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7139B1 -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139B1
KR102677139B1 KR1020230016066A KR20230016066A KR102677139B1 KR 102677139 B1 KR102677139 B1 KR 102677139B1 KR 1020230016066 A KR1020230016066 A KR 1020230016066A KR 20230016066 A KR20230016066 A KR 20230016066A KR 102677139 B1 KR102677139 B1 KR 10267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ilm
double pattern
double
adherend
glass fi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희
Original Assignee
문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희 filed Critical 문제희
Priority to KR102023001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1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9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applying surface layers onto injection-moulded substrates inside the mould cavity, e.g. in-mould coating [IM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29C45/0062Joined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15Hot melt adhesives, e.g. thermoplastic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45Radiation curing adhesives, e.g. UV light cur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UV레진으로 이루어지고 단일 또는 이중의 입체패턴부(121,122)를 구비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제조하는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과,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에 의해 제조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목적하는 피착물의 외형에 따라 재단하는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과,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에 의해 재단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피착물(10)의 표면에 일체로 결합하여 표면처리하는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을 포함하고,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에서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에 의해 표면처리되는 피착물(1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제품이고,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은, 피착물(10)을 사출 성형 시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인몰드 배치하여 결합하는 인몰드결합공정(S310), 또는 피착물(10)을 사출 후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접합하는 접합결합공정(S320) 중에서 택일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표면처리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품의 심미감 및 고품질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METHOD FOR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는 제품에 대하여 이중패턴필름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표면처리방식에 비해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품의 심미감 및 고품질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 또는 커버는 제품의 심미성을 표출하고 타제품과의 차별성을 부여하는 요소로서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른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 또는 커버에 대한 표면처리 기술 역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스마트폰, 태플릿PC, TV, 냉장고 등의 전자제품 케이스나 자동차의 대쉬보드 등의 제품은 대부분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되는바,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처리방법에는 도장, 도금, 진공증착, 필름전사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도장은 도료용제를 제품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여 제품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처리 방식으로 색상 선택이 자유롭고 작업성이 간편한 이점이 있으나 내마모성이 취약하고 질감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처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도금은 제품 표면에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금속 광택 또는 질감을 형성하는 표면 처리 방식으로 내마모성 및 내식성을 향상하나 비도전성인 플라스틱 제품에 적용하기 번거롭고 작업 과정에서 각종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진공증착은 전기도금의 단점을 개선하여 물리적으로 피막을 증착하는 표면 처리 방식으로 플라스틱 제품에 금속 피막을 형성 시 진공증착에 의한 표면 처리방식이 적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에 필름을 공급한 상태로 수지를 사출하여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인서트 인몰드 방식의 표면처리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공지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082179 호에는 PET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적층되며 색상을 포함하는 컬러 UV도료층과, 컬러 UV도료층의 일면에 증착된 증착층을 포함하는 금속질감 필름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0 - 0049797 호에는 가전제품의 투명 패널에 부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필름에 있어서, 투명한 PET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기재층의 일면에 그라비어 인쇄기법을 이용하여 디자인이 인쇄되는 인쇄층과, 인쇄층 상에 도포되고 금속 박편이 들어있는 접착제층과, 불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접착제층에 접착되고 인쇄층의 컬러를 촉진하는 배경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의 투명 패널 부착용 필름을 구성한다.
한편, 통상적인 합성수지에 유리섬유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은 경량성, 고강도 특성에 의해 최근 적용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표면처리는 주로 도장이나 도금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93805 호에는 삼차원 곡면 또는 평면형상이고,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형성되고, 외면에 프라이머 도포층, 반투명 코팅층, 그라데이션 코팅층 및 클리어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재된 그라데이션 도장층을 포함하는 휴대단말 케이스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2451792 호에는 합성수지와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강화 합성수지 사출물을 형성하고, 사출물의 표면을 망간에칭, 중화, 글래스에칭, 클리닝, 컨디셔닝, 활성화, 엑셀러레이터, 1차도금, 동도금, 프리딥, 파라듐촉매, 2차도금, 후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처리하는 일련의 에칭 및 도금방법을 구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082179 호 (2018.07.18)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0 - 0049797 호 (2010.05.13)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93805 호 (2019.06.27) 한국등록특허 제 10 - 2451792 호 (2022.10.13)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자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나 커버 등의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표면처리방법은 도장, 도금, 진공증착, 필름전사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최근에는 필름을 이용한 인서트 인몰드 방식의 표면처리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몰드 방식의 표면처리에 적용되는 필름은 PET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인쇄층과, 인쇄층의 일면에 증착층과, 사출물의 외면에 부착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은 경질의 플라스틱 기재의 사용으로 인해 필름 전체의 두께를 증대하여 피착물의 곡면 부위에 부착성을 현저히 저하하고 컬링 및 박리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은 최근 스마트폰의 후면 커버와 같이 테두리 형상이 없는 얇은 평판 플라스틱 사출 제품에 부착 시 플라스틱 기재의 두께 및 장력으로 인해 제품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제품 품질 및 완성도를 현저히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제품의 표면처리에 종래의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을 적용할 경우 사출 과정에서 유리섬유가 노출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결국 추가적인 표면 샌딩 공정을 불가피하게 실시해야 하므로 생산성 저하 문제로 인해 대부분 도장이나 도금에 의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의 도장 또는 도금 처리방법 역시 상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일련의 복잡한 공정을 수반하는바, 결국 GFRP가 가진 경량성, 고강도 등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UV레진으로 이루어지고 단일 또는 이중의 입체패턴부(121,122)를 구비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제조하는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과,
상기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에 의해 제조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목적하는 피착물의 외형에 따라 재단하는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과,
상기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에 의해 재단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피착물(10)의 표면에 일체로 결합하여 표면처리하는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에서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에 의해 표면처리되는 피착물(1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제품이고,
상기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은,
피착물(10)을 사출 성형 시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인몰드 배치하여 결합하는 인몰드결합공정(S310), 또는
피착물(10)을 사출 후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접합하는 접합결합공정(S320) 중에서 택일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표면처리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품의 심미감 및 고품질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는 제품에 대하여 이중패턴필름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인몰드 사출에 의한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에 비해 필름 전체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하여 피착물의 코너부 또는 곡면 부위에 부착성을 현저히 증대하고 컬링 및 박리 현상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 사용시 복잡한 공정 및 낮은 수율로 인해 대부분 도장이나 도금에 의한 표면처리가 적용되었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하여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을 인서트 인몰드 또는 접합 방식으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표면처리방식에 비해 공정을 대폭 간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중 필름층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단일 패턴 또는 이중패턴의 구현이 용이하여 다양한 심미감 및 입체감을 제공하므로 제품의 고품질화가 가능함에 따라 GFRP 제품을 보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의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의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 흐름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의 1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의 2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의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의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 흐름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의 1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의 2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는 제품에 대하여 이중패턴필름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표면처리방식에 비해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품의 심미감 및 고품질화를 가능하게 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은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과,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과,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은 UV레진으로 이루어지고 단일 또는 이중의 입체패턴부(121,122)를 구비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제조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은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 증착층형성단계(S120), 인쇄층형성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는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120)을 몰딩 성형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에서는 통상의 PET를 포함한 플라스틱 기재층 구조를 배제하고 이중패턴필름층(120)을 UV패턴몰드(21,22)에 의해 성형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에 사용되는 UV패턴몰드(21,22)는 내측에 목적하는 UV패턴을 형성하는 PET 재질로 구비하여 UV레진을 주입하여 이중패턴필름층(120)을 성형한다. 일측 UV패턴몰드는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성형 후 박리하고, 타측 UV패턴몰드는 최종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 후 박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중패턴필름층(120)에 단일 입체패턴부(111)를 형성하여 패턴 및 무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UV패턴몰드(21,22)의 UV패턴을 상이한 종류로 적용하여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입체패턴부(121,122)가 상이한 패턴, 예컨대 헤어라인, 스핀, 홀로그램 등을 포함해 다양한 디자인 중에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성형함으로써 보는 각도, 빛의 반사에 의해 다채로운 입체감을 표현하며, 무광 패턴에 의해 지문이 남지않고 고급스러운 질감을 표현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에서는 이중패턴필름층(120)을 5 ~ 50㎛의 두께로 성형한다. 상기 두께 범위를 초과할 경우 피착물의 곡면 부위에 대한 부착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테두리 형상이 없는 얇은 평판 플라스틱 피착물 필름 부착 시 휨 현상을 초래하므로 상기 범위의 두께로 성형하여 품질 및 완성도를 증진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에 의해 성형된 이중패턴필름층(120)은 UV램프를 조사하여 경화하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 증착층형성단계(S120)는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에서 성형된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일면에 증착층(130)을 적층하여 메탈 도금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입체패턴부(121,122)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시킨다.
상기 인쇄층형성단계(S130)는 상기 증착층형성단계(S120)에서 형성된 증착층(130)의 일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인쇄한다.
상기 인쇄층형성단계(S130)에서 형성된 인쇄층(140)의 일면에는 차폐코팅층(150)을 코팅하여 투명 표면을 차폐하는 차폐코팅층형성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코팅층형성단계(S140)에서는 인쇄층(140)의 일면에 불투명 잉크를 코팅하여 배경을 형성함으로써 피착물의 투명 표면을 차폐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에 의하여 종래의 플라스틱 기재층 베이스를 배제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이 제조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은 상기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에 의해 제조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목적하는 피착물의 외형에 따라 재단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에서는 피착물(10)의 피착 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재단하여 후속되는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에 투입되도록 준비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은 상기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에 의해 재단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피착물(10)의 표면에 일체로 결합하여 표면처리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에서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에 의해 표면처리되는 피착물(1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제품으로 구성한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불포화 폴리에스터에 유리섬유를 보강하여 경량성, 내구성, 내충격성, 내마모성을 부여한 플라스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에서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에 의해 표면처리되는 피착물(1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물론, 플라스틱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을 사출 시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인몰드 배치하여 결합하는 인몰드결합공정(S310), 또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을 사출 후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접합하는 접합결합공정(S320) 중에서 택일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몰드결합공정(S310)은 인서트인몰드단계(S311)와, 인몰드표면경화단계(S312)를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인몰드단계(S311)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성형을 위한 금형(31,32) 내에서 피착 면에 대응하는 몰드 상에 상기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에 의해 재단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위치하고 제품과 함께 사출하여 결합한다.
상기 인서트인몰드단계(S311)에서는 목적하는 디자인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위치하여 제품의 사출 과정에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일체화하여 결합한다.
상기 인서트인몰드단계(S311)에 적용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은 종래와 같은 플라스틱 기재층을 배제하므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과 이중패턴필름의 결합 과정에서 유리섬유의 노출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 추가적인 샌딩 등의 후가공 공정을 배제한다.
상기 인서트인몰드단계(S311)에서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 시 디자인이 완전히 다른 입체패턴부(121,122)를 형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선택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동일 형상에 다양한 입체감을 표출하는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인몰드표면경화단계(S312)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이 일체로 결합되어 사출 형성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을 UV 건조하여 표면을 경화한다.
상기 인몰드결합공정(S310)을 거쳐 최종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 후에는 상기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에 사용된 타측 UV패턴몰드를 박리한다.
상기 접합결합공정(S320)은 제품사출단계(S321)와, 이중패턴필름접합단계(S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사출단계(S321)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수지를 금형에 주입하고 목적하는 디자인으로 사출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접합단계(S322)는 사출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의 피착 면에 상기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에 의해 재단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위치하고 핫멜트접착제 또는 UV접착제로 결합한다.
상기 이중패턴필름접합단계(S322)에서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수지를 목적하는 디자인의 금형을 이용해 사출 성형한 후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위치하고 일체화하여 결합한다.
상기 접합표면경화단계(S323)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이 일체로 결합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을 UV 건조하여 표면을 경화한다.
상기 접합결합공정(S320)을 거쳐 최종 플라스틱 제품에 이중패턴필름(100)을 결합한 후에는 상기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에 사용된 타측 UV패턴몰드를 박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는 제품에 대하여 이중패턴필름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인몰드 사출에 의한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재층을 베이스로 구비하는 필름에 비해 필름 전체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하여 피착물의 코너부 또는 곡면 부위에 부착성을 현저히 증대하고 컬링 및 박리 현상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 도장이나 도금에 의한 복잡한 공정을 거쳐 표면처리가 이루어졌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하여 무기재 이중패턴필름을 인서트 인몰드 또는 접합 방식으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대폭 간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필름층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단일 패턴 또는 이중 패턴의 구현이 용이하여 다양한 심미감 및 입체감을 제공하므로 제품의 고품질화가 가능함에 따라 GFRP 제품을 보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S100: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 S110: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
S120: 증착층형성단계 S130: 인쇄층형성단계
S140: 차폐코팅층형성단계 S200: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
S300: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 S310: 인몰드결합공정
S311: 인서트인몰드단계 S312: 인몰드표면경화단계
S320: 접합결합공정 S321: 제품사출단계
S322: 이중패턴필름접합단계 S323: 접합표면경화단계
100: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120: 이중패턴필름층 121,122: 입체패턴부
130: 증착층 140: 인쇄층
150: 차폐코팅층 10: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21,22: UV패턴몰드
31,32: 플라스틱 제품 사출 상, 하금형

Claims (5)

  1. UV레진으로 이루어지고 단일 또는 이중의 입체패턴부(121,122)를 구비하는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제조하는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목적하는 피착물의 외형에 따라 재단하는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 상기 재단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피착물(10)의 표면에 일체로 결합하여 표면처리하는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을 포함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에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에 의해 표면처리되는 피착물(1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제품이고,
    상기 이중패턴필름결합공정(S300)은,
    피착물(10)을 사출 성형 시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인몰드 배치하여 결합하는 인몰드결합공정(S310), 또는
    피착물(10)을 사출 후 상기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접합하는 접합결합공정(S320) 중에서 택일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인몰드결합공정(S310)은,
    피착물(10) 성형을 위한 금형(31,32) 내에서 피착 면에 대응하는 몰드 상에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에 의해 재단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위치하고 피착물(10)과 함께 사출하여 결합하는 인서트인몰드단계(S311)와,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이 일체로 결합되어 사출 형성된 피착물(10)을 UV 건조하여 표면을 경화하는 인몰드표면경화단계(S312)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결합공정(S32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수지를 금형에 주입하고 목적하는 디자인으로 사출하는 제품사출단계(S321)와,
    사출된 피착물(10)의 피착 면에 이중패턴필름재단공정(S200)에 의해 재단된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을 위치하고 핫멜트접착제 또는 UV접착제로 결합하는 이중패턴필름접합단계(S322)와,
    무기재 이중패턴필름(100)이 일체로 결합된 피착물(10)을 UV 건조하여 표면을 경화하는 접합표면경화단계(S323)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패턴필름제조공정(S100)은,
    UV레진으로 이루어진 이중패턴필름층(120)을 몰딩 성형하는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와,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에서 성형된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일면에 증착층(130)을 적층하는 증착층형성단계(S120)와,
    증착층형성단계(S120)에서 형성된 증착층(130)의 일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인쇄층형성단계(S130)와,
    인쇄층형성단계(S130)에서 형성된 인쇄층(140)의 일면에 차폐코팅층(150)을 코팅하여 투명 표면을 차폐하는 차폐코팅층형성단계(S140)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에서는,
    통상의 PET를 포함한 플라스틱 기재층 구조를 배제하고 이중패턴필름층(120)을 성형하고,
    UV패턴몰드(21,22)에 의해 이중패턴필름층(120)에 단일 또는 이중 구조의 입체적 패턴 및 질감을 가지는 입체패턴부(121,12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패턴필름형성단계(S110)에서는,
    이중패턴필름층(120)을 5 ~ 50㎛의 두께로 성형하고,
    이중패턴필름층(120)의 입체패턴부(121,122)는 상이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성형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입체감 표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30016066A 2023-02-07 2023-02-07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Active KR10267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066A KR102677139B1 (ko) 2023-02-07 2023-02-07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066A KR102677139B1 (ko) 2023-02-07 2023-02-07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7139B1 true KR102677139B1 (ko) 2024-06-20

Family

ID=9166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066A Active KR102677139B1 (ko) 2023-02-07 2023-02-07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713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7234A (ja) * 1997-11-19 1999-06-02 Dainippon Printing Co Ltd 模様付き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00049797A (ko) 2008-11-04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투명 패널에 부착되는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1977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진흥씨아이티 전사 인몰드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전사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20150139717A (ko) * 2014-06-03 2015-12-14 주식회사 나노기술 입체감을 갖는 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사출방법
KR20180082179A (ko) 2017-01-10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속질감 필름 및 금속질감 케이스
KR101894174B1 (ko) * 2017-01-16 2018-09-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1425B1 (ko) * 2018-06-05 2019-03-22 (주)피엔티 패턴 내재형 인몰드 성형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3805B1 (ko) 2012-10-05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792B1 (ko) 2022-05-17 2022-10-13 주식회사 명진커넥터 전자기기용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출물의 에칭 및 도금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7234A (ja) * 1997-11-19 1999-06-02 Dainippon Printing Co Ltd 模様付き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00049797A (ko) 2008-11-04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투명 패널에 부착되는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1977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진흥씨아이티 전사 인몰드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전사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101993805B1 (ko) 2012-10-05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9717A (ko) * 2014-06-03 2015-12-14 주식회사 나노기술 입체감을 갖는 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사출방법
KR20180082179A (ko) 2017-01-10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속질감 필름 및 금속질감 케이스
KR101894174B1 (ko) * 2017-01-16 2018-09-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1425B1 (ko) * 2018-06-05 2019-03-22 (주)피엔티 패턴 내재형 인몰드 성형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1792B1 (ko) 2022-05-17 2022-10-13 주식회사 명진커넥터 전자기기용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출물의 에칭 및 도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64B2 (en) Vehicle structure with three dimensional film and method
US20100156007A1 (en) Method of combining laser-engraving and in-mold decoration techniques to laser-engrave pattern on plastic product
US20100297407A1 (en) Plastic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075941A1 (en) Method for bonding plastic mold member onto metal housing
US20130075026A1 (en) Method for bonding plastic mold member onto metal housing
US20110003102A1 (en) Method for making housing and housing thereof
KR101437784B1 (ko) 종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058112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表面処理方法
CN101941314A (zh) 具有金属质感的壳体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壳体
CN110978592A (zh) 一种3d手机后盖仿玻璃的制作方法
KR101317855B1 (ko) 복합층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물
US7494559B2 (en) Surface ornamentation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CN101003195A (zh) 利用模内成型的具高硬度的光学薄膜结构及制程
KR102677139B1 (ko)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KR102547363B1 (ko) 무기재 이중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3412A (ko) 장식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4056B1 (ko)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필름상의 패턴 형성 방법
US20060255492A1 (en) In-mold decoration process
US20060244171A1 (en) In-Mold Decoration process
US20100330344A1 (en) Method for making key panel and key panel thereof
KR20200069777A (ko) 액상 반응 경화 공법을 이용한 복합층을 구비한 리얼 소재 제품의 제조방법
KR101950380B1 (ko) 금속광택을 가지는 친환경 장식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103540A (zh) 真木装饰零件隐藏式透光效果的工艺技术方法
JPH11342700A (ja) 装飾模様シート及び装飾模様を有する合成樹脂成形品
JP2008518813A (ja) 成形プロセスおよび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