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3721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721B1
KR102103721B1 KR1020130105130A KR20130105130A KR102103721B1 KR 102103721 B1 KR102103721 B1 KR 102103721B1 KR 1020130105130 A KR1020130105130 A KR 1020130105130A KR 20130105130 A KR20130105130 A KR 20130105130A KR 102103721 B1 KR102103721 B1 KR 10210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rack
door
coo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378A (ko
Inventor
권홍식
김수연
유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7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7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조리실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도어; 상기 조리실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 상기 고정가이드에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도어의 내면 사이에 양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가 열림에 따라 프레임이 전방으로 자동 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폐함에 따라 도어에 연동하여 랙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장치로서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전기오븐, 가스오븐, 오븐레인지 등이 있다.
그 중 오븐 레인지(Oven range)는 조리재료를 밀폐한 후에 건열(乾熱)로 요리재료를 가열하는 오븐(Oven)과 주로 오븐의 상부에 형성되며, 요리재료를 상면에 얹어서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레인지(Range)가 결합되어 하나의 주방기기로 일체화된 것으로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오븐 레인지와 전기오븐 레인지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 레인지는 설치방법에 따라서, 주방가구 등에 매설되어 다른 주방가구 또는 벽체와 조화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빌트인타입(Built-in type)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프리스탠딩타입(Free standing type)이 있다.
오븐 레인지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얹어서 조리하는 쿡탑과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오븐과 오븐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백가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쿡탑은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올려놓고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으로 상기 오븐 레인지의 최상부에서 상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쿡탑에는 다수개의 버너가 장착되며, 상기 버너는 쿡탑의 상면에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일반적인 노출식버너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세라믹글래스에 의해 밀폐되는 밀폐식버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쿡탑의 하방에는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오븐이 형성된다. 상기 오븐의 내부에는 오븐 레인지의 공간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븐 캐비티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 캐비티는 조리실을 형성하고 이 조리실에는 하나 이상의 히터가 설치된다. 히터는 조리실 내에 노출될 수도 있고 조리실 벽면 내부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리실 내부에는 조리물을 올려놓고 조리물의 상면과 측면 뿐만 아니라 하면까지 골고루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랙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용접하여 철망 형태로 제작하고, 조리실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지지리브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리브는 랙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간격을 갖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지지리브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지지리브에 지지된 상태로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인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종래의 랙은 이를 인출하려면 사용자가 손으로 랙의 전단부를 직접 잡아당겨서 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조리기기에서 상기 랙이 조리실의 최하부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려서 랙을 인출해야 하므로 더욱 불편해진다.
또한, 랙이 인출될 때 쉽게 빠져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랙에는 스토퍼 구조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 구조의 일예로는, 지지리브의 전방부에 하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랙의 후단부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랙은 인출될 때 상기 경사부가 상기 지지리브의 돌출부 후방면에 걸려서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랙은 전방 최대 인출거리가 짧기 때문에 사용자가 랙의 후단부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븐의 도어를 개폐함에 따라 도어에 연동하여 랙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랙을 추가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랙의 최대 인출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조리실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도어; 상기 조리실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 상기 고정가이드에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도어의 내면 사이에 양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가 열림에 따라 프레임이 전방으로 자동 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랙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측단부를 수용하여 그 상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랙의 양측부를 상하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마련되고 내측으로 개구되어 그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은 그 양측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그 후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그 전방측에 상기 슬라이딩부의 최대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그 중간부가 절곡되어 상기 스토퍼돌기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그 전방측에 상기 슬라이딩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프레임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는 그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측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회동축돌기와 결합하는 회동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는 외측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홈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의하면, 랙과 프레임이 오븐의 도어에 연동하여 자동 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이 자동 인출된 후에 사용자가 랙을 추가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서 커넥터를 분리하고 다른 높이의 위치에 랙과 프레임을 장착할 수도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제2오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랙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랙과 프레임을 서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랙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커넥터가 프레임과 커넥터결합부 사이에 연결되어 조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서 랙조립체를 사용할 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제2오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는 열원으로 가스와 전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오븐레인지로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도시된 오븐레인지에 한하지 않고 전자레인지 또는 전기오븐과 가스오븐 등 도어와 랙을 구비하는 조리기기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하나 이상의 오븐(50, 70)과,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물을 올려놓고 조리하는 쿡탑(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쿡탑(30)은 조리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놓고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서 상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쿡탑(30)에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32)이 장착되어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쿡탑(30)의 전방에는 상기 쿡탑(30)에 설치된 가열수단(32)을 제어하는 쿡탑 조작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쿡탑 조작부(34)는 경사진 면상에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쿡탑 조작부(34)에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쿡탑 조작부(34)는 상기 가열수단(32)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레버를 포함해서, 상기 복수의 가열수단(32)을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쿡탑(30)의 하부에는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븐(50, 70)이 마련된다. 도면에는 조리기기에 2개의 오븐(50, 70)이 마련된 것을 도시하였는데, 본 발명은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오븐이 마련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오븐은 상기 쿡탑(30)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오븐(50)과 이 제1오븐(50)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오븐(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븐(50, 70)의 내측에는 조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조리실(71)이 형성된다.
상기 오븐(50, 70)은 오븐 도어(52, 72)에 의해서 각각 개폐된다. 상기 오븐 도어(72)는 상기 오븐(50, 7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오븐 도어(52, 72)에는 사용자가 이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53, 73)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븐 도어(52, 72)는 수평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가진 한 쌍의 도어힌지(17)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도록 장착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53, 73)의 상측에 손을 파지한 후에 상기 오븐 도어(52, 72)를 하방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71)은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공간으로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조리실(71)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오븐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으로는 쉬쓰(sheath) 히터, 차콜(charcoal) 히터, 할로겐 히터, 브로일(Broil) 히터, 베이크(bake) 히터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실(71)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71) 내부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는 컨벡션팬(미도시)이 더 구비되어서, 상기 조리실(71) 내부에 설치된 가열 수단의 열기를 조리물에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쿡탑(30)의 후방에 마련되는 백가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백가드(20)는 상기 오븐(50, 70)에서 조리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쿡탑(30)보다 높도록 배치된다.
상기 백가드(20)는 상기 오븐(50, 70)의 조리실(7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백가드(20)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71)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백가드(20)는 상기 오븐(70)의 조리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2)에서는 상기 오븐(50, 70)의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22)를 통해서 상기 오븐(70)을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71)의 내부에는 랙(120)이 소정 높이로 설치된다. 이 랙(120)은 일측이 상기 도어(72)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72)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랙(120)은 상기 도어(72)에 직접 연결된 것이 아니라, 프레임(130)이 상기 도어(72)에 연동하여 인출되도록 이루어지고 다시 상기 프레임(130)에 상기 랙(120)이 더 인출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조리실(71)의 내측면에는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 단부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110)가 설치된다.
도 3에는 이렇게 랙의 자동인출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랙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내지 도 6에는 랙조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랙조립체는, 상기 조리실(71)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110); 상기 고정가이드에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130);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도어의 내면 사이에 양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가 열림에 따라 프레임이 전방으로 자동 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150);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랙(1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가이드(110)는 상기 조리실(71)의 양측 내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그리고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이 고정가이드(110)는 상기 조리실(71)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결합부(112)와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부를 아래 및 위에서 각각 지지하는 하부와이어(114) 및 상부와이어(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2)는 상기 고정가이드(1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하부와이어(114) 및 상부와이어(116)는 두 결합부(112)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2)는 조리실 내면에 나사 등의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결합부(112)에는 결합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110)는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 단부를 상하에서 지지할 수 있다면 "ㄷ"모양의 단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금속 와이어를 절곡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30)의 양측부(131)가 상기 한 쌍의 고정가이드(11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130)의 일단부와 상기 도어(72)의 내면 사이에는 도어가 열림에 따라 프레임(130)이 전방으로 자동 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1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도어(72)와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 사이에 하나가 연결될 수도 있으나, 상기 도어(72)의 회동축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도어(72)가 상하로 회동되어 개폐되므로, 한 쌍의 커넥터(15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150)는 그 연결되는 양단부가 상기 도어(72)와 상기 프레임(13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30)의 측단부에는 내측방으로 회동축돌기(135)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120)은 상기 프레임(13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랙(120)은 금속 와이어를 절곡하여 직사각형 테두리를 형성하고 그 위에 가로 및 세로로 복수의 와이어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용접함으로써 철망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30)에는 상기 랙(120)의 양측부를 상하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40)는 상기 프레임과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부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되거나 직접 용접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부(140)가 프레임(130)에 용접된 경우이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40)는 내측으로 개구되어 그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부(140)는 수직의 측면부(143)와 수평의 하면부(144) 및 상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45)는 상기 랙(120)이 인출될 때 그 전방부가 아래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랙(120)의 양측부를 위에서 지지한다.
그래서, 상면부(145)는 상기 하면부(144)에 비해 그 전방부가 절개되어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부를 아래에서뿐만 아니라 위쪽에서도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랙(120)이 인출되었을 때에도 랙(120)의 전방이 아래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부(131)의 바로 안쪽에 그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양측부(131)의 후단부 사이에 연결되고 양측부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된 후방연결부(133)와, 상기 프레임(130)의 전방 양측에 상기 가이드부(140)의 전단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전방돌출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전방돌출부(134)와 상기 후방연결부(133)에 전후 단부가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전방돌출부(134) 사이에 연결되는 전단부(136)는 상기 전방돌출부(134)로부터 후측방으로 후퇴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0)의 후단부(137)는 상기 양측부(131)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후단부(137)는 상기 랙(120)의 후단부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30)이 인출될 때 상기 랙(120)의 후단부가 상기 프레임(130)의 후단부(137)에 걸려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120)은 그 양측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14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슬라이딩부(1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122)도 랙(120)과 마찬가지로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며, 그 전후 단부가 상기 랙(120)의 양측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하면에 각각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122)는 상기 랙(120)의 테두리부 전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었다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122)는 그 후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140)에 지지되는 롤러(1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124)는 상기 슬라이딩부(122)의 후단부 가까이에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회전축은 랙(120)에 놓이는 조리물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회전축이 상기 슬라이딩부(122)에 연결되는 부위는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124)는 상기 가이드부(140)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며, 상기 랙(120) 인출시에는 상기 가이드부(140)의 상면부(145)에 지지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40)의 하면부(144)와 상면부(145) 사이의 간격은 상기 롤러(124)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122)는 그 전방부와 상기 롤러(124)가 상기 가이드부(14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롤러(124)는 상기 슬라이딩부(122)의 외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장착되므로, 상기 슬라이딩부(122)의 전단부 연결 부위는 후단부 연결 부위보다 더 외측 위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40)는 그 전방측에 상기 슬라이딩부(122)의 최대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146)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122)는 그 중간부가 절곡되어 상기 스토퍼돌기(146)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12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120)은 상기 슬라이딩부(122)가 상기 가이드부(14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인출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랙(120)을 당겨 인출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122)가 상기 가이드부(140)로부터 너무 많이 인출된다면, 랙(120)이 상기 프레임(130)에 수평상태로 지지되지 못하고 빠져버리게 된다.
그래서, 상기 슬라이딩부(122)에 걸림부(126)를 형성하고 이 걸림부(126)가 인출될 때 상기 스토퍼돌기(146)에 걸리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22)의 최대 인출 거리가 제한되고 슬라이딩부(122)가 가이드부(140)에 지지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126)는 상기 슬라이딩부(122)의 후측 약 2/3 지점으로서, 상기 롤러(124)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2)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그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더 외측 지점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슬라이딩부(122)의 후측 약 2/3 지점에서 내측방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후방으로 절곡됨으로써 두 절곡부 사이가 상기 걸림부(126)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0)는 그 전방측에 상기 슬라이딩부(122)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롤러(14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122)의 후단부에 상기한 롤러(124)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40)의 전단부에도 상기 롤러(14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122)는 와이어가 직접 상기 가이드부(140)에 접촉하지 않고 두 롤러(124, 142)의 구름 운동을 통해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도어(72)의 내면에 직접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도어(72)의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형성되는 커넥터결합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72)는 일반적으로 조리실(71)의 전방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내면 중앙부가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170)는 상기 도어(72)의 중앙부 양측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길쭉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커넥터결합부(170)의 내측면에 그 일단부(15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프레임(13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프레임(130)이 도어(72)와 연동하여 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커넥터(150)와 프레임(130)의 연결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50)의 일단부(152)는 상기 커넥터결합부(17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130)의 측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회동축돌기(135)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에는 상기 회동축돌기(135)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회동축홈(155)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150)의 일단부(152)는 상기 커넥터결합부(170)의 내측면에 약간의 유격을 갖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회동축돌기(135)로부터 빼내어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는 외측방으로 돌출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홈(155)은 상기 돌출부(154)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결합부(170)는 상기 커넥터(150)의 돌출부(154)를 수용하는 수용홈(17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결합부(170)는 그 길이가 상기 커넥터(15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150)의 일단부(152)는 회동이 자유로우므로, 그 일단부(152)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150)를 회동시키면 상기 커넥터결합부(170)의 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에는 돌출부(15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15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결합부(170)의 내측면에 수용홈(175)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수용홈(1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72) 내면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50)의 일단부(152)는 소정의 유격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150)를 회동시킬 때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 돌출부(155)를 측방으로 약간 밀면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홈(175)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홈(175)은 분리된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 돌출부(155)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도어(72)를 개폐하더라도 그 관성에 의해 상기 커넥터(150)의 돌출부(155)가 수용홈(175)으로부터 빠져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리기기의 작동 내지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는 상기 도어(72)가 닫힌 상태로서 상기 프레임(130)과 그 위의 랙(120)이 조리실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어(72)를 열기 시작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72)의 커넥터결합부(170)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150)가 상기 프레임(130)을 당겨 인출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랙(120)도 함께 인출된다.
상기 도어(72)를 완전히 수평으로 개방하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30)이 커넥터(150)가 연결된 상태에서 최대로 인출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상기 랙(120)을 당기면, 도 10의 상태가 될 때까지 랙(12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랙(120)은 상기 걸림부(126)가 상기 스토퍼돌기(146)에 걸려서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상기 랙(120)이 조리물을 지지하는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최대 인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a)는 사용자가 도어(72)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150)의 타단부(154)를 상기 프레임(130)의 회동축돌기(135)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런 다음, 도 11(b)와 같이, 상기 커넥터(150)를 상기 일단부(15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커넥터결합부(170)의 측면에 밀착시키면, 상기 도어(72)의 회동되어 개폐되더라도 상기 커넥터(150)가 상기 커넥터결합부(170)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도어(72)의 개폐에 연동하지 않게 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랙(120) 또는 프레임(130)을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랙조립체를 상기 고정가이드(110)가 고정적으로 장착된 위치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있는 랙지지리브(74)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조리실(71) 내측면에는 랙을 높이를 바꾸어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랙지지리브(74)를 돌출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랙조립체에서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부(131)는 상기 랙지지리브(74)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양측부(131)는 상기 고정가이드(11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랙지지리브(74)에 장착될 수도 있도록 공통된 치수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부(131)의 전방 부위에는 상방돌출부(132)가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0)의 후단부(137)는 상기 양측부(131)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랙지지리브(74)에는 대략 앞쪽 1/4 부위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볼록부(75)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130)을 후방으로 밀어넣을 때는 상기 상방돌출부(132)가 상기 볼록부(75)의 전방 하면에 걸려서 더 이상 후퇴되지 않도록 제한되고, 상기 프레임(130)을 전방으로 인출할 때는 상기 후단부(137)가 상기 볼록부(75)의 후방 하면에 걸려서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제한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30)을 인출한 다음에 상기 랙(120)을 당겨 더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종래보다 더 전방으로 인출된 랙(120)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지지리브(74)는 모두가 상기 볼록부(75)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가 아닐 수 있다.
즉, 하측에 배치되는 랙지지리브는 볼록부(75)가 필요 없기 때문에 2개의 지지리브(76, 77)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서 상기 2개의 지지리브(76, 77)는 하측에 2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최하측 지지리브(76)의 바로 위에 상기 고정가이드(110)가 배치되므로 상기 최하측 지지리브(76)에는 일반 랙을 설치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랙조립체를 장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상측에 배치된 랙지지리브(74)의 위에는 상기 볼록부(75)의 역할을 하도록 돌기(78)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개방함에 따라 연동하여 프레임이 자동으로 인출될 뿐만 아니라 랙이 이중으로 인출됨으로써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도어 연동을 위한 커넥터를 분리할 수도 있고 다른 높이의 위치에 랙을 장착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 조리기기 10: 본체
20: 백가드 30: 쿡탑
50: 제1오븐 70: 제2오븐
110: 고정가이드 120: 랙
130: 프레임 140: 가이드부
150: 커넥터 170: 커넥터결합부

Claims (12)

  1. 내부에 조리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
    상기 조리실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
    상기 고정가이드에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도어의 내면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도어의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측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회동축돌기가 삽입되는 회동축홈;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에서 외측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결합부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열림에 따라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대해 회동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전단부가 상기 조리실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도어가 열린 후,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분리되어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대해 회동하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홈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1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측단부를 수용하여 그 상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랙의 양측부를 상하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마련되고 내측으로 개구되어 그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그 양측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그 후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그 전방측에 상기 슬라이딩부의 최대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그 중간부가 절곡되어 상기 스토퍼돌기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그 전방측에 상기 슬라이딩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30105130A 2013-09-02 2013-09-02 조리기기 Active KR10210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130A KR102103721B1 (ko) 2013-09-02 2013-09-0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130A KR102103721B1 (ko) 2013-09-02 2013-09-02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78A KR20150026378A (ko) 2015-03-11
KR102103721B1 true KR102103721B1 (ko) 2020-04-23

Family

ID=5302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130A Active KR102103721B1 (ko) 2013-09-02 2013-09-0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654B1 (ko) * 2015-07-03 202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2360056B1 (ko) 2015-07-03 2022-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1876118B1 (ko) 2017-01-25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677A (ja) 2000-03-23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JP2001355860A (ja) * 2000-06-13 2001-12-26 Sanyo Electric Co Ltd オーブントース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46632A1 (en) * 2009-04-30 2010-11-0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upport for extractable baking trays and/or baking gri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677A (ja) 2000-03-23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JP2001355860A (ja) * 2000-06-13 2001-12-26 Sanyo Electric Co Ltd オーブントー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78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280927B1 (ko) 오븐
US8327837B2 (en) Cooking range with rotable rack
US9504351B2 (en) Double oven appliance
EP3940299B1 (en) Cooking appliance
US8511769B2 (e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rack system
KR102070777B1 (ko) 오븐 레인지
KR102104894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2135009B1 (en) Oven
EP2333420A1 (en) Food cooking appliance
KR20160037036A (ko) 조리기기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KR101902713B1 (ko) 전기그릴
KR102211725B1 (ko) 오븐
KR102691060B1 (ko) 조리기기
CN210697272U (zh) 一种上掀式电烤器结构
US9476597B1 (en) Adjustable oven
KR101898797B1 (ko)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0785130B1 (ko) 오븐레인지의 드로워 고정구조
CN221229229U (zh) 烤箱
KR100688646B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CN111938458B (zh) 一种烘烤装置及控制方法
KR101744981B1 (ko) 가스오븐레인지
KR101535371B1 (ko) 도어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7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