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5060B1 - 오븐 토스터 - Google Patents

오븐 토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5060B1
KR102725060B1 KR1020220024356A KR20220024356A KR102725060B1 KR 102725060 B1 KR102725060 B1 KR 102725060B1 KR 1020220024356 A KR1020220024356 A KR 1020220024356A KR 20220024356 A KR20220024356 A KR 20220024356A KR 102725060 B1 KR102725060 B1 KR 10272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surface
heating chamber
oven toaster
reflective
he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533A (ko
Inventor
히사시 사에구사
Original Assignee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50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35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07Bread-toasters with radiating heaters and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Looms (AREA)

Abstract

[과제] 가열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유리한 오븐 토스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망 부재를 갖는 오븐 토스터는, 개폐 가능한 문을 전면에 가지며, 상기 망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는 상자형의 가열고와, 상기 가열고의 내부에서 연장 설치된 복수의 히터와, 상기 가열고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히터의 각각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망 부재의 상방에 배치된 상측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상측 히터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측 히터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오븐 토스터{OVEN TOASTER}
본 발명은, 오븐 토스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개폐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크 부재에 의해, 개폐문의 개폐에 따라, 조리망이 탑재된 기구 받침대를 조리실 내로부터 출입시키고, 이 기구 받침대의 출입 동작에 의해 조리망을 조리실 내로부터 출입하도록 구성된 오븐 토스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7-116225호 공보
오븐 토스터에서는, 가열고(조리실)의 내부에 복수의 히터가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히터의 각각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조리망 상의 가열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조사하여, 그 가열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열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유리한 오븐 토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의 오븐 토스터는,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망 부재를 갖는 오븐 토스터로서, 개폐 가능한 문을 전면(前面)에 가지며, 상기 망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는 상자형의 가열고와, 상기 가열고의 내부에서 연장 설치된 복수의 히터와, 상기 가열고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히터의 각각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망 부재의 상방에 배치된 상측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상측 히터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측 히터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가열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유리한 오븐 토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앞문이 닫혀 있는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앞문이 열려 있는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앞문이 열려 있고 또한 망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앞문이 닫혀 있는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앞문이 열려 있는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앞문이 열려 있고 또한 망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앞문이 닫혀 있는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트레이를 꺼낸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트레이가 꺼내어지는 모습을 경시적으로 나타내는 오븐 토스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열선이 각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가열 대상물에 조사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컨벡션 기구(팬 기구)를 갖는 오븐 토스터(10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앞문이 열려 있는 상태의 오븐 토스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히터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전부가 발명에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복수의 특징 중 2가지 이상의 특징이 임의로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동일 혹은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에 대해, 도 1~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오븐 토스터(100) 전체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오븐 토스터(100)의 단면 사시도(YZ 단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도 4는, 오븐 토스터(100)의 앞문(20)이 닫혀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5는, 오븐 토스터(100)의 앞문(20)이 열려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 도 6은, 오븐 토스터(100)의 앞문이 열려 있고, 또한, 오븐 토스터(100)의 가열고(HC)로부터 망 부재(30)가 분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각 도면에서는, 망 부재(30)에 있어서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면(재치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X축 방향(제1 방향) 및 Y축 방향(제2 방향)으로 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축 방향(제3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X축 방향을 오븐 토스터(100)의 좌우 방향, Y축 방향을 오븐 토스터(100)의 전후 방향, Z축 방향을 오븐 토스터(100)의 상하 방향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는,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망 부재(30)를 갖는 가열 조리기이다. 오븐 토스터(10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Y방향측의 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앞문(20)을 가진다. 본체부(10) 및 앞문(20)은,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상자형의 가열고(HC)를 구성하며, 이 가열고(HC)의 내부에 망 부재(30) 및 히터(12)가 배치된다.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내표면을 갖는 케이싱으로, 외측(외장)의 바닥부에 다리부(지지 다리)(11)가 설치되며, 내부에 망 부재(30)가 배치된다.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복수의 히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4~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부재(30)의 상방에 하나의 상측 히터(12a)가 설치되고, 망 부재(30)의 하방에 2개의 하측 히터(12b~12c)가 설치되어 있지만, 히터(12)의 개수 및 배치는 임의일 수 있다. 각 히터(12)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히터, 석영관, 할로겐 히터, 시즈 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본 히터가 이용된다.
또한, 본체부(10)의 내부에는, 히터(12a~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예를 들어 적외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반사 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반사 부재(13)는, 예를 들어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금속제의 판부재로서, 도 4~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사면(반사판)(13a~13g)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13)의 각 반사면(13a~13g)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앞문(20)은, 그 하부(예를 들어 하단부)에 힌지 부재를 가지고 있고, 그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θX방향(X축 둘레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가열고(HC)(본체부(10))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문(20)은, 예를 들어 도 4~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2)와, 창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핸들부(22)는, 앞문(2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가열고(HC)로부터의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재료(예를 들어 수지나 플라스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창부(23)는, 앞문(20)이 닫혀 있는 상태(폐쇄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열고(HC)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창부(23)는, 가열고(HC)의 내부의 열이 오븐 토스터(1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해, LowE 유리(저방사 유리)의 이중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문(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24)는, 가열고(HC)의 가열 온도 및/또는 가열 시간을 설정·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버튼이나 다이얼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24)는, 가열고(HC)의 설정 온도나 설정 시간, 가열고(HC)의 측정 온도, 가열의 남은 시간이나 경과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디스플레이)를 가져도 된다. 또, 가열고(HC)의 측정 온도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가열고(HC)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등이 설치되면 좋다.
망 부재(30)는, 가열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금속봉을 망(網) 형상으로 구성한 부재로서, 앞문(20)의 개폐에 따라, 망 부재(30)를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즉 병진(竝進)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앞문(20)의 개방 동작이 수행되면,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부재(30)는, 그 개방 동작에 따라 앞쪽(-Y방향)으로 병진 이동하여, 가열고(HC)의 내부로부터 꺼내어진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앞문(20)의 폐쇄 동작이 수행되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부재(30)는, 그 폐쇄 동작에 따라 안쪽(+Y방향)으로 병진 이동하여, 가열고(HC)의 내부에서의 상측 히터(12a)와 하측 히터(12b~12c)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망 부재(30)의 출입에 있어서 망 부재(30)를 병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망 부재(30)의 병진 이동 중에 있어서 망 부재(30)와 본체부(10)(예를 들어, 상측 히터(12a), 반사 부재(13)의 반사면(13a))와의 상하 방향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망 부재(30)의 출입에 있어서 가열 대상물이 본체부(10)에 걸리는 등의 사상(事象)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는, 가열고(HC)의 내부로부터 망 부재(30)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가열고(HC)의 내부의 청소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는, 망 부재(30)를 출입시킬 때에 망 부재(30)를 병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또한, 가열고(HC)의 내부로부터 망 부재(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에서의 망 부재(30)의 출입 기구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망 부재(30)의 구성에 대해, 특히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망 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치(載置) 부분(31)(제1 부분)과, 피지지 부분(32)과, 후크(33)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치 부분(31)은,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부분이다. 피지지 부분(32)은, 상기 재치 부분(31)의 외곽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안내 부재(5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아암 부재(60)의 선단부(63)가 걸리는 부분이다. 후크(33)는, 축부재(40)에 망 부재(30)를 걸기 위한 부분이며, 예를 들어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이간되도록 복수 설치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에서의 망 부재(30)의 출입 기구의 구성에 대해, 특히 도 4~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에서는, 망 부재(30)의 출입 기구로서, 축부재(40)와, 안내 부재(50)와, 아암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재(40)는, 예를 들어 금속봉에 의해 구성되며, 망 부재(30)에 설치된 후크(33)를 걸 수 있도록, 가열고(HC)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가열고(HC)의 내측면(X축 방향측의 면)에는, 전후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개구부(41)가 마련되어 있고, 축부재(40)는, 개구부(41)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재(40)는,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 등의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가열고(HC)의 안쪽(+Y방향)을 향하여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바이어스 부재는, 가열고(HC)의 내측면과 본체부(10)의 외측면(외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각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축부재(40)는, 가열고(HC)의 내부의 청소성의 관점에서 1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청소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안내 부재(50)는, 가열고(HC)의 내측면으로부터 가열고(HC)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가열고(HC)의 내부에서 망 부재(30)를 지지함과 아울러, 망 부재(30)가 전후 방향으로 병진 이동할 수 있도록 망 부재(30)를 안내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안내 부재(50)는, 가열고(HC)의 내측면에서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부재(30)의 피지지 부분(32)을 상하 방향(Z축 방향)에서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2개)의 돌기(51, 5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축부재(40)의 개구부(41)는, 가열고(HC)의 내측면에 있어서 안내 부재(50)보다 개구부(41)가 가열고(HC)의 안쪽(+Y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가열고(HC)의 내부로부터 망 부재(30)를 분리하였을 때에, 가열고(HC)의 좌우 방향에 걸쳐 연장 설치된 축부재(40)를, 스프링 부재 등의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가열고(HC)의 안쪽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고(HC)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암 부재(60)는, 망 부재(30)의 피지지 부분(32)에 걸 수 있는 선단부(63)를 가지며, 앞문(20)의 개방 동작에 의해 망 부재(30)를 가열고(HC)의 내부로부터 꺼내도록 앞문(20)에 설치되어 있다(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아암 부재(60)는, 앞문(20)에 장착된 판형의 제1 부분(61)과, 선단부(63)를 가지며, 힌지 기구 등에 의해 제1 부분(61)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판형의 제2 부분(62)을 포함하는 링크 기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선단부(63)는, 예를 들어, 망 부재(30)의 피지지 부분(32)을 구성하는 금속봉이 통과하도록 제2 부분(62)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되며, 망 부재(30)의 피지지 부분(32)의 금속봉을 그 홈에 통과시킴으로써 망 부재(30)의 피지지 부분(32)에 걸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앞문(20)의 개방 동작이 수행되면, 이에 따라 아암 부재(60)가 망 부재(30)를 앞쪽(-Y방향)으로 잡아당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부재(30)를 가열고(HC)의 내부로부터 꺼낼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앞문(20)의 폐쇄 동작이 수행되면, 바이어스 부재(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열고(HC)의 안쪽을 향하여 바이어스되어 있는 축부재(40)에 의해 망 부재(30)가 안쪽으로 끌려들어가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부재(30)를 가열고(HC)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에서는, 아암 부재(60)의 선단부(63)를 망 부재(30)의 피지지 부분(32)으로부터 분리하고, 망 부재(30)의 후크(33)를 축부재(4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도 3이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부재(30)를 가열고(HC)의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망 부재(3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부재(40)가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가열고(HC)의 안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하측 히터(12b~12c)나 반사면(13c~13e) 등, 가열고(HC)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가열고(HC)의 청소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에, 가열고(HC)의 내면을 구성하는 반사 부재(13)(반사면(13a~13g))의 구성예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오븐 토스터(100)의 단면도(YZ 단면도)로서, 앞문(20)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반사 부재(13)를 구성하는 각 반사면(13a~13g)은, 가열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히터(12a~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사면(13a)(제1 반사면)은, 가열고(HC)의 내부의 상면(천정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반사면(13a)은, 상측 히터(12a)의 상방(+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측 히터(12a)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반사면(13a)은, 그 측단면(YZ 단면)이 상측 히터(12a)를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사면(13a)의 원호 형상의 곡률 반경은, 2~10cm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4~8cm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5~7cm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다.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에서는, 반사면(13a)의 원호 형상의 곡률 반경은, 6.07cm±0.2cm이다. 또한, 반사면(13a)과 상측 히터(12a)와의 간격(G)은, 0.2~1cm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0.3~0.8cm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6cm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다.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에서는, 반사면(13a)과 상측 히터(12a)와의 간격(G)은, 0.54cm±0.02cm이다. 이와 같이 반사면(13a)을 구성 및 배치함으로써, 상측 히터(12a)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방사된 열선을 광범위하게 반사하여,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예를 들어 토스트)의 굽기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반사면(13b)(제2 반사면)은, 가열고(HC)의 내부의 상면(천정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반사면(13b)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측 히터(12a)의 전방(-Y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면(13b)은, 반사면(13a)(제1 반사면)의 전단(-Y방향측의 단부)에 연속되는 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반사면(13b)은, 상측 히터(12a)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수평면에 대한 반사면(13b)의 경사각(θ1)은, 바람직하게는 15.4도±5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도±1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반사면(13b)을 구성함으로써, 상측 히터(12a)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평면」은, 망 부재(30)(재치 부분(31))에 있어서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면(재치면)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반사면(13c)(제3 반사면)은, 가열고(HC)의 내부의 하면(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반사면(13c)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하측 히터(12b~12c)의 전방(-Y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면(13c)은, 하측 히터(12b~12c)(특히 12b)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수평면에 대한 반사면(13c)의 경사각(θ2)은, 바람직하게는 54.5도±5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4.5도±1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반사면(13c)을 구성함으로써, 하측 히터(12b~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반사면(13d)(제5 반사면)은, 가열고(HC)의 내부의 하면(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반사면(13d)은, 하측 히터(12b~12c)의 하방(-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면(13d)에는, 히터(12a~12c)(특히 하측 히터(12b~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난반사시키기 위한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해당 가공으로서 사각뿔 형상의 복수의 돌기(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공을 반사면(13d)에 실시함으로써, 가열고(HC)의 내부에서의 열선의 분포를 균일화하며, 그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면(13d)은, 본체부(10)의 하부에 분리 가능(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14)의 일부의 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도 8~도 9는, 반사면(13d)을 갖는 트레이(14)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오븐 토스터(100) 전체의 정면 사시도로서, 오븐 토스터(100)로부터 트레이(14)를 꺼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오븐 토스터(100)의 단면 사시도(YZ 단면의 사시도)로서, 오븐 토스터(100)로부터 트레이(14)가 꺼내어지는 모습을 경시적으로(단계적으로) 도 9의 (a)~(c)로서 나타내고 있다.
트레이(14)는, 망 부재(30) 상에 놓인 가열 대상물로부터의 낙하물(예를 들어 빵 부스러기)을 받기 위해 가열고(HC)의 하면(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본체부(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트레이(14)는, 오븐 토스터(100)로부터 트레이(14)를 꺼낼 때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4a)와,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로부터의 낙하물을 받기 위한 수용부(14b)(받침 접시부)를 가진다. 이러한 트레이(14)를 오븐 토스터(100)에 마련함으로써, 사용자는, 도 9의 (a)~(c)에 경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4a)를 파지하면서 트레이(14)를 오븐 토스터(100)로부터 꺼내어, 가열 대상물로부터의 낙하물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4)의 수용부(14b)는, 트레이(14)가 오븐 토스터(100)의 하부에 배치(장착)된 상태(도 9(a)의 상태)에 있어서, 가열고(HC)의 하면(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히터(12a~12c)(특히 하측 히터(12b~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난반사하는 반사면(13d)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트레이(14)의 수용부(14b)(반사면(13d))에는, 히터(12a~12c)(특히 하측 히터(12b~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난반사하기 위한 사각뿔 형상의 복수의 돌기(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열고(HC)의 하면으로서의 반사면(13d)을 복수의 돌기로 구성하면, 가열 대상물로부터의 낙하물이 축적(퇴적)되어 반사 효율이 저하되기 쉬움과 아울러, 본체부(10)의 전면의 개방부로부터 사용자가 손을 넣어 그 반사면(13d)을 청소하는 것은 번잡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트레이(14)의 일부(수용부(14b))를 반사면(13d)으로서 구성함으로써, 그 반사면(13d)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로 되돌아가, 반사면(13e)(제4 반사면)은, 가열고(HC)의 내부의 안쪽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반사면(13e)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하측 히터(12b~12c)의 후방(+Y방향측(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면(13e)은, 하측 히터(12b~12c)(특히 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수평면에 대한 반사면(13e)의 경사각(θ3)은, 바람직하게는 56.2도±5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6.2도±1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반사면(13e)을 구성함으로써, 하측 히터(12b~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반사면(13f)(제6 반사면)은, 가열고(HC)의 내부의 안쪽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반사면(13f)은, 전후 방향(Y축 방향)에서의 히터(12a~12c)의 안쪽, 또한, 상하 방향(Z축 방향)에서의 상측 히터(12a)와 하측 히터(12b~12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면(13f)은, 반사면(13e)(제4 반사면)의 상측(+Z방향측)에 연속되어 있는 면일 수 있다. 또한, 반사면(13f)에는, 히터(12b~12c)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난반사시키기 위한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해당 가공으로서 사각뿔 형상의 복수의 돌기(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면(13g)(제7 반사면)은, 가열고(HC)의 내부의 안쪽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반사면(13g)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측 히터(12a)의 안쪽(+Y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면(13g)은, 반사면(13a)(제1 반사면)과 반사면(13f)(제6 반사면)에 연속되는 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반사면(13g)은, 상측 히터(12a)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수평면에 대한 반사면(13g)의 경사각(θ4)은, 바람직하게는 47.4도±5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7.4도±1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반사면(13g)을 구성함으로써, 상측 히터(12a)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도 10은, 각 히터(12a~12c)로부터 방사된 열선(Rd)이 각 반사면(반사면(13a~13c, 13e, 13g))에서 반사되어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조사되는 모습(즉, 가열고(HC)의 내부에서의 열선 분포)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열선을 난반사하도록 구성된 반사면(13d, 13f)에 대해서는, 반사면(13d, 13f)에서의 난반사를 고려하면 도면이 복잡화되기 때문에, 도 10에서는, 반사면(13d, 13f)에서의 열선의 반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사 부재(13)(반사면(13a~13c, 13e, 13g))의 상기 구성에 의해, 각 히터(12a~12c)로부터 방사된 열선(Rd)을 효율적으로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사면(13d, 13f)에서의 열선(Rd)의 난반사를 고려하면, 가열고(HC)의 내부에서의 열선(Rd)의 분포가 보다 균일화되며, 열선(Rd)이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보다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조사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을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열고(HC)의 내부에서 공기(열)를 대류시키기 위한 컨벡션 기구를 오븐 토스터(100)에 설치하는 예에 대해, 도 11~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를 기본적으로 계승하는 것이며, 가열고(HC)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히터(12) 및 반사 부재(13)(반사면(13a~13g)) 등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의 (a)는, 컨벡션 기구로서의 팬 기구(70)를 갖는 오븐 토스터(100)의 단면도(YZ 단면도)이며, 도 11의 (b)는, 팬 기구(70)의 컨벡션 팬(7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a) 및 (b)에서의 블록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는,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벡션 기구로서, 가열고(HC)의 반사면(13g)에 마련된 복수의 구멍을 통해, 가열고(HC)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고, 도입한 공기를 가열고(HC)의 내부에 공급(방출)하기 위한 팬 기구(70)를 구비할 수 있다. 팬 기구(70)는, 컨벡션 팬(71)과, 컨벡션 팬(71)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7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의 (b)에는, 컨벡션 팬(71)의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도 11의 (b)에서의 일점쇄선은, 컨벡션 팬(71)의 회전축(모터(72)의 회전축으로 이해되어도 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컨벡션 팬(71)은, 도 11의 (b)의 블록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터(72)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팬 기구(70)는, 반사면(13g)에 대한 컨벡션 팬(71)의 회전축의 각도가, 90도±5도(바람직하게는 90도±1도)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면(13g)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θ4)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팬 기구(70)는, 수평면에 대한 컨벡션 팬(71)의 회전축의 경사각(θ5)이 42.6도±5도의 범위 내(바람직하게는 42.6도±1도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팬 기구(70)는, 컨벡션 팬(71)의 회전축을 반사면(13g)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컨벡션 팬(71)의 회전 구동에 의해, 후술하는 반사면(13g)의 복수의 제1 구멍(15a)을 통해, 가열고(HC) 내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도 12는, 앞문(20)이 열려 있는 상태의 오븐 토스터(100)를 전방에서 본 도면(정면도)으로, 팬 기구(70)에 의한 가열고(HC) 내에서의 공기의 대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서의 블록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13g)에는, 팬 기구(70)가 가열고(HC) 내의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제1 구멍(15a)과, 가열고(HC) 내에 공기를 공급(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구멍(15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는, 반사면(13g)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구멍(15a)이, 좌우 방향(X축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2 구멍(15b)이, 좌우 방향(X축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구멍(15a)의 주위(+X방향측, -X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팬 기구(70)는, 반사면(13g)에서의 복수의 제1 구멍(15a)의 안쪽(+Y방향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팬 기구(70)에 의해 복수의 제1 구멍(15a)을 통해 가열고(HC) 내로부터 도입된 기체를, 복수의 제2 구멍(15b)을 통해 가열고(HC) 내에 공급하여, 가열고(HC)의 내부에서 공기(열)를 대류시킬 수 있다. 즉, 가열고(HC) 내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벡션 팬(71)에 의해 가열고(HC) 내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오븐 토스터(100)의 내부(구체적으로는 오븐 토스터(100)의 외장과 반사 부재(13)의 사이의 공간)에 일시적으로 체류하기 때문에, 오븐 토스터(100)의 내부에 열이 축적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븐 토스터(100)에는, 본체부(10)의 외장의 상면에 개구(10a)가 형성되어 있고(도 1~도 3, 도 11 참조), 그 개구(10a)를 통해 오븐 토스터(100)의 내부의 공기(즉 열)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오븐 토스터(100) 자체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회피함과 아울러, 팬 기구(70)의 모터(72)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팬 기구(70)는, 모터(72)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팬(73)을 구비해도 된다. 냉각 팬(73)은, 모터(7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에 있어서, 컨벡션 팬(71)이 장착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컨벡션 팬(71)과 냉각 팬(73)은, 모터(72)를 사이에 두도록 동일한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나아가, 오븐 토스터(100)는, 가열고(HC)의 내부에서 열을 대류시키도록 각 히터(12a~12c)의 통전 제어를 수행해도 된다. 이 통전 제어는, 오븐 토스터(100)에 설치된 제어부(도시생략)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어 CPU나 메모리 등을 가지며, 조작부(24)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 지시에 따라 오븐 토스터(100)의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복수의 히터(12a~12c) 중 통전되는(점등시키는) 하나의 히터를 소정의 시간마다 차례대로 전환해 감으로써, 가열고(HC)의 내부에서 공기(열)를 대류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는, 상측 히터(12a)에만 통전시키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측 히터(12a)의 통전을 정지하고 하측 히터(12b)만을 통전시키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하측 히터(12b)의 통전을 정지하고 하측 히터(12c)만을 통전시킨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하측 히터(12c)의 통전을 정지하고 상측 히터(12a)만을 통전시킨다. 이러한 제어(처리)를 반복함으로써, 가열고(HC)의 내부에서 공기(열)를 대류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서는,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대해 열선을 보다 균일하게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히터(12)(각 히터(12a~12c))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히터(12)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히터(12)는, 탄소(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전열선(81)과, 전열선(81)을 덮는 유리관(82)과, 유리관(82)의 양단에 설치된 단자부(83)를 구비하는 카본 히터이다. 전열선(81)은, 나선형으로 감겨 있고, 통전됨으로써 발열하는(즉, 열선을 방사하는) 부재이다. 또한, 단자부(83)는, 유리관(82)을 밀폐함과 아울러, 전열선(81)의 단부에 접속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유리관(82)의 양측에 설치된 단자부(83)를 통해 전열선(81)에 급전(給電)함으로써, 전열선(81)의 저항에 의해 전열선(81)으로부터 열(열선)을 방사할 수 있다.
오븐 토스터(100)에서는, 가열고(HC)의 내부에서의 중앙부(예를 들어, 가열고(HC) 내에 배치된 망 부재(30)의 중앙부)에 열선이 집중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히터(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도로 전열선(81)이 감긴 중앙 영역(R1)과, 중앙 영역(R1)의 주변(+X방향측, -X방향측)에 있어서, 제2 밀도로 전열선(81)이 감긴 주변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영역(R1)에서의 전열선(81)의 제1 밀도는, 주변 영역(R2)에서의 전열선(81)의 제2 밀도보다 작다. 이에 의해, 가열고(HC)의 중앙부에의 열선의 집중을 완화하고, 망 부재(30) 상의 가열 대상물에 조사되는 열선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전열선(81)의 밀도는, 단위길이당 전열선(81)의 감김수, 및/또는 전열선(81)의 피치로서 이해되어도 된다.
여기서, 히터(12)는, 좌우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중앙 영역(R1)의 길이가, 한쪽의 주변 영역(R2)의 길이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영역(R1)의 길이는, 한쪽의 주변 영역(R2)의 길이의 1.5배 이상, 혹은 2배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히터(12)는, 중앙 영역(R1)에서의 전열선(81)의 제1 밀도가, 주변 영역(R2)에서의 전열선(81)의 제2 밀도의 3/4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도는, 제2 밀도의 1/4~3/4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제2 밀도의 1/3~2/3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히터(12)의 구성예에서는, 제1 밀도가 제2 밀도의 1/2이다. 또, 상기 히터(12)의 구성은, 복수의 히터(12a~12c) 전부에 적용되어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히터(12a~12c)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상측 히터(12a))에 적용되어도 된다.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본체부, 12: 히터, 13: 반사 부재, 20: 앞문, 30: 망 부재, 31: 재치 부분, 32: 피지지 부분, 33: 후크, 40: 축부재, 41: 개구부, 50: 안내 부재, 60: 아암 부재, HC: 가열고

Claims (21)

  1.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망 부재를 갖는 오븐 토스터로서,
    개폐 가능한 문을 전면(前面)에 가지며, 상기 망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는 상자형의 가열고와,
    상기 가열고의 내부에서 연장 설치된 복수의 히터와,
    상기 가열고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히터의 각각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망 부재의 상방에 배치된 상측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상측 히터의 상방에 배치된 제1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상측 히터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1 반사면의 하단이 상기 상측 히터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의 측단면은, 상기 상측 히터를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의 측단면에서의 상기 원호 형상의 곡률 반경은, 2~10c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상측 히터와의 간격은, 0.2~1c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면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측 히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히터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상기 망 부재 상의 상기 가열 대상물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상기 망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재치(載置)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은, 15.4도±5도의 범위 내의 각도로 상기 재치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의 전단에 연속되어 있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망 부재의 하방에 배치된 하측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하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3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면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측 히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히터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상기 망 부재 상의 상기 가열 대상물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상기 망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재치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사면은, 54.5도±5도의 범위 내의 각도로 상기 재치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안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4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반사면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측 히터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히터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상기 망 부재 상의 상기 가열 대상물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상기 재치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4 반사면은, 56.2도±5도의 범위 내의 각도로 상기 재치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하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5 반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5 반사면은, 상기 복수의 히터의 각각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난반사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열고의 하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5 반사면은, 상기 트레이의 일부의 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안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6 반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6 반사면은, 상기 복수의 히터의 각각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난반사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가열고의 안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7 반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7 반사면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측 히터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히터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상기 망 부재 상의 상기 가열 대상물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상기 망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열 대상물이 놓이는 재치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7 반사면은, 47.4도±5도의 범위 내의 각도로 상기 재치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열고의 내부에서 열을 대류시키기 위한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구는, 상기 제7 반사면의 구멍을 통해, 상기 가열고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고, 도입한 공기를 상기 가열고의 내부에 공급하는 팬을 가지며,
    상기 팬은, 상기 제7 반사면에 대한 상기 팬의 회전축의 각도가 90도±5도의 범위 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적어도 하나의 히터는, 제1 밀도로 전열선이 나선형으로 감긴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에 있어서, 제2 밀도로 전열선이 나선형으로 감긴 주변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밀도는, 상기 제2 밀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은, 사용자가 상기 가열고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토스터.
KR1020220024356A 2021-02-26 2022-02-24 오븐 토스터 Active KR102725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0592 2021-02-26
JP2021030592A JP7226841B2 (ja) 2021-02-26 2021-02-26 オーブントース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533A KR20220122533A (ko) 2022-09-02
KR102725060B1 true KR102725060B1 (ko) 2024-11-04

Family

ID=8297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356A Active KR102725060B1 (ko) 2021-02-26 2022-02-24 오븐 토스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26841B2 (ko)
KR (1) KR102725060B1 (ko)
CN (1) CN114947555A (ko)
TW (1) TWI81531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017B2 (ja) * 1995-02-14 2000-08-21 ユーリア、イノテッ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紙の製造中に発生した残渣または収集された物質の流れから原料を回収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設備
JP2007046852A (ja) * 2005-08-11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US20100006561A1 (en) * 2008-07-11 2010-01-14 Breville Pty Limited Toaster Ov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813Y2 (ja) * 1979-05-01 1984-09-27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オ−ブント−スタ−
JPH089540Y2 (ja) * 1989-05-11 1996-03-21 株式会社テック 焼き網付き加熱調理器
DE4229373A1 (de) * 1992-09-03 1994-03-10 Ego Elektro Blanc & Fischer Heizkörper, insbesondere für Kochgeräte
JP3096582B2 (ja) * 1994-09-21 2000-10-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0119927Y1 (ko) * 1995-06-29 1998-08-01 김광호 컨백션 전자렌지
JP3469719B2 (ja) * 1996-08-08 2003-11-25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ブントースタ
JP3078017U (ja) * 2000-11-30 2001-06-22 馨方 曹 オーブントースター
JP2011179792A (ja) * 2010-03-03 2011-09-15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JP6396642B2 (ja) * 2013-05-10 2018-09-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オーブントースター
JP2017116225A (ja)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デプロ・インターナショナル・アソシエイツ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017B2 (ja) * 1995-02-14 2000-08-21 ユーリア、イノテッ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紙の製造中に発生した残渣または収集された物質の流れから原料を回収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設備
JP2007046852A (ja) * 2005-08-11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100738771B1 (ko) * 2005-08-11 2007-07-12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조리기
US20100006561A1 (en) * 2008-07-11 2010-01-14 Breville Pty Limited Toaster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31585A (ja) 2022-09-07
TW202242317A (zh) 2022-11-01
TWI815317B (zh) 2023-09-11
JP7226841B2 (ja) 2023-02-21
KR20220122533A (ko) 2022-09-02
CN114947555A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5060B1 (ko) 오븐 토스터
JP2007029180A (ja) 加熱調理装置
JP7237376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
JP2014181876A (ja) 加熱調理器
KR20120096355A (ko) 조리기기
KR101695494B1 (ko) 오븐
KR100785130B1 (ko)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KR102773924B1 (ko) 조리장치
JP6106627B2 (ja) 電気調理器
JPH11235280A (ja) 加熱調理器
JP5778490B2 (ja) グリル
US20250063640A1 (en) Cooking apparatus
KR100604487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필터장치 고정구조
KR100654833B1 (ko) 조리장치
JP5624242B1 (ja) 加熱調理器
JP2015197246A (ja) 加熱調理器
CA3204387A1 (en) Heating cooking apparatus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JP2024032360A (ja) 加熱調理器
JP2011242063A (ja) 加熱調理器
JP5697249B2 (ja) 加熱調理装置
KR101003668B1 (ko) 조리기기
KR200383250Y1 (ko) 전기오븐의 팬어셈블리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JP2004084989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