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467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2467B1 KR102582467B1 KR1020170171048A KR20170171048A KR102582467B1 KR 102582467 B1 KR102582467 B1 KR 102582467B1 KR 1020170171048 A KR1020170171048 A KR 1020170171048A KR 20170171048 A KR20170171048 A KR 20170171048A KR 102582467 B1 KR102582467 B1 KR 102582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discharge
- straw
- zip
- discharge stra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6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169 Alopias vulp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171 Hydrodictyon reticul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961 Sesa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37666 field crop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7/00—Straw conveyors for threshing machines or baling presses
- A01F17/02—Mechanical convey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연결 상태가 해제된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또한,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에,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와,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 H1, H2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연결 기구(8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기단측을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92)와,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100)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상부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6은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배후의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9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배후의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의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상부 프레임, 배출 짚 프레임 및 후방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연결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걸림 결합 상태의 내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걸림 결합 해제 상태의 내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걸림 결합 상태의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걸림 결합 해제 상태의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20은 승강 조작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후방측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24는 후방측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각각의 상승 한계 높이 및 요동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1 다른 예에 관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1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1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2 다른 예에 관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2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2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외측 로크 기구이며, 걸림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외측 로크 기구이며, 걸림 결합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배출 짚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0: 탈곡 장치
11: 급동
12: 배출 짚 반송 장치
36L: 전후 방향 프레임
36R: 전후 방향 프레임(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
37: 후방부 프레임(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
38: 상부 커버
40: 상부 프레임
40a: 압박부
41: 유압 실린더(액추에이터)
50: 배출 짚 프레임
66: 기단 프레임
67: 전방 프레임(횡 프레임)
68: 후방 프레임(횡 프레임)
69: 유단 프레임(외측 프레임)
70: 지지축
71: 가스 댐퍼(제2 액추에이터)
87: 연결 기구(전환 기구, 연결 기구)
92: 내측 로크 기구
100: 외측 로크 기구
H1: 상승 한계 높이
H2: 상승 한계 높이
Y2: 요동 축심
Claims (18)
-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상태가 해제된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상기 상부 프레임만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연결 가능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 있는, 콤바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요동 축심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횡 프레임과, 상기 횡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강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 가능한, 콤바인. - 삭제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한, 콤바인.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기체 후방측 상부에 설치된 후방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에,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는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부분이 상하 방향에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과 접하고 있는, 콤바인.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급동이 지지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함께 상기 급동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한, 콤바인. -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연결 가능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 있는, 콤바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가스 댐퍼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댐퍼 중 상기 배출 짚 프레임측의 단부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가스 댐퍼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는, 콤바인. -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중앙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탈곡 장치의 좌우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됨과 함께,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한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콤바인.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은 프레임형이고,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단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이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고,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고,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유단 프레임을,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콤바인.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후방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고,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전방부가 상기 유단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콤바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5439A KR102763184B1 (ko) | 2016-12-22 | 2023-09-20 | 콤바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49924 | 2016-12-22 | ||
JPJP-P-2016-249926 | 2016-12-22 | ||
JPJP-P-2016-249927 | 2016-12-22 | ||
JP2016249927A JP6849427B2 (ja) | 2016-12-22 | 2016-12-22 | コンバイン |
JP2016249926A JP6611696B2 (ja) | 2016-12-22 | 2016-12-22 | コンバイン |
JP2016249924A JP6612731B2 (ja) | 2016-12-22 | 2016-12-22 | コンバイン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5439A Division KR102763184B1 (ko) | 2016-12-22 | 2023-09-20 | 콤바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3457A KR20180073457A (ko) | 2018-07-02 |
KR102582467B1 true KR102582467B1 (ko) | 2023-09-26 |
Family
ID=626525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1048A Active KR102582467B1 (ko) | 2016-12-22 | 2017-12-13 | 콤바인 |
KR1020230125439A Active KR102763184B1 (ko) | 2016-12-22 | 2023-09-20 | 콤바인 |
KR1020250012367A Pending KR20250024010A (ko) | 2016-12-22 | 2025-01-31 | 콤바인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5439A Active KR102763184B1 (ko) | 2016-12-22 | 2023-09-20 | 콤바인 |
KR1020250012367A Pending KR20250024010A (ko) | 2016-12-22 | 2025-01-31 | 콤바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3) | KR102582467B1 (ko) |
CN (1) | CN10820728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4567A (ko) * | 2018-09-21 | 2020-03-31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1013Y2 (ko) * | 1981-05-30 | 1989-03-30 | ||
JPH0239823A (ja) * | 1988-07-28 | 1990-02-08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のストローラツク |
JPH08154475A (ja) * | 1994-11-30 | 1996-06-18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脱穀機における排藁搬送装置 |
JPH09117218A (ja) * | 1996-09-13 | 1997-05-06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における排藁処理装置 |
JP2000316365A (ja) * | 1999-05-17 | 2000-11-21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コンバイン |
JP2008000025A (ja) * | 2006-06-20 | 2008-01-10 | Yanmar Co Ltd | コンバイン |
JP4658886B2 (ja) * | 2006-09-22 | 2011-03-23 | 株式会社クボタ | 脱穀装置の開閉構造 |
CN201069915Y (zh) * | 2006-12-04 | 2008-06-11 | 谢下福 | 多功能联合收割机 |
JP5200445B2 (ja) * | 2007-07-31 | 2013-06-05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5724252B2 (ja) | 2010-08-31 | 2015-05-27 | 井関農機株式会社 | 脱穀機 |
JP2012065597A (ja) * | 2010-09-24 | 2012-04-05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 |
CN102172122B (zh) * | 2011-02-24 | 2012-12-19 | 何嘉俊 | 一种联合收割机 |
JP2012231713A (ja) * | 2011-04-28 | 2012-11-29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の排ワラ処理部構造 |
JP5984619B2 (ja) * | 2012-10-18 | 2016-09-06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の油圧シリンダ連結構造 |
JP2015181389A (ja) * | 2014-03-24 | 2015-10-22 | 株式会社クボタ | トウモロコシ収穫機 |
CN106455491B (zh) * | 2014-08-05 | 2019-06-25 | 株式会社久保田 | 联合收割机 |
-
2017
- 2017-12-13 KR KR1020170171048A patent/KR102582467B1/ko active Active
- 2017-12-20 CN CN201711382574.XA patent/CN108207288B/zh active Active
-
2023
- 2023-09-20 KR KR1020230125439A patent/KR102763184B1/ko active Active
-
2025
- 2025-01-31 KR KR1020250012367A patent/KR20250024010A/ko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63184B1 (ko) | 2025-02-07 |
CN108207288B (zh) | 2022-07-12 |
KR20250024010A (ko) | 2025-02-18 |
CN108207288A (zh) | 2018-06-29 |
KR20230141677A (ko) | 2023-10-10 |
KR20180073457A (ko) | 2018-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12731B2 (ja) | コンバイン | |
JP7203134B2 (ja) | コンバイン | |
KR20230141677A (ko) | 콤바인 | |
JP6914310B2 (ja) | コンバイン | |
JP6611696B2 (ja) | コンバイン | |
JP6693862B2 (ja) | コンバイン | |
JP7588534B2 (ja) | コンバイン | |
JP6922029B2 (ja) | コンバイン | |
KR102557624B1 (ko) | 콤바인 | |
JP2021090473A5 (ko) | ||
KR102593807B1 (ko) | 콤바인 | |
JP7643689B2 (ja) | コンバイン | |
JP7670761B2 (ja) | コンバイン | |
JP6833624B2 (ja) | コンバイン | |
JP6858651B2 (ja) | コンバイン | |
JP6615084B2 (ja) | コンバイン | |
KR102524801B1 (ko) | 콤바인 | |
JP6721541B2 (ja) | コンバイン | |
KR102687536B1 (ko) | 콤바인 및 배출 짚 절단 장치 | |
JP2021164489A5 (ko) | ||
JP7069250B2 (ja) | コンバイン | |
JP2021065241A (ja) | コンバイン | |
JP2020146068A (ja) | コンバイン | |
KR20200034567A (ko) | 콤바인 | |
JP2020156509A5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