 또는 1이 아니라는 조건에서 0-12의 정수를 나타내며;
ψ1은 4-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고리형, 방향족 또는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을 나타내고, 상기 화합물은 메소제닉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ψ2는 4-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고리형, 방향족 또는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을 나타내고, 상기 화합물은 메소제닉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n은 0 또는 1을 나타낸다)
특히 적당한 디-OH-함유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에 따른 것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2에서, R3은 1-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Z, Y, ψ1, ψ2, m 및 n은 상기 화학식 1과 같은 의미를 가지며, 상기 m의 수는 같거나 또는 다르다)
적당한 메소제닉기-함유 모노 에폭시드는 하기 화학식 3을 만족시킨다.
(상기 화학식 3에서, Q1은 -C(O)-O-, -C=C-, -O-C(O)-, -N=C-, -C=N-, -C≡C-, -N=N- 또는 -N(→O)=N-을 나타내고;
W는 C, O 또는 S를 나타내며;
A는을 나타내고;
Q2는 -O-C(O)-, -O- 또는 -O-C(O)-C=C-를 나타내고;
R4는 O-R8, -COO-R8, -OCO-R8, -NO2, -CN, -HC=C(CN)2, -C(CN)=C(CN)2또는 -R8을 나타내며;
R5는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6는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H 또는 CH3를 나타내고;
p는 1-7이며;
m은 에폭시기의 산소에 비교하여 α 또는 β위치(비시날 또는 제미날)에서 산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은 제외된다는 조건하에서 0-12이고;
n은 0 또는 1이며;
q는 m=0일 때 q≠0이라는 조건하에서 0-3이며;
r은 0 또는 1이고;
R8은 1-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9는 1-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H를 나타내며;
R10은 1-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기의 알킬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 따른 에폭시드중에, 스페이서를 갖는 것이(이와같이, m 및/또는 q가 0이 아니다) 바람직하다. 물론, 모노머 혼합물내 OH-함유 화합물 및 다른 모노-에폭시드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상기는 능동소자의 분산에 대해 지연층의 분산을 조절할 수 있다. 분산의 정합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는 WO 95/09379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에 언급된 것과 같이, 모노머 혼합물내 비메소제닉 모노-에폭시드로 예를 들면 옥시라닐메탄을 40%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Tc 및 점도 조건을 만족시키기위하여, 고분자량 액정 물질의 혼련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액정 폴리에테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광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가교제로 가교성을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또는 OH 말단 폴리에테르로 아크릴기(예를들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첨가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특히 2-메틸-2-프로페노일 클로라이드로 말단-캡핑화는 가장 적당한 경로중 하나이다. 모노머 혼합물에서 아크릴기-함유 에폭시드 및/또는 아크릴기-함유 OH-함유 화합물의 특정양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아크릴기-함유 에폭시드의 예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에서, m은 1-12이고, k, n, ψ1및 ψ2는 이미 상기에 기술되었다)
가장 적당한 것은 하기와 같다.
적당한 아크릴기-함유 OH-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에서, m은 1-12이고, n, k, ψ1및 ψ2는 이미 상기에 기술되었다)
상기 정의에서, 고리형 화합물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비시클로-옥틸 등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방향족기는 페닐, 비페닐, 나프틸 등이다.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은 질소, 산소 또는 황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고리형 또는 방향족 화합물이다. 예로는 모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리미디닐, 티에닐, 피롤리디닐, 피리디닐 등이 있다.
가교전 및 후에 물리적인 성질을 조절하기위하여 아크릴기 함유 폴리머에 분리형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첨가할 수 있다(예를들면 가교전의 점도 및 가교밀도).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하기의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40ml 아세톤내 탄산칼륨 65mmole과 4-메톡시페닐-4-히드록시벤조에이트 50mmole의 혼합물에 α,ω-브로모-1-알켄(예를들면 4-브로모-1-부텐, 5-브로모-1-펜텐, 6-브로모-1-헥센) 65mmole이 첨가된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이 거칠게 교반하면서 24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상기 침전물이 여과제거되고, 상기 여과물이 물에 첨가되고, 클로로포름으로 세척된다. 상기 유기층이 조합되고, 물로 세척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되어, 건조도를 위해 증발된다. 상기 원생성물이 부가적인 정제없이 사용된다.
디클로로메탄 60ml내 4-메톡시페닐 4-알케닐옥시벤조에이트 30mmole 용액에 m-클로로퍼벤조산 40mmole이 첨가된다. 상기 혼합물이 24시간동안 실내온도에서 교반되고, 디클로로메탄 60ml로 희석되어, 5%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로 세척된다. 상기 유기층이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되고, 건조도를 위해 증발된다. 상기 원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재결정된다.
폴리에테르가 PCT/EP 95/03176에 기술된 일반적인 중합화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렌 글리콜 및 에폭시드에서 제조된다. 상기 생성된 성질은 하기 표 1에 기술되어 있으며, 스페이서는 메소제닉 부분의 산소원자와 에폭시기사이의 탄소원자의 수로 나타내며, η'는 35℃, 2πrad.s-1에서 동적점도를 나타낸다.
온도의 함수로서 상기 물질의 기계적인 성질을 특징화하기위하여, 동적 기계 분광기가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유량계내 고분자량 액정 물질을 넣고, 1Hz의 진동수에서 작은 동적 스트레인을 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연구된 시료의 점도에 의존하여, 보린(Bohlin) CS50 또는 리아메트릭스(Rheometrics) RDS-II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응력 및 스트레인이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된다. 상기 측정된 응력이 사용된 동적 스트레인에 대해 상내 탄성반응 및 상밖의 산일반응을 포함한다. 상기 점도-탄성 거동은 G' 및 G" 동적 전단 탄성율로 기술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G'는 저장 탄성율이고, G"는 손실 탄성율이다. 상기 손실 탄성율(G")은 G"=η'.ω의 식에 의해 동적 점도의 실부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에서 ω는 각진동수이고, 우리의 경우에는 2π 라디안/s이며, η'는 동적 점도의 실부이다.
번호 스페이서 Tg(℃) Tc(℃) Mw η'(Pa.s)
1 2 27/34 139 2222
2 3 20/26 124 2617 4×104
3 4 15/21 121 2854
실시예 2
디클로로메탄내 (에폭시드의 총량의)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에틸 에테레이트 1.5mole% 및 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에 실내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내 용해된 옥시라닐메탄 및 4-(메톡시)페닐 4-(옥시라닐메톡시) 벤조에이트의 혼합물이 적상으로 천천히 첨가된다. 상기 중합화 혼합물이 한밤동안 교반된다. 상기 폴리에테르가 에테르에서 침전되고, 에테르로 세척되며, 진공하에서 건조된다. 상기 수득율은 75-90%이다.
생성된 폴리에테르의 성질이 하기 표 2에 개시되어 있으며, EP/OH는 에폭시드-함유 화합물 및 OH-함유 화합물의 비율을 나타내며, PO%는 에폭시드 총량의 옥시라닐메탄 mole%를 나타내며, η'는 35℃, 2πrad.s-1에서의 동적 점도를 나타낸다.
번호 EP/OH PO% Tg(℃) Tc(℃) η'(Pa.s) Mw
4 10/1 25 28/35 84 3×104 2372
5 10/1 40 21/31 60 1985
6 10/1 50 5/16 -- 1818
7 5/1 10 32/35 101 1692
8 5/1 17.5 29/31 88 4.5×104 1564
9 5/1 25 23/27 69 1503
상기 표 2의 결과는 적정 Tg 및 Tc가 25mole% 이하로 옥시라닐메탄을 사용할 때 얻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PCT/EP 95/03176에 따른 폴리에테르 및 옥시라닐메틸 함유 폴리에테르의 혼련물이 제조된다. 상기 폴리에테르는 모든 비율로 혼합가능하게 보인다. 폴리에테르 6번은 4-메톡시페닐 4-(옥시라닐메톡시)벤조에이트 및 4-메톡시페닐 4-(옥시라닐메톡시)-벤조에이트(EP/OH:10/1)로 혼련된다. 상기 비율을 변화시킴에 의해서, 5/16℃ 내지 45/51℃로 변화시킨 Tg 및 146℃ 이하의 Tc를 갖는 혼련물이 얻어질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4
시클로펜탄온내 40wt%의 폴리에테르 7번 용액 2.50g에 시클로펜탄온내 5% 디부틸 주석 디아세테이트 용액 0.01g 및 바이어 AG(Bayer AG)사의 데스모듀 엔 3390(Desmodur N 3390, 상표명) 0.03g이 첨가된다. 상기 폴리에테르 용액은 메르크사(Merck)의 키랄 도판트 ZLI 4572(상표명) 0.27% w/w를 함유한다. 여과후(0.2㎛ 필터), 상기 용액은 3×3 인치 연마된 P1 코팅된 100㎛ 유리기판에 방사-코팅되고, 20℃ 진공오븐에서 5시간동안 건조시킨다. 연속적으로, 3×3 인치 시료가 100℃의 열판에 놓고, 90℃로 5분내에 냉각시킨다. 90℃에서 5시간후에, 상기 시료는 20℃로 냉각시킨다. 균질한 지연 필름이 실내온도에서 550nm의 파장 및 163°의 비틀림각에서 744nm의 지연값을 갖는 것이 얻어진다. 가교후 동적 점도는 50-70℃의 온도범위에서 106Pa.s미만으로 머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2로부터 폴리에테르 8번의 복굴절의 온도-의존성이 측정되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저분자 물질 액정 혼합물(ZLI-5049, 메르크사, 상표명)의 것과 비교된다. 상기의 목적은 5.0㎛의 두께를 갖는 작은 표시장치 소자가 폴리에테르 8번으로 채워진다. 배향층으로 코팅된 두 개의 표시장치 유리판의 연마방향은 각각에 대해 180°이다. 두시간동안 80℃에서 배향시킨후, 상기 폴리에테르의 균질한 판상 배향이 얻어진다.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두 개의 편광기사이에 놓여진 표시장치 소자의 지연값은 다양한 온도에서 측정된다. 측정된 지연값 및 표시장치 소자의 두께로 부터 상기 폴리에테르의 복굴절이 계산된다. ZLI-5049의 복굴절의 온도-의존성을 측정하기위하여 유사한 방법이 사용된다.
도 1에서, 폴리에테르 8번 및 ZLI-5049의 복굴절의 온도-의존성이 주어진다. 상기 복굴절은 30℃에서 상기 값으로 표준화된다. 하기의 도 1은 폴리에테르 8번의 복굴절의 온도-의존성이 상업적인 표시장치 혼합물 ZLI 5049이 것과 긴밀하게 정합되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6
디클로로메탄내 (에폭시드 전체 중량의)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에틸 에테레이트 1.5mole% 및 디올의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내 4-메톡시페닐 4-(옥시라닐메톡시)벤조에이트의 혼합물을 실내온도에서 적상으로 천천히 첨가한다. 상기 중합화 혼합물은 한밤동안 교반된다. 상기 폴리에테르는 에테르에서 침전되고, 에테르로 세척되어 진공하에서 건조된다. 상기 수득율은 75-90%이다.
개시제로 다른 디올을 사용하여 생성된 폴리에테르의 성질은 하기 표 3에 기술되어 있다. 디올에 대한 에폭시드의 비율은 10:1이다. PEG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나타낸다.
번호 디올 Tg(℃) Tc(℃) Mw
10 헥산디올 37/43 124 3152
11 PEG400 30/36 100 2351
12 PEG1000 30/37 97 2744
실시예 7
건조 THF(테트라히드로푸란)내 폴리에테르 3번 용액 6.00g(4.53 mmole OH)에 건조 피리딘 0.38ml(4.76mmole)가 첨가된다. 생성된 용액이 얼음조에서 냉각되고, 5ml 건조 THF내 2-메틸-2-프로페노일 클로라이드(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용액 0.46ml (4.76mmole)가 적상으로 첨가된다. 상기 얼음조가 제거되고, 상기 혼합물을 실내온도로 데우고, 환류온도에서 한밤동안 가열된다. 상기 냉각된 혼합물이 형성된 염을 제거하기위하여 여과되고, 건조도를 위해 증발된다. 상기 잔류물이 디클로로메탄에서 용해되고, 냉 에테르로 침전되며, 여과제거되어, 냉 에테르로 헹구고, 진공하에서 건조시킨다. 상기 수득은 4.21g이다.
SEC: Mw:3215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정량은 (1H-NMR)로 결정된다: 14.7%
Tg: 17/23℃, Tc: 83℃.
실시예 8
디클로로메탄내(에폭시드 총량의)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에틸 에테레이트 1.5mole% 및 에틸렌 글리콜 16mmole의 혼합물에 실내온도에서 160ml 디클로로메탄내 4-메톡시페닐 4-(4-옥시라닐부톡시)벤조에이트의 용액 160mmole을 적상으로 천천히 첨가한다. 상기 중합화 혼합물이 한밤동안 교반된다. 120ml 디클로로메탄내 트리에틸 아민 64 mmole 및 로놀 5mg의 용액이 첨가된다. 1시간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얼음조로 냉각시키고, 40ml 디클로로메탄내 2-메틸-2-프로페노일 클로라이드 용액 64mmole이 적상으로 첨가된다. 첨가후 상기 혼합물이 실내온도에서 1시간동안 교반되고, 한밤동안 환류된다. 상기 반응 혼합물이 1M 염산, 물, 5% 수성 탄산수소나트륨, 물 및 소금물로 연속적으로 세척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기층이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되고, 건조도를 위해 증발된다. 생성된 중합체는 진공하에서 건조된다. 상기 수득은 50.2g이다.
SEC:Mw:3232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기의 정량은 (1H-NMR)로 측정된다: 15.6%
Tg(DSC): 3/11℃, Tc(DSC): 77℃.
실시예 9
시바 게이지사(Ciba Geigy)의 이르가큐어 369(Irgacure 369, 상표명) 2.0% w/w 및 메르크사의 키랄 도판트 ZLI 4572(상표명) 0.40% w/w을 함유하는 시클로펜탄온내 실시예 7에서 얻어진 가교성 폴리에테르 용액 35% w/w가 3×3 인치 연마된 P1 코팅된 100㎛ 유리기판상에 방사-코팅되고, 진공 오븐내 20℃에서 20시간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시료가 70℃에서 2시간동안 배향되고, 질소 흐름하의 70℃에서 60초동안 UV-램프를 사용하는 조사에 의해 경화되고, 20℃로 냉각된다. 가교후 상기 동적 점도는 50-70℃의 온도범위에서 106Pa.s미만에 머무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교후 Tg는 33/44℃이고, 가교후 Tc는 114℃이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가교된 지연층의 비틀림각은 어니일링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된다. 상기 어니일링 시간은 24시간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시료의 비틀림각은 실내온도로의 급냉각후 측정된다.
도 2에서, 상기 측정된 비틀림각은 상대 어니일링 온도의 함수로서 플롯된다(T어니일-Tg, Tg는 DSC에 의해 측정된 Tg의 온/오프 세트의 중간점이다). 하기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비틀림각은 가교된 지연층에 대한 온도의 함수로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실시예 11
실시예 9의 가교된 지연층은 50℃의 온도에서 클린룸 외부의 열판상에 놓는다. 7일후에 먼지 입자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가교된 시료는 핀홀표시를 보이지 않는다.
실시예 12
실시예 9의 가교된 지연층이 접착제(예를들면 Sanritz, LLC2-81-185, 상표명)를 갖는 편광기로 적층시킨다. 상기 보정층이 60℃의 온도에서 열판에 놓는다. 24시간후에 가교된 시료가 완전하게 된다. 상기 시험은 340시간의 전체 시간동안 계속되며, 상기 보정층은 여전히 완전하다. 상기 온도는 연속적으로 48시간동안 80℃로 올리고, 가교된 층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온도를 90℃로 설정하고, 상기 안정도가 500시간후에 시험된다. 상기 가교된 층은 50% 습도의 90℃에서 500시간동안 부가적인 어니일링 처리후에 특정 파괴의 표시를 보이지 않는다.
실시예 13
130ml의 디클로로메탄내 10-운데센-1-올 15g(88mmole)의 용액에 m-클로로퍼벤조산 24g(70% 분석: 97mmole)이 첨가된다. 상기 혼합물은 48시간동안 실내온도에서 교반된다. 상기 반응 생성물은 2% 소디움 하이드로겐설파이트 수용액(150ml),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150ml) 그리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로 세척한다. 상기 유기층이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되고, 건조도를 위해 증발된다. 수득: 9-옥시라닐노난-1-올의 15.7(96%)이고, 부가적인 정제없이 사용된다.
건조 THF의 90ml내 건조 트리에틸아민의 9.0g(89mmole) 및 9-옥시라닐노난-1-올의 15.7g(84mmole)의 냉용액에 90ml의 건조 THF내 2-메틸-2-프로페노일 클로라이드 용액 9.3g(89mmole)이 첨가된다. 상기 혼합물이 한밤동안 실내온도에서 교반된다. 상기 침전된 염이 여과제거되고, 상기 여과물이 0.1M 염산 500ml에 넣고, 생성된 수성 혼합물이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된다. 상기 조합된 유기층이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도를 위해 증발시킨다. 상기 원생성물이 증류에 의해 정제된다(150℃, 10Pa). 수득: 14.7g(70%).
디클로로메탄내 (에폭시드 총량의)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에틸 에테레이트 1.5mole% 및 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내 용해된 4-메톡시페닐 4-(4-옥시라닐부톡시)벤조에이트((100-C9)%) 및 9-옥시라닐노닐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C9%)의 혼합물을 실내온도에서 적상으로 천천히 첨가한다. 상기 중합 혼합물이 한밤동안 교반된다. 상기 반응 혼합물이 소금물로 세척된다. 상기 유기층이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되고, 건조도를 위해 증발된다. 상기 생성물이 진공에서 건조된다. 상기 수득은 정량적이다.
생성된 폴리에테르의 성질은 하기 표 4에 개시되어 있으며, C9%는 모노머 혼합물내 9-옥시라닐노닐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의 mole%를 나타내고, MA%는 폴리머(1H-NMR로 분석됨)로 첨가된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기의 mole%를 나타낸다. 디올에 대한 에폭시드의 비율은 10:1이다.
번호 C9% MA% Tg(℃) Tc(℃) Mw
15 17.5 17 -2/5 76 3096
16 20 18 -5/5 70 3064
실시예 14
시바 게이지사의 이르가큐어 369(상표명) 2% w/w 및 메르크사의 키랄 도판트 ZLI 4571(상표명) 0.24% w/w를 함유하는 메톡시벤젠 용액내 실시예 13의 폴리에테르 15번의 용액 50% w/w가 연마된 폴리이미드 배향층을 갖는 3×3인치 100㎛ 유리기판상에 방사-코팅된다. 상기 시료가 40℃에서 30분동안, 진공오븐의 20℃에서 2시간동안 건조된다. 40℃에서 20시간동안 배향시킨 후에, 상기 시료가 질소흐름하의 UV램프(전력밀도 3.5mW/cm2)로 40℃에서 60초동안 조사된다. 상기 경화된 물질은 17/26℃의 Tg와 98℃의 Tc를 갖는다. 실내온도에서 수득된 지연필름은 550nm의 파장에서 940nm의 지연값 및 -161°의 비틀림각을 갖는다.
실시예 15
메톡시벤젠내 실시예 13의 폴리에테르 16번 용액 40% w/w가 연마된 비결정 폴리올레핀(Zeonex 250, 상표명) 기판상에 가한다. 상기 시료는 20℃에서 15분동안, 40℃에서 40분동안 건조된다. 상기 시료가 45℃에서 60분동안 배향된다. 상기 시료가 질소흐름하의 UV 램프로 45℃에서 60초동안 조사된다. 상기 배향된 지연층이 수득된다.
실시예 16
디클로로메탄내 (에폭시드 총량의)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에틸 에테레이트 1.5mole% 및 2,3-디히드록시프로필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의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내 용해된 4-메톡시페닐 4-(4-옥시라닐부톡시)벤조에이트((100-C9)%) 및 9-옥시라닐노닐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C9%)의 혼합물을 실내온도에서 적상으로 천천히 첨가한다. 상기 중합 혼합물이 한밤동안 교반된다. 상기 반응 혼합물이 소금물로 세척되고, 생성된 유기층이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되고, 건조도를 위해 증발된다. 상기 생성물이 진공에서 건조되어 정량적으로 수득된다.
생성된 폴리에테르의 성질은 하기 표 5에 개시되어 있으며, C9%는 모노머 혼합물내 9-옥시라닐노닐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의 mole%를 나타내고, MA%는 폴리머(1H-NMR로 분석됨)로 첨가된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기의 mole%를 나타낸다. 디올에 대한 에폭시드의 비율은 10:1이다.
번호 C9% MA% Tg(℃) Tc(℃) Mw
17 5 13 5/12 94 2898
18 7.5 14 2/11 90 2914
19 8 17 -6/5 78 2963
20 10 18 -2/6 82 2863
21 15 21 -7/6 70 1962
실시예 17
시바 게이지사의 이르가큐어 369(상표명) 2% w/w 및 메르크사의 키랄 도판트 ZLI 4571(상표명) 0.35% w/w를 함유하는 메톡시벤젠 용액내 실시예 16의 폴리에테르 20번의 용액 50% w/w가 100㎛의 3×3 인치 연마된 폴리이미드 코팅된 유리기판상에 방사-코팅된다. 상기 시료가 40℃에서 30분동안 건조된다. 60℃에서 30분동안 배향시킨 후에, 상기 시료가 질소흐름하의 UV램프(전력밀도 3.5mW/cm2)로 60℃에서 60초동안 조사한다. 상기 잘 배향된 지연층이 수득된다.
실시예 18
실시예 17의 지연층의 지연값의 온도-의존성이 측정되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저분자 물질 액정 혼합물(ZLI 6080, 메르크사, 상표명)의 것과 비교된다. 상기 지연값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두 개의 편광기 사이에 놓인 지연필름의 투과를 측정함에 의해 측정된다. ZLI-6080의 복굴절의 온도-의존성을 측정하기위하여 ZLI-5049에 대한 실시예 5에서 기술된 방법이 사용된다.
도 3에서, ZLI 6080의 지연층 및 실시예 17의 지연층의 온도-의존성이 주어진다. 상기 복굴절이 30℃에서 값으로 표준화한다. 하기 도 3에서는 폴리에테르 20번의 복굴절의 온도-의존성이 상업적인 표시장치 혼합물 ZLI 6080의 것과 매우 긴밀하게 정합되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9
시바 게이지사의 이르가큐어 369(상표명) 2% w/w 및 메르크사의 키랄 도판트 ZLI 4571(상표명) 0.35% w/w를 함유하는 메톡시벤젠내 실시예 16의 폴리에테르 19번의 용액 50% w/w가 3×3 인치 연마된 TAC 기판상에 방사-코팅된다(Triphan 80R, 론자, 상표명). 상기 시료가 40℃에서 20분동안 건조된다. 65℃에서 30분동안 배향시킨 후에, 상기 시료가 질소흐름하의 UV램프(전력밀도 3.5mW/cm2)로 65℃에서 60초동안 조사된다. 상기 배향된 지연층이 수득된다.
비교실시예 20*
(S)TN 표시장치(ZLI5049, 메르크사, 상표명)에 대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저분자량 액정물질의 동적 기계적 반응이 측정된다. 상기 동적 점도가 0-40℃의 온도범위에서 0.01 내지 0.1Pa.s 사이에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상기 물질의 높은 이동성을 반영한다. 상기 물질은 작업온도에서 50Pa.s미만의 점도를 가지며, 상기 액정 물질의 형태는 견고한 소자내에 놓이고, 유리-스탠딩 지연층으로 사용되는데 적당하지 않다.

Claims (12)

  1. 고분자량 물질층 및 기판으로 이루어진 지연층과 액정물질을 함유하는 표시장치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고분자량 물질은 그의 Tg 이상에서 네마틱상 및 작업온도에서 적어도 100Pa.s의 동적 점도를 가지며, 표시장치 소자에서 저분자량 물질의 Tc와 고분자량 물질의 Tc의 차이는 -30℃ 내지 +30℃, 바람직하게 -20℃ 내지 +20℃, 특히 -10℃ 내지 +10℃의 범위에 있고, 고분자량 액정 물질의 Tg는 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층의 고분자량 물질은 약간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액정 물질의 Tg는 -50℃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층은 키랄 네마틱 칼라마이틱 또는 디스코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물질은 (a) OH-함유 화합물 및 (b) 메소제닉기-함유 모노-에폭시드로 이루어진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화함에 의해 수득가능한 폴리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혼합물은 옥시라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소제닉기-함유 모노-에폭시드는 스페이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혼합물내 에폭시기/히드록시기의 비율은 5:1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H-함유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모노-OH-함유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화학식 1)
    HO-(Y)m-Z
    (상기 화학식 1에서, Z는 H(m≠0일 때), -O-C(O)-CH=CH2, -O-C(O)-C(CH3)=CH2, 4-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고리형, 방향족 또는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을 나타내고;
    상기 화합물은 메소제닉기, -CH(CH2-O-C(O)-CH=CH2)2, -C(CH2-OC(O)-CH=CH2)3, -C(CH2-O-C(O)-CH=CH2)2-CH3, -CH(CH2-O-C(O)-C(CH3)=CH2)2, -C(CH2-OC(O)-C(CH3)=CH2)3또는 -C(CH2-O-C(O)-C(CH3)=CH2)2-CH3로 이루어지고;
    Y는 -CH2-, -C(CH3)2-, -CH(CH3)-, -CH2-O-ψ1-(CH2)m- 또는 -HC[-(CH2)m-O-ψ1-(Q)n2-R1]을 나타내고, 여기서 변수 Y는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으며;
    m은 OH기와 비교하여 α 또는 β위치에서 산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이 제외되는 조건에서 독립적으로 0-12의 정수를 나타내며;
    Q는 -C(O)-O-, -C=C-, -C=N-, -N=C-, O-C(O)-, -C≡C-, -N=N- 또는 -N(→O)=N-을 나타내고;
    R1은 -O-R2, -NO2, -CN, -HC=C(CN)2, -C(CN)=C(CN)2또는 -R2를 나타내고;
    R2는 1-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CH2)k-O-C(O)-CH=CH2, -(CH2)k-O-C(O)-C(CH3)=CH2또는 -(CH2)x-OH를 나타내고;
    x는 0-12의 정수를 나타내고;
    k는 R1=-O-R2일 때 k가 0 또는 1이 아니라는 조건에서 0-12의 정수를 나타내며;
    ψ1은 4-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고리형, 방향족 또는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을 나타내고, 상기 화합물은 메소제닉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ψ2는 4-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고리형, 방향족 또는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을 나타내고, 상기 화합물은 메소제닉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n은 0 또는 1을 나타낸다)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H-함유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3은 1-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Z, Y, ψ1, ψ2, m 및 n은 상기 제 9 항의 화학식 1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소제닉기-함유 모노-에폭시드기는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Q1은 -C(O)-O-, -C=C-, -O-C(O)-, -N=C-, -C=N-, -C≡C-, -N=N- 또는 -N(→O)=N-을 나타내고;
    W는 C, O 또는 S를 나타내며;
    A는을 나타내고;
    Q2는 -O-C(O)-, -O- 또는 -O-C(O)-C=C-를 나타내고;
    R4는 O-R8, -COO-R8, -OCO-R8, -NO2, -CN, -HC=C(CN)2, -C(CN)=C(CN)2또는 -R8을 나타내며;
    R5는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6는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H 또는 CH3를 나타내고;
    p는 1-7이며;
    m은 에폭시기의 산소에 비교하여 α 또는 β위치에서 산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은 제외된다는 조건하에서 0-12이고;
    n은 0 또는 1이며;
    q는 m=0일 때 q≠0이라는 조건하에서 0-3이며;
    r은 0 또는 1이고;
    R8은 1-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9는 1-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H를 나타내며;
    R10은 1-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12. (a) OH-함유 화합물; (b) 메소제닉기-함유 모노-에폭시드; 및 (c) 아크릴기-함유 에폭시드 또는 OH-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화함에 의해 수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간 가교성 또는 가교된 액정 폴리에테르.
KR10-1998-0704849A 1995-12-22 1996-12-16 온도정합지연층 Expired - Lifetime KR100425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3567 1995-12-22
JP95203567.3 1995-12-22
EP96201247 1996-05-07
JP96201247.2 1996-05-07
EP96201247.2 1996-05-07
EP96202646 1996-09-23
EP96202646.4 1996-09-23
JP96202646.4 1996-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730A true KR19990076730A (ko) 1999-10-15
KR100425621B1 KR100425621B1 (ko) 2004-07-16

Family

ID=2723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849A Expired - Lifetime KR100425621B1 (ko) 1995-12-22 1996-12-16 온도정합지연층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088077A (ko)
EP (1) EP0868680B1 (ko)
JP (1) JP4054064B2 (ko)
KR (1) KR100425621B1 (ko)
CN (1) CN1097744C (ko)
AT (1) ATE201514T1 (ko)
AU (1) AU719031B2 (ko)
BR (1) BR9612174A (ko)
CA (1) CA2241087A1 (ko)
CZ (1) CZ196698A3 (ko)
DE (1) DE69613001T2 (ko)
EA (1) EA000614B1 (ko)
ES (1) ES2158373T3 (ko)
IL (1) IL125013A0 (ko)
MX (1) MX9805095A (ko)
NO (1) NO982851L (ko)
NZ (1) NZ325285A (ko)
PL (1) PL327231A1 (ko)
WO (1) WO1997023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3437B1 (en) 1998-08-25 2005-02-08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391661A (zh) * 1999-11-19 2003-01-15 德吉马技术股份有限公司 常白超扭曲向列液晶显示器
EP1156361A1 (en) * 2000-05-16 2001-11-21 Dejima Tech B.V. Reflective STN liquid crystal display
WO2002017006A2 (en) * 2000-08-23 2002-02-28 Dejima Tech B.V. Single-polarizer, normally white reflective stn display
JP2002072211A (ja) * 2000-08-28 2002-03-12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
US7244798B2 (en) * 2002-10-01 2007-07-17 Nippon Oil Corporation (Meth) acrylic compound having an oxetanyl group and liquid crystal film produced by using same
WO2004063779A1 (ja) * 2003-01-10 2004-07-29 Nitto Denko Corporation 広帯域コレステリック液晶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円偏光板、直線偏光子、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008358B2 (ja) * 2003-01-10 2007-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広帯域コレステリック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
ATE538145T1 (de) * 2005-09-26 2012-01-15 Dejima Tech Bv Uv-vernetzbare urethan-(meth)acrylat polyme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7369B2 (ja) * 1987-11-25 199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H02101049A (ja) * 1988-10-05 1990-04-12 Idemitsu Kosan Co Ltd 液晶化合物及び液晶ポリマー
GB8912456D0 (en) * 1989-05-31 1989-07-19 Secr Defence Polymerisation of cyclic ether monomers capable of undergoing cationic oxonium ion ring-opening polymerisation
JP2662814B2 (ja) * 1989-06-06 1997-10-15 株式会社リコー 液晶性高分子の配向方法
JPH0750269B2 (ja) * 1989-07-19 1995-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
EP0423881B1 (en) * 1989-10-18 1994-02-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5210630A (en) * 1989-10-18 1993-05-11 U.S. Philips Corporatio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5380459A (en) * 1990-04-20 1995-01-10 Ricoh Company,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viewing angle dependence of color
US5235008A (en) * 1990-08-03 1993-08-10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 modified adducts of epoxy resins and active hydr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mesogenic moieties
DE4206089A1 (de) * 1992-02-27 1993-09-02 Consortium Elektrochem Ind Optische elemente auf der basis fluessigkristalliner substanzen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952449B2 (ja) * 1992-06-03 1999-09-27 日石三菱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補償板の製造法
EP0617111B1 (en) * 1993-03-25 1997-09-1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Optically anisotropic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retard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CA2172973A1 (en) * 1993-09-29 1995-04-06 Martin Bosma Retardation layer having a dispersion adapted to the active liquid-crystalline cell
TW289769B (ko) * 1994-04-22 1996-11-01 Sumitomo Chemical Co
JP3934692B2 (ja) * 1994-04-22 2007-06-20 住友化学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1996003476A1 (en) * 1994-07-26 1996-02-08 Akzo Nobel N.V. Liquid-crystalline glasses
CN1147562C (zh) * 1994-08-19 2004-04-28 德吉玛泰克有限公司 液晶聚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8680B1 (en) 2001-05-23
EA000614B1 (ru) 1999-12-29
MX9805095A (es) 1998-10-31
DE69613001T2 (de) 2001-11-08
CN1205782A (zh) 1999-01-20
PL327231A1 (en) 1998-12-07
EA199800594A1 (ru) 1998-12-24
KR100425621B1 (ko) 2004-07-16
CA2241087A1 (en) 1997-07-03
AU719031B2 (en) 2000-05-04
IL125013A0 (en) 1999-01-26
JP4054064B2 (ja) 2008-02-27
WO1997023805A1 (en) 1997-07-03
NO982851D0 (no) 1998-06-19
CZ196698A3 (cs) 1999-09-15
NO982851L (no) 1998-08-13
ATE201514T1 (de) 2001-06-15
EP0868680A1 (en) 1998-10-07
NZ325285A (en) 1999-09-29
JP2000512768A (ja) 2000-09-26
BR9612174A (pt) 1999-07-13
US6088077A (en) 2000-07-11
ES2158373T3 (es) 2001-09-01
AU1376897A (en) 1997-07-17
DE69613001D1 (de) 2001-06-28
HK1016273A1 (en) 1999-10-29
CN1097744C (zh) 200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920B2 (en)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optical film
JP5401822B2 (ja) 重合性液晶化合物、重合性液晶組成物、液晶性高分子および光学異方体
JP5510321B2 (ja) 重合性液晶化合物、重合性液晶組成物、液晶性高分子及び光学異方体
EP0704514B1 (en) Optically anisotropic film
EP0721602B1 (en) Retardation layer having a dispersion adapted to the active liquid-crystalline cell
Hu et al. Side-chain cholesteric liquid crystalline elastomers derived from a mesogenic cross-linking agent
KR19990076730A (ko) 온도 정합 지연층
CN112679662B (zh) 聚合性组合物、液晶调光元件、调光窗、智能窗及液晶复合体的用途
JPH11271529A (ja) 光選択透過性素子
JPH0561039A (ja) 液晶表示素子用視角補償板の製造方法
JP4242971B2 (ja) 液晶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3404433B2 (ja) 液晶オリゴマー重合体組成物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位相差板と液晶表示装置
JP3469272B2 (ja) 液晶性高分子組成物
HK1016273B (en) Temperature matched retardation layer
JP3934690B2 (ja) 光学異方体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432584B2 (ja) 光学異方体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位相差板と液晶表示装置
JP3981446B2 (ja) 光学フィルム
JP3452649B2 (ja) 光学異方体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位相差板と液晶表示装置
JP3947614B2 (ja) 液晶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Cesarino et al. Sign reversal of the dielectric anisotropy in the chiral nematic phase of a copolysiloxane
JP2001316428A (ja) 側鎖型コレステリック液晶ポリマー
TW499611B (en) Temperature matched cross-linked retardation layer
WO2002054141A2 (en) Discotic liquid crystal materials and o-plate compensation films made therefrom
JPH08152519A (ja) 光学異方体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9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706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