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9279B1 -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9279B1
KR102709279B1 KR1020210191604A KR20210191604A KR102709279B1 KR 102709279 B1 KR102709279 B1 KR 102709279B1 KR 1020210191604 A KR1020210191604 A KR 1020210191604A KR 20210191604 A KR20210191604 A KR 20210191604A KR 102709279 B1 KR102709279 B1 KR 10270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orque
value
hydraulic pressure
torque value
hydraul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031A (ko
Inventor
김남훈
박성현
손세훈
이존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1019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9279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92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2059/147Transmission input torque, e.g. measured or estimated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2059/183Rate of change of accelerator position, i.e. pedal or throttle change grad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2059/385Turb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16H2059/663Road slo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the controller
    • F16H2061/1264Hydraulic parts of the controller, e.g. a sticking valve or clogged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42/00Calib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엔진 회전수를 이용하여 정확한 엔진 토크값으로 자동 변속기의 유압을 보정하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보정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로서,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비정상인 상태에서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한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 및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에 의해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을 비교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엔진 토크값 보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HYDRAULIC COMPENSAT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HYDRAULIC COMPENSATING DEVI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엔진 회전수를 이용하여 자동 변속기의 유압을 보정하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는 차량의 속도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 등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기 제어 유닛(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실행되는 경우 자동변속기에는 작동 상태에서 작동 해제되는 해방측 마찰 요소와, 작동 해제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변환되는 결합측 마찰 요소가 존재하며, 상기 해방측 마찰 요소 및 결합측 마찰 요소의 해제 및 결합은 각 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상기 해방측 마찰 요소 및 결합측 마찰 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의 제어는 제어 듀티를 작동시켜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전동식 오일 펌프는 모터의 작동으로 펌프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변속단으로 변속을 실행할 때 해방측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해방측 마찰요소(예 : 해방측 클러치)를 해방하고 결합측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결합측 마찰요소(예 : 결합측 클러치)를 체결함으로써 변속을 실행한다.
한편, 종래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보정 장치의 경우 엔진 토크 값에 따라 유압을 보정하여 변속 충격을 완화하는데 주 목적이 있으나, 엔진 제어 유닛(ECU : Engine Control Unit)으로부터 변속기 제어 유닛(TCU)로 전달되는 엔진 토크 값과 실제 엔진 토크 값에 오차가 존재할 경우 정확한 유압 보정이 어렵고, 실제 엔진 토크 값에 맞지 않는 유압 보정으로 인해 변속기의 유압 제어가 실패할 경우, 과도한 슬립 발생으로 인해 변속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7607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 회전수를 이용하여 정확한 엔진 토크값으로 자동 변속기의 유압을 보정하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보정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로서,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비정상인 상태에서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한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 및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에 의해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을 비교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엔진 토크값 보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는, 상기 자동변속기의 목표 변속 시작 시점과 실제 변속 시작 시점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변속 시작 시점은 엔진 회전 속도와 터빈 회전 속도를 인자로 갖는 맵핑(Mapping) 값이고, 상기 실제 변속 시작 시점은 상기 엔진 회전 속도와 상기 터빈 회전 속도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 커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상기 학습값을 산출하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이 아닌 경우, 상기 검출값을 산출하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는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는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 보정부는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의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유압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 보정부는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에 의해 엔진 토크값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엔진 토크값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 보정부는 상기 엔진 토크값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엔진 토크값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엔진 회전수의 소정 범위가 소정 간격으로 나누어짐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중량, 구배도,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을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 보정부는 상기 차량의 중량, 구배도,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보정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방법으로서,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비정상인 상태에서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한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을 비교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동변속기의 목표 변속 시작 시점과 실제 변속 시작 시점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변속 시작 시점은 엔진 회전 속도와 터빈 회전 속도를 인자로 갖는 맵핑(Mapping) 값이고, 상기 실제 변속 시작 시점은 상기 엔진 회전 속도와 상기 터빈 회전 속도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 커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상기 학습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이 아닌 경우, 상기 검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엔진 토크값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엔진 토크값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엔진 토크값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엔진 회전수의 소정 범위가 소정 간격으로 나누어짐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중량, 구배도,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을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중량, 구배도,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을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를 정확히 수행하고 펌프 임펠러와 터빈 러너를 직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슬립을 최소화하여 댐퍼클러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보정 장치를 블록도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시간에 따른 엔진 회전속도와 터빈 회전속도 간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엔진 회전수가 복수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값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보정 장치(100)를 블록도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시간에 따른 엔진 회전속도와 터빈 회전속도 간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압 보정 장치(100)는 자동 변속기(2)를 포함하는 차량(1)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유압 보정 장치(100)는 변속기 제어 유닛(TCU)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차량(1)은 자동 변속기(2)를 포함하고, 차량(1)의 구동을 위한 엔진 토크를 발생시키는 엔진,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ECU), 엔진 제어 유닛(ECU)으로부터 엔진 토크값을 전달 받는 유압 보정 장치(100) 및 댐퍼클러치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서, 상기 댐퍼클러치(락업클러치)는 엔진과 자동 변속기 사이에서 유체 커플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인 토크 컨버터의 펌프 임펠러와 터빈 러너를 직결시켜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또한,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는 엔진 토크값과 변속기의 현재 기어단을 인자로 갖는 맵핑(Mapping) 값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한 엔진 토크값이 엔진 제어 유닛(ECU)를 통해 유압 보정 장치(100)에 신호 형태로 전달되고, 유압 보정 장치(100)는 전달받은 엔진 토크값을 기반으로 댐퍼클러치의 제어 유압을 계산/보정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요인으로 인해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한 엔진 토크값(실제 엔진 토크값)과 엔진 제어 유닛(ECU)에 의해 유압 보정 장치(100)에 신호 형태로 전달되는 엔진 토크값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면, 댐퍼클러치의 제어 유압 계산에 오차가 발생할 뿐 아니라, 펌프 임펠러와 터빈 러너를 직결시키는 과정에서 슬립이 발생하여 댐퍼클러치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압 보정 장치(100)는,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10)와,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와,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와,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와, 엔진 토크값 보정부(50) 및 유압 보정부(60)를 포함한다.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10)는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10)는 자동변속기(2)의 목표 변속 시작 시점과 실제 변속 시작 시점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목표 변속 시작 시점은 엔진 회전 속도와 터빈 회전 속도를 인자로 갖는 맵핑(Mapping) 값이고, 실제 변속 시작 시점은 엔진 회전 속도와 터빈 회전 속도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 커지는 시점(도 2의 T0)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엔진 회전수가 복수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값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는,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자동변속기(2)의 목표 변속 시작 시점과 실제 변속 시작 시점 간의 차이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RPM)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복수의 구간은 도 3에서와 같이 엔진 회전수의 소정 범위가 소정 간격으로 나누어짐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구간의 설정은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한 학습 이전에 유압 보정 장치(1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간은 엔진 회전수의 소정 범위가 0~7000 RPM인 경우, 1구간은 2000~4000 RPM, 2구간은 3000~5000 RPM, 3구간은 4000~6000 RPM, 4구간은 5000~7000 RPM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는 소정 간격으로 나누어진 구간에 대해 액셀 개도량(예 : 5(%), 10(%), 15(%) 등)에 따라 복수의 구간(예 : 1구간, 2구간, 3구간, 4구간 등)에 대해 엔진 회전수(RPM)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출된 학습값 중에서, 액셀 개도량이 5(%)인 경우 1구간에서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0.6초(sec)일 수 있고, 액셀 개도량이 10(%)인 경우 2구간에서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0.3초(sec)일 수 있다.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는,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이 아닌 경우,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한 검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되는 검출값은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실제 시간일 수 있다.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는,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비정상인 상태에서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한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학습된, 액셀 개도량이 10(%)인 상태에서 2구간에서의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0.3초(sec)인데 반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를 통해 검출된, 액셀 개도량이 10(%)인 상태에서 2구간에서의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0.15초(sec)인 경우에,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예 : 0.3초)에 비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예 : 0.15 초)이 작아 차량(1)이 실제로 더 빠르게 가속이 되었고, 엔진의 토크가 상승하였다고 판단하여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의 차이 외에, 차량(1)의 가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차량(1)의 중량, 구배도(기울기),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 등의 인자를 추가로 이용하여 엔진 토트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는 차량(1)의 구배도가 15˚라면 요구되는 가속도가 30% 정도 증가한다고 판단하여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보다 다소 작아지더라도 엔진 토크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엔진 토크값 보정부(50)는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에 의해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술한 학습값과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엔진 토크값 보정부(50)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을 보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엔진 토크값 보정부(5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학습된, 액셀 개도량이 10(%)인 상태에서 2구간에서의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0.3초(sec)인데 반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를 통해 검출된, 액셀 개도량이 10(%)인 상태에서 2구간에서의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0.15초(sec)인 경우에, 실제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를 통해 산출된 검출값)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보다 2배 빨라졌으므로, 이에 따라 현재 엔진 토크값이 상승되도록 엔진 토크값을 보정할 수 있다.
다만, 엔진 토크값 보정부(50)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의 차이 외에, 차량(1)의 가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차량(1)의 중량, 구배도(기울기),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 등의 인자를 추가로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토크값 보정부(50)는 유압 보정 장치(100)에 의해 사전에 맵핑된 차량(1)의 중량, 구배도(기울기),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 등의 인자를 이용한 엔진 토크값의 보정값을 추가로 고려하여 엔진 토크값을 보정할 수 있다.
유압 보정부(60)는,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의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압 보정부(60)는,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에 의해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술한 엔진 토크값 보정부(50)에 의해 보정된 엔진 토크값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유압 보정부(60)는,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에 의해 엔진 토크값이 정상인 것(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의 차이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엔진 토크값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산출된 학습값과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산출된 검출값을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를 정확히 수행하고 펌프 임펠러와 터빈 러너를 직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슬립을 최소화하여 댐퍼클러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유압 보정 방법은 전술한 유압 보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압 보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S1 단계). 이 때, 상기 S1 단계는 전술한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을 산출한다(S2 단계). 이 때, 상기 S2 단계는 전술한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1 단계에서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구간에 대해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한 검출값을 산출한다(S3 단계). 이 때, 상기 S3 단계는 전술한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2 단계에서 산출된 학습값과 상기 S3 단계에서 산출된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S4 단계). 이 때, 상기 S4 단계는 전술한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S4 단계에서는 상기 S2 단계에서 산출된 학습값과 상기 S3 단계에서 산출된 검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4 단계에서,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S2 단계에서 산출된 학습값과 상기 S3 단계에서 산출된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을 보정한다(S5 단계). 이 때, 상기 S5 단계는 전술한 엔진 토크값 보정부(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S5 단계에서는 상기 S2 단계에서 산출된 학습값과 상기 S3 단계에서 산출된 검출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압 보정 방법에 따르면, 상기 S4 단계에서의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S5 단계에서 보정된 엔진 토크값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S6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엔진 토크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S4 단계에서 엔진 토크값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엔진 토크 값에 따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S7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유압 보정 장치
10 :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
20 :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
30 :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
40 :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
50 : 엔진 토크값 보정부
60 : 유압 보정부

Claims (30)

  1. 차량에 구비된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에 있어서,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엔진 회전수에 대한 복수의 구간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비정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에 대한 복수의 구간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한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 및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에 의해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을 비교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엔진 토크값 보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제어 이상 여부 판단부는, 상기 자동변속기의 목표 변속 시작 시점과 실제 변속 시작 시점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변속 시작 시점은 엔진 회전 속도와 터빈 회전 속도를 인자로 갖는 맵핑(Mapping) 값이고,
    상기 실제 변속 시작 시점은 상기 엔진 회전 속도와 상기 터빈 회전 속도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 커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상기 학습값을 산출하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이 아닌 경우, 상기 검출값을 산출하는 엔진 회전수 상승 시간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는,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는,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 보정부는,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의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유압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보정부는,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에 의해 엔진 토크값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엔진 토크값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보정부는,
    상기 엔진 토크값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엔진 토크값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엔진 회전수의 소정 범위가 소정 간격으로 나누어짐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 이상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중량, 구배도,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을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 보정부는 상기 차량의 중량, 구배도,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장치.
  16. 차량에 구비된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방법에 있어서,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엔진 회전수에 대한 복수의 구간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학습한 학습값과,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비정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에 대한 복수의 구간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각각의 구간에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한 검출값을 비교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을 비교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동변속기의 목표 변속 시작 시점과 실제 변속 시작 시점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변속 시작 시점은 엔진 회전 속도와 터빈 회전 속도를 인자로 갖는 맵핑(Mapping) 값이고,
    상기 실제 변속 시작 시점은 상기 엔진 회전 속도와 상기 터빈 회전 속도 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 커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인 경우, 상기 학습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 제어가 정상이 아닌 경우, 상기 검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엔진 토크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4.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학습값과 상기 검출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5.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엔진 토크값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엔진 토크값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 이상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엔진 토크값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에 의한 유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엔진 회전수의 소정 범위가 소정 간격으로 나누어짐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2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중량, 구배도,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을 이용하여 엔진 토크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3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중량, 구배도, 산소 농도, 외기 온도, 액셀 개도량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토크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보정 방법.
KR1020210191604A 2021-12-29 2021-12-29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 Active KR10270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604A KR102709279B1 (ko) 2021-12-29 2021-12-29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604A KR102709279B1 (ko) 2021-12-29 2021-12-29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031A KR20230102031A (ko) 2023-07-07
KR102709279B1 true KR102709279B1 (ko) 2024-09-24

Family

ID=8715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604A Active KR102709279B1 (ko) 2021-12-29 2021-12-29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92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5523A (ja) 2009-02-12 2010-08-26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2185009B1 (ko) 2019-11-14 2020-12-01 (주)현대케피코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872A (ja) * 1995-11-22 1997-06-03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339882B2 (ja) * 2006-11-08 2009-10-07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アップシフト制御装置
KR101656153B1 (ko) 2014-12-22 2016-09-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 변속기의 유압편차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5523A (ja) 2009-02-12 2010-08-26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2185009B1 (ko) 2019-11-14 2020-12-01 (주)현대케피코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031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4778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20070287594A1 (en) Torque Converter Clutch Control
JP2007271035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00693255B1 (ko)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94224B2 (en)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000120834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過熱防止装置
US9002607B2 (en) Lock-up clutch control device
KR101812336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20090028508A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그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를 지시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저장 매체
KR101472247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102709279B1 (ko)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보정 방법
KR100680787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온 업 시프트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7232160A (ja) 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KR102486084B1 (ko) 자동 변속기의 유압 보정 방법 및 장치
JPH09287658A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KR100579260B1 (ko) 자동 변속기의 충진시간 학습장치 및 방법
JP2019138357A (ja) 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変速機の制御方法
JP4584156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2749326B1 (ko) 자동화변속기의 유압클러치 보정 방법
KR100507179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솔레노이드 피드 백 전류를 이용한변속 제어 방법
JP6330723B2 (ja) 流体式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JP3598569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過渡制御装置
JP2008303958A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4321415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417530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過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