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7123B1 -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7123B1
KR102727123B1 KR1020190077770A KR20190077770A KR102727123B1 KR 102727123 B1 KR102727123 B1 KR 102727123B1 KR 1020190077770 A KR1020190077770 A KR 1020190077770A KR 20190077770 A KR20190077770 A KR 20190077770A KR 102727123 B1 KR102727123 B1 KR 102727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rofile
roof rack
rail
roof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291A (ko
Inventor
박상현
이만수
권주현
이승열
조언연
김현경
차동은
윤진영
윤병규
정휘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20206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20206408A1/de
Priority to US16/881,617 priority patent/US11186230B2/en
Priority to CN202010448024.9A priority patent/CN111994006A/zh
Publication of KR2020013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71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04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the fluid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jected material which is still in a molten state, e.g. for 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C45/1711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the fluid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jected material which is still in a molten state, e.g. for producing hollow articles and removing excess material from the mould cavity by the introduced fluid, e.g. to an overflow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hort length, e.g. in the form of a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자동차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루프 랙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몸체를 이루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의 양 종단부에 각각 레일과 일체로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레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자동차의 루프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공이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루프 랙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Roof-lack and Car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루프 패널(Roof panel)에 장착되는 루프 랙(Roof-lack)은 루프 패널의 상부 양측에 대칭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차체의 상부에 물건을 적재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루프 랙에 대해서 종래 공개특허 10-2011-0019680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등이 선 출원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루프 랙(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몸체를 이루는 레일(11)이 차량 루프(1)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기존의 루프 랙(10)은 레일(11)과, 레일(11)의 양 종단부에 마련된 지지대(Stanchion)(12), 커버(13) 및 패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루프 랙(10)은 균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11)이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고,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대(12)는 3차원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의 특성상 사출 성형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기존의 루프 랙은 레일(11)과 지지대(12), 커버(13) 및 패드(14)가 별물로 성형된 후 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물로 각각 성형된 후 조립되는 방식은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게 되고, 조립공수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재질의 레일은 강도가 떨어져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기존에 별물 조립방식으로 이루어졌던 레일과, 레일 전의 양 종단부에 마련된 지지부를 사출성형을 통해 하나의 본체로 성형하되, 그 내부에 중공 프로파일을 일체로 성형해줌으로써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고, 상기 중공 프로파일의 자동차 루프 패널 측과 마주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공이 형성함으로써, 특히, 인서트 사출 시 중공 프로파일의 성형 위치를 정렬 및 고정시킬 수 있어 인서트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루프 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루프 랙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몸체를 이루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의 양 종단부에 각각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레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자동차의 루프 패널 측과 마주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공이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루프 랙이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루프 랙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몸체를 이루는 레일과, 레일의 길이방향의 양 종단부에 각각 마련된 지지부를 사출성형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성형하되, 자동차 루프 패널과 마주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공이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을 일체로 성형해줌으로써 강도 보강은 물론이고,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특히 인서트 사출 시 중공 프로파일의 성형 위치의 정렬 및 고정이 가능하므로 인서트 불량률이 최소화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자동차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루프 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루프 랙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루프 랙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루프 랙의 상세 분해도이다.
도 5는 기존의 루프 랙 및 루프 랙의 A-A 절단면으로 절단하였을 때, 레일의 절단 면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루프 랙을 도 5에 도시된 A-A 절단면으로 절단하였을 때, 본체의 절단 면이다.
본 출원은 루프 랙에 관한 것이다. 상기 루프 랙은 자동차 루프 패널에 장착되며, 구체적으로 자동차 루프 패널의 양측 외주면에 대칭으로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루프 랙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루프 랙의 상세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루프 랙은 본체(100) 및 중공 프로파일(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몸체를 이루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의 양 종단부에 각각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는 사출 성형을 통해 각각 레일의 길이 방향의 양 종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중공 프로파일(200)와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루프 랙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본체(100)와 중공 프로파일(20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공정수(조립/생산)가 간소화되며, 이로 인해, 공정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사출로 제조되는 루프 랙은 디자인 자유도가 높고, 고급스러운 외관이 연출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레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자동차의 루프 패널 측과 마주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공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레일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부를 갖고, 중공부를 형성하는 레일의 내주면은 중공 프로파일(200)의 외주면 전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의 외주면 전 영역이 레일의 내주면에 접촉됨에 따라, 본체(10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내부 공간)을 갖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의 길이는 레일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대로,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레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출원에서 중공 프로파일(200)는 인서트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출 또는 인발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출 성형의 공정 조건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통 공은 인서트 사출 장치(예를 들어, 사출 금형)에 마련된 고정 부재(고정 핀)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 공에 의해 중공 프로파일(200)는 사출 장치에서 성형 위치가 정렬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통 공이 인서트 사출 장치에 마련된 고정 부재와 삽입 결합됨에 따라, 사출물의 유동에 의해 중공 프로파일(200)가 최초 설정된 성형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써, 인서트 불량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예를 들어, 양 종단부에 대칭되도록 2개 이상의 관통 공이 자동차 루프 패널 측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레일은 일부 영역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중공 프로파일(200)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중공 프로파일(200)를 덮도록 마감 부재(60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감 부재(600)는 루프 랙의 디자인 고급화에 기여하도록 본체(100)와 색상이 다르거나, LED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 부재(600)는 가니쉬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에 따른 루프 랙은 상기 관통 공에 결합되는 마개(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 공은 사출 성형 과정에서 중공 프로파일(200)의 위치 고정에 기여하지만, 최종 제품에서는 외관 취약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마개(400)는 관통 공에 결합함으로써, 루프 랙의 외관 취약부를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 공에 결합된 마개(400)는 자동차의 루프 패널 측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마개(400)에 의한 루프 랙의 외관 취약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 따른 루프 랙은 중공 프로파일(200)의 양 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종단부에 장착되며,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캡(3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300)은 중공 프로파일(200)의 내부 공간이 밀봉되도록 중공 프로파일(200)의 양 종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양 종단부에 캡(300)이 장착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캡(300)은 중공 프로파일(200)의 양 종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됨에 따라, 본체(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루프 랙의 외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캡(300)은 중공 프로파일(200)의 내부 공간을 밀봉함으로써, 인서트 사출 시 레일의 사출물이 중공 프로파일(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캡(300)의 크기는 중공 프로파일(200)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캡(300)의 크기는 가장 긴 차원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캡(300)의 크기가 중공 프로파일(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본체(100)와 중공 프로파일(20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외부 충격 시 본체(100)로부터 중공 프로파일(20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300)은 인서트 사출 시 사출 장치에서 중공 프로파일(200)의 안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5는 기존의 루프 랙 및 루프 랙의 A-A 절단면으로 절단하였을 때, 레일의 절단 면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루프 랙을 도 5에 도시된 A-A 절단면으로 절단하였을 때, 본체의 절단 면이다.
기존의 루프 랙과 달리,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압출 공법 또는 인발 공법을 활용하여 루프 랙의 다양한 단면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의 단면은 원형 단면 (도 6 참조) 또는 격자형 단면 (도 7 및 8 참조)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적어도 2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리브의 개수에 따라, 내부 공간이 2 이상, 3 이상, 4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 프로파일(200)의 단면은 격자형상일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루프 랙은 리브가 1개인 경우 루프 랙은 일자 리브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도 7참조), 2 개의 리브가 교차 형성된 경우, 루프 랙은 십자 리브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는 중공 프로파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중공 프로파일(200)의 폭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중공 프로파일(20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내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중공 프로파일(20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내주면에 연결됨에 따라, 중공 프로파일(2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인발 공법을 통해 중공 프로파일(20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리브를 포함하는 중공 프로파일(200)의 단면은 격자 형상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중공 프로파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폭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가로 질러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1 리브; 및 중공 프로파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가로 질러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 및 제2 리브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중공 프로파일(200)의 내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직각은 수학적 개념인 90°뿐 아니라, 60 내지 120°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 및 제2 리브는 일체로 형성된 십자 리브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리브를 포함하는 중공 프로파일(200)의 내부 공간은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지지부와 자동차 루프 패널 사이에 마련된 패드(7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700)는 자동차 루프 패널과 마주보든 지지부의 일면과 자동차 루프 패널의 표면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써 자동차 루프 패널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해주며, 공력(空力) 및 조립 틈새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와 패드(700)는 다양한 체결 부재를 통해 체결되거나 또는 끼움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지지부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00)는 지지부의 외관 취약부를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레일은 일부 영역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중공 프로파일(200)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중공 프로파일(200)를 덮도록 마감 부재(60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감 부재(600)는 루프 랙의 디자인 고급화에 기여하도록 본체(100)와 색상이 다르거나, LED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 부재(600)는 가니쉬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루프 랙 본체(100) 및 중공 프로파일(20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재질은 수지 복합재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루프 랙은 루프 랙 본체(100) 및 중공 프로파일(200)가 수지 복합재로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알루미늄 재질의 루프 랙에 비해 경량화되는 장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복합재는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사출 성형에 적용 가능한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PE (Polyethylene), PA (Polyamide), PC (Polycarbonat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A 수지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A6(나일론6)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와 함께 사용되어 우수한 강도 구현이 가능한 섬유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합성 섬유 및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수지 복합재는 섬유 5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복합재는 섬유 10 내지 75 중량%, 15 내지 70 중량%, 20 내지 65 중량%,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5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15 내지 75 중량%, 20 내지 75 중량%,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75 중량%, 25 내지 80 중량%, 30 내지 70 중량%, 3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복합재는 본체(100) 및 중공 프로파일(200)의 경량화를 위해, 유리 버블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복합재는 유리 버블 5 내지 40 중량%, 10 내지 35 중량%, 15 내지 30 중량%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루프 랙을 구성하는 부품별 목적하는 물성 구현을 위해서,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의 종류, 및 섬유의 함량을 상기 기재된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루프 랙 본체(100)는 제1 수지 복합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지 복합재는 PA 수지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수지 복합재는 유리 섬유 10 내지 75 중량%, 15 내지 70 중량%, 20 내지 65 중량%,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5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15 내지 75 중량%, 20 내지 75 중량%,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75 중량%, 25 내지 80 중량%, 30 내지 70 중량%, 3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는 제2 수지 복합재는 PA6 수지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수지 복합재는 상기 제1 수지 복합재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지 복합재는 유리 섬유 10 내지 75 중량%, 15 내지 70 중량%, 20 내지 65 중량%,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5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15 내지 75 중량%, 20 내지 75 중량%,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75 중량%, 25 내지 80 중량%, 30 내지 70 중량%, 3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공 프로파일(200)의 경우, 공정 조건 예를 들어 압출 또는 인발 공법에 따라, 섬유의 종류 및 그 함량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압출 공법으로 제조할 경우, 제2 수지 복합재는 단섬유 또는 장섬유 형태의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제2 수지 복합재는 유리 섬유 10 내지 75 중량%, 15 내지 70 중량%, 20 내지 65 중량%,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5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15 내지 75 중량%, 20 내지 75 중량%,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75 중량%, 25 내지 80 중량%, 30 내지 70 중량%, 3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발 공법으로 제조할 경우, 제2 수지 복합재는 연속 섬유 형태의 유리 섬유를 포함하고, 제2 수지 복합재는 압출 공법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함량의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발 공법에 사용되는 제2 수지 복합재는 유리 섬유 10 내지 75 중량%, 15 내지 70 중량%, 20 내지 65 중량%,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5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15 내지 75 중량%, 20 내지 75 중량%,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75 중량%, 25 내지 80 중량%, 30 내지 70 중량%, 3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캡(300)은 제3 수지 복합재는 PA 수지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수지 복합재는 전술한 제1 및 제2 수지 복합재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3 수지 복합재는 유리 섬유 10 내지 75 중량%, 15 내지 70 중량%, 20 내지 65 중량%,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5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15 내지 75 중량%, 20 내지 75 중량%,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75 중량%, 25 내지 80 중량%, 30 내지 70 중량%, 3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는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루프 랙을 포함한다. 상기 루프 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100: 본체
200: 중공 프로파일
300: 캡

Claims (15)

  1. 자동차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루프 랙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몸체를 이루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의 양 종단부에 각각 상기 레일과 일체로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레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자동차의 루프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공이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레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시, 상기 관통 공에는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루프 랙.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부를 갖고, 중공부를 형성하는 레일의 내주면은 중공 프로파일의 외주면 전 영역에 접촉하는 루프 랙.
  4.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은 일부 영역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중공 프로파일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중공 프로파일를 덮도록 마감 부재가 장착되는, 루프 랙.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공에 결합되는 마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루프 랙.
  6.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의 양 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종단부에 장착되고,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루프 랙.
  7.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적어도 2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하는 루프 랙.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중공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중공 프로파일의 폭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중공 프로파일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내주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하는 루프 랙.
  9.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은 중공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폭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1 리브; 및
    중공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는 루프 랙.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재질은 수지 복합재인 루프 랙.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복합재는,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를 포함하는 루프 랙.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PE (Polyethylene), PA (Polyamide), PC (Polycarbonat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루프 랙.
  13. 제 11 항에 있어서, 섬유는 연속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합성 섬유, 및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루프 랙.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복합재는 섬유 5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루프 랙.
  15. 제 1 항에 따른 루프 랙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90077770A 2019-05-27 2019-06-28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Active KR102727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06408.3A DE102020206408A1 (de) 2019-05-27 2020-05-22 Dachträger und fahrzeug mit einem solchen dachträger
US16/881,617 US11186230B2 (en) 2019-05-27 2020-05-22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02010448024.9A CN111994006A (zh) 2019-05-27 2020-05-25 车顶行李架以及包括该车顶行李架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1998 2019-05-27
KR1020190061998 2019-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91A KR20200136291A (ko) 2020-12-07
KR102727123B1 true KR102727123B1 (ko) 2024-11-07

Family

ID=7379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770A Active KR102727123B1 (ko) 2019-05-27 2019-06-28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71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0933A (ja) * 2011-06-14 2013-01-07 Mitsubishi Rayon Co Ltd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5981A (ja) * 1993-12-28 1995-08-01 Mitsuboshi Belting Ltd 自動車用ルーフレール
JP3086646B2 (ja) * 1995-11-21 2000-09-1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用ルーフレールおよびその成形方法
KR101251132B1 (ko) * 2009-08-20 2013-04-04 (주)엘지하우시스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0933A (ja) * 2011-06-14 2013-01-07 Mitsubishi Rayon Co Ltd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91A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6230B2 (en)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186229B2 (en)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806722B1 (ko) 충격흡수 유닛 및 그 제조방법, 멤버 연결구조
KR101372004B1 (ko) 중공단면을 갖는 섬유복합보강재가 내장되어 있는 범퍼백빔 및 이를 갖는 범퍼
KR101727359B1 (ko) 복합소재 일체형 루프랙
JP4733091B2 (ja) 自動車用ルーフフレーム
EP3981624B1 (en) Liftgate reinforcement arrangements
US11273872B2 (en) Vehicle structura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structural component
US2020037716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oof rack, and roof rack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1693980B1 (ko) 차량용 연속섬유복합소재 루프 랙
KR101693846B1 (ko) 차량용 범퍼 백빔
KR102727122B1 (ko)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20150367808A1 (en) Molded active plastics components for a vehicle airbag assembly
KR102727123B1 (ko)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727121B1 (ko)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1155214B2 (en)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451872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 빔
KR102462010B1 (ko)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102291228B1 (ko) 경량화된 일체형 윈도채널조립체
KR102034918B1 (ko) 하이브리드형 차량용 루프랙
KR102764268B1 (ko) 루프 랙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루프 랙
KR102518187B1 (ko) 차량의 범퍼용 로워 스티프너
KR20210050104A (ko) 테일게이트 모듈의 이너패널 및 보강재 조립구조
KR102836466B1 (ko) 이종소재 적용 구조의 브라켓 일체형 도어빔 아세이
KR102545355B1 (ko) 차량용 도어트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8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6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