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51550U - 엔진마운트 - Google Patents

엔진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550U
KR19980051550U KR2019960064727U KR19960064727U KR19980051550U KR 19980051550 U KR19980051550 U KR 19980051550U KR 2019960064727 U KR2019960064727 U KR 2019960064727U KR 19960064727 U KR19960064727 U KR 19960064727U KR 19980051550 U KR19980051550 U KR 199800515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ain body
reinforcing
engine mount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4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550U/ko
Publication of KR19980051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55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엔진룸에 엔진을 장착하기 위한 엔진마운트 (engin mount)로서, 엔진의 일부가 삽입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각각 제공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각의 양측부에 상부에는 보강편이 각가 형성된 플랜지가 각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보강재의 양측변에는 각각 보강플랜지가 일체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보강플랜지는 상기 각각의 보강재의 각각의 절곡면에 대해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체강도가 향상되어 엔진 장착시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되며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하여 제품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마운트
본 고안은 엔진마운트(engine moun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강도가 증가된 반면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품성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자동차의 전방부에는 차체에 의해 엔진룸이 형성되며 이같은 엔진룸에는 엔진이 탑재되어 자동차를 구동시킨다.
이와같이 엔진룸에 엔진을 탑재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다수의 엔진마운트가 사용되는바, 이중 엔진룸의차체프레임에 장착되는 엔진마운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자동차의 엔진룸의 탑재되는 엔진(E)의 일위치는 예컨대 사이드멤버(side member)와 같은 차체프레임(M)에 장착되는바, 이같은 엔진의 장착에 엔진마운트(1)가 사용된다.
이같은 일반적인 엔진마운트(1)은 상기 차체프레임(M)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플랜지(2a)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2)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본체(2)의 양측부에는 보강브래킷(3)이 용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의 상부면에는 또한 플랜지(2b)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일반적인 엔진마운트(1)는 그 강도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엔진마운트(1)은 본체(2)뿐아니라 상기 본체(2)를 지지하는 보강 브래킷(2)이 단순 플레이트를 절곡 형성한후 상호 용접시킨것으로서 차체강도 및 상호간의 결합강도가 취약하여 엔진의 장착시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충돌시 쉽게 손상 또는 파손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같은 엔진마운트(1)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됨은 물론 이같은 구성부품들을 상호용접시켜 제작하는데 따른 작업공정수의 증가 및 작업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강성이 증대된 엔진마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부품수가 감소되고 용접점이 감소된 엔진마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엔진마운트를 보여주는 부분절취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마운트를 보여주는 부분절취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마운트에 엔진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마운트11 : 본체
12 : 고정구멍13,14 : 보강재
15,16 : 보강용플랜지17,18 : 플랜지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엔진룸에 엔진을 장착하기 위한 엔진마운트 (engin mount)로서, 엔진의 일부가 삽입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각각 제공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각의 양측부에 상부에는 보강편이 각각 형성된 플랜지가 각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보강재의 양측변에는 각각 보강플랜지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보강플랜지는 상기 각각의 보강재의 각각의 절곡면에 대해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2에는 본 고안의 따른 엔진마운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마운트에 엔진의 일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엔진마운트(10)는 하부면(11c)이 예컨대 사이드멤버와 같은 차체프레임(M)에 용접되는 본체(1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부면(11c)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제 1측부(11a) 및 제 2측부(1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양측부에는 예컨대 볼트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구멍(12)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측부(11a)는 제 1보강재(13)가 제공되며, 제 2측부(11b)에는 제 2보강재(14)가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보강재(13,14)는 차체프레임(M)에 용접되는 지지면(13a,14b), 상기 각각의 측부(11a,11b)에 부착되는 부착면(13b,14b), 상기 지지면(13a,14a)과 부측면(13b,14b)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면(13c,14c)이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구조이다.
특히, 상기 각각의 보강재(13,14)의 측부에는 보강플랜지(15,16)가 각각의 면(13a,13b,13c;14a,14b,14c)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보강부재(13,14)의 각각의 면 및 보강플랜지(15,16)는 예컨대 폴딩(folding)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각각의 측부(11a,11b)에 형성된 플랜지(17,18)에도 또한 보강편(17a,18a)이 형성되어 있어 엔진 장착시 플랜지(17,18)의 하방으로 처짐 및 변형을 방지한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마운트(10)의 설치방식 및 작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본체(11)에 보강재(13,14)를 예비조립한 상태에서 또는 본체(11) 및 보강재(13,14) 각각 차체 프레임(M)에 용접시키는바,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1)의 바닥면 및 상기 각각의 보강재(13,14)의 지지면(13a,14a)을 각각 차체프레임(M)에 용접시켜 장착한다.
이같은 엔진마운트의 정착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엔진(E)의 제위치를 상기 본체(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예컨대 볼트(B)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엔진이 엔진마운트에 장착되며 결과적으로 엔진이 엔진룸에 탑재된다.
이때 상기 엔진마운트(10)는 각각의 보강재 특히 보강플랜지(15,16) 및 보강편(17a,18a)에 의해 자체강도가 현저히 증가되어 엔진의 탑재시 또는 탑재후 엔진마운트(1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엔진마운트를 이용하여 엔진을 엔진룸에 장착시키면, 엔진마운트의 자체강도가 우수하여 엔진마운트의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엔진이 정위치에 정확히 배치되어 엔진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수가 감소되고 용접점이 감소되어 엔진마운트의 제조 및 엔진룸내의 고정이 용이하여 제품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엔진룸에 엔진을 장착하기 위한 엔진마운트 (engin mount)로서, 엔진의 일부가 삽입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각각 제공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각의 양측부에 상부에는 보강편이 각각 형성된 플랜지가 각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보강재의 양측변에는 각각 보강플랜지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강플랜지는 상기 각각의 보강재의 각각의 절곡면에 대해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
KR2019960064727U 1996-12-30 1996-12-30 엔진마운트 KR199800515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727U KR19980051550U (ko) 1996-12-30 1996-12-30 엔진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727U KR19980051550U (ko) 1996-12-30 1996-12-30 엔진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550U true KR19980051550U (ko) 1998-10-07

Family

ID=5400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727U KR19980051550U (ko) 1996-12-30 1996-12-30 엔진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5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2805B1 (en) A motor-vehicle dashboard
KR19980051550U (ko) 엔진마운트
KR100398437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KR0127073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0127072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JP2555713Y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0380052B1 (ko) 차량용 통합 빔 구조
KR0118294Y1 (ko) 자동차의 룸램프 취부구조
KR0138366Y1 (ko) 차량용 시트 마운팅 브라켓 구조
KR100262163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100357795B1 (ko)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하부 고정구조
KR0160026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지지판넬 장착브라켓구조
KR0135770Y1 (ko)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KR100475886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서포트 멤버의 보강구조
KR19980060159U (ko) 자동차용 엔진의 마운팅 브라켓
KR19980033778U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80011313U (ko) 클립이탈 방지용 장착 브래킷
KR19980038503A (ko) 차량용 리어 차체 구조
KR19980050552U (ko) 카울 박스 써포트바
KR19980055084U (ko) 자동차 범퍼의 사이드부 지지구조
KR19990053355A (ko)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KR19980012361U (ko)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KR19980045436U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로워 서포트 센터 멤버 형상구조
KR19980026233U (ko) 자동차용 전방보강관의 하단취부구조
KR19980040852U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앵커리지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3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