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363A -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02363A KR19990002363A KR1019970025954A KR19970025954A KR19990002363A KR 19990002363 A KR19990002363 A KR 19990002363A KR 1019970025954 A KR1019970025954 A KR 1019970025954A KR 19970025954 A KR19970025954 A KR 19970025954A KR 19990002363 A KR19990002363 A KR 199900023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brake
- shift
- backward
- dete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경사로가 있는 도로를 등반 출발할 때,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변속 레버가 전진 위치인 것을 감지하는 전진변속 감지수단과; 차량이 전, 후진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전·후진 감지수단과; 상기 전진변속 감지수단과 전·후진 감지수단에 의해 검출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진변속 감지수단에 의해 전진 변속된 것이 감지되고, 상기 전·후진 감지수단에 의해 차량이 후진되는 소정의 신호가 출력될 때, 운전의 답력과 같은 힘을 발생하여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작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전진변속이 된 것을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의 판단 결과 전진변속이 된 경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이 후진되는 경우 솔레노이드가 작동되도록 온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 변속기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경사로가 있는 도로를 등반 출발할 때,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기 차량을 이용하여 경사로 상에서 정차한 상태에서 다시 등반 출발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왼발로 클러치 페달을, 오른발로 브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밟은 상태에서 변속 기어를 1단으로 넣은 다음, 신속하게 오른발을 옮겨 가속 페달에 천천히 답력을 가함과 동시에 왼발에 의해 클러치 페달에 가해진 답력을 천천히 제거하면, 차량은 출발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클러치 페달에 가해진 답력을 제거하는 시간이 중요한데, 이 클러치 페달에 가해진 답력 제거 시간이 빠르면 엔진에 급격한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차량의 시동이 꺼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는 신속하게 클러치 페달에 답력을 다시 가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에 답력을 가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운전자는 클러치 페달에 가해진 답력 제거 시간을 적정하게 조절하는데, 이 조절 방법은 답력을 천천히 제거하는 도중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면서 발생되는 엔진의 떨림을 청취하고 나서 답력 제거를 일단 중지한 다음, 즉,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은 물리적 조작을 한 다음, 오른발을 신속하게 브레이크 페달 위치에서 가속 페달 위치로 옮긴 다음 가속 페달에 답력을 천천히 가하여 차량을 출발시킨다.
그러나, 운전자가 초보 운전인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에 가해진 답력을 제거하는 시간을 적당하게 조절하여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만들어주는 데에는 숙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시동을 꺼트리거나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경사로를 등반하는 차량들의 정체가 심한 경우에 뒷차량과의 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경사로가 있는 도로를 등반 출발할 때, 차량이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타임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4(a),(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후진 감지부 20 : 전진변속 감지부
30 : 제어부 40 : 브레이크 장치
41 : 브레이크 페달 50 : 브레이크 작동장치
51 : 와이어 52 : 솔레노이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는, 변속 레버가 전진 위치인 것을 감지하는 전진변속 감지수단과; 차량이 전, 후진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전·후진 감지수단과; 상기 전진변속 감지수단과 전·후진 감지수단에 의해 검출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진변속 감지수단에 의해 전진 변속된 것이 감지되고, 상기 전·후진 감지수단에 의해 차량이 후진되는 소정의 신호가 출력될 때, 운전의 답력과 같은 힘을 발생하여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작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이 전진변속이 된 것을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의 판단 결과 전진변속이 된 경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이 후진되는 경우 솔레노이드가 작동되도록 온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는 변속 레버(미도시)가 전지 위치인 것을 감지하는 전진변속 감지부(20)와, 차량이 전, 후진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전·후진 감지부(10)와, 전진변속 감지부(20)와 전·후진 감지부(10)에 의해 검출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부(30)와, 이 제어부(30)로부터 전진변속 감지부(20)에 의해 기어가 전진 변속된 것이 감지되고 전·후진 감지부(10)에 의해 차량이 후진되는 소정의 신호가 출력될 때, 운전자의 답력과 같은 힘을 발생하여 브레이크 장치(40)를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작동 수단(50)으로 구성된다.
전진변속 감지부(20)는 통상의 수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가 1단 또는 2단으로 변속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변속 레버에 접촉하여 온/오프되는 접점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전·후진 감지부(10)는 차륜의 회전축등에 원주방ㅇ으로 한 개 설치되는 발광부, 이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수광되는 다수개의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를 예로 들을 수 있는 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발광부가 회전하면서 다수개의 수광부에 순차적으로 수광될때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출력 순서가 달라지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진 감지부(10)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0)는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전자 제어 유닛(ECU)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진변속 감지부(20) 및 전·후진 감지부(10)에서 입력된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브레이크 작동 수단(50)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브레이크 작동 수단(50)은 통상의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유압을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기서, 브레이크 장치(40)는 브레이크 페달(41)에 가해진 답력이 진공압과 대기압의 차로서 배력되도록 형성된 진공 부스터(booster)(42)에 의해 배력되어 마스터 실린더(43)의 유압 송출 작용에 의해 차량의 전, 후 차륜에 설치된 디스크 브레이크(45) 또는 드럼 브레이크(44)가 제동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는 데, 브레이크 페달(41)에 소정의 연결 수단인 와이어(51)를 매개로 설치되는 솔레노이드(52)로 구성된다.
이 솔레노이드(52)는 제어부(30)로부터 전진변속 감지부(20)에 의해 기어가 전진 변속된 것이 감지되고 전·후진 감지부(10)에 의해 차량이 후진되는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와이어(51)를 잡아당겨 브레이크 페달(41)에 답력이 가해진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40)로 유압을 이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현재 차량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작동 수단(50)의 구성중 솔레노이드 대신에 유압 실린더나 모터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타임 챠트이다.
경사로 상에 등반 출발을 하기 위해 운전자는 차량의 기어 변속을 전진 위치인 1단 또는 2단으로 변속을 하면, 전진변속 감지부(20)에 의해 소정 시간(t0∼ t4) 동안 기어가 전진 위치인 것이 유지된다.
이후,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을 조작하여 차량을 출발시키면, 전·후진 감지부(10)에 의해 차량이 소정 시간(t0∼ t1) 동안 후진 상태인 것이 감지된다.
제어부(30)에서는 전진변속 감지부(20) 및 전·후진 감지부(10)에서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소정 시간(t0∼ t1) 동안 차량의 후진 상태를 판단하여 브레이크 작동수단(50)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52)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솔레노이드(52)는 소정 시간(t0∼ t1) 동안에는 작동이 되지 않은 오프 상태이지만, 제어부(30)로부터 소정 시간(t1∼ t2) 동안에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작동이 되는 온 상태가 되어 차량의 후진이 정지된다.
여기서, 차량은 경사로 등반 출발 시도에 있어서 1차 실패를 하였기 때문에, 운전자는 차량을 경사로 등반을 재시도하려 한다. 제어부(30)는 솔레노이드(52)가 소정 시간(t2∼ t3) 동안 작동이 되지 않은 오프상태가 되도록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는 다시 클러치 페달,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을 조작하여 차량을 출발시킨다.
이때, 전·후진 감지부(10)에 의해 소정 시간(t3∼ t4) 동안 차량이 다시 후진되는 상태인 것을 제어부(30)로 입력하면, 제어부(30)는 이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52)를 소정 시간(t3∼ t4) 동안 작동이 되는 온상태가 되도록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후진이 정지되도록 한다.
한편, 전·후진 감지부(10)에 의해 소정 시간(t3∼ t4) 동안 전진되는 상태인 것을 제어부(30)로 입력하면, 제어부(30)는 이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52)가 작동이 되지 않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처럼, 차량이 경사로를 등반하는 도중에 잠시 정차 중에서 다시 출발하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에 동시에 답력을 가한 상태에서 변속 레버를 1단으로 변속한다. 이때, 전진변속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기어가 1단인 상태인가를 제어부(30)에서 판단한다.(단계 S1)
이후, 운전자는 클러치 페달에 가해진 답력을 천천히 제거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답력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신속하게 가속 페달에 천천히 답력을 가한다.
이렇게 되면, 차량은 경사로를 서서히 등반하게 하게 되는 것이 정상적이나, 전·후진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이 전진 상태인가를 제어부(30)에서 판단한다.(단계 S2)
단계 S2에서 판단된 결과, 차량이 후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브레이크 작동 수단(50)인 솔레노이드(52)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솔레노이드가 작동되도록 한다.(단계 S3)
솔레노이드(52)가 작동되면, 도 4(a)에서처럼, 브레이크 페달(41)을 연결 수단인 와이어(51)를 잡아당기게 되어 브레이크 페달(41)에 답력이 가해진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브레이크 장치(40)가 작동하여 차량은 후진이 정지되어 경사로 상에 정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차량이 경사로 상을 등반되도록 하여야 하는 데, 제어부(30)는 도 4(b)에서처럼, 솔레노이드(51)가 오프되도록 신호를 인가한다.(단계 S4)
이후, 운전자는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에 동시에 답력을 가하여 단계 S3에서 이루어진 차량의 후진 정지상태가 수동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계속하여 운전자는 차량을 재출발시키기 위해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한다. 이 조작은 상기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음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차량이 전진 상태인가를 제어부(30)에서 다시 판단하여(단계 S5), 그 판단 결과, 차량이 전진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것이 정상적이나 만약, 차량이 후진 후진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S3으로 복귀하여 이하, 루프를 계속 수행한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경사로 등의 오르막길을 출발하는 차량에 있어서, 그 운전자가 운전 초보인 경우에 클러치 페달,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의 조작 미숙으로 인해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아닌 강제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에 답력을 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후방 차량과 충돌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변속 레버가 전진 위치인 것을 감지하는 전진변속 감지수단과; 차량이 전, 후진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전·후진 감지수단과; 상기 전진변속 감지수단과 전·후진 감지수단에 의해 검출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진변속 감지수단에 의해 전진 변속된 것이 감지되고, 상기 전·후진 감지수단에 의해 차량이 후진되는 소정의 신호가 출력될 때, 운전의 답력과 같은 힘을 발생하여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작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작동 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 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작동 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 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작동 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 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 차량이 전진변속이 된 것을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의 판단 결과 전진변속이 된 경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이 후진되는 경우 솔레노이드가 작동되도록 온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제어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 이후 차량을 재 전진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를 오프 시키는 제 4단계와, 차량이 전진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이 후진되는 경우 상기 제 3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25954A KR19990002363A (ko) | 1997-06-20 | 1997-06-20 |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25954A KR19990002363A (ko) | 1997-06-20 | 1997-06-20 |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2363A true KR19990002363A (ko) | 1999-01-15 |
Family
ID=6598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5954A Abandoned KR19990002363A (ko) | 1997-06-20 | 1997-06-20 |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0236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3103B1 (ko) * | 2000-06-17 | 2002-04-22 | 서인철 | 자동차 전. 후진 자동 제동장치 |
KR100721095B1 (ko) * | 2002-07-11 | 2007-05-22 | 주식회사 만도 | 수동변속기 차량의 후진방지장치 |
KR101415211B1 (ko) * | 2012-07-24 | 2014-07-04 | 주식회사 만도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1997
- 1997-06-20 KR KR1019970025954A patent/KR19990002363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3103B1 (ko) * | 2000-06-17 | 2002-04-22 | 서인철 | 자동차 전. 후진 자동 제동장치 |
KR100721095B1 (ko) * | 2002-07-11 | 2007-05-22 | 주식회사 만도 | 수동변속기 차량의 후진방지장치 |
KR101415211B1 (ko) * | 2012-07-24 | 2014-07-04 | 주식회사 만도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83323B2 (ja) | 原動機を備えた車両のブレーキ装置作動方法 | |
KR101234622B1 (ko) |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9990002363A (ko) |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2789892B2 (ja) | 車両制動能力判定装置 | |
KR20160148208A (ko)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 |
KR100203171B1 (ko) | 경사로 재출발시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 | |
KR100721095B1 (ko) | 수동변속기 차량의 후진방지장치 | |
CN110088451B (zh) | 车辆控制系统 | |
JP2679300B2 (ja) | 制動力保持装置 | |
JP6500614B2 (ja) |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 |
KR100489068B1 (ko) | 경사로 밀림 방지 제어시스템 | |
KR19980034910U (ko) | 경사길에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 |
KR100335936B1 (ko) | 차량용 브레이크 램프 제어 방법 | |
KR100399191B1 (ko) | 차량 주차브레이크의 제어장치 | |
KR100228988B1 (ko) |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
KR100228987B1 (ko) |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
KR100514827B1 (ko) | 자동차의 언덕길 뒤로밀림 방지 제어로직 | |
KR100273522B1 (ko) | 등판길 재출발시 미끄럼 방지 rpm 보상장치 및 제어방법 | |
KR100229932B1 (ko) | 수동 변속용 차량의 오르막 주행시 미끄럼 방지 구조 | |
KR20020096724A (ko) | 수동 변속 차량의 제동시 시동 꺼짐 방지 장치 | |
JP3659994B2 (ja) | 坂道発進補助装置 | |
JPH0618851Y2 (ja) | 制動力保持装置 | |
KR19990011006A (ko) |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080098166A (ko) | 경사로 출발 제어 방법 | |
JPH0740810A (ja) | 坂道発進補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6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7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