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4622B1 -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622B1
KR101234622B1 KR1020060104591A KR20060104591A KR101234622B1 KR 101234622 B1 KR101234622 B1 KR 101234622B1 KR 1020060104591 A KR1020060104591 A KR 1020060104591A KR 20060104591 A KR20060104591 A KR 20060104591A KR 101234622 B1 KR101234622 B1 KR 101234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rque
creep torque
creep
re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437A (ko
Inventor
최금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6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50/00Monitoring, detecting, estimating vehicle conditions
    • B60T2250/04Vehicle reference speed; Vehicle body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로, 차량의 출발시 크리프 토크량에 따라 밀림 방지장치의 제동 압력을 제어하여 경사도에 관계없이 밀림을 방지하고, 평지 출발에서 출발 지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출발 조건으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출발 조건으로 전환되었으면 밀림 방지장치를 작동시켜 보조 제동력을 확보하는 과정, 차량의 출발에 따라 복원되는 크리프 토크를 검출하고, 크리프 토크에 따라 밀림 방지 제어 토크를 감소 제어하는 과정 및 크리프 토크가 정상 복원되면 밀림 방지 제어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밀림 방지장치, 크리프 토크, 토크 합

Description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TECTING A SLIP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밀림 방지 제어 수행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밀림 방지 제어의 그래프로, 크리프 토크에 따른 밀림 방지 토크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밀림 방지 제어의 그래프로, 크리프 토크에 따른 밀림 방지 토크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 스위치 20 : 차속센서
30 : APS 센서 40 : 제어부
50 : 밀림 방지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출발시 크리프 토크량에 따라 밀림 방지장치의 제동 압력을 제어하여 경사도에 관계없이 밀림을 방지하고, 평지 출발에서 출발 지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경우 주행중 경사로에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오프하게 되면 뒤로 미끄러지게 되어 후방 차량과의 추돌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계곡으로의 추락하는 등의 대형 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클러치가 사용되는 수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경사로의 정지 후 출발시 클러치 조작의 미숙에 따른 엔진 시동 정지나 가속 지연 등으로 인하여 뒤로 미끄러져 항상 사고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 변속기 차량의 경우에는 시프트 레버가 'D'레인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토크 컨버터가 항상 바퀴쪽으로 동력(토크)을 전달해 주므로 밀림을 방지 할 수 있으나, 차량의 중량, 엔진 토크 그리고 토크 컨버터의 특성에 따라 8 ~ 15% 정도 이상의 경사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는 경우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소프트 타입 하이브리드 차량에 장착되는 클러치 타입의 CVT는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는 정지 상태에서는 클러치가 많이 슬립하게 되어, 대략적으로 4Nm 정도의 크리프 토크를 발생시킨다.
이때,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오프하게 되면 클리치의 크리프 토크가 상승하게 되며, 설정된 일정시간 대략적으로 0,6초 이후에 정상적인 크리프 토크로 복 귀된다.
그러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오프한 시점에서 정상적인 크리프 토크로 복귀되는 시간 동안에 발생되는 토크 부족분이 경사로에서 밀림 현상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밀림 방지장치가 장착되어 사용하고 있는데, 밀림 방지장치는 경사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경사도에 따라 작동 시간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경사도가 16%일 때 밀림 방지장치는 대략적으로 0.5초 정도 작동되어 밀리지 않을 정도의 크리프 토크가 발생될 때 까지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효과를 내어 경사로에서의 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경사도가 0%일 때, 즉 평지에서의 출발인 경우 밀림 방지장치는 동작되지 않아 불필요한 출발지연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밀림 방지 제어를 위해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각 센서는 반도체 타입의 가속도 센서로, 차량의 피칭과 진동, 가속도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잘못된 경사도를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실제는 경사도가 20%인데도 불구하고 0%의 경사도로 인식하여 밀림 방지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출발시 심각한 밀림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경사도가 0%인데도 블구하고 20%의 경사도로 인식하여 불필요하게 밀림 방지장치를 동작시켜 출발지연을 일으킨다.
더욱이 20%의 경사도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특징인 아이들 스톱(Idle Stop) 이 작동을 했는데 경사각 센서가 0%로 인식하여 밀림 방지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엔 토크가 증가하는 시간과 엔진 시동 시간이 합쳐져 밀림현상은 더욱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도와 관계없이 밀림 방지장치는 크리핑 토크가 대략 13Nm으로 증가할 때 까지 동작하여 경사로에서 밀림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방법은 심한 출발지연이 발생되고,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는 시점에서 차량이 활시위를 당겼다 놓듯 튕겨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출발시 크리프 토크량에 따라 밀림 방지장치의 제동 압력을 제어하여 두 토크의 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경사도에 관계없이 밀림을 방지하고 평지 출발에서 출발 지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스위치; 변속기의 출력축 기어의 회전수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 가속페달의 변위 정보를 검출하는 APS 센서;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정보와 차속센서의 정보 및 APS 센서의 정보를 분석하여 정지상태에서 출발 조건으로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출발 조건이면 밀림 방지장치를 작동시켜 보조적인 제동력을 확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출발 조건으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출발 조건으로 전환되었으면 밀림 방지장치를 작동시켜 보조 제동력을 확보하는 과정; 차량의 출발에 따라 복원되는 크리프 토크를 검출하고, 크리프 토크에 따라 밀림 방지 제어 토크를 감소 제어하는 과정 및; 크리프 토크가 정상 복원되면 밀림 방지 제어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헤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는 브레이크 스위치(10)와 차속센서(20), APS 센서(30), 제어부(40) 및 밀림 방지장치(50)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스위치(10)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동작되어 제동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차속센서(20)는 변속기의 출력축 기어의 회전수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APS센서(30)는 가속페달 센서로, 운전자가 작동하는 가속페달의 변위 정보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제어부(40)는 브레이크 스위치(10)의 정보와 차속센서(20)의 정보 및 APS 센서(30)의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정지상태에서 출발 조건으로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브레이크 페달 오프에 따른 출발 조건이면 밀림 방지장치(50)를 작동시켜 보조적인 제동력을 확보하여 차량이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차량의 출발 조건에서 밀림 방지장치(50)의 제어는 브레이크 페달 오프에 따라 회복되는 크리프 토크에 비례하여 감소되도록 제어하며, 크리프 토크과 밀림 방지제어 토크의 합은 일정하게 제어한다.
상기 두 토크의 합은 차량의 특성이나 클러치, 브레이크에 따라 조정된다.
밀림 방지장치(5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시 보조 제동력을 발생시켜 차량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 스위치(10)가 온으로 검출되고, APS 센서(30)의 신호가 '0V'로 검출되며, 차속센서(20)로부터의 차속이 '0KPH'로 검출되는 차량의 정지상태에서(S101), 제어부(40)는 브레이크 스위치(10)의 변위를 지속적으로 검출한다(S102).
이때, 브레이크 스위치(10)가 오프로 검출되면(S103) 제어부(40)는 차량의 출발 조건으로 판단하고(S104), 밀림 방지장치(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밀림 방 지장치(50)를 작동시켜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에 따른 보조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한다(S105).
이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되고 밀림 방지장치(5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제어부(40)는 회복되는 크리프 토크를 검출한 다음(S106) 회복되는 크리프 토크에 따라 밀림 방지장치(50)의 토크를 제어한다(S107).
즉,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가 따라 크리프 토크가 복원되면 복원되는 크리프 토크 만큼 밀림 방지장치(50)의 보조 제동력 토크를 감소시켜, 두 토크의 합은 항상 일정하게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크리프 토크와 밀림 방지 제어 토크를 상호 보합적으로 제어하는 상태에서 크리프 토크가 정상 토크, 일 예를 들어 13Nm으로 복원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8).
크리프 토크가 정상적으로 복원되지 않았으면 상기 S106의 단계로 리턴하여 크리프 토크에 따른 밀림 방지 토크를 상호 보합적으로 제어하고, 크리프 토크가 정상적으로 복원되었으면 제어부(40)는 밀림 방지장치(50)의 동작을 해제하여 정상적인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09).
도 3은 밀림 방지장치에 전기 제어 브레이크를 적용한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되는 시점 혹은 직전(aT1)에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이 시작(A)되고,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에 따라 크리프 토크가 복원되면 밀림 방지장치의 제어 토크는 복원되는 크리프 토크에 비례하여 감소 제어되며, 크리프 토크가 정상적으로 복원되는 시점(aT2)에서 밀림 방지장치의 제어 토크는 해제된다.
도 4는 일반적인 밀림 방지장치인 경우, 전기 제어 브레이크의 동작을 모사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에 따라 복원되는 크리프 토크에 따라 밀림 방지장치의 제어 토크가 제어된다.
즉,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되는 시점 혹은 그 직전에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이 시작(A1)되며, 크리프 토크의 복원에 비례하여 밀림 방지장치의 제어 토크가 감소 제어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크리프 토크가 설정된 기준값(T11), 대략적으로 5 ~ 6Nm으로 복원되었을 때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을 해제한 다음(B1) 설정된 시간(△t), 예를 들어 20ms 이내에 다시 밀림 방지장치를 동작시키며(C1), 크리프 토크가 정상적으로 복귀되면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을 해제한다(D1).
이는 밀림 방지장치의 보조 제동력 제어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므로, 유압의 릴리즈 제어의 연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밀림 방지장치의 온/오프 제어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밀림 방지장치의 온/오프 제어 반복의 횟수는 크리프 토크 혹은 브레이크 페달 오프로부터의 시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출발시에 작동되는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을 회복되는 크리프 토크에 따라 상호 보합적으로 감소 제어하여 두 토크의 합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출발시 밀림이 발생되지 않는 안정된 출발성을 확보한다.
또한, 평지에서의 출발시 출발 지연이 발생되지 않아 운행에 신뢰성이 제공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출발 조건으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출발 조건으로 전환되었으면 밀림 방지장치를 작동시켜 보조 제동력을 확보하는 과정;
    차량의 출발에 따라 복원되는 크리프 토크를 검출하고, 크리프 토크에 따라 밀림 방지 제어 토크를 감소 제어하는 과정 및;
    크리프 토크가 정상 복원되면 밀림 방지 제어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복원되는 크리프 토크에 따른 밀림 방지 제어 토크는 두 토크의 합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제어방법.
KR1020060104591A 2006-10-26 2006-10-26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234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591A KR101234622B1 (ko) 2006-10-26 2006-10-26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591A KR101234622B1 (ko) 2006-10-26 2006-10-26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37A KR20080037437A (ko) 2008-04-30
KR101234622B1 true KR101234622B1 (ko) 2013-02-19

Family

ID=3957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591A KR101234622B1 (ko) 2006-10-26 2006-10-26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97B1 (ko) * 2015-11-26 2016-10-05 (주) 코스텍 상용차의 밀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860A (ko) * 2009-11-03 2011-05-12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의 제어 방법
KR101694057B1 (ko) * 2015-09-10 2017-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차된 차량의 가속 시 차량 제어 방법
DE102017219675A1 (de) * 2017-11-06 2019-05-09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KR102495281B1 (ko) * 2021-05-06 2023-02-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전동 클러치 차량의 경사로 밀림 방지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그리고 경사로 밀림 방지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동 클러치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987B1 (ko) * 1996-11-20 1999-11-01 정몽규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8609A (ko) * 1998-12-08 2000-07-05 정몽규 자동차의 언덕길 발진 제어장치 및 발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987B1 (ko) * 1996-11-20 1999-11-01 정몽규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8609A (ko) * 1998-12-08 2000-07-05 정몽규 자동차의 언덕길 발진 제어장치 및 발진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97B1 (ko) * 2015-11-26 2016-10-05 (주) 코스텍 상용차의 밀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37A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610B2 (ja) 車間距離制御装置
US20050246081A1 (en) Method and system to prevent unintended rolling of a vehicle
US7600827B2 (en) Rollback reduction in hybrid or conventional powertrain vehicle via vehicle stability enhancement system (VSES)
JP445562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HUP0302082A2 (hu) Eljárás és rendszer jármż indulásának szabályozásához és erżátviteli sokk elleni védelemhez
JP2013537144A (ja) ブレーキ制御に関する改良
KR101234622B1 (ko)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30095621A (ko)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2019142293A (ja) 運転支援装置
SE1050213A1 (sv) Förfarande och datorprogramprodukt för styrning av ett motorfordons drivlina och bromssystem
JP5142722B2 (ja) 手動操作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作動方法
CN107206981B (zh) 用于防止无意的车辆运动的控制单元和方法
JPH08113121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2009121372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5331170B2 (ja) 車間距離制御装置
JP2003054392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H08133030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H07165036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3716652B2 (ja) オートクルー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912004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846656B1 (ko) 차량의 등판길 밀림방지방법
JP6243684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056087B1 (ko) 경사로 출발시 밀림 방지 시스템
KR100489068B1 (ko) 경사로 밀림 방지 제어시스템
KR100721095B1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후진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