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5130B1 -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130B1
KR100785130B1 KR1020060007551A KR20060007551A KR100785130B1 KR 100785130 B1 KR100785130 B1 KR 100785130B1 KR 1020060007551 A KR1020060007551 A KR 1020060007551A KR 20060007551 A KR20060007551 A KR 20060007551A KR 100785130 B1 KR100785130 B1 KR 10078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lider
stopper
ove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826A (ko
Inventor
윤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1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57Oxidation dit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장치의 구성요소인 이너슬라이더의 일측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드로워를 인출하였을시 탈거 및 전후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드로워(520)가 수용되고, 내측의 양측면에 슬라이더 지지구(620)가 고정되는 드로워수용부(540)와, 드로워(520)의 양측면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이너슬라이더(640)와, 슬라이더 지지구(620)의 일측에 삽입되어 이너슬라이더(640)와 접촉되는 볼베어링 어셈블리(660)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멈춤돌기(626)와,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520)의 인출 시 상기 멈춤돌기(626)와의 간섭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드로워(5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7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700)에는 상기 멈춤돌기(626)와의 간섭이 해지되면 상기 스토퍼(700)를 원위치로 회동시키는 탄성돌기(764)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에 의하면 전후방향으로 탈거 및 유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오븐, 스토퍼, 드로워, 베어링, 이너슬라이더, 슬라이더지지구

Description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Structure for fixing drawer for oven-range}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에서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 슬라이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에서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스토퍼의 작용을 보인 측면 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오븐레인지 200 ..... 탑버너부
220 ..... 전기버너 240 ..... 세라믹글래스
300 ..... 제어부 320 ..... 디스플레이
340 ..... 조작노브 400 ..... 오븐부
420 ..... 캐비티 플레이트 422 ..... 그루브
424 ..... 랙 426 ..... 컨벡션팬
428 ..... 컨벡션커버 450 ..... 오븐도어
452 ..... 손잡이 454 ..... 전면투시창
500 ..... 드로워부 520 ..... 드로워
522 ..... 드로워손잡이 540 ..... 드로워수용부
560 ..... 드로워랙 600 ..... 슬라이딩장치
620 ..... 슬라이더 지지구 622 ..... 지지판
624,624'. 지지가이드 626 ..... 멈춤돌기
640 ..... 이너슬라이더 642 ..... 슬라이더판
644 ..... 이너가이드 660 ..... 볼베어링 어셈블리
662 ..... 측판 664 ..... 베어링가이드
666 ..... 볼 700 ..... 스토퍼
720 ..... 고정부 722 ..... 고정핀
740 ..... 구속홈 760 ..... 구속해지부
762 ..... 누름돌기 764 ..... 탄성돌기
본 발명은 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로워를 인출하는 슬라이딩 지지장치에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드로워를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하였을시 탈거 및 전후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레인지(Oven range)는 요리할 음식물을 밀폐된 공간내에서 고온의 열기를 이용하여 요리하는 오븐(Oven)과 요리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 상부에 위치시킨 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레인지(Range)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하나의 주방기기이고, 오븐(Oven)은 레인지(Range)가 결합되지 않은 주방기기이다.
이러한 오븐은 사용되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으로 나누어진다.
가스오븐은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개의 버너(Bunner)에 점화된 불꽃으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고, 전기오븐은 전기를 열원으로 히터(Heater)에서 발산되는 열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게 된다. 즉, 가스오븐은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전도열과 대류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요리기구이며, 전기오븐은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복사열과 대류열 및 전도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요리 기구이다.
또한, 전기오븐은 요리할 음식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여 가스 오븐보다 요리속도가 빠르고, 열효율과 안전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에서는 전기오븐레인지의 구성을 통해 본원발명을 설명해 나가겠으나 오븐레인지의 종류와 관계없이 드로워가 구비된 모든 종류의 오븐레인지에 적용가능함을 밝히는 바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에서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기오븐레인지(1)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거 얹어져서 조리되는 탑버너부(10)와, 상기 탑버너부(10)의 일측에서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하방에 형성되어 열대류에 의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븐부(30)와, 상기 오븐부(30)의 하측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드로워(Drawer)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탑버너부(10)는 전기오븐레인지(1)의 최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탑법너부(10)이 상부에는 원적외선히터 또는 할로겐히터(Halogen heter)가 장착된 다수개의 전기버너(12)가 장착되고, 상기 탑버너부(10)의 상면에는 상기 전기버너(12)에서 바생하는 원적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세라믹글래스(Ceramic glass,14)가 형성되어 상기 전기버너(12)가 형성된 탑버너부(10)의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하방에는 전기오븐레인지(1)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20)가 형성된다. 사기 제어부(2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의 작동상태 및 조리시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Display,22)가 형성되고, 사기 디스플레이(22)의 측방에는 사용자가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조작노브(2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의 하방에는 오븐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부(30)는 히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서 소정의 열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히터(미도시)와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을 회전력으로 상기 오븐부(30) 내부에서 대류시키는 컨벡션팬(미도시)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오븐부(30)의 전방에는 상기한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오븐부(30)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오븐도어(32)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도어(32)는 오븐부(30)의 전면 하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오븐부(30)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도어(32)의 전면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34)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4)를 파지하여 오븐도어(32)를 개방함으로써 음식물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븐도어(32)의 하측에는 상기한 드로워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부(40)는 크게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모양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보관되는 드로워(42)와, 상기 드로워(42)를 내부에 수용하는 드로워수용부(44)와, 상기 드로워수용부(44)의 하측에서 소정의 열을 발산함으로써 상기 드로워(42)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을 데우거나, 간단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드로워히터(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드로워(42)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드로워(42) 내부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42)의 외면 좌우측과 드로워수용부(44)의 좌우측에는 슬라이딩 장치(50)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드로워(42)의 내부에는 드로워랙(50)이 구비되어 음식물이 상면에 얹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슬라이딩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 장치(50)는 대략 일측이 개방된“
Figure 112006005618965-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더 지지구(52)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5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출/입 되는 이너슬라이더(54)와, 상기 이너슬라이더(54)와 슬라이더 지지구(52) 사에이 구비되어 원활한 슬라이딩 인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볼베어링 어셈블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52)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상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날개(52a,5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날개(52a,52b) 사이는 지지판(51)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51)은 상기 지지날개(52a,52b)의 일측단부에서 양자(兩者)를 연결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52)는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Figure 112006005618965-pat00002
”자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52)의 전반부에는 상기 볼베어링 어셈블리(60) 가 전방으로 인출될 시 걸리도록 상기 지지판(51)의 상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방멈춤돌기(미도시)와, 인입 시 걸리도록 상기 지지판(51)의 후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멈출돌기(55)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52)는, 그 지지판(51)이 드로워캐비티(30)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52)의 개구된 일측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이너슬라이더(54)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54a,54b)와, 상기 가이드(54a,54b)의 일측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판(53)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52)와 이너슬라이더(54)의 사이에는 볼베어링 어셈블리(60)가 삽입된다. 상기 볼베어링 어셈블리(60)는, 수직상의 몸체부(미도시)와, 상기 몸체부(미도시)의 상/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날개부(64a,64b), 그리고, 상기 날개부(64a,64b)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52)의 지지날개(52a,52b)와 상기 이너슬라이더(54)의 가이드(54a,54b) 사이에 위치하는 볼(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장치(50)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이너슬라이더(54)의 가이드는, 슬라이더 지지구(52)의 지지날개(52a,52b)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이너슬라이더(54)의 가이드(54a,54b)와 슬라이더 지지구(52)의 지지날개(52a,52b) 사이에는 상기 볼베어링 어셈블리(60)의 날개부(64a,64b) 및
볼(66)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54a,54b) 및 지지날개(52a,52b) 사이에 개재(介在)된 다수개의 볼(66)은 양자(兩者)의 사이에서 지지되어 임의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54a,54b)의 상면 즉, 상기 볼(66)과 맞닿는 부위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볼(66)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지지날개(52a,52b)는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볼(66)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볼(66)을 양자(兩者)가 감싸는 형상을 이루어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이너슬라이더(54)가 슬라이딩 하더라도 임의로 탈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지지구(52)에 대하여 상기 이너슬라이더(54)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드로워(4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입되면, 상기 드로워(42)의 측면에 장착된 이너슬라이더(54)도 후방으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이너슬라이더(54)와 슬라이더 지지구(52) 사이에 위치한 볼베어링 어셈블리(60)도 함께 후방으로 인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인입된 볼베어링 어셈블리(60)는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의 후반부에 형성된 후방멈춤돌기(55)에 걸려 멈추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드로워(4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면, 상기 드로워(42)의 측면에 장착된 이너슬라이더(54)도 전방으로 인출되고 이너슬라이더와 슬라이더 지지구(52) 사이에 위치한 볼베어링 어셈블리(60)도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전방멈춤돌기(미도시)에 걸려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볼베어링 어셈블리(60)가 슬라이더 지지구(52)의 전후방에 형성된 전방멈춤돌기(미도시)과 후방멈춤돌기(55)에 걸려 멈추게 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드로워(42)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수납을 위해 드로워를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한 뒤 드로워 내부에 음식물을 인입할 시, 드로워가 후방으로 쉽게 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일측에 구속홈이 구비된 스토퍼를 장착하여 드로워의 전후방 유동을 방지하는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는, 내부에 드로워가 수용되고, 내측의 양측면에 슬라이더 지지구가 고정되는 드로워수용부와,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이너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슬라이더와 접촉되는 볼베어링 어셈블리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멈춤돌기와,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의 인출 시 상기 멈춤돌기와의 간섭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드로워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멈춤돌기와의 간섭이 해지되면 상기 스토퍼를 원위치로 회동시키는 탄성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내부에 드로워가 수용되고, 내측의 양측면에 슬라이더 지지구가 고정되는 드로워수용부와,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이너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슬라이더와 접촉되는 볼베어링 어셈블리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멈춤돌기와,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의 인출 시 상기 멈춤돌기와의 간섭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드로워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고정부와, 상기 멈춤돌기에 걸려져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속홈과, 상기 멈춤돌기와 상기 구속홈을 선택적으로 탈거시켜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속해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해지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홈을 멈춤돌기에서 탈거시키는 누름돌기와, 상기 누름돌기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된 스토퍼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에 의하면, 드로워의 인출시 유동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식물을 인출/입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에서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기오븐레인지(100)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가 상면에 얹어져서 조리되는 탑버너부(200)와, 상기 탑버너부(200)의 일측에서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하방 에 형성되어 열대류에 의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븐부(400)와, 상기 오븐부(4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드로워(Drawer)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탑버너부(200)는 전기오븐레인지(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탑버너부(200)의 상면에는 원적외선히터 또는 할로겐(Halogen)히터가 장착된 다수개의 전기버너(220)와, 상기 전기버너(220)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세라믹글래스(Ceramic glass,2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세라믹글래스(240)는 상기 탑버너부(200)의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탑버너부(200)의 후단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 제어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전기오븐레인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300)의 전면 일측에는 전기오븐레인지(100)의 작동상태 및 조리시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Display,320)와, 사용자가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0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노브(3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노브(340)는 상기 전기버너(220)와 오븐부(400), 그리고, 드로워부(500)가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구비된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부(200)의 하측에는 전술한 오븐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부(400)는 전원이 인가되어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오븐부(4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히터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오븐부(400)의 내측 후면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연 결됨으로써 풍력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Convection fan,426)이 구비된다. 즉, 상기 컨벡션팬(426)은 상기 히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상기 오븐부(400) 내부에서 대류시킴으로써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도록 한다.
상기 컨벡션팬(426)의 전방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컨벡션커버(428)가 장착된다. 상기 컨벡션커버(428)는 전면(全面)에 다수개의 통기공(428')이 형성되어 공기유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컨벡션팬(426)으로부터 발생된 풍력이 상기 오븐부(400) 내부로 대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컨벡션팬(426)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오븐부(400) 내측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캐비티플레이트(420)에는 다수개의 그루브(Groove,422)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422)는 적절한 위치에서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음식물을 지지하는 랙(Rack,424)을 상방 지지하는 것으로, 음식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여러 형태의 그루브(422)와 랙(424)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오븐부(400)의 전방에는 상기 히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오븐부(400)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오븐도어(45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도어(450)는 오븐부(400)의 전면 하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오븐부(400)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도어(450)의 전면 상부에는 오븐도어(45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손잡이(45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오븐부(4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는 내열유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오븐부(400) 내부의 뜨거운 열기를 견딤과 동시에 음식물 조리상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면투시창(454)이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오븐부(400)의 하측에는 드로워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부(500)는 크게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모양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한 드로워(520)와, 상기 드로워(5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드로워(520)가 삽입되는 드로워수용부(540)와, 상기 드로워(520) 내부에 수용되어 상면에 음식물이 지지되도록 하는 드로워랙(5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로워(520)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드로워(520) 내부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인출/입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드로워(520)의 전면에 함몰 성형된 드로워손잡이(522)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드로워(520)와 드로워수용부(540)에 장착된 슬라이딩장치(600)에 의해 상기 드로워(520)를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장치(60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 슬라이딩장치를 도시한 시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 슬라이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 장치(600)는 대략, 일측이 개방되어“
Figure 112006005618965-pat00003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더 지지구(620)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의 개방된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드로워(도 3 에서 5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출/입 되는 이너슬라이더(640)와, 상기 이너슬라이더(640)와 슬라이더 지지구(6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슬라이더(64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인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볼베어링 어셈블리(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는 상기 드로워수용부(도 3에서 540)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대략 수평방향으로 상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가이드(624,624')와 상기 지지가이드(624,624') 사이에 형성되어 양자(兩者)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지지판(6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가이드(624)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가이드(624)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미도시)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가이드(624)의 하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가이드(624')에도 역시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가이드(62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토퍼(700)가 걸리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돌기(626)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의 개방된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이너슬라이더(640)는 상기 드로워(도 3에서 52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너가이드(644,644')와, 상기 이너가이드(644,644') 사이에 형성되어 양자(兩者)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판(642)과, 상기 슬라이더판(642)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멈춤돌기(626)에 걸리는 스토퍼(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슬라이더(6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너가이드(644)의 상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방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미도시)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에 형성되는 이너가이드(644')의 하면에도 상방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고 하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700)는 상기 이너슬라이더(640)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시 상기 멈춤돌기에 걸리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너슬라이더(640)의 상면 후측에 고정핀(722)에 의해서 고정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토퍼(700)는 대략 라운드 지게 형성된 고정부(720)와,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구속해지부(7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720)는 고정핀(722)에 의해서 상기 이너슬라이더(640)의 후측에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핀(722)은 아래에서 설명할 구속해지부(760)의 유동시 회전축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720)의 상면(도 6에서) 좌측 즉, 스토퍼(700)의 중앙에는 구속홈(740)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740)은 전술한바 있듯이, 상기 멈춤돌기(626)에 걸리는 부분으로 상기 멈춤돌기(62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해지부(760)는 하방으로 눌러서 상기 스토퍼(700)를 회동 시켜 상기 구속홈(740)을 멈춤돌기(626)에서 탈거시키는 누름돌기(762)와, 상기 누름돌기(762)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된 스토퍼(7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돌기(764)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돌기(762)는 상기 구속홈(740)의 좌측하단에서 좌측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후 상기 고정핀(722)과 우측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삼각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764)는 상기 누름돌기(762)의 절반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620)와 이너슬라이더(640)의 사이에는 볼베어링 어셈블리(660)가 삽입된다. 상기 볼베어링 어셈블리(660)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홈이 구비된 판상의 베어링 가이드(664,664')와, 상기 베어링 가이드(664,664')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측판(662)과, 상기 베어링 가이드(664,664')의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가이드(624,624')와 이너가이드(644,644') 사이에 위치하는 볼(6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너가이드(644,644')는 상기 지지가이드(624,624')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너가이드(644,644')와 지지가이드(624,624') 사이에는 상기 볼베어링 어셈블리의 베어링가이드(664) 및 볼(666)이 위치하게 되어 상기 이너가이드(644,644')와 지지가이드(624,624') 사이에 개재(介在)된 다수개의 볼(666)은 양자(兩者) 사이에서 지지되어 임의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00)의 탑버너부(2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탑버너부(200)의 전기버너(220)가 형성된 위치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얹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300)의 조작노브(340)를 조작하여 상기 전기버너(220)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버너(22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전기버너(220)가 작동되면 상기 전기버너(220)는 열을 발산하게 되고, 이러한 열은 상기 전기버너(220)의 상면을 차폐하는 세라믹글래스(240)를 투과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은 조리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오븐부(400)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도어(450)를 열고 상기 오븐부(400) 내부에 음식물을 인입한 다음 상기 오븐도어(450)를 회동시켜 상기 오븐부(400)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오븐부(400)가 밀폐되면, 상기 제어부(300)의 조작노브(340)를 조작하여 상기 오븐부(400) 내부의 히터(미도시)를 작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탑버너부(200)와 오븐부(400)를 이용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따듯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드로워부(500)를 사용한다.
상기 드로워부(500)에 조리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로워(520)가 상기 드로워수용부(54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랙(560)에 조리된 음식물을 올려서 상기 드로워(520) 내부에 인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로워(520)를 전방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장치(600)의 구성요소인 이너슬라이더(640)가 전방으로 함께 인출되고, 전방으로 완전히 인 출되게 되면 상기 이너슬라이더(640)에 구비된 스토퍼(700)가 상기 지지가이드(624)에 형성된 멈춤돌기(626)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700)가 상기 멈춤돌기(626)에 걸리게 되면 상기 드로워(520)의 전후방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유동이 방지된 드로워(520)의 내부에 조리된 음식물이 올려진 드로워랙(560)을 인입한 뒤 상기 구속해지부(760)의 누름돌기(762)를 눌러 상기 멈춤돌기(626)에 끼워진 구속홈(740)을 탈거시켜 상기 드로워(520)를 상기 드로워수용부(540) 내부로 슬라이딩 인입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구속해지부(760)의 탄성돌기(764)가 누름돌기(762)를 누름으로써 하방으로 회동된 스토퍼(700)를 다시 상방으로 회동시켜 스토퍼(700)를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는, 상기 드로워부에 조리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드로워를 완전히 인출하였을 시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구속홈이 지지가이드에 형성된 멈춤돌기에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를 완전히 인출하였을 시 상기 드로워의 유동이 방지되어 사용자는 드로워 내부에 용이하게 음식물을 입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의 보관뿐만 아니라, 조립 또는 고장서비스 시에도 드로워를 인출한 후 유동이 방지되어 조립성 및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에 드로워가 수용되고, 내측의 양측면에 슬라이더 지지구가 고정되는 드로워수용부와,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이너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슬라이더와 접촉되는 볼베어링 어셈블리와;
    상기 슬라이더 지지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멈춤돌기와;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의 인출 시 상기 멈춤돌기와의 간섭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드로워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고정부와;
    상기 멈춤돌기에 걸려져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속홈과,
    상기 멈춤돌기와 상기 구속홈을 선택적으로 탈거시켜 상기 이너슬라이더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속해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해지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홈을 멈춤돌기에서 탈거시키는 누름돌기와,
    상기 누름돌기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된 스토퍼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KR1020060007551A 2006-01-25 2006-01-25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KR10078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551A KR100785130B1 (ko) 2006-01-25 2006-01-25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551A KR100785130B1 (ko) 2006-01-25 2006-01-25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26A KR20070077826A (ko) 2007-07-30
KR100785130B1 true KR100785130B1 (ko) 2007-12-11

Family

ID=3850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551A KR100785130B1 (ko) 2006-01-25 2006-01-25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18B1 (ko) * 2017-01-25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556U (ko) * 1996-12-04 1998-09-05 이영서 가스레인지의 그릴부 구조
JP2001263677A (ja) * 2000-03-23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KR20030078483A (ko) * 2002-03-29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50058038A (ko) * 2003-12-11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50081529A (ko) * 2004-02-14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레인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556U (ko) * 1996-12-04 1998-09-05 이영서 가스레인지의 그릴부 구조
JP2001263677A (ja) * 2000-03-23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KR20030078483A (ko) * 2002-03-29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50058038A (ko) * 2003-12-11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50081529A (ko) * 2004-02-14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26A (ko) 2007-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498B1 (ko) 회전 랙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US9395093B2 (en) Range having an adjustable rear panel
KR10064144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KR100785130B1 (ko)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KR100646879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KR10061822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드로워랙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KR10068864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탈거방지구조
KR100688646B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KR100641447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200380334Y1 (ko) 전기오븐의 안티팁브라켓 장착구조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100604487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필터장치 고정구조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KR200365632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3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4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5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1060452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탑버너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