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8437B1 -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437B1
KR102638437B1 KR1020230101156A KR20230101156A KR102638437B1 KR 102638437 B1 KR102638437 B1 KR 102638437B1 KR 1020230101156 A KR1020230101156 A KR 1020230101156A KR 20230101156 A KR20230101156 A KR 20230101156A KR 102638437 B1 KR102638437 B1 KR 10263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far
gas reduction
reduction band
oxyg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금용
송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케이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케이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제이앤케이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3010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4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1Making filter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에 관한 것으로,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을 포함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크기를 작게 분화하여 산소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 등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배기가스 저감밴드에 포함된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의 크기를 작게 분화하여 산소의 농도를 높이며, 작은 크기의 산소가 폭발함에 따라 엔진의 소음은 감소하는 반면, 높아진 산소의 농도만큼 폭발 횟수가 증가하므로 엔진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EXHAUST GAS REDUCTION BAN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배기가스 저감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은 기관의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피스톤 또는 터빈 등에 작용함으로써 동력을 얻는 기관으로, 대표적인 내연기관으로는 자동차 엔진이 있으며,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을 연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 엔진의 연료는 여러 종류의 탄화수소 혼합물로서, 현재의 기술로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를 완전연소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배기가스에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아황산가스(SO2) 등의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대기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1(제10-2002-0029056) 및 특허문헌2(제10-2004-0068792)와 같은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관한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29056)은 자동차의 연료공급부에 결합되는 연료절감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자력을 통해 연료를 클러스터화 시켜 산소와의 반응성을 높이는 연료절감기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영구자석편들이 중공관체 내부에 서로 어긋나게 일렬로 삽입되어 배열된 구조로서,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연료의 통과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연료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구자석편의 표면이 지속적으로 연료에 노출되어 산화, 부식이 발생하거나 영구자석편들 간의 유격으로 인해 연구자석편들이 원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차량 운행과정에서 반복되는 미세진동 등에 의해 연구자석편들이 파손되어 자력의 감소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8792)는 디젤엔진 매연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라믹 필터의 전방에 구비된 전기히터가 필터에 포집된 매연을 주기적으로 연소시킴으로써 제거하는 디젤엔진 매연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전기히터의 과열로 인해 필터에서 열적 부하가 발생하여 필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매연의 재생온도까지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용량이 큰 배터리가 필요하므로, 이를 설치 및 관리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0029056호 (공개일:2002.04.17) 특허문헌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68792호 (공개일:2004.08.0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대상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기가스를 저감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 및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기가스를 저감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및 폴리염화비닐(PVC)을 포함하고, 탈부착 가능한 밴드(band)형태로 구비되어 부착된 대상물로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는 10 : 90 내지 20 : 80 중량부 비의 혼합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은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로 구성되는 혼합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혼합조성물은 게르마늄 26 내지 30, 숯가루 12 내지 16, 맥반석 26 내지 30, 유황 1 내지 5, 벤토나이트 25 내지 29 중량부 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은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가 28 : 14 : 28 : 3 : 27 중량부 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를 소정의 중량부 비로 배합하는 단계, 배합물을 항온실에 보관하는 단계, 배합물을 팰릿 상태로 제조하여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에 폴리염화비닐(PVC)를 소정의 중량부 비로 혼합하는 단계, 혼합물을 금형을 통해 밴드(band) 형상으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의 크기는 각각 적어도 200메쉬(mesh)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를 소정의 중량부 비로 배합하는 단계에서, 게르마늄 26 내지 30, 숯가루 12 내지 16, 맥반석 26 내지 30, 유황 1 내지 5, 벤토나이트 25 내지 29 중량부 비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배합물을 섭씨 15도의 항온실에서 30일 동안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을 10 : 90 내지 20 : 80 중량부 비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내연기관 자동차의 흡기 파이프 또는 에어필터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크기를 작게 분화하고,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작동 시 온도를 낮춤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보일러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내연기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대상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를 저감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 및 관리하는데 발생하는 시간 및 비용적 손실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흡기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가 구비된 내연기관 자동차가 흡입한 공기와 연료를 연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가 내연기관 자동차의 흡기 파이프 또는 에어필터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내연기관은 실린더 또는 연소실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에너지를 얻는 기관으로서, 가솔린, 디젤, LPG(Liquefied Petroleum Gas), 천연가스, 수소 및 고체연료 등의 연료와 공기 등의 산화제가 혼합한 혼합기를 연소하여 생긴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다. 이러한 내연기관은 일반적으로 연료와 산화제를 실린더 안으로 흡입하는 흡입 행정, 실린더 안의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물을 피스톤으로 압축하는 압축 행정, 혼합물의 폭발력으로 피스톤이 밀려 내려가는 폭발 행정 및 배기가스를 외부로 내보내는 배기 공정을 포함하는 4행정기관을 사용하며, 이때 산화제로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내연기관은 각종 농기계 및 산업장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선박, 에어컨 및 보일러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산소의 공급이 불충분하거나 연료과잉 또는 연료부족 상태에서의 연소를 불완전연소라고 하며, 불완전연소는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배출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기를 연소하여 동력을 얻는 각종 농기계 및 산업장비, 자동차, 선박, 에어컨 및 보일러 등의 내연기관에 구비됨으로써 연소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불완전연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소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내연기관 자동차 흡기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공기는 흡기 파이프 및 에어필터 등을 포함하는 공기 흡기구를 통해 내연기관의 내부로 흡입되고, 실린더 안에서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공기와 연료의 혼합물이 불완전연소하는 경우 배기가스에 각종 해로운 성분이 포함되어 배출되게 되며, 이러한 배기가스는 각종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심각한 원인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연소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속에 포함된 해로운 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배기가스 저감밴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및 폴리염화비닐(PV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내연기관 자동차 등의 대상물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연료의 연소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가 구비된 내연기관 자동차가 흡입한 공기와 연료를 연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흐르는 흡기 파이프 및 에어필터 등 공기흡입구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공기를 활성화시키고, 산소를 작은 크기로 분화하여 산소의 농도를 높이며, 높아진 산소의 농도만큼 폭발하는 횟수가 증가함으로써 엔진의 출력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작은 크기의 산소가 폭발하게 되므로 폭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흡기 파이프 또는 에어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상기 전자기파의 파동에너지와 공기의 상호반응을 통해 흡기구 내 공기를 미세화 시킴으로써 엔진으로 흡입되는 산소의 농도를 높여 완전연소율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전자기파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전기장 및 자기장의 두 진동면에 모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동으로, 가시광선,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자외선, 엑스선, 감마선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은 파장이 25 ㎛ 이상인 적외선으로, 원적외선은 조사하는 물질의 분자들간 상호작용 및 분자들의 고유진동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즉, 원적외선은 공기중의 분자들의 진동을 증폭시켜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연료 분자를 활성 이온화시켜 분자 결합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산소와 결합이 쉬운 상태로 만든다. 이에 따라 연소율이 향상되며,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의 불완전연소에 의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되던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아황산가스(SO2) 등의 유해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이 10 : 90 내지 20 : 80 중량부 비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는 15 : 85 중량부 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는 15.4 : 84.6 중량부 비로 혼합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은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로 구성되는 혼합조성물일 수 있으며, 해당 혼합조성물은 게르마늄 26 내지 30, 숯가루 12 내지 16, 맥반석 26 내지 30, 유황 1 내지 5, 벤토나이트 25 내지 29 중량부 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은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가 28 : 14 : 28 : 3 : 27 중량부 비로 혼합되는 혼합조성물일 수 있다.
게르마늄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띠는 준금속 원소로 규소나 주석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며, 시중 구입이 가능한 원소로서 전자 산업, 광학 산업, 합금 산업 및 유리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상온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광물이다.
숯은 목재를 무산소환경에서 가열해 탄화한 것으로, 성분의 대부분이 탄소로서 연로로 사용됨은 물론, 수많은 미세공을 가지는 성질에 따라 탈취, 제습, 가습 및 정수 등에 사용되는 필터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다량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맥반석은 반암에 속하는 암석으로, 주성분은 무수 규산(SiO)과 산화알루미늄(AlO)이고, 산화제2철(Fe0)가 소량 함유되어 있다. 맥반석은 다공질 암석으로 자연상태에서도 대기 또는 수중에 포함된 중금속, 이물질 등을 흡착하여 정화 작용을 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특징이 있다.
유황은 비금속 원소로 자연상태에서는 순수한 황 또는 황화물이나 황산염의 형태로 존재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주로 비료, 화약, 살충제 및 살균제 등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벤토나이트는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가 주성분인 점토로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석영, 장석 및 제올라이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배기가스 저감밴드 제조방법
이상으로 설명한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 제조방법은 성분 배합 단계(S100); 항온실 보관 단계(S200);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제조 단계(S300);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및 폴리염화비닐(PVC) 혼합 단계(S400); 및 배기가스 저감밴드 사출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를 각각 소정의 중량부 비로 배합한다(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에서 배합되는 복수개의 성분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성분의 크기는 적어도 200메쉬(mesh) 이상일 수 있으며, 게르마늄 26 내지 30, 숯가루 12 내지 16, 맥반석 26 내지 30, 유황 1 내지 5, 벤토나이트 25 내지 29 중량부 비로 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합물을 항온실에 보관한다(S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에서는 성분 배합 단계(S100)에서 배합한 배합물을 14 ℃의 항온실에서 30일간 보관한다.
다음으로, 항온실에 보관한 성분을 팰릿 상태로 제조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제조한다(S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에서는 단14 ℃의 항온실에서 30일간 보관한 성분을 압출하여 펠릿 상태로 만듦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을 소정의 중량부 비로 혼합한다(S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에서는 펠릿 상태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을 10 : 90 내지 20 : 80 중량부 비로 혼합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을 15 : 85 중량부 비로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사출한다(S5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에서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의 혼합물을 사출 공정을 통해 띠 형상의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생산한다. 한편, 배기가스 저감밴드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여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별도의 설치 또는 해제 과정이 필요 없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가 내연기관 자동차의 흡기 파이프 또는 에어필터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띠 형상의 밴드(band) 형태로 형성되어, 각종 농기계 및 산업장비, 내연기관 자동차, 선박, 에어컨 및 보일러 등의 내연기관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흡기 파이프 또는 에어필터의 표면에 부착되고,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공기 중에 산소의 크기를 작게 분화함으로써 연소율을 향상시켜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는,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전기자동차에 부착되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작동 시 온도를 낮춤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는, 배기가스 저감밴드는 보일러의 공기흡입구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는, 선박의 내연기관에 구비되는 흡기구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실험: 소음 측정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였다. 차량의 차종은 XM3이고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며, 차량의 연식은 2022년이고, 주행거리는 약 33,000km이다. 아래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경우,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부착하기 전 대비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부착한 후 소음이 21%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출력 측정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의 출력 정도를 측정하였다. 차량의 차종은 XM3이고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며, 차량의 연식은 2022년이고, 주행거리는 약 33,000km이다. 아래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경우,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부착하기 전 대비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부착한 후 최대 출력이 17%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배기가스 측정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의 매연 배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차량의 차종은 산타페, 포터, 카니발이고, 차량의 연식은 각각 2003년, 2005년, 2010년이며, 각각 2회씩 측정하였다. 아래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경우,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부착하기 전 대비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부착한 후 매연의 배출 농도가 88 내지 92 % 감소되어, 배출되는 매연의 농도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연비 측정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의 연비를 측정하였다. 차량의 차종은 산타페, 포터, 카니발이고, 차량의 연식은 각각 2003년, 2005년, 2010년이며, 주행거리는 각각 55km, 50km, 53km이고, 각각 2회씩 측정하였다. 아래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경우,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부착하기 전 대비 배기가스 저감밴드를 부착한 후 연비가 30 내지 34 % 증가되어, 연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변형된 구현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100: 성분 배합 단계 S200: 항온실 보관 단계
S300: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제조 단계
S400: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및 폴리염화비닐(PVC) 혼합 단계
S500: 배기가스 저감밴드 사출 단계

Claims (15)

  1.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및 폴리염화비닐(PVC)을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은 10 : 90 내지 20 : 80 중량부 비의 혼합 조성을 가지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은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로 구성되는 혼합조성물이며,
    상기 혼합조성물은 게르마늄 26 내지 30, 숯가루 12 내지 16, 맥반석 26 내지 30, 유황 1 내지 5, 벤토나이트 25 내지 29 중량부 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은,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가 28 : 14 : 28 : 3 : 27 중량부 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6. 각각 적어도 200메쉬(mesh) 이상인 게르마늄, 숯가루, 맥반석, 유황 및 벤토나이트를, 게르마늄 26 내지 30, 숯가루 12 내지 16, 맥반석 26 내지 30, 유황 1 내지 5, 벤토나이트 25 내지 29 중량부 비로 배합하는 단계;
    배합물을 15 ℃ 조건 하에서 항온실에서 30일 동안 보관하는 단계;
    상기 배합물을 팰릿 상태로 제조하여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과 폴리염화비닐(PVC)을 10 : 90 내지 20 : 80 중량부 비로 혼합하는 단계;
    혼합물을 금형을 통해 밴드(band) 형상으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내연기관 자동차의 흡기 파이프 또는 에어필터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크기를 작게 분화하고, 상기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12. 제 1항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작동 시 온도를 낮춤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13. 제 1항에 있어서,
    보일러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높임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14. 제 1항에 있어서,
    에어컨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높임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15. 제 1항에 있어서,
    선박의 내연기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연소율을 높임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밴드.
KR1020230101156A 2023-08-02 2023-08-02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63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156A KR102638437B1 (ko) 2023-08-02 2023-08-02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156A KR102638437B1 (ko) 2023-08-02 2023-08-02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437B1 true KR102638437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156A Active KR102638437B1 (ko) 2023-08-02 2023-08-02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43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56A (ko) 2002-04-02 2002-04-17 이광래 연료절감기
KR20030012511A (ko) * 2001-08-01 2003-02-12 정몽선 숯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플라스틱 제품
KR20040068792A (ko) 2003-01-27 2004-08-02 일진전기 주식회사 디젤엔진 매연저감장치
KR20060023065A (ko) * 2004-09-08 2006-03-13 이수학 원적외선 방사용 항균성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차량 시트
KR20060038980A (ko) * 2006-04-10 2006-05-04 최문구 내연기관의 에어클리너 호스
KR20070076552A (ko) * 2007-02-09 2007-07-24 방영식 원적외선 방사 침대
KR100771190B1 (ko) * 2006-04-28 2007-10-29 주식회사 에스엘티테크놀리지 차량 엔진의 냉각수용 첨가제
KR20100023019A (ko) * 2010-02-04 2010-03-03 이응우 기능성 수지 조성물
KR20100119460A (ko) * 2009-04-30 2010-11-09 김경희 제독기능을 향상시키고 고체분말형상 uv 차단제가 포함된 염전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염전용 바닥재
KR20130078274A (ko) * 2011-12-30 2013-07-10 경대호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저감용 촉매제 및 상기 촉매제를 이용한 배출가스 저감장치
KR20190029130A (ko) * 2017-09-12 2019-03-20 익상 최 내연기관의 연료 절감용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절감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511A (ko) * 2001-08-01 2003-02-12 정몽선 숯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플라스틱 제품
KR20020029056A (ko) 2002-04-02 2002-04-17 이광래 연료절감기
KR20040068792A (ko) 2003-01-27 2004-08-02 일진전기 주식회사 디젤엔진 매연저감장치
KR20060023065A (ko) * 2004-09-08 2006-03-13 이수학 원적외선 방사용 항균성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차량 시트
KR20060038980A (ko) * 2006-04-10 2006-05-04 최문구 내연기관의 에어클리너 호스
KR100771190B1 (ko) * 2006-04-28 2007-10-29 주식회사 에스엘티테크놀리지 차량 엔진의 냉각수용 첨가제
KR20070076552A (ko) * 2007-02-09 2007-07-24 방영식 원적외선 방사 침대
KR20100119460A (ko) * 2009-04-30 2010-11-09 김경희 제독기능을 향상시키고 고체분말형상 uv 차단제가 포함된 염전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염전용 바닥재
KR20100023019A (ko) * 2010-02-04 2010-03-03 이응우 기능성 수지 조성물
KR20130078274A (ko) * 2011-12-30 2013-07-10 경대호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저감용 촉매제 및 상기 촉매제를 이용한 배출가스 저감장치
KR20190029130A (ko) * 2017-09-12 2019-03-20 익상 최 내연기관의 연료 절감용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절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7734A5 (ko)
CN101660468A (zh) 内燃机消声与风冷静态触媒器的废气回收系统装置
US20090120416A1 (en) Fuel activator using multiple infrared wavengths
Saravanan et al. An insight on hydrogen fuel injection techniques with SCR system for NOX reduction in a hydrogen–diesel dual fuel engine
ES2629773T3 (es)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de un motor diesel con miras a facilitar la regeneración de un filtro de partículas en el sistema de escape
CN1084838C (zh) 减少柴油机燃料中有毒废物的装置
CN202417761U (zh) 一种蜂窝陶瓷滤芯及具有该滤芯的过滤器
KR102638437B1 (ko) 배기가스 저감밴드 및 그 제조방법
CN110280265A (zh) 一种用于低温下催化dpf被动再生的多元金属氧化物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6224135A (zh) 一种节能环保流体燃料处理器
Arslan et al. Influence of fuel types and combustion environment on emission of VOCs from combustion sources: a review
Bargos et al. Predicting the Equilibrium Product Formation in Oxy-fuel Combustion of Octane (C8H18) using Numerical Modeling
CN201014479Y (zh) 改良的外燃机的助燃装置
ES2909633T3 (es) Mejora de una instalación de limpieza de un motor de combustión interna
US20100095682A1 (en) Removing Particulate Matter From Air
US20020053283A1 (en) Magnetic pollution filter
CN105298691A (zh) 一种利用蜂窝陶瓷提升汽车动力及零减排的方法
CN202718775U (zh) 一种远红外节油器
KR102519047B1 (ko) 내연기관용 연소촉매제 주입장치
Singh et al. A review on emissions reduction techniques used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902676B1 (ko) 자동차 매연 감소 메디아 및 그 제조방법
KR20250019944A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CN205858522U (zh) 天然气发动机的等离子体系统
KR20150102831A (ko) 내연기관용 촉매 조성물 및 촉매 조성물의 공급방법
KR20210014995A (ko) 엔진출력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조성물용기 및 이를 이용한 촉매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