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네트워크에 링크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셀룰러 망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통신, D2D 통신)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셀에 위치한 제1 단말(110)과 제2 셀에 위치한 제2 단말(120) 간의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속하는 단말과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속하는 단말 간의 D2D 통신일 수 있다. 또한, 제1 셀에 위치한 제3 단말(130)과 제1 클러스터(cluster)에 위치한 제4 단말(140) 간의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속하는 단말과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속하는 단말간의 D2D 통신일 수 있다. 한편, 제1 클러스터에 위치한 제4 단말(140)과 제1 클러스터에 위치한 제5 단말(150) 사이의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속하는 두 단말 간의 D2D 통신일 수 있다.
D2D 통신이란 단말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시되는 단말은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근접한 거리의 단말들이 D2D 통신을 하면 기지국의 부하는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단말들이 D2D 통신을 하는 경우, 단말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단말의 송신 전력의 소모 및 전송 지연(latency)이 감소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는 기존의 셀룰러 기반의 통신과 D2D 통신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2D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의 통신 방법과 네트워크 커버리지(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단말의 통신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D2D 통신은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탐색(discovery)을 수행하는 탐색 절차와 단말 간의 제어 데이터 및/또는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절차로 구분될 수 있다. D2D 통신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D2D은 공공 안전(public safety)과 상업적인 목적 등 비 공공 안전(non public safety)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서의 D2D 통신은 공공 안전(public safety)만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D2D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는 적어도 D2D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을 전송하는 노드(node)를 의미한다. D2D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는 최소한 하나의 D2DSS(D2D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한다. 전송된 D2DSS는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에 의한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2D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이하 eNodeB)라면 D2D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된 D2DSS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동일한 동기화 신호(SS,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eNodeB가 아닌 D2D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되는 D2DSS는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동기화 소스가 UE,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UE, 클러스터 헤드(cluster head), 동기화 헤드(synchronization head) 등인 경우, PSS를 변형한 D2DSS(이하, PD2DSS) 또는 SSS를 변형한 D2DSS(이하, SD2DSS)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클러스터 헤더는, Out-of-coverage 단말의 동기화를 위한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를 포함하거나, ISS로 운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2D 동기화 소스가 전송하는 D2DSS는 D2D 동기화 소스의 식별자(identity, ID) 및/또는 D2D 동기화 소스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PD2DSS(Primary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ignal) 및 SD2DSS(Secondary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한다. PD2DSS는 자도프 추 시퀀스(Zadoff Chu sequence)를 기반으로 한다.
PSS에 사용되는 시퀀스 은 수학식 1에 따른 주파수 도메인 자도프-추 시퀀스(Zadoff-Chu sequence)로부터 생성된다.
수학식 1에서 u는 표 1에 의해 정의되는 루트 시퀀스 인덱스(root sequence index)이다.
시퀀스 는 수학식 2에 따라서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에 매핑된다.
여기서, ak,l은 자원요소로서, k는 부반송파 번호이고, l은 OFDM 심볼의 번호이다.
상기 PSS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자원 요소(RE) 맵핑은 프레임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위한 프레임 구조 타입 1의 경우, PSS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내에서 슬롯(slot) 1 및 슬롯 10 내의 마지막 OFDM 심볼에 매핑된다.
한편, TDD(Time Division Duplex)를 위한 프레임 구조 타입 2의 경우, PSS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서브프레임(subframe) 1 및 서브프레임 6 내의 3번째 OFDM 심볼에 매핑된다.
여기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0부터 서브프레임 9까지)을 포함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면 이는 20개의 슬롯(슬롯 0부터 슬롯 19까지)에 해당한다. 또한, 하나의 슬롯은 복수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OFDM 심볼 내의 자원 요소 (k, l) 중 수학식 3에 해당하는 자원 요소는 PSS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남겨진다(reserved).
SSS에 사용되는 시퀀스 d(0),..., d(61)은 길이 31의 이진 시퀀스 2개를 인터리브(interleave)하여 생성한다.
상기 SSS를 정의하는 길이 31의 이진 시퀀스 두 개의 조합은 수학식 4에 따라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5 사이에서 다른 값을 갖는다.
수학식 4에서 n은 을 만족하는 값을 갖는다. m0 및 m1의 값은 수학식 5에 따른 물리계층 셀 ID 그룹(physical cell identity group)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수학식 5의 결과값은 표 2 및 표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
|
|
|
|
|
|
|
0 |
0 |
1 |
34 |
4 |
6 |
68 |
9 |
12 |
1 |
1 |
2 |
35 |
5 |
7 |
69 |
10 |
13 |
2 |
2 |
3 |
36 |
6 |
8 |
70 |
11 |
14 |
3 |
3 |
4 |
37 |
7 |
9 |
71 |
12 |
15 |
4 |
4 |
5 |
38 |
8 |
10 |
72 |
13 |
16 |
5 |
5 |
6 |
39 |
9 |
11 |
73 |
14 |
17 |
6 |
6 |
7 |
40 |
10 |
12 |
74 |
15 |
18 |
7 |
7 |
8 |
41 |
11 |
13 |
75 |
16 |
19 |
8 |
8 |
9 |
42 |
12 |
14 |
76 |
17 |
20 |
9 |
9 |
10 |
43 |
13 |
15 |
77 |
18 |
21 |
10 |
10 |
11 |
44 |
14 |
16 |
78 |
19 |
22 |
11 |
11 |
12 |
45 |
15 |
17 |
79 |
20 |
23 |
12 |
12 |
13 |
46 |
16 |
18 |
80 |
21 |
24 |
13 |
13 |
14 |
47 |
17 |
19 |
81 |
22 |
25 |
14 |
14 |
15 |
48 |
18 |
20 |
82 |
23 |
26 |
15 |
15 |
16 |
49 |
19 |
21 |
83 |
24 |
27 |
16 |
16 |
17 |
50 |
20 |
22 |
84 |
25 |
28 |
17 |
17 |
18 |
51 |
21 |
23 |
85 |
26 |
29 |
18 |
18 |
19 |
52 |
22 |
24 |
86 |
27 |
30 |
19 |
19 |
20 |
53 |
23 |
25 |
87 |
0 |
4 |
20 |
20 |
21 |
54 |
24 |
26 |
88 |
1 |
5 |
21 |
21 |
22 |
55 |
25 |
27 |
89 |
2 |
6 |
22 |
22 |
23 |
56 |
26 |
28 |
90 |
3 |
7 |
23 |
23 |
24 |
57 |
27 |
29 |
91 |
4 |
8 |
24 |
24 |
25 |
58 |
28 |
30 |
92 |
5 |
9 |
25 |
25 |
26 |
59 |
0 |
3 |
93 |
6 |
10 |
26 |
26 |
27 |
60 |
1 |
4 |
94 |
7 |
11 |
27 |
27 |
28 |
61 |
2 |
5 |
95 |
8 |
12 |
28 |
28 |
29 |
62 |
3 |
6 |
96 |
9 |
13 |
29 |
29 |
30 |
63 |
4 |
7 |
97 |
10 |
14 |
30 |
0 |
2 |
64 |
5 |
8 |
98 |
11 |
15 |
31 |
1 |
3 |
65 |
6 |
9 |
99 |
12 |
16 |
32 |
2 |
4 |
66 |
7 |
10 |
100 |
13 |
17 |
33 |
3 |
5 |
67 |
8 |
11 |
101 |
14 |
18 |
|
|
|
|
|
|
102 |
15 |
19 |
136 |
22 |
27 |
103 |
16 |
20 |
137 |
23 |
28 |
104 |
17 |
21 |
138 |
24 |
29 |
105 |
18 |
22 |
139 |
25 |
30 |
106 |
19 |
23 |
140 |
0 |
6 |
107 |
20 |
24 |
141 |
1 |
7 |
108 |
21 |
25 |
142 |
2 |
8 |
109 |
22 |
26 |
143 |
3 |
9 |
110 |
23 |
27 |
144 |
4 |
10 |
111 |
24 |
28 |
145 |
5 |
11 |
112 |
25 |
29 |
146 |
6 |
12 |
113 |
26 |
30 |
147 |
7 |
13 |
114 |
0 |
5 |
148 |
8 |
14 |
115 |
1 |
6 |
149 |
9 |
15 |
116 |
2 |
7 |
150 |
10 |
16 |
117 |
3 |
8 |
151 |
11 |
17 |
118 |
4 |
9 |
152 |
12 |
18 |
119 |
5 |
10 |
153 |
13 |
19 |
120 |
6 |
11 |
154 |
14 |
20 |
121 |
7 |
12 |
155 |
15 |
21 |
122 |
8 |
13 |
156 |
16 |
22 |
123 |
9 |
14 |
157 |
17 |
23 |
124 |
10 |
15 |
158 |
18 |
24 |
125 |
11 |
16 |
159 |
19 |
25 |
126 |
12 |
17 |
160 |
20 |
26 |
127 |
13 |
18 |
161 |
21 |
27 |
128 |
14 |
19 |
162 |
22 |
28 |
129 |
15 |
20 |
163 |
23 |
29 |
130 |
16 |
21 |
164 |
24 |
30 |
131 |
17 |
22 |
165 |
0 |
7 |
132 |
18 |
23 |
166 |
1 |
8 |
133 |
19 |
24 |
167 |
2 |
9 |
134 |
20 |
25 |
- |
- |
- |
135 |
21 |
26 |
- |
- |
- |
두 개의 시퀀스 및 는 수학식 6에 따라, m-시퀀스 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순환 지연(cyclic shift)으로써 정의된다.
수학식 6은 및 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7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7에서 x(i)의 초기 값은 x(0)=0, x(1)=0, x(2)=0, x(3)=0, x(4)=1으로 설정된다.
두 개의 스크램블링 시퀀스인 및 는 PSS에 의해 정해지고, 수학식 8에 따른 m-시퀀스 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순환 지연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8에서 는 물리 계층 셀 ID 그룹 내의 물리계층 ID이고, 수학식 8은 , , 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9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9에서 x(i)의 초기 값은 x(0)=0, x(1)=0, x(2)=0, x(3)=0, x(4)=1 으로 설정된다.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 는 수학식 10에 따른 m-시퀀스 의 순환 지연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10에서 m0 및 m1의 값은 상기 표 2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 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11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11에서 x(i)의 초기 조건은 x(0)=0, x(1)=0, x(2)=0, x(3)=0, x(4)=1으로 설정된다.
상기 SSS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자원 요소(RE) 맵핑은 프레임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시퀀스 는 수학식 12에 따른 자원 요소에 맵핑될 것이다.
수학식 12에서 ak,l은 자원요소로서, k는 부반송파 번호이고, l은 OFDM 심볼의 번호이다.
*OFDM 심볼 내의 자원 요소 (k, l) 중 수학식 13에 해당하는 자원 요소는 SSS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남겨진다(reserved).
D2D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되는 D2DSS는 물리 계층 동기화 소스 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PSSID) 및/또는 D2D 동기화 소스의 타입 및 PD2DSS를 포함한다. 상기 PD2DSS는 자도프 추 시퀀스(Zadoff Chu sequence)를 기반으로 한다.
D2DSS를 위해서는 PD2DSS가 정의되어야 한다. D2D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에는 D2DSS는 PSS/SSS와 동일할 수 있지만, D2D 동기화 소스가 eNodeB가 아닌 경우에는 새로운 타입의 D2DSS가 정의될 수 있다.
eNodeB가 아닌 D2D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되는 D2DSS는 UE들에 의해 PSS 또는 SSS와 같은 전형적인 하향링크 동기신호들로 잘못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D2DSS가 전형적인 햐향링크 동기신호들로 잘못 해석되는 경우, D2DSS를 전송하는 D2D 동기화 소스가 eNodeB로 인식되거나 잘못된 동기화 정보가 UE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D2DSS에서 사용되는 시퀀스는 셀룰라(cellular) 통신에서 사용되는 시퀀스(또는 PSS나 SSS를 위한 시퀀스)와는 다른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루트 인덱스(root index)가 셀룰라 통신의 시퀀스와 다른 시퀀스가 정의되어 사용될 수 있다.
D2D 동기화 소스가 eNodeB라면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되는 PD2DSS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이고, D2D 동기화 소스가 eNodeB가 아닌 경우에는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되는 PD2DSS는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동기화 소스가 UE,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UE, 클러스터 헤드(cluster head), 동기화 헤드(synchronization head) 등인 경우, PSS를 변형한 D2DSS(이하, PD2DSS)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최초 D2D 동기화 소스가 eNodeB가 아닌 경우에, D2D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되는 PD2DSS가 일반적인 PSS에서 정의되는 3가지의 루트 인덱스가 아닌 다른 추가적인 3가지의 루트 인덱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 번호(Example NO.) |
루트 인덱스(Root Index) |
예시 1 |
38, 26, 37 |
예시 2 |
38, 23, 40 |
예시 3 |
38, 19, 44 |
예시 4 |
38, 16, 47 |
예시 5 |
38, 5, 58 |
예시 6 |
38, 2, 61 |
본 발명에서 전송 D2D 동기화 소스(Transmission D2D Synchronization Source)는 UE로 D2D 직접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노드(node)로 정의될 수 있고, 전송(Tx) 동기화 소스로 불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1 단말(110)에 대한 전송 동기화 소스는 제1 기지국(100)이고, 제2 단말(120)에 대한 전송 동기화 소스는 제1 단말(110) 또는 제2 기지국(160)이 될 수 있다.본 발명에서 최초 D2D 동기화 소스(Original D2D Synchronization Source)는 D2D 동기화 신호를 최초로 발생시키는 노드(node)로 정의될 수 있고, 최초(original) 동기화 소스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2 단말(120)에 대한 최초 동기화 소스는 제1 기지국(100) 또는 제2 기지국(160)이 될 수 있다.본 발명에서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는 기지국이 아니면서, 스스로 D2D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D2D 동기화 소스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5 단말(150)이 ISS가 될 수 있다.본 발명에서 홉 카운트(hot count)는 동기화 소스로부터 단말에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의 횟수를 의미하며, 한 단계를 거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에서 제1 단말(110)을 거쳐 제2 단말(120)로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제1 단말(110)까지의 홉 카운트는 1이고, 제2 단말(120)까지의 홉 카운트는 2이다.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시스템에서 인식하는 동기화 소스로부터 단말에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의 횟수를 의미한다. 계층 레벨은 홉 카운트와 동일할 수도 있고, 시스템에서 인식하지 않는 홉 카운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홉 카운트보다 적은 수를 갖는다.
PD2DSCH는 물리적 D2D 동기화 채널(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의 타입,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또는 계층 레벨(stratum level)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서 PD2DSCH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셀 ID에는 여러 개(예를 들어 504개)의 고유한 물리 계층 셀 ID가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168개의 고유한 물리 계층 셀 ID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각각의 그룹은 3개의 고유한 ID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물리 계층 셀 ID 그룹을 표현하는 0에서 167 사이의 정수인 와, 물리 계층 셀 ID 그룹 내에서 물리 계층 ID를 표현하는 0 내지 2 사이의 정수 에 의해 정의되는 고유값을 갖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PD2DSS, SD2DSS,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SS의 위치, PD2DSCH에 의하여,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의 타입,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계층 레벨(stratum level) 등의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의 상단을 참조하면, 기지국(eNodeB, 200)은 제1 단말(210)로, 제1 단말(210)은 제2 단말(220)에, 제2 단말(220)은 제3 단말(230)에 각각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제1 단말(210), 제2 단말(220), 제3 단말(230)에 대하여 최초 동기화 소스(original synchronization source, original SS)가 될 수 있고, 기지국(200)은 제1 단말(210)에 대하여, 제1 단말(210)은 제2 단말(220)에 대하여, 제2 단말(220)은 제3 단말(230)에 대하여 각각 전송 동기화 소스(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ource, Tx SS)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하단을 참조하면, 제4 단말(240)은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스스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하므로 ISS에 해당한다. 제4 단말(240)은 제5 단말(250)에, 제5 단말(250)은 제6 단말(260)에, 제6 단말(260)은 제7 단말(270)에 각각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4 단말(240)은 제5 단말(250), 제6 단말(260), 제7 단말(270)에 대하여 최초 동기화 소스(original synchronization source, original SS)가 될 수 있고, 제4 단말(240)은 제5 단말(250)에 대하여, 제5 단말(250)은 제6 단말(260)에 대하여, 제6 단말(260)은 제7 단말(270)에 대하여 각각 전송 동기화 소스(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ource, Tx SS)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200)에서 출발한 동기 신호가 제1 단말(210)로 전송될 때의 계층 레벨(stratum level)을 제1 계층이라 하고, 제1 단말(210)을 경유하여 제2 단말(220)로 전송될 때의 계층 레벨을 제2 계층이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을 경유하여 제3 단말(230)로 전송될 때의 계층 레벨을 제3 계층이라 한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는 최초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최대 제3 계층이고,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최대 제3 계층일 때, D2D 동기화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SS relaying eNodeB)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SS relaying ISS)인 경우의 PSSID는 ISS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5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5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4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주파수-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5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이 1인 케이스 4와, 계층 레벨이 2인 케이스 2 및 5, 계층 레벨이 3인 케이스 3 및 6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2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에도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는 SD2DSS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D2DSS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으며,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가반으로 504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의 PSSID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eNodeB의 PCID를 기반으로 변형된 값이 사용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ISS의 UE ID를 기반으로 PSSID가 결정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전송 동기화 소스가 지시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은 1의 값을 가지므로, 따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6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이 1인 케이스 4와, 계층 레벨이 2인 케이스 2 및 5, 계층 레벨이 3인 케이스 3 및 6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 정의된 PD2DSS의 3개의 루트 인덱스 값이 각각 X, Y, Z의 값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계층 레벨이 1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X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이 2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Y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이 3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Z에 의해 지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새로 정의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들은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케이스 1)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2, 3)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를 기반으로 특정 룰에 의해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eNodeB의 정확한 PC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4, 5, 6)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가반으로 168개 또는 168 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ISS의 정확한 UE 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1-3)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ISS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7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7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4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한편,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이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주파수-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7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이 2인 케이스 2와, 계층 레벨이 3인 케이스 3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PD2DSCH의 1비트 정보는 커버리지 시나리오(coverage scenario)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PD2DSCH의 1비트 정보는 망외 커버리지(out-of-coverage)에서는 포함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케이스 4 내지 6에서는 PD2DSCH 대신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계층 레벨이 지시될 수 있다. 한편,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의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표 7의 케이스 4 내지 케이스 6은 각각의 계층 레벨에 따라 총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 정의된 PD2DSS의 3개의 루트 인덱스 값이 각각 X, Y, Z의 값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계층 레벨이 1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X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이 2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Y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이 3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Z에 의해 지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새로 정의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들은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에도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는 SD2DSS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D2DSS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으며,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4, 5, 6)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168개 또는 168 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ISS의 정확한 UE 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1-4)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전송 동기화 소소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8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8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4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주파수-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8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이 1인 케이스 4와, 계층 레벨이 2인 케이스 2 및 5, 계층 레벨이 3인 케이스 3 및 6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2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이거나, ISS이거나,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전송(Tx)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504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전송 동기화 소소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9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9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4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9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이 1인 케이스 4와, 계층 레벨이 2인 케이스 2 및 5, 계층 레벨이 3인 케이스 3 및 6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 정의된 PD2DSS의 3개의 루트 인덱스 값이 각각 X, Y, Z의 값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계층 레벨이 1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X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이 2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Y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이 3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Z에 의해 지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새로 정의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들은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이거나, ISS이거나,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전송(Tx)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거나,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보다 작은 K개의 시퀀스로 매핑될 수 있다. 168개의 시퀀스와 일대일 매핑되는 경우의 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K개의 시퀀스와 일대일 매핑되는 경우에는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송 동기화 소스의 정확한 UE 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의 상단을 참조하면, 기지국(eNodeB, 300)은 제1 단말(310)에, 제1 단말(310)은 제2 단말(320)에, 제2 단말(320)은 제3 단말(330)에, 제3 단말(330)은 제4 단말(340)에 각각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300)은 제1 단말(310), 제2 단말(320), 제3 단말(330), 제4 단말(340)에 대하여 최초 동기화 소스(original synchronization source, original SS)가 될 수 있고, 기지국(300)은 제1 단말(310)에 대하여, 제1 단말(310)은 제2 단말(320)에 대하여, 제2 단말(320)은 제3 단말(330)에 대하여, 그리고 제3 단말(330)은 제4 단말(340)에 대하여 각각 전송 동기화 소스(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ource, Tx SS)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하단을 참조하면, 제5 단말(350)은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스스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하므로 ISS에 해당한다. 제5 단말(350)은 제6 단말(360)에, 제6 단말(360)은 제7 단말(370)에, 제7 단말(370)은 제8 단말(380)에 각각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4 단말(340)은 제5 단말(350), 제6 단말(360), 제7 단말(370)에 대하여 최초 동기화 소스(original synchronization source, original SS)가 될 수 있고, 제4 단말(340)은 제5 단말(350)에 대하여, 제5 단말(350)은 제6 단말(360)에 대하여, 제6 단말(360)은 제7 단말(370)에 대하여 각각 전송 동기화 소스(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ource, Tx SS)가 될 수 있다.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5는 최초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최대 제4 계층(기지국(eNodeB)를 제외할 경우 최대 제3 계층)이고,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최대 제3 계층일 때, D2D 동기화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 2-1)
본 실시예에서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ISS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0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0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내지 4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5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주파수-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0의 각 케이스 2 내지 7은 계층 레벨 인덱스가 1인 케이스 2 및 5, 계층 레벨 인덱스가 2인 케이스 3 및 6, 계층 레벨 인덱스가 3인 케이스 4 및 7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2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0의 값을 갖는 것은 PD2DSS에 의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2, 3, 4)에도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는 SD2DSS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D2DSS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으며,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5, 6, 7)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가반으로 504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의 PSSID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SS(Synchronization Source)인 경우의 PSSID는 eNodeB의 PCID를 기반으로 변형된 값이 사용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ISS의 UE ID를 기반으로 PSSID가 결정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내지 4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5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 인덱스(stratum level index)가 1인 케이스 2 및 5와, 계층 레벨 인덱스가 2인 케이스 3 및 6, 계층 레벨 인덱스가 3인 케이스 3 및 6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 정의된 PD2DSS의 3개의 루트 인덱스 값이 각각 X, Y, Z의 값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계층 레벨 인덱스가 1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X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 인덱스가 2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Y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 인덱스가 3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Z에 의해 지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새로 정의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들은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케이스 1)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2, 3, 4)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를 기반으로 특정 룰에 의해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eNodeB의 정확한 PC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5, 6, 7)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가반으로 168개 또는 168 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ISS의 정확한 PC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2-3)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eNodeB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ISS ID를 기반으로 PSSID가 결정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2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2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내지 4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5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한편,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이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주파수-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2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 인덱스가 1인 케이스 2와, 계층 레벨 인덱스가 2인 케이스 3과, 계층 레벨 인덱스가 3인 케이스 4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2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PD2DSCH의 2비트 정보는 커버리지 시나리오(coverage scenario)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PD2DSCH의 2비트 정보는 망외 커버리지(out-of-coverage)에서는 포함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케이스 5 내지 6에서는 PD2DSCH 대신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계층 레벨이 지시될 수 있다. 한편,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의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표 12의 케이스 5 내지 케이스 6은 각각의 계층 레벨에 따라 총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 정의된 PD2DSS의 3개의 루트 인덱스 값이 각각 X, Y, Z의 값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계층 레벨 인덱스가 1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X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 인덱스가 2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Y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 인덱스가 3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Z에 의해 지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새로 정의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들은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케이스 1)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2, 3, 4)에도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는 SD2DSS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D2DSS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으며,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5, 6, 7)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168개 또는 168 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ISS의 정확한 UE 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2-4)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의 PSSID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SS,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전송 동기화 소스의 UE ID를 기반으로 PSSID가 결정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3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3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내지 4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5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한편,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주파수-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3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 인덱스가 1인 케이스 2 및 5와, 계층 레벨 인덱스가 2인 케이스 3 및 6과, 계층 레벨 인덱스가 3인 케이스 4 및 7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2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케이스 1)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2, 3, 4, 5, 6, 7)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전송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504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전송 동기화 소스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4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7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4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내지 4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4 내지 케이스 6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오직 인덱스 0의 값을 갖는다. 또한, PD2DSS의 루트 인덱스인 25, 29, 34 중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4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 인덱스가 1인 케이스 2 및 5와, 계층 레벨 인덱스가 2인 케이스 3 및 6, 계층 레벨 인덱스가 3인 케이스 4 및 7의 3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 정의된 PD2DSS의 3개의 루트 인덱스 값이 각각 X, Y, Z의 값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계층 레벨이 1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X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이 2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Y에 의해 지시되고, 계층 레벨이 3인 경우에는 루트 인덱스 Z에 의해 지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새로 정의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들은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이거나, ISS이거나,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전송(Tx)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거나,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보다 작은 K개의 시퀀스로 매핑될 수 있다. 168개의 시퀀스와 일대일 매핑되는 경우의 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K개의 시퀀스와 일대일 매핑되는 경우에는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송 동기화 소스의 정확한 UE 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의 상단을 참조하면, 기지국(eNodeB, 400)은 제1 단말(410)에, 제1 단말(410)은 제2 단말(420)에, 제2 단말(420)은 제3 단말(430)에 각각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400)은 제1 단말(410), 제2 단말(420), 제3 단말(430)에 대하여 최초 동기화 소스(original synchronization source, original SS)가 될 수 있고, 기지국(400)은 제1 단말(410)에 대하여, 제1 단말(410)은 제2 단말(420)에 대하여, 제2 단말(420)은 제3 단말(430)에 대하여 각각 전송 동기화 소스(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ource, Tx SS)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하단을 참조하면, 제4 단말(440)은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스스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하므로 ISS에 해당한다. 상기 제4 단말(440)은 제5 단말(450)에 직접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4 단말(440)은 제5 단말(450)에 대하여, 최초 동기화 소스(original synchronization source, original SS)인 동시에, 전송 동기화 소스(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ource, Tx SS)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제 4단말(440)과 제 5단말(450) 사이에 임의의 단말들이 존재하여, 상기 제 4단말(440)은 상기 임의의 단말들 중 하나 이상에게 직접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들 중 제 4단말(440)을 최초 동기화 소스로 하는 단말은 제 5단말(450)에게 직접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즉 몇 번의 단말을 거쳐서 최초 동기화 소스인 제 4단말(440)의 동기가 제 5단말(450)에 전송 되었더라도, 제 5단말(450)은 계층 레벨로 제 1계층을 가정한다. 다시 말해,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에는 계층 레벨을 다 동일한 값으로 가정하거나 따로 정의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5는 최초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최대 제3 계층이고(기지국(eNodeB)를 제외할 경우 최대 제2 계층),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최대 제1 계층일 때(또는 정의되지 않을 때), D2D 동기화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 3-1)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에서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ISS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5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5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4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최초 동기화 소스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eNodeB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이고,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주파수-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5에서 이러한 조건에 해당하는 케이스 2 및 3은 계층 레벨이 제2 계층인 케이스 2 및 계층 레벨이 제3 계층인 케이스 3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은 1가지 경우이므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전송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는 케이스 4의 1가지 경우이므로, 최초 동기화 소스에 관한 정보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에도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는 SD2DSS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D2DSS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으며,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가반으로 504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는 SD2DSS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실시예 3-2)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의 PSSID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SS(Synchronization Source)인 경우의 PSSID는 eNodeB의 PCID를 기반으로 변형된 값이 사용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ISS의 UE ID를 기반으로 PSSID가 결정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전송 동기화 소스가 지시된다. 표 16의 케이스 1에서는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이므로,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동일한 25, 29, 34 중 하나의 값이 사용된다. 반면에,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는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케이스 4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4에서 선택된 3개의 루트 인덱스들을 각각 X, Y, Z라 한다면,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2 또는 3에서는 루트 인덱스 X 또는 Y에 의해 지시될 수 있고,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케이스 4에서는 Z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 및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에서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한편,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는 새로 정의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새로 정의된 PD2DSS의 3개의 루트 인덱스 값을 각각 X, Y, Z라 한다면,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의 각각의 케이스들은 X, Y, Z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2는 X에 의해 지시되고, 케이스 3은 Y에 의해 지시되고, 케이스 4는 Z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케이스 1)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2, 3)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를 기반으로 특정 룰에 의해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eNodeB의 정확한 PC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4)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168개 또는 168 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ISS의 정확한 PC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3-3)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또는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ISS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개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7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7의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는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4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이고,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시간-주파수 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5에서 이러한 조건에 해당하는 케이스 2 및 3은 계층 레벨이 제2 계층인 케이스 2 및 계층 레벨이 제3 계층인 케이스 3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은 1가지 뿐이므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전송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는 케이스 4의 1가지 경우이므로, 최초 동기화 소스에 관한 정보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따로 지시될 필요가 없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에도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는 SD2DSS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D2DSS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으며,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인 경우(케이스 4)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ISS에 해당하는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168개 또는 168 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 미만의 K값에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ISS의 정확한 UE 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3-4)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 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SS,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전송 동기화 소스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8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의 2가지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8의 각 케이스들은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인 케이스 4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케이스 1 이외의 경우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 동기화 소스에 관한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지시할 필요가 없다.
동기화 소스가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주파수-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전송되는 위치 또는 PD2DSCH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8의 각 케이스들은 계층 레벨이 2인 케이스 2와, 계층 레벨이 3인 케이스 3의 2가지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PD2DSCH의 지시 값은 1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전송(Tx)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매핑 룰을 기반으로 504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PSSID는 504(=3*168)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실시예 3-5)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 SS)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eNodeB의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504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소스(SS)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SS,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는 전송 동기화 소스의 UE ID를 기반으로 한 PSS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고유한 PSSID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동기화 소스의 타입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9의 각 케이스들은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과,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의 2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 같은 25, 29, 34를 사용하고,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경우의 PD2DSS는 PSS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 4의 루트 인덱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는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2 및 3과,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케이스 4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4에서 선택된 3개의 루트 인덱스들을 각각 X, Y, Z라 한다면,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2 또는 3에서는 루트 인덱스 X 또는 Y에 의해 지시될 수 있고,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케이스 4에서는 Z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계층 레벨(stratum level)은 PD2DSS의 루트 인덱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동기화 소스 및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케이스 1에서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한편, 전송 동기화 소스가 UE인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는 새로 정의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새로 정의된 PD2DSS의 3개의 루트 인덱스 값을 각각 X, Y, Z라 한다면, 케이스 2 내지 케이스 4의 각각의 케이스들은 X, Y, Z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2는 X에 의해 지시되고, 케이스 3은 Y에 의해 지시되고, 케이스 4는 Z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인 경우에는 eNodeB의 PCID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 셀 ID()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셀 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는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2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 같은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는 168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는 SD2DSS의 루트 인덱스와 일대일 매핑되어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SD2DSS의 값은 SSS와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타입이 eNodeB로부터 파생된 동기화 소스,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는 전송(Tx) UE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UE를 기반으로 특정한 매핑 룰에 의하여 168개 또는 168보다 작은 K개의 ID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SID는 0 내지 167의 범위 값 또는 0 내지 K-1의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SSID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SD2DSS에 의한 는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와 일대일 매핑되거나,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168보다 작은 K개의 시퀀스로 매핑될 수 있다. 168개의 시퀀스와 일대일 매핑되는 경우의 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고, K개의 시퀀스와 일대일 매핑되는 경우에는 0 내지 K-1 사이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송 동기화 소스의 정확한 UE ID는 PD2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도 5를 참조하면, D2D 동기화 소스(500)는 RF부(RF(radio frequency) unit, 505), 프로세서(processor, 510) 및 메모리(memory, 515)를 포함한다. 메모리(515)는 프로세서(5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5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505)는 프로세서(5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505)는 D2D 수신 단말(550)로 D2DSS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10)는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모든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동기화 정보 확인부(511) 및 D2DSS 생성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정보 확인부(511)는 D2DSS 생성을 위한 동기화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의 타입,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계층 레벨(stratum level)를 포함한다.
D2DSS 생성부(513)는 동기화 정보 확인부(511)에서 확인된 동기화 소스의 타입, PSSID, 계층 레벨의 정보를 기반으로 D2DSS를 생성한다. 상기 D2DSS는 PD2DSS, SD2DSS, PD2DS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SS에 의해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의 타입,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계층 레벨(stratum level)의 정보가 지시될 수 있고, 이 중 일부의 정보는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D2DSS의 위치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D2DSS를 기반으로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의 타입,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계층 레벨(stratum level) 등 동기화 소스에 대한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서 단말(500)의 동작은 프로세서(5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15)는 프로세서(5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5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515)는 동기화 정보를 저장하고, 본 명세서에 따른 PD2DSS, SD2DSS, PD2DSCH, 시간-주파수 자원 공간에서 D2DSS가 수신된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510)의 요구에 따라 프로세서(510)에게 상기 동기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2D 수신 단말(550)은 프로세서(555), 메모리(560)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565)을 포함한다. RF부(565)는 프로세서(555)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555)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55)는 D2DSS 확인부(557), 동기화부(559)를 포함할 수 있다.
D2DSS 확인부(557)는 D2D 동기화 소스(500)로부터 수신된 D2DSS를 확인하여, 이로부터 지시되는 동기화 정보를 추정한다. 상기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의 타입,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계층 레벨(stratum level)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화 정보들을 지시하는 D2DSS는 PD2DSS, SD2DSS, PD2DSC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 중 일부는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D2DSS의 위치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동기화부(512)는 상기 D2DSS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소스와의 동기를 획득한다.
*
*
D2D 동기화 소스(500)의 프로세서(510) 또는 D2D 수신 단말(550)의 프로세서(555)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동기화 정보에 따른 D2DSS의 구성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서로 다른 타입의 동기화 소스에 대한 PD2DSS의 구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 설명은, 도 4와 같이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최대 제3 계층(기지국(eNodeB)를 제외할 경우 최대 제2 계층)이고,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의 계층 레벨이 제1 계층일 때(또는 정의되지 않을 때)를 기반으로 하나, 도 2 및 도 3을 통해 언급한 경우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구성 1) 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
이 때의 PD2DSS는 eNodeB로부터 UE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이며, 상기 UE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의 UE일 수 있다. 이 때, 최초 동기화 소스 및 전송 동기화 소스가 모두 eNodeB이므로, PSS와 동일한 PD2DSS가 전송된다. 따라서, PSS와 동일한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25, 29, 34 중 하나의 값을 갖는다.
도 4의 경우로 예를 든다면, 기지국(400)으로부터 제1 단말(410)로의 전송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구성 2) 동기화 소스가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이고, 전송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의 UE인 경우
이 때 전송되는 PD2DSS는 PSS로부터 변형된(예를 들어 루트 인덱스 등) 동기화 신호이며, 상기 PD2DSS는 D2DSSue_net에 속하는 D2DSS 시퀀스로부터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D2DSSue_net은 전송 타이밍 참조(transmission timing reference)가 eNodeB인 UE로부터 전송되는 D2DSS 시퀀스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D2D 동기 신호의 전송은 UE로부터 UE로의 전송이며, 전송측(Tx) UE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UE이며, 수신측(Rx) UE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UE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측(Tx) UE는 PSS/SSS로부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eNodeB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통해 얻게 된 동기 정보를 D2DSSue_net에 속하는 제1 D2DSS 시퀀스(제1 PD2DSS 시퀀스+제1 SD2DSS 시퀀스)로부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통해 상기 수신측(Rx) UE에게 전송한다.
도 4의 경우로 예를 든다면, 제1 단말(410)로부터 제2 단말(420)로의 전송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표 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새로 정의된 3개의 루트 인덱스를 각각 X, Y, Z라 한다면, 이 경우, X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PD2DSS 시퀀스를 위한 루트 인덱스로는 X가 사용될 수 있다.
구성 3) 동기화 소스가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이고, 전송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out-coverage)의 UE인 경우
이 때 전송되는 PD2DSS는 전송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UE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D2DSSue_net에 속하는 D2DSS 시퀀스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전송측(Tx) UE 및 수신측(Rx) UE는 모두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UE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측(Tx) UE는 D2DSSue_net에 속하는 제1 D2DSS 시퀀스(제1 PD2DSS 시퀀스+제1 SD2DSS 시퀀스)로부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UE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통해 얻게 된 동기 정보를 D2DSSue_net에 속하는 제2 D2DSS 시퀀스(제2 PD2DSS 시퀀스+제2 SD2DSS 시퀀스)로부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통해 상기 수신측(Rx) UE에게 전송한다.
도 4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제2 단말(420)로부터 제3 단말(430)로의 전송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표 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새로 정의된 3개의 루트 인덱스를 각각 X, Y, Z라 한다면, 전송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UE일 때와는 다른 루트 인덱스인 Y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PD2DSS 시퀀스를 위한 루트 인덱스로는 Y가 사용될 수 있다.
구성 4) 동기화 소스가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
이 때 전송되는 PD2DSS는 PSS로부터 변형된(예를 들어 루트 인덱스 등) 동기 신호일 수 있다. 상기 PD2DSS는 D2DSSue_oon에 속하는 D2DSS 시퀀스로부터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D2DSSue_oon은 전송 타이밍 참조(transmission timing reference)가 eNodeB가 아닌 UE로부터 전송되는 D2DSS 시퀀스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 때, 전송측(Tx) 및 수신측(Rx) UE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UE이며, 전송측(Tx) UE는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측(Tx) UE가 ISS인 경우, 상기 전송측(Tx) UE는 자기 자신의 동기 정보를 D2DSSue_oon에 속하는 제3 D2DSS 시퀀스(제3 PD2DSS 시퀀스+제3 SD2DSS 시퀀스)로부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통해 상기 수신측(Rx) UE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측(Tx) UE가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 상기 전송측(Tx) UE는 D2DSSue_oon에 속하는 제3 D2DSS 시퀀스(제3 PD2DSS 시퀀스+제3 SD2DSS 시퀀스)로부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다른 SS로부터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서 이를 통해 얻게 된 동기 정보를 D2DSSue_oon에 속하는 제3 D2DSS 시퀀스(제3 PD2DSS 시퀀스+제3 SD2DSS 시퀀스)로부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통해 상기 수신측(Rx) UE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제4 단말(440)로부터 제5 단말(450)로의 전송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 때, PD2DSS의 루트 인덱스는 PSS의 루트 인덱스와는 다른 새로 정의된 루트 인덱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표 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새로 정의된 3개의 루트 인덱스를 각각 X, Y, Z라 한다면, 동기화 소스가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의 X, Y와는 다른 Z가 루트 인덱스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PD2DSS 시퀀스를 위한 루트 인덱스로는 Z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D2D 수신(Rx)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있을 때의 PD2DSS의 구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D2D 수신(Rx) UE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D2D 수신 UE는 eNodeB로부터 PSS/SSS를 탐색(detect)하며, 이를 타이밍 참조(timing reference)로 선택한다. 이 때, PSS는 전술된 구성 1의 PSS에 해당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D2D 수신 UE는 eNodeB로부터의 PSS/SSS 이외에도 다른 D2DSS를 탐색할 수도 있지만, eNodeB로부터의 PSS/SSS를 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두고 이를 타이밍 참조(timing reference)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D2D 수신 UE는 다른 UE로 D2DSS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송신되는 PD2DSS는 구성 2의 PD2DSS에 해당될 수 있다.
2)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D2D 수신(Rx) UE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D2D 수신 UE는 하나 이상의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D2DSS를 탐색하여 이 중 하나의 신호를 타이밍 참조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의 D2D 전송 UE는 ISS, eNodeB로부터 파생된 SS, ISS로부터 파생된 SS 중 하나일 수 있다. 만약, D2DSS가 탐색되지 않는다면 스스로 ISS가 될 수도 있다. 이 때, 탐색된 PD2DSS는 루트 인덱스가 X, Y, Z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하에서는 각각의 경우에서의 타이밍 참조 선택 방법 및 D2D 수신 UE가 새로운 동기화 소스가 되었을 때의 PD2DSS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루트 인덱스가 X인 PD2DSS를 수신하여 선택하는 경우
이 경우의 D2D 수신 UE는 전술된 구성 2에 해당하는 PD2DSS를 포함하는 D2DSS를 탐색하고, 이를 타이밍 참조로 선택한다. 상기 UE가 D2DSS의 동기화 소스가 된다면, D2DSS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 때 송신되는 PD2DSS는 전술된 구성 3의 PD2DSS로 구성될 수 있다.
b) 루트 인덱스가 Y인 PD2DSS를 수신하여 선택하는 경우
이 경우의 D2D 수신 UE는 전술된 구성 3에 해당하는 PD2DSS를 포함하는 D2DSS를 탐색하고, 이를 타이밍 참조로 선택한다. 상기 UE가 D2DSS의 동기화 소스가 된다면, D2DSS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 때 송신되는 PD2DSS는 전술된 구성 3의 PD2DSS로 구성될 수 있다.
c) 루트 인덱스가 Z인 PD2DSS를 수신하여 선택하는 경우
이 경우의 D2D 수신 UE는 전술된 구성 4에 해당하는 PD2DSS를 포함하는 D2DSS를 탐색하고, 이를 타이밍 참조로 선택한다. 상기 UE가 D2DSS의 동기화 소스가 된다면, D2DSS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 때 송신되는 PD2DSS는 전술된 구성 4의 PD2DSS로 구성될 수 있다.
d) D2DSS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이 경우의 D2D 수신 UE는 스스로 ISS가 되어 D2DSS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송신되는 PD2DSS는 전술된 구성 4의 PD2DSS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D2D 수신 UE가 루트 인덱스가 X, Y, Z인 PD2DSS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 X>Y>Z의 순서로 타이밍 참조를 선택할 수 있고, 다른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 또는 ISS일 때, 각각의 홉 카운트(hop count) 및 계층 레벨에 따른 전술한 구성 1 내지 구성 4의 PD2DSS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최초 동기화 소스가 eNodeB 일 때, 각각의 홉 카운트에 대한 계층 레벨 및 D2DS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홉 카운트가 1인 경우에는, 계층 레벨은 0으로 설정되고, 이 때 전송되는 D2DSS는 전술된 구성 1의 PSS를 포함할 수 있다. 홉 카운트가 2인 경우, 계층 레벨은 1로 설정되고, 이 때 전송되는 D2DSS는 전술된 구성 2의 PD2DSS를 포함할 수 있다. 홉 카운트가 3인 경우, 계층 레벨은 2로 설정되고, 이 때 전송되는 D2DSS는 전술된 구성 3의 PD2DSS를 포함할 수 있다. 홉 카운트가 4 이상인 경우에는, 계층 레벨은 2로 설정되고, 이 때 전송되는 D2DSS는 전술된 구성 3의 PD2DSS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2 또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각 실시예들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며,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최초 동기화 소스가 ISS 일 때, 각각의 홉 카운트에 대한 계층 레벨 및 D2DS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홉 카운트가 1인 경우, 계층 레벨은 0으로 설정되고, 이 때 전송되는 D2DSS는 전술된 구성 4의 PD2DSS를 포함할 수 있다. 홉 카운트가 1 이상인 경우에는, 계층 레벨은 0으로 설정되고, 이 때 전송되는 D2DSS 역시 전술된 구성 4의 PD2DSS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각 실시예들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며,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SD2DSS의 시퀀스는 SSS의 시퀀스와 동일하게 길이 31의 이진 시퀀스 2개를 인터리브(interleave)하여 생성한 168개의 시퀀스 중 하나의 시퀀스를 사용하도록 정의될 수 있고, 상기 168개의 시퀀스를 갖는 SSS로부터 변형되거나 일부 선택된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K개의 시퀀스만을 사용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K는 168보다 작은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2D 수신 UE가 수신된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을 기반으로 D2D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2D 전송 모드 추정 방법은 우선, 하나 이상의 D2DSS를 수신하고(S605), 수신된 D2DSS내에서 PD2DSS를 추출하여, 상기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을 추정한다(S615). 다음으로, D2D 수신 UE는 상기 루트 인덱스 값이 25, 29, 34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D2DSS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620), 이에 해당하는 D2DSS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D2D 전송 모드는 구성 1의 D2DSS를 타이밍 참조로 선택한다(S625).
한편, 단계 S620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정의된 값들 중 X에 해당하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630), 이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는 경우, 구성 2의 D2DSS를 타이밍 참조로 선택한다(S635). 상기 미리 정의된 루트 인덱스 값은 표 4에 따른 루트 인덱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3개의 루트 인덱스 중 첫 번째 값이 X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620 및 S630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정의된 값들 중 Y에 해당하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640), 이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는 경우, 구성 3의 D2DSS를 타이밍 참조로 선택한다(S645). 미리 정의된 루트 인덱스 값은 표 4에 따른 루트 인덱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3개의 루트 인덱스 중 두 번째 값이 Y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620, S630 및 S640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정의된 값들 중 Z에 해당하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650), 이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 값이 존재하는 경우, 구성 4의 D2DSS를 타이밍 참조로 선택한다(S655). 미리 정의된 루트 인덱스 값은 표 4에 따른 루트 인덱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3개의 루트 인덱스 중 세 번째 값이 Z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620, S630, S640 및 S650에서 25, 29, 34, X, Y, Z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 값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말 스스로 ISS가 되어 D2DSS를 송신할 수 있다(S660). 이 때 송신되는 D2DSS는 전술된 구성 4의 PD2DS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는 PD2DSS의 루트 인덱스로써, 구성 1의 경우(동기화 소스가 eNodeB인 경우, PSS/SSS 구성) PSS의 루트 인덱스인 25, 29, 34 중 하나를 사용하며, 구성 2의 경우(동기화 소스가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이고 전송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의 UE인 경우, D2DSSue_net에 속하는 D2DSS 시퀀스 구성) 3개의 새로운 루트 인덱스들 중 하나(예를 들어, 표 4에 따른 3개의 새로운 루트 인덱스들 중 첫 번째 값인 X)를 사용하며, 구성 3의 경우(동기화 소스가 eNodeB로부터 파생된 SS이고 전송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out-coverage)의 UE인 경우, D2DSSue_net에 속하는 D2DSS 시퀀스 구성) 3개의 새로운 루트 인덱스들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표 4에 따른 3개의 새로운 루트 인덱스들 중 두 번째 값인 Y)를 사용하며, 구성 4의 경우(동기화 소스가 ISS 또는 ISS로부터 파생된 SS인 경우, D2DSSue_oon에 속하는 D2DSS 시퀀스 구성) 3개의 새로운 루트 인덱스들 중 또 다른 하나(예를 들어, 표 4에 따른 3개의 새로운 루트 인덱스들 중 세 번째 값인 Z)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였다.
만약, 상기 3개의 새로운 루트 인덱스들을 정의하지 않고 기존 PSS를 위한 3개의 루트 인덱스들인 25, 29, 34만을 사용한다면, 본 발명에서 X는 25, 29, 34 중 하나(예를 들어 상기 설명에서 X=25)로 Y는 25, 29, 34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상기 설명에서 Y=29)로 Z는 25, 29, 34 중 또 다른 하나(예를 들어 상기 설명에서 Z=34)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2D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장치에 따라 효율적으로 D2D 동기화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