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3773B1 -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 Google Patents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773B1
KR102533773B1 KR1020180096510A KR20180096510A KR102533773B1 KR 102533773 B1 KR102533773 B1 KR 102533773B1 KR 1020180096510 A KR1020180096510 A KR 1020180096510A KR 20180096510 A KR20180096510 A KR 20180096510A KR 102533773 B1 KR102533773 B1 KR 10253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ed
bands
armament
trolley
strongb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134A (ko
Inventor
정현주
김용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 상에 무장을 안착시킨 후 고정, 외부 크레인을 통해 트롤리 자체를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시킨 후 자체적으로 마련된 구동부를 통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장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본 발명은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함외의 무장을 이송 및 주입하는 과정에서, 트롤리 상에 무장을 안착시킨 후 고정, 외부 크레인을 통해 트롤리 자체를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시킨 후 자체적으로 마련된 구동부를 통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장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 내 무장을 탑재시키기 위해서는, 잠수함의 일부를 케이싱하여 뜯어내고 함외탑재장치를 설치한 후, 외부 크레인에 의해 이송된 무장을 함외납재장치에 안착시킨 후 다시 별도의 고정장치를 통해 무장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함내로 주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잦은 무장 고정장치 연결 및 취외작업은 작업자의 작업량 증대, 무장 탑재의 효율성 저하 및 무장의 안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716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트롤리 상에 무장을 안착시킨 후 고정, 외부 크레인을 통해 트롤리 자체를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시킨 후 자체적으로 마련된 구동부를 통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장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는 무장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롤리, 상기 무장의 양측 말단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의 상측과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트롤리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트롤리의 하측에 마련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외부 크레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크레인의 위치 이동에 의해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 상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 롤러를 통해 상기 무장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는 각각 상기 트롤리의 상측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무장의 하측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각각 제1 및 제2 힌지(HINGE)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거나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면서 무장이 안착되기 위한 개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의 힌지동작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상에 무장이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 및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가 체결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체결되어 상기 무장이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는 상기 외부 크레인에 마련된 후크가 걸리기 위한 걸림 고리 및 상기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아이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트롤리의 길이 방향으로 하측 말단부에 한 쌍으로 위치하며, 각각 상기 트롤리의 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크레인을 통해 트롤리 자체를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시킨 후 자체적으로 마련된 구동부를 통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장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트롤리를 스트롱백형상에 기반하여 변형시키며, 안벽에서 별도의 취외 작업없이 이송까지 한번에 가능함으로써 무장 탑재 과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롤러(15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잠수함(1)의 함외주입장치(2)를 통해 함내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잠수함(1) 내에서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크게 트롤리(110),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 지지부(140) 및 회전 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트롤리(110)는 무장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일종의 이송대(plate)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트롤리(110)는 상측에 안착되는 무장의 중심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무장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게 된다.
또한, 잠수함으로부터 인출되는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브릿지 형상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는 트롤리(110)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무장의 양측 말단부를 감싸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는 각각 트롤리(110)의 상측의 양측 말단부에 고정되며 무장의 하측이 안착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와,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와 각각 제1 및 제2 힌지(120a, 130a)를 통해 힌지 연결되며 제1 및 제2 힌지(120a, 130a)를 통해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의 상측은 지지부(140)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가 젖혀진다는 것은 지지부(140)도 함께 젖혀진다는 것이고, 이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 상에 무장이 안착되기 위한 개방영역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 상에 무장이 안착된 후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가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짐에 따라, 무장은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의 내측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는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120b, 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부(120b, 130b)는 각각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와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가 만나는 연결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체결부(120b, 130b)가 체결될 경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로부터 완전히 고정되며, 이에 따라 무장은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완전 고정되게 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지지부(140)는 상술한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에 완전 고정된 무장이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외부 크레인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의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40)의 일측에는 외부 크레인에 마련된 후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 고리(141)와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아이(142)가 마련된다.
따라서, 지지부(140)가 걸림 고리(141) 혹은 리프트아이(142)에 의해 외부 크레인과 연결되는 경우, 외부 크레인의 위치 이동에 의해 무장은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된다.
회전 롤러(150)는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 및 안착된 트롤리(110)가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함 내로 위치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롤러(15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회전 롤러(150)는 트롤리(110)의 길이 방향으로 하측에서 각각 양측 말단부에 하나씩 위치되며, 각각 트롤리(1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 롤러(150)가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에는 트롤리(110)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고, 추후 함 내에서 함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경우에는 트롤리(110)의 폭 방향으로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된다.
다음으로는, 도 4를 통해 회전 롤러(150)에 의해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함 내부로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잠수함(1)의 함외주입장치(2)를 통해 함내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잠수함(1)의 함수부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함외주입장치(2)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크레인에 의해 이송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함외주입장치(2) 상에 안착되는데, 이때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의 하측에 마련된 회전 롤러(150)는 함외주입장치(2) 상에 마련된 레일(2a)에 안착된다.
함외주입장치(2)는 상측면이 바깥을 향해 벌어지는 브릿지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트롤리(110)가 무장과 안정감있게 이송되기 위해 함외주입장치(2)의 상측면이 무장의 하측면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 롤러(150)가 회전함에 따라,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잠수함(1) 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하게 된다.
한편, 잠수함(1) 내에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잠수함(1)의 횡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데, 이는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잠수함(1) 내에서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잠수함(1) 내의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함내에 마련된 횡방향 레일(1a)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롤러(150)는 횡방향 레일(1a)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잠수함(1) 내에서 횡방향으로 위치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잠수함
1a: 횡방향 레일
2: 함외주입장치
2a: 레일
100: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110: 트롤리
120, 130: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
120a, 130a: 제1 및 제2 힌지
120b, 130b: 제1 및 제2 체결부
121, 131: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122, 132: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
140: 지지부
141: 걸림 고리
142: 리프트아이
150: 회전 롤러

Claims (7)

  1. 무장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롤리;
    상기 무장의 양측 말단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의 상측과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트롤리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트롤리의 하측에 마련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외부 크레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크레인의 위치 이동에 의해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 상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 롤러를 통해 상기 무장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는 상기 외부 크레인에 마련된 후크가 걸리기 위한 걸림 고리 및 상기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아이가 마련되며,
    상기 리프트아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는,
    각각 상기 트롤리의 상측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무장의 하측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각각 제1 및 제2 힌지(HINGE)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거나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의 상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면서 무장이 안착되기 위한 개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의 힌지동작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상에 무장이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 및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가 체결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체결되어 상기 무장이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트롤리의 길이 방향으로 하측 말단부에 한 쌍으로 위치하며, 각각 상기 트롤리의 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KR1020180096510A 2018-08-20 2018-08-20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Active KR102533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10A KR102533773B1 (ko) 2018-08-20 2018-08-20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10A KR102533773B1 (ko) 2018-08-20 2018-08-20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34A KR20200021134A (ko) 2020-02-28
KR102533773B1 true KR102533773B1 (ko) 2023-05-16

Family

ID=6963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510A Active KR102533773B1 (ko) 2018-08-20 2018-08-20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17B1 (ko)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412A (en) * 1986-02-14 1987-08-11 Fmc Corporation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 stowing bands
DE3865448D1 (de) * 1987-01-26 1991-11-21 Babcock Energy Ltd Vorrichtung zum vertaeuen und loesen von lasten auf einem flugzeug und einem schiff.
KR101535353B1 (ko) 2013-10-24 2015-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어뢰기만기 발사체계의 탑재 장치 및 방법
FR3020672B1 (fr) * 2014-04-30 2016-05-06 Nexter Systems Dispositif de prehension d'obus et procede de prehension mettant en oeuvre un tel dispositi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17B1 (ko)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34A (ko)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33396B2 (ko)
US6439445B1 (en) Tensioner
CN116085673B (zh) 一种具有罐体防护功能的lng船用运输设备
KR102533773B1 (ko)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KR20200037257A (ko) 로켓 발사 모듈 및 로켓 발사 차량
KR101979137B1 (ko) 무기를 이송하고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JPS60205200A (ja) 自動装填用弾薬保持装置
DE3060847D1 (en) Apparatus for laying a submarine pipeline j-wise
US3340768A (en) Launching device
CA2567774C (en) Device for feeding propellant charges to a heavy weapon
KR870009207A (ko) 잠수함 병기 취급 시스템
KR20120002813U (ko) 잠수함의 슬라이딩식 무장 이송장치
KR100418666B1 (ko) 대전차 미사일 적재 장치
KR102523652B1 (ko) 자동화 된 무장 이송 및 장전 시스템
KR20200022824A (ko) 잭킹 암을 이용한 무장 저장시스템
KR102590601B1 (ko) 수중 무장 지원용 잠수함
KR102375318B1 (ko) 잠수함용 납 발라스트 장치
JP3195934B2 (ja) 機関砲砲車用の弾薬搬送装置
ES2911107T3 (es) Módulo de tubo de armas para eyectar dos armas guiadas dispuestas una detrás de otra
CN221162448U (zh) 一种固定防护装置及钢卷运输系统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GB2294242A (en) Evacuation system
ES2381809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carga y de descarga de las municiones de un submarino
SU745735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изогнутых труб
KR101847739B1 (ko) 유압시스템의 이배속 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