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7363B1 -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363B1
KR102547363B1 KR1020230016063A KR20230016063A KR102547363B1 KR 102547363 B1 KR102547363 B1 KR 102547363B1 KR 1020230016063 A KR1020230016063 A KR 1020230016063A KR 20230016063 A KR20230016063 A KR 20230016063A KR 102547363 B1 KR102547363 B1 KR 10254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ouble
pattern film
pattern
forming ste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희
Original Assignee
문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희 filed Critical 문제희
Priority to KR102023001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363B1/ko
Priority to PCT/KR2023/014059 priority patent/WO2024167082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9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applying surface layers onto injection-moulded substrates inside the mould cavity, e.g. in-mould coating [IM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UV패턴몰드(21,22)에 UV레진을 주입하여 몰딩 성형되는 이중패턴필름층(120)과,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일면에 증착되는 증착층(130)과, 증착층(130)의 일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인쇄층(140)과, 인쇄층(140)의 일면에 코팅하여 투명 표면을 차폐하는 차폐코팅층(150)을 포함하고, 이중패턴필름층(120)에는, 통상의 PET를 포함한 플라스틱 기재층 구조를 배제하고, 단일 또는 이중 구조의 입체적 패턴 및 질감을 가지는 입체패턴부(121,122)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플라스틱 기재의 사용을 배제하고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에 의해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합지력이 탁월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NON-SUBSTRATE DOUBLE PATTERN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필름에 있어서 베이스 기재의 사용을 배제하고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에 의해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합지력이 탁월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 또는 커버는 제품의 심미성을 표출하고 타제품과의 차별성을 부여하는 요소로서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른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 또는 커버에 대한 표면처리 기술 역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스마트폰, 태플릿PC, TV, 냉장고 등의 전자제품 케이스나 자동차의 대쉬보드 등의 제품은 대부분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조되는바,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처리방법에는 도장, 도금, 진공증착, 필름전사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도장은 도료용제를 제품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여 제품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처리 방식으로 색상 선택이 자유롭고 작업성이 간편한 이점이 있으나 내마모성이 취약하고 질감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처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도금은 제품 표면에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금속 광택 또는 질감을 형성하는 표면 처리 방식으로 내마모성 및 내식성을 향상하나 비도전성인 플라스틱 제품에 적용하기 번거롭고 작업 과정에서 각종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진공증착은 전기도금의 단점을 개선하여 물리적으로 피막을 증착하는 표면 처리 방식으로 플라스틱 제품에 금속 피막을 형성 시 진공증착에 의한 표면 처리방식이 적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에 필름을 공급한 상태로 수지를 사출하여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인서트 인몰드 방식의 표면처리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공지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082179 호에는 PET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적층되며 색상을 포함하는 컬러 UV도료층과, 컬러 UV도료층의 일면에 증착된 증착층을 포함하는 금속질감 필름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20 - 0055837 호에는 PET, TPU, PBT, PP, PE, PVC, PMMA, ABS, PC, SAN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기재층 하부에 위치하는 유색의 패턴층과, 패턴층 하부에 위치하는 유색 또는 투명 코팅층과, 코팅층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0 - 0049797 호에는 가전제품의 투명 패널에 부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필름에 있어서, 투명한 PET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기재층의 일면에 그라비어 인쇄기법을 이용하여 디자인이 인쇄되는 인쇄층과, 인쇄층 상에 도포되고 금속 박편이 들어있는 접착제층과, 불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접착제층에 접착되고 인쇄층의 컬러를 촉진하는 배경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의 투명 패널 부착용 필름을 구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082179 호 (2018.07.18)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20 - 0055837 호 (2020.05.22)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0 - 0049797 호 (2010.05.13)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64056 호 (2012.07.09)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자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나 커버 등의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표면처리방법은 도장, 도금, 진공증착, 필름전사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필름을 이용한 인서트 인몰드 방식의 표면처리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몰드 방식의 표면처리에 적용되는 필름은 PET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인쇄층과, 인쇄층의 일면에 증착층과, 사출물의 외면에 부착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은 경질의 플라스틱 기재의 사용으로 인해 필름 전체의 두께를 증대하여 피착물의 곡면 부위에 부착성을 현저히 저하하고 컬링 및 박리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은 최근 스마트폰의 후면 커버와 같이 테두리 형상이 없는 얇은 평판 플라스틱 사출 제품에 부착 시 플라스틱 기재의 두께 및 장력으로 인해 제품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제품 품질 및 완성도를 현저히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제품의 표면처리에 종래의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을 적용할 경우 사출 과정에서 유리섬유가 노출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결국 추가적인 표면 샌딩 공정을 불가피하게 실시해야 하므로 생산성 저하 문제로 인해 대부분 도장에 의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바, GFRP가 가진 경량성, 고강도, 및 고급스러운 마감성을 제공하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UV패턴몰드(21,22)에 UV레진을 주입하여 몰딩 성형되는 이중패턴필름층(120)과,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일면에 증착되는 증착층(130)과,
상기 증착층(130)의 일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인쇄층(140)과,
상기 인쇄층(140)의 일면에 코팅하여 투명 표면을 차폐하는 차폐코팅층(150)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는,
통상의 PET를 포함한 플라스틱 기재층 구조를 배제하고,
단일 또는 이중 구조의 입체적 패턴 및 질감을 가지는 입체패턴부(121,122)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라스틱 기재의 사용을 배제하고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에 의해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합지력이 탁월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필름에 있어서 베이스 기재의 사용을 배제하고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에 의해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합지력이 탁월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인몰드 사출에 의한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에 비해 필름 전체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하여 피착물의 코너부 또는 곡면 부위에 부착성을 현저히 증대하고 컬링 및 박리 현상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V레진을 이용하여 이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단일 패턴 또는 이중 패턴의 용이한 구현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심미감 및 입체감을 제공하고 패턴 형성 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에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 사용시 복잡한 공정 및 낮은 수율로 인해 대부분 도장에 의한 표면처리가 적용되었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에 본 발명의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을 인서트 인몰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구현하고, 더 나아가 GFRP 제품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의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의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의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의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필름에 있어서 베이스 기재의 사용을 배제하고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에 의해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합지력이 탁월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은 이중패턴필름층(120)과, 증착층(130)과, 인쇄층(140)과, 차폐코팅층(15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은 UV패턴몰드(21,22)에 UV레진을 주입하여 몰딩 성형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은 자외선 경화성을 가지는 UV레진으로 형성하며, UV패턴몰드(21,22)에 UV레진를 주입하여 몰딩 성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UV패턴몰드(21,22)는 내측에 목적하는 UV패턴을 형성하는 PET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 UV패턴몰드는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성형 후 박리하고, 타측 UV패턴몰드는 최종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 후 박리하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는 통상의 PET를 포함한 플라스틱 기재층 구조를 배제한다.
통상의 인몰드 표면처리에 적용되는 필름은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므로 필름의 두께를 증대하고 그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초래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기재층을 일체 배제하고, UV레진을 이용해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을 성형 후 자외선에 의한 경화를 거쳐 이중패턴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는 단일 또는 이중 구조의 입체적 패턴 및 질감을 가지는 입체패턴부(121,122)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입체패턴부(121,122)는 헤어라인, 스핀, 홀로그램 패턴 등을 단일 또는 복합으로 포함하며 UV패턴몰드(21,22)에는 목적하는 형상의 UV패턴을 구비하도록 제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 단일 입체패턴부(111)를 형성하여 패턴 및 무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 서로 다른 형상의 입체패턴부(121,122)를 구현함으로써 보는 각도, 빛의 반사에 의해 다채로운 입체감을 표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은 5 ~ 50㎛의 두께로 구비하여 피착물의 곡면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부착성을 구현하고, 테두리 형상이 없는 얇은 평판 플라스틱 피착물에 대한 휨 현상을 방지하면서 제품 품질 및 완성도를 증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증착층(130)은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일면에 증착하여 구비하며, 알루미늄, 니켈, 은 등의 원물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증착층(130)은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 메탈 도금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입체패턴부(121,122)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인쇄층(140)은 상기 증착층(130)의 일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인쇄하여 구비한다.
상기 인쇄층(140)은 그라비어, 실크 스크린, 플렉소 등의 인쇄장치를 이용해 목적하는 문자나 문양을 인쇄하여 형성한다.
상기 차폐코팅층(150)은 상기 인쇄층(140)의 일면에 코팅하여 투명 표면을 차폐하여 구비한다.
상기 차폐코팅층(150)은 불투명 잉크를 코팅하여 배경을 형성함으로써 피착물의 투명 표면을 차폐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층 내지 차폐코팅층(120~150)으로 이루어진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은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 시 금형(31,32)에 인몰드 배치하여 사출물의 표면에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은 플라스틱 사출물의 피착 표면에 배치하여 사출 성형 시 일체로 결합하며, 종래의 플라스틱 기재층을 배제하면서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 입체패턴부(121,122)를 형성하여 표면처리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중패턴필름층 내지 차폐코팅층(120~150)으로 이루어진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에 의해 표면처리되는 피착물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제품으로 구성한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불포화 폴리에스터에 유리섬유를 보강하여 경량성, 내구성, 내충격성, 내마모성을 부여한 플라스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은 종래와 같은 플라스틱 기재층 사용을 배제하고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120)을 형성하므로 종래의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사출 시 유리섬유의 노출에 의해 추가적인 샌딩 공정을 실시해야 했던 문제를 해소하고, 단순 도장에 의한 표면처리와 차별되는 다채로운 입체감 및 질감을 형성하여 고급스러운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물론,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제조방법은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와, 증착층형성단계(S20)와, 인쇄층형성단계(S30)와, 차폐코팅층형성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는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120)을 몰딩 성형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에서는 통상의 PET를 포함한 플라스틱 기재층 구조를 배제하고 이중패턴필름층(120)을 UV패턴몰드(21,22)에 의해 성형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에 사용되는 UV패턴몰드(21,22)는 내측에 목적하는 UV패턴을 형성하는 PET 재질로 구비하여 UV레진을 주입하여 이중패턴필름층(120)을 성형한다. 일측 UV패턴몰드는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성형 후 박리하고, 타측 UV패턴몰드는 최종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 후 박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 단일 입체패턴부(111)를 형성하여 패턴 및 무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UV패턴몰드(21,22)의 UV패턴을 상이한 종류로 적용하여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입체패턴부(121,122)가 상이한 패턴, 예컨대 헤어라인, 스핀, 홀로그램 등을 포함해 다양한 디자인 중에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성형함으로써 보는 각도, 빛의 반사에 의해 다채로운 입체감을 표현하며, 무광 패턴에 의해 지문이 남지않고 고급스러운 질감을 표현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에서는 이중패턴필름층(120)을 5 ~ 50㎛의 두께로 성형한다. 상기 두께 범위를 초과할 경우 피착물의 곡면 부위에 대한 부착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테두리 형상이 없는 얇은 평판 플라스틱 피착물 필름 부착 시 휨 현상을 초래하므로 상기 범위의 두께로 성형하여 품질 및 완성도를 증진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에 의해 성형된 이중패턴필름층(120)은 UV램프를 조사하여 경화하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 증착층형성단계(S20)는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에서 성형된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일면에 증착층(130)을 적층한다.
상기 증착층형성단계(S20)에서는 이중패턴필름층(120)에 예컨대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법으로 증착하여 메탈 도금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입체패턴부(121,122)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시킨다.
상기 인쇄층형성단계(S30)는 상기 증착층형성단계(S20)에서 형성된 증착층(130)의 일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인쇄한다.
상기 인쇄층형성단계(S30)에서는 증착층(130)의 일면에 사출 제품의 모델명이나 로고 등 각종 문자 또는 문양을 그라비어, 실크 스크린, 플렉소 등의 인쇄장치를 이용해 인쇄한다.
상기 차폐코팅층형성단계(S40)는 상기 인쇄층형성단계(S30)에서 형성된 인쇄층(140)의 일면에 차폐코팅층(150)을 코팅하여 투명 표면을 차폐한다.
상기 차폐코팅층형성단계(S40)에서는 인쇄층(140)의 일면에 불투명 잉크를 코팅하여 배경을 형성함으로써 피착물의 투명 표면을 차폐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일련의 단계를 거쳐 제조된 이중패턴필름층 내지 차폐코팅층(120~150)으로 이루어진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은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 시 금형(31,32)에 인몰드 배치하여 사출물의 표면에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본 발명은 종래의 인몰드 사출에 의한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과 차별하여, 베이스 기재의 사용을 배제하고 이중패턴필름만으로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면서 제품 합지력이 탁월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름 전체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하여 피착물의 코너부 또는 곡면 부위에 부착성을 현저히 증대하고 컬링 및 박리 현상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형에 UV 레진을 주입하여 이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단일 패턴 또는 이중 패턴의 용이한 구현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심미감 및 입체감을 제공하고 패턴 형성 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에 본 발명의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을 인서트 인몰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구현하고, 더 나아가 GFRP 제품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0: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120: 이중패턴필름층
121,122: 입체패턴부
130: 증착층
140: 인쇄층
150: 차폐코팅층
10: 피착물
21,22: UV패턴몰드
31,32: 플라스틱 제품 사출 상, 하금형
S10: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
S20: 증착층형성단계
S30: 인쇄층형성단계
S40: 차폐코팅층형성단계

Claims (6)

  1. UV패턴몰드(21,22)에 UV레진을 주입하여 몰딩 성형되는 이중패턴필름층(120)과,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일면에 증착되는 증착층(130)과,
    상기 증착층(130)의 일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인쇄층(140)과,
    상기 인쇄층(140)의 일면에 코팅하여 투명 표면을 차폐하는 차폐코팅층(150)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는,
    통상의 PET를 포함한 플라스틱 기재층 구조를 배제하고,
    단일 또는 이중 구조의 입체적 패턴 및 질감을 가지는 입체패턴부(121,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패턴필름층 내지 차폐코팅층(120~150)으로 이루어진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은, 피착물(10)의 사출 성형 시 금형(31,32)에 인몰드 배치하여 사출물의 표면에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은 5 ~ 50㎛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패턴필름층 내지 차폐코팅층(120~150)으로 이루어진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에 의해 표면처리되는 피착물(1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5.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120)을 몰딩 성형하는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와,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에서 성형된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일면에 증착층(130)을 적층하는 증착층형성단계(S20)와,
    상기 증착층형성단계(S20)에서 형성된 증착층(130)의 일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인쇄층형성단계(S30)와,
    상기 인쇄층형성단계(S30)에서 형성된 인쇄층(140)의 일면에 차폐코팅층(150)을 코팅하여 투명 표면을 차폐하는 차폐코팅층형성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에서는,
    통상의 PET를 포함한 플라스틱 기재층 구조를 배제하고 이중패턴필름층(120)을 성형하고,
    UV패턴몰드(21,22)에 의해 이중패턴필름층(120)에 단일 또는 이중 구조의 입체적 패턴 및 질감을 가지는 입체패턴부(121,12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0)에서는,
    이중패턴필름층(120)을 5 ~ 50㎛의 두께로 성형하고,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입체패턴부(121,122)는 상이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성형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입체감 표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제조방법.
KR1020230016063A 2023-02-07 2023-02-07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54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063A KR102547363B1 (ko) 2023-02-07 2023-02-07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PCT/KR2023/014059 WO2024167082A1 (ko) 2023-02-07 2023-09-18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063A KR102547363B1 (ko) 2023-02-07 2023-02-07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363B1 true KR102547363B1 (ko) 2023-06-22

Family

ID=8698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063A Active KR102547363B1 (ko) 2023-02-07 2023-02-07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7363B1 (ko)
WO (1) WO2024167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67082A1 (ko) * 2023-02-07 2024-08-15 문제희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044B1 (ko) * 2005-11-04 2006-11-10 주식회사 파코라인 인서트 몰딩용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9248477A (ja) * 2008-04-08 2009-10-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用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KR20100049797A (ko) 2008-11-04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투명 패널에 부착되는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4056B1 (ko) 2008-11-24 2012-07-09 서철진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필름상의 패턴 형성 방법
KR20120131977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진흥씨아이티 전사 인몰드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전사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20140141116A (ko) * 2013-05-31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프레임 제조 방법
KR20150116564A (ko) * 2014-04-07 2015-10-16 미래나노텍(주) 패턴 사출용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6508A (ko) * 2014-09-25 2016-04-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나노패턴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2179A (ko) 2017-01-10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속질감 필름 및 금속질감 케이스
KR20200055837A (ko) 2018-11-12 2020-05-22 주식회사 상보 금속 외관 효과를 가지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1099A (ko) * 2020-10-16 2022-04-26 미래나노텍(주) 무기재 데코레이션 필름
KR102433016B1 (ko) * 2016-04-14 2022-08-18 (주)디비케이 박막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
KR20220137180A (ko) * 2021-03-30 2022-10-12 (주)세경하이테크 음영효과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363B1 (ko) * 2023-02-07 2023-06-22 문제희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044B1 (ko) * 2005-11-04 2006-11-10 주식회사 파코라인 인서트 몰딩용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9248477A (ja) * 2008-04-08 2009-10-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用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KR20100049797A (ko) 2008-11-04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투명 패널에 부착되는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4056B1 (ko) 2008-11-24 2012-07-09 서철진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필름상의 패턴 형성 방법
KR20120131977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진흥씨아이티 전사 인몰드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전사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20140141116A (ko) * 2013-05-31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프레임 제조 방법
KR20150116564A (ko) * 2014-04-07 2015-10-16 미래나노텍(주) 패턴 사출용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6508A (ko) * 2014-09-25 2016-04-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나노패턴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433016B1 (ko) * 2016-04-14 2022-08-18 (주)디비케이 박막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
KR20180082179A (ko) 2017-01-10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속질감 필름 및 금속질감 케이스
KR20200055837A (ko) 2018-11-12 2020-05-22 주식회사 상보 금속 외관 효과를 가지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1099A (ko) * 2020-10-16 2022-04-26 미래나노텍(주) 무기재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137180A (ko) * 2021-03-30 2022-10-12 (주)세경하이테크 음영효과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67082A1 (ko) * 2023-02-07 2024-08-15 문제희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67082A1 (ko) 2024-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03102A1 (en) Method for making housing and housing thereof
US20100297407A1 (en) Plastic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075941A1 (en) Method for bonding plastic mold member onto metal housing
KR101437784B1 (ko) 종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4577B1 (ko) 합성수지필름을 이용한 브랜드로고 및 상표라벨의 제조방법
CN109109550A (zh) 壳体组件的加工方法、壳体组件及电子设备
KR101960208B1 (ko) 플라스틱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JP2011018875A (ja) 金属質感を有する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るハウジング
US20100289187A1 (en) Film for insert injection molding and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47363B1 (ko)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317855B1 (ko) 복합층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물
US1013330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fr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101559793B1 (ko)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1704A (ko) 가전제품 외장재
KR101164056B1 (ko)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필름상의 패턴 형성 방법
JP6198575B2 (ja) 加飾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加飾成形体
US20060244171A1 (en) In-Mold Decoration process
TWI419788B (zh) 加飾方法及加飾非導通構件
KR102033683B1 (ko) 두께감 및 메탈감을 갖는 고광택 문양 구현이 가능한 데코필름 제조방법 및 그 데코필름
JP2012236574A (ja) 樹脂製装飾品
JP2011031614A (ja) 複合材料製品及びその成型方法
KR102677139B1 (ko)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KR101950380B1 (ko) 금속광택을 가지는 친환경 장식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54477B1 (ko) 미색연출이 가능한 합성수지 패널
CN114103540A (zh) 真木装饰零件隐藏式透光效果的工艺技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