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3915B1 - 차실 구조 - Google Patents

차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915B1
KR102503915B1 KR1020200161952A KR20200161952A KR102503915B1 KR 102503915 B1 KR102503915 B1 KR 102503915B1 KR 1020200161952 A KR1020200161952 A KR 1020200161952A KR 20200161952 A KR20200161952 A KR 20200161952A KR 102503915 B1 KR102503915 B1 KR 10250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nel
cross
width direction
s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045A (ko
Inventor
줌페이 와타나베
야스히로 하라
노리마사 고레이시
히로타카 이시오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10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9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실 구조는, 차실 내에 배치됨과 함께 전자 기기 (188) 의 차량 상방측에 배치된 차량용 시트 (98) 와, 상기 차실 내와 차실 외를 나눔과 함께 당해 차실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74, 106) 의 일부를 구성하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자 기기 (188)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당해 전자 기기 (188) 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제 1 패널부 (118A) 와, 상기 플로어 패널 (74, 106) 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 (188) 의 차량 전방측에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당해 전자 기기 (188) 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 2 패널부 (118B)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실 구조{STRUCTURE OF VEHICLE CABIN}
본 발명은 차실 (車室)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0628호에는, 모터 룸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모터 룸 구조에서는, 차실 외에 설치된 모터 룸에 인버터 등의 전자 기기가 배치되어 있어, 차실 내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승차 스페이스가 제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관련 기술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가 차실 외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이, 전자 기기에 입력되기 쉬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의해 차실 내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승차 스페이스가 제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차량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에 의한 전자 기기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차실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는, 차실 내에 배치됨과 함께 전자 기기의 차량 상방측에 배치된 차량용 시트와, 상기 차실 내와 차실 외를 나눔과 함께 당해 차실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의 일부를 구성하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자 기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당해 전자 기기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제 1 패널부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차량 전방측에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당해 전자 기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 2 패널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실 내에 차량용 시트가 배치되어 있고, 당해 차량용 시트는, 전자 기기의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실 내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승차 스페이스가, 전자 기기의 차량 상방측에 확보된다.
그런데, 전자 기기가 차실 외에 배치되면, 차량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이, 전자 기기에 입력되기 쉬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서는, 차실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에 의해, 차실 내와 차실 외가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는, 플로어 패널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패널부에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플로어 패널은, 제 2 패널부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제 2 패널부는, 전자 기기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패널부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전자 기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2 패널부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당해 전자 기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구성에서는, 차량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이, 전자 기기보다 먼저, 제 1 패널부 또는 제 2 패널부에 입력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의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차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斷面) 이 폐단면으로 된 플로어 크로스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플로어 패널의 제 1 패널부 및 제 2 패널부의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차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플로어 크로스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실 내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승차 스페이스가, 플로어 크로스부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플로어 크로스부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플로어 크로스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2 차 모멘트에 비해서,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플로어 크로스부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2 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은, 차실 내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승차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전자 기기의 주변부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해 플로어 패널을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크로스부는, 상기 제 2 패널부의 차량 상방측의 주연부를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는,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플로어 크로스부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 크로스부가, 제 2 패널부의 차량 상방측의 주연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어 크로스부에는, 차량용 시트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어, 당해 차량용 시트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당해 플로어 크로스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은, 차량용 시트를 플로어 패널에 대해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차량 후방측에는, 상기 차실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누는 칸막이부가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차실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의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짐과 함께, 상기 차량용 시트는, 상기 칸막이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된 칸막이부에 의해, 차실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런데, 차량용 시트를 지지함에 있어서, 제 1 패널부에 지지 부재를 배치하여 당해 지지 부재로 당해 차량용 시트를 지지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차량용 시트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에 의해 지지 부재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가 커져, 차량용 시트를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서는, 차량용 시트가, 칸막이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당해 칸막이부는, 차실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과 플로어 패널의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 있다. 이 때문에, 차량용 시트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은, 칸막이부를 개재하여 루프 패널 및 플로어 패널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또 상기 구성은, 차량용 시트와 플로어 패널의 사이에 전자 기기가 수납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차량용 시트를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러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필러부와, 상기 제 1 필러부 및 상기 제 2 필러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패널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어퍼 크로스부와, 상기 제 1 필러부 및 상기 제 2 필러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로우어 크로스부와, 상기 칸막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장치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부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러부가 배치되어 있고, 당해 칸막이부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에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필러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루프 패널이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 크로스부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당해 어퍼 크로스부는, 제 1 필러부 및 제 2 필러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플로어 패널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우어 크로스부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당해 로우어 크로스부는, 제 1 필러부 및 제 2 필러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실에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 (環狀) 으로 된 환상 구조부가 구성되게 된다.
또, 칸막이부에는, 차량용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구속 가능한 구속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차량의 제동시나 차량에 대한 충돌 하중 입력시에 있어서, 탑승자에게 발생하는 관성력은, 당해 구속 장치를 개재하여 당해 칸막이부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서는, 칸막이부와, 상기 서술한 환상 구조부가 연속되어 있어, 탑승자에게 발생하는 관성력이, 구속 장치 및 칸막이부를 개재하여 당해 환상 구조부로 전달되어 지지된다.
상기 구성은, 구속 장치에 의해, 차량용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안정적인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패널부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당해 제 1 패널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자 기기가, 제 1 패널부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당해 제 1 패널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에 대한 차량 폭 방향의 충돌 하중의 입력시에 있어서, 당해 충돌 하중의 입력 지점으로부터 전자 기기까지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은,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충돌 하중이, 전자 기기에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는, 전자 기기에 의해 차실 내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승차 스페이스가 제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차량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에 의한 전자 기기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되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실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 의 Ⅱ-Ⅱ 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필러부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9 의 Ⅲ-Ⅲ 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 의 Ⅳ-Ⅳ 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필러부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 (도 9 의Ⅴ-Ⅴ 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파티션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 의 Ⅵ-Ⅵ 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프레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 도 9 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실 구조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 FR 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 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LH 는 차량 폭 방향 좌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 (10)」은, 강제의 차체 (12) 와 차체 (12) 를 지지하는 강제의 프레임 (14) 을 구비하고 있고, 소위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다.
프레임 (14) 은, 도 8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에 걸쳐 놓여 있는 제 1 크로스부 (18), 제 2 크로스부 (20) 및 제 3 크로스부 (22) 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프레임부 (16) 는, 전체적으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프론트 프레임부 (16A), 메인 프레임부 (16B) 및 킥부 (16C) 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프레임부 (16A) 는, 사이드 프레임부 (16)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프론트 프레임부 (16A)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에는, 장착판부 (24)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판부 (24) 에는, 도시하지 않은 프론트 범퍼 레인포스먼트가 장착되어 있다.
또, 프론트 프레임부 (16A)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에는, 차체 (12) 를 지지하는 제 1 마운트부 (26) 가 설치되어 있고, 프론트 프레임부 (16A)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에는, 마찬가지로 차체 (12) 를 지지하는 제 2 마운트부 (28)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프레임부 (16A) 에 있어서의 제 1 마운트부 (26) 와 제 2 마운트부 (28) 사이의 부분에는, 서스펜션 타워 (30)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서스펜션 타워 (30) 에는, 도시하지 않은 쇼크 업소버 등이 장착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부 (16B) 는, 사이드 프레임부 (16) 의 차량 전후 방향 중앙측의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프론트 프레임부 (16A)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차량 하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메인 프레임부 (16B)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에는, 차체 (12) 를 지지하는 제 3 마운트부 (32) 가 설치되어 있다.
또, 메인 프레임부 (16B)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파워 유닛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배터리 팩 (34) 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터리 팩 (34) 은, 그 외각 (外殼) 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배터리 케이스 (36) 및 배터리 케이스 (36) 의 내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팩 (34) 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그 주된 부분이 메인 프레임부 (16B) 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킥부 (16C) 는, 프론트 프레임부 (16A) 와 메인 프레임부 (16B) 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킥부 (16C) 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프론트 프레임부 (16A) 로부터 차량 후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프론트 프레임부 (16A) 로부터 차량 후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제 1 크로스부 (18) 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 1 마운트부 (26) 의 차량 하방측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부 (16A) 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제 2 크로스부 (20) 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서스펜션 타워 (30) 의 차량 하방측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부 (16A) 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 제 2 크로스부 (20) 에는, 1 쌍의 모터 마운트부 (38) 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모터 마운트부 (38) 에는, 파워 유닛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터가 장착되어 있다.
제 3 크로스부 (22) 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프론트 프레임부 (16A) 에 있어서의 킥부 (16C) 와의 경계부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부 (16A) 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다음으로, 차체 (12)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차체 (12)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상의 상자 형상으로 됨과 함께, 기본적으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CL (도 8 참조) 에 대해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차실 (40)」의 주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차실 (40) 은, 후술하는 칸막이부로서의 「파티션부 (94)」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누어져 있고, 차실 (40) 에 있어서의 파티션부 (94) 보다 차량 전방측의 부분은 운전실 (42) 로 되어 있고, 차실 (40) 에 있어서의 파티션부 (94) 보다 차량 후방측의 부분은 객실 (44) 로 되어 있다.
차체 (12) 는, 차실 (40)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부 (46), 차실 (40)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부 (48), 루프부 (46) 와 플로어부 (48) 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필러부 (50)」 및 「제 2 필러부 (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루프부 (46) 는, 도 4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54)」,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1 쌍의 루프 사이드 레일 (56), 루프 패널 (54) 을 보강하는 「어퍼 크로스부 (58)」 및 보강 패널 (6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에서는, 루프 사이드 레일 (56) 등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루프 패널 (54) 을 도시하지 않았다.
루프 패널 (54) 은, 판두께 방향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된 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고,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차량 상방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은, 루프 패널 (54) 의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2) 와, 그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 로우어 (6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은, 그 외형이,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긴 치수로 설정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2) 에는, 루프 패널 (54)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12) 의 측부 (66) 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 (68) 의 상측 가장자리부 (68A) 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의 차량 하방측에는, 도어 개구부 (68) 를 개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도어를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어퍼 크로스부 (58) 는, 루프 패널 (54) 의 차량 하방측에 루프 패널 (54) 을 따라서 배치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어퍼 크로스부 (58)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모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플랜지부 (58A) 가 루프 패널 (54)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어퍼 크로스부 (58) 는, 루프 패널 (54) 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어퍼 크로스부 (58)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장착편부 (58B)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편부 (58B) 는,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2) 에 접합되어 있다.
보강 패널 (60) 은, 도 4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2) 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보강 패널 (60) 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면과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면의 각각에,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60A)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패널 (60)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루프 패널 (54) 에, 보강 패널 (60)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2) 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플로어부 (48) 는, 운전실 (42) 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프론트 플로어부 (70) 와, 객실 (44) 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센터 플로어부 (72)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플로어부 (70) 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센터 플로어부 (72)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센터 플로어부 (72) 는, 도 1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로서의 「센터 플로어 패널 (74)」과, 1 쌍의 로커 (76) 와, 「로우어 크로스부 (7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은,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되어 있고, 객실 (44) 측의 플로어면을 구성하고 있다.
로커 (76) 는,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주연부를 따라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로커 (76) 는, 도 5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로커 아우터 (80) 와, 그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로커 이너 (82) 를 포함하고,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로커 이너 (82) 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면에는,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로우어 크로스부 (78) 는, 도 1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의 차량 하방측에,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를 따라서 또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어퍼 크로스부 (58) 와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로우어 크로스부 (78)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모자 형상으로 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로우어 크로스부 (78) 는, 그 차량 전후 방향 양측으로 설치된 1 쌍의 플랜지부 (78A) 가 센터 플로어 패널 (74)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센터 플로어 패널 (74) 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필러부 (5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 일방측 (차량 폭 방향 좌측) 의 측부 (66) 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운전실 (42) 과 객실 (44) 의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고,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1 필러부 (50) 는,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필러 아우터 (84) 와, 그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필러 이너 (86) 를 포함하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아우터 (84)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 로우어 (64) 에, 필러 아우터 (84)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는 로커 아우터 (80) 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 필러 이너 (86)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어퍼 크로스부 (5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필러 이너 (86)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은, 로커 이너 (82) 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 필러 이너 (86)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에는, 로우어 크로스부 (78)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서는, 루프 사이드 레일 (56) 등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필러 이너 (86) 를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 으로 돌아와, 제 1 필러부 (50) 의 하부 (50A) 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은, 측부 (66) 의 객실 (44) 측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제 1 측부 아우터 패널 (88) 에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그리고, 제 1 측부 아우터 패널 (88) 은, 필러 아우터 (84)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하부 (50A) 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은, 측부 (66) 의 운전실 (42) 측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제 2 측부 아우터 패널 (90) 에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그리고, 제 2 측부 아우터 패널 (90) 은, 필러 아우터 (84)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7 에서는, 제 1 필러부 (50) 등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 1 측부 아우터 패널 (88) 및 제 2 측부 아우터 패널 (90) 을 도시하지 않았다.
한편, 제 2 필러부 (52) 는, 차량 폭 방향 타방측 (차량 폭 방향 우측) 의 측부 (66) 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기본적으로 제 1 필러부 (50)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2 필러부 (52) 에는, 제 1 필러부 (50) 와 마찬가지로, 어퍼 크로스부 (58) 및 로우어 크로스부 (78) 가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운전실 (42) 과 객실 (44) 의 경계부에는, 도 1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필러부 (50), 제 2 필러부 (52), 어퍼 크로스부 (58) 및 로우어 크로스부 (78) 를 포함하고,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환상 구조부 (92) 가 구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 구조에서는, 운전실 (42) 및 그 주변부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운전실 (42) 및 그 주변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실 (42) 은, 그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프론트 플로어부 (70) 및 파티션부 (9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실 (42) 의 내측에는, 운전자 (탑승자) (96) 가 착좌 가능한 「차량용 시트 (98) (이하, 시트 (98) 라고 부른다)」와, 시트 지지부 (100) 와, 운전자 (96) 를 구속 가능한 「구속 장치 (102)」와, 기기 유닛 (104) 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플로어부 (70) 는, 운전실 (42) 내와 운전실 (42) 밖을 나누는 플로어 패널로서의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제 1 크로스 멤버 (108), 제 2 크로스 멤버 (110), 제 3 크로스 멤버 (112) 및 1 쌍의 사이드 보강부 (11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은, 그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 (116) 과, 그 차량 전후 방향 중앙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센터 패널 (118) 과, 그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리어 패널 (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 (116) 은, 그 주된 부분을 구성하는 주벽 (主壁) 부 (116A) 와, 제 2 패널부로서의 「연장 벽부 (116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벽부 (116A) 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고, 연장 벽부 (116B) 는, 주벽부 (116A) 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센터 패널 (118) 은, 그 주된 부분을 구성하는 제 1 패널부로서의 「주벽부 (118A)」와, 제 2 패널부로서의 「연장 벽부 (118B)」와, 연장 벽부 (118C)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벽부 (118A) 는, 주벽부 (116A) 의 차량 하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다.
연장 벽부 (118B) 는, 주벽부 (118A) 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그 차량 상방측의 단부가, 연장 벽부 (116B) 에 차량 전방측에서부터 중첩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연장 벽부 (118C) 는, 주벽부 (118A) 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어 패널 (120) 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차량 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다. 이 리어 패널 (120) 은, 그 차량 상방측의 단부가, 연장 벽부 (118C) 에 차량 전방측에서부터 중첩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리어 패널 (120)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에는,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제 1 크로스 멤버 (108) 는, 프론트 패널 (116) 의 주벽부 (116A) 의 차량 하방측이면서 또한 연장 벽부 (116B) 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횡벽부 (108A), 종벽부 (108B) 및 장착벽부 (108C, 108D)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횡벽부 (108A) 는, 판두께 방향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되어 주벽부 (116A) 와 대향하고 있고, 종벽부 (108B) 는, 횡벽부 (108A) 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연장 벽부 (116B) 와 대향하고 있다.
장착벽부 (108C) 는, 종벽부 (108B) 의 차량 상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주벽부 (116A) 에 차량 하방측에서부터 중첩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장착벽부 (108D) 는, 횡벽부 (108A) 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센터 패널 (118) 의 연장 벽부 (118B) 에 차량 전방측에서부터 중첩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크로스 멤버 (108) 의 도시하지 않은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는, 필러 이너 (86)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크로스 멤버 (108) 가 프론트 패널 (116) 및 센터 패널 (118) 에 장착됨으로써,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플로어 크로스부로서의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가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는, 프론트 패널 (116), 센터 패널 (118) 및 제 1 크로스 멤버 (108) 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연장 벽부 (116B, 118B) 측에서부터 운전실 (4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는, 연장 벽부 (116B) 의 차량 상방측의 주연부를 따라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2 크로스 멤버 (110) 는, 센터 패널 (118) 의 주벽부 (118A) 의 차량 하방측이면서 또한 연장 벽부 (118C) 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종벽부 (110A), 횡벽부 (110B) 및 장착벽부 (110C, 110D)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종벽부 (110A) 는, 판두께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이 되어 리어 패널 (120) 과 대향하고 있고, 횡벽부 (110B) 는, 종벽부 (110A) 의 차량 하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주벽부 (118A) 와 대향하고 있다.
장착벽부 (110C) 는, 종벽부 (110A) 의 차량 상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주벽부 (118A) 에 차량 하방측에서부터 중첩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장착벽부 (110D) 는, 횡벽부 (110B) 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리어 패널 (120) 에 차량 전방측에서 중첩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크로스 멤버 (110) 의 도시하지 않은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는, 필러 이너 (86)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2 크로스 멤버 (110) 가 센터 패널 (118) 및 리어 패널 (120) 에 장착됨으로써,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플로어 크로스부로서의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가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는, 센터 패널 (118), 리어 패널 (120) 및 제 2 크로스 멤버 (110) 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주벽부 (118A) 측으로부터 운전실 (4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는, 주벽부 (118A) 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를 따라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3 크로스 멤버 (112)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하방측으로 개방된 모자 형상으로 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3 크로스 멤버 (112) 는, 프론트 패널 (116) 의 주벽부 (116A) 의 차량 상방측에, 그 대부분이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와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크로스 멤버 (112) 는, 그 플랜지부 (112A) 가 주벽부 (116A)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주벽부 (116A) 와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요컨대, 제 3 크로스 멤버 (112) 는,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와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사이드 보강부 (114) 는,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을 보강하고 있다. 이 사이드 보강부 (114) 는, 제 1 지지부 (126), 1 쌍의 제 2 지지부 (128), 제 1 사이드 멤버 (130), 제 2 사이드 멤버 (132), 제 1 연결부 (134), 제 2 연결부 (136) 및 제 3 연결부 (138)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지지부 (126) 는, 차체 (12) 의 전단 (前端) 부에 있어서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자 모양으로 됨과 함께, 그 하면부가 제 1 마운트부 (26) 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제 1 지지부 (126) 의 상면부에는, 차체 (12) 의 전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 (140)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제 2 지지부 (128) 는, 제 1 크로스 멤버 (108) 의 차량 하방측에 서로에 대해 차량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지지부 (128) 는, 제 1 크로스 멤버 (108) 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상자 모양으로 됨과 함께, 제 1 크로스 멤버 (108) 및 센터 패널 (11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 제 2 지지부 (128) 의 하면부는, 그 차량 상하 방향의 위치가 제 1 지지부 (126) 의 하면부의 위치와 동일한 정도의 위치로 설정됨과 함께, 제 2 마운트부 (28) 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 1 사이드 멤버 (130) 는, 전면 패널 (140) 과 제 1 크로스 멤버 (108) 의 사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모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사이드 멤버 (130) 는, 그 플랜지부 (130A) 가 프론트 패널 (116)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프론트 패널 (116) 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 1 사이드 멤버 (130) 는, 전면 패널 (140), 제 1 크로스 멤버 (108) 및 제 2 지지부 (128) 에도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제 2 사이드 멤버 (132) 는, 제 2 지지부 (128) 와 제 2 크로스 멤버 (110) 의 사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모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사이드 멤버 (132) 는, 그 플랜지부 (132A) 가 센터 패널 (11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센터 패널 (118) 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 2 사이드 멤버 (132) 는, 제 2 지지부 (128) 및 제 2 크로스 멤버 (110) 에도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제 1 연결부 (134)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제 1 지지부 (126) 로부터 차량 후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그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모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부 (134) 는, 제 1 지지부 (126), 전면 패널 (140), 프론트 패널 (116) 및 제 1 사이드 멤버 (130)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이들을 연결하고 있다.
제 2 연결부 (136) 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U 자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연결부 (136) 는, 제 1 사이드 멤버 (130), 제 1 크로스 멤버 (108) 및 제 2 지지부 (12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이들을 연결하고 있다.
제 3 연결부 (138)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U 자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연결부 (138) 는, 제 2 사이드 멤버 (132) 및 제 2 크로스 멤버 (110)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이들을 연결하고 있다.
도 1 로 돌아와, 파티션부 (94) 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제 1 필러부 (50) 와 제 2 필러부 (52) 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1 쌍의 파티션 패널 (142), 1 쌍의 보강 부재 (144), 복수의 상측 지지 브래킷 (146) 및 복수의 하측 지지 브래킷 (148)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6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티션 패널 (142) 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차량 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됨과 함께, 서로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차량 전방측의 파티션 패널 (142) 은, 어퍼 크로스부 (58) 및 로우어 크로스부 (78) 의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강 부재 (144) 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전방측으로 개방된 모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강 부재 (144) 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서로에 대해 중심선 CL 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함께, 1 쌍의 파티션 패널 (142) 사이에 끼인 상태로, 파티션 패널 (142)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상측 지지 브래킷 (146) 은, 차량 전방측의 파티션 패널 (142)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접합편부 (146A) 와 장착편부 (146B) 를 포함하여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L 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합편부 (146A) 는, 파티션 패널 (142) 을 따라서 배치됨과 함께, 파티션 패널 (142)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장착편부 (146B) 는, 어퍼 크로스부 (58) 의 바닥벽부 (58C) 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편부 (146B) 는, 바닥벽부 (58C) 의 차량 상방측의 면에 설치된 웰드 너트 (150) 및 웰드 너트 (150) 에 차량 하방측에서부터 체결된 볼트 (152) 에 의해, 어퍼 크로스부 (58) 에 장착되어 있다.
하측 지지 브래킷 (148) 은, 차량 전방측의 파티션 패널 (142)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접합편부 (148A) 와 장착편부 (148B) 를 포함하여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L 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합편부 (148A) 는, 파티션 패널 (142) 을 따라서 배치됨과 함께, 파티션 패널 (142)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장착편부 (148B) 는,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편부 (148B) 는, 로우어 크로스부 (78) 의 차량 후방측의 플랜지부 (78A) 의 차량 하방측의 면에 설치된 웰드 너트 (154) 및 웰드 너트 (154) 에 차량 상방측에서부터 체결된 볼트 (156) 에 의해, 센터 플로어 패널 (74) 및 로우어 크로스부 (78) 에 장착되어 있다.
요컨대, 파티션부 (94) 는, 차량 상방측에 있어서 어퍼 크로스부 (58) 를 개재하고는 있지만, 루프 패널 (54) 과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의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져 있다.
한편, 시트 (98)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 (158), 시트 백 (160), 헤드레스트 (162) 및 시트 쿠션 (158) 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1 쌍의 시트 레일 (164)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 (98) 는, 프론트 플로어부 (70) 의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와 중첩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의 중심이 중심선 CL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 (98) 는, 시트 지지부 (100) 에 의해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지지되고 있다.
시트 지지부 (100) 는, 1 쌍의 전 (前) 측 지지부 (166) 와 1 쌍의 후 (後) 측 지지부 (168) 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지지부 (166) 는, 홈형강 (鋼) 으로 구성됨과 함께, 제 3 크로스 멤버 (112) 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지지부 (166)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는, 제 3 크로스 멤버 (112) 의 상벽부 (112B) 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전측 지지부 (166)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에는, 시트 레일 (164)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요컨대, 시트 (98) 는, 전측 지지부 (166) 및 제 3 크로스 멤버 (112) 를 개재하여,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와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후측 지지부 (168) 는, 판두께 방향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된 상벽부 (168A) 와, 판두께 방향이 차량 폭 방향으로 된 1 쌍의 측벽부 (168B) 와, 판두께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된 후벽부 (168C) 를 포함하고, 차량 전방측 및 차량 하방측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벽부 (168C) 는, 차량 전방측의 파티션 패널 (142) 의 차량 후방측의 면에 설치된 웰드 너트 (170) 및 웰드 너트 (170) 에 차량 전방측에서부터 체결된 볼트 (172) 에 의해 파티션부 (94)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벽부 (168A) 에는, 시트 레일 (164)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구속 장치 (102) 는, 소위 3 점식 시트 벨트 장치로 되어 있고, 웨빙 (174), 리트랙터 (176), 텅 플레이트 (178), 버클 (180), 로우어 앵커 (182) 및 숄더 앵커 (184) 를 구비하고 있다.
웨빙 (174) 은, 비사용시에 있어서 리트랙터 (176) 에 감겨 있고, 사용시에 있어서는, 리트랙터 (176) 로부터 인출되어 운전자 (96) 를 구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트랙터 (176) 는, 시트 (98) 의 차량 폭 방향 좌측에 배치됨과 함께, 파티션부 (94) 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웨빙 (174) 을 인출 가능하게 감아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차량 (10) 에 대한 충돌 하중의 입력시에 있어서, 리트랙터 (176) 는, 웨빙 (174) 의 인출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텅 플레이트 (178) 는, 웨빙 (174) 이 삽입 통과됨으로써 웨빙 (174) 에 장착됨과 함께, 버클 (180) 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버클 (180) 은, 차량 폭 방향 우측의 후측 지지부 (168) 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우측의 측벽부 (168B) 에 설치되어 있고, 텅 플레이트 (178) 를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우어 앵커 (182) 는, 웨빙 (174) 의 단부에 설치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 좌측의 후측 지지부 (168) 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좌측의 측벽부 (168B) 에 장착되어 있다.
숄더 앵커 (184) 는, 리트랙터 (176) 의 차량 상방측이면서 또한 헤드레스트 (162) 의 차량 폭 방향 좌측에 배치됨과 함께, 파티션부 (94) 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숄더 앵커 (184) 에는, 리트랙터 (176) 로부터 인출된 웨빙 (174)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속 장치 (102) 에서는, 차량 (10) 에 대한 충돌 하중의 입력시에 있어서, 운전자 (96) 로부터 웨빙 (174) 에 작용하는 하중이 파티션부 (94) 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기 유닛 (104) 은, 그 외각을 구성하는 기기 케이스 (186) 와, 기기 케이스 (186) 에 수납된 「전자 기기 (18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기 케이스 (186) 는, 그 외형이 직방체상으로 됨과 함께, 차량 전방측 및 차량 하방측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알루미늄 합금 등의 전자파의 차단에 적합한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기 케이스 (186) 는, 차체 (12) 의 센터 패널 (118) 에 있어서의 주벽부 (118A) 에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차체 (12) 에 도시하지 않은 금속제의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요컨대, 기기 케이스 (186) 와 차체 (12) 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고, 바꾸어 말하면, 기기 케이스 (186) 는, 보디 접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전자 기기 (188) 는, 직접 또는 베이스 부재 등의 부재를 개재하여 주벽부 (118A) 또는 기기 케이스 (186) 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88) 로는, 각종 기기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정격 전압이 60 [V] 이상으로 설정된 고전압 기기이고, 이 고전압 기기로는, 예를 들어, 정션 박스, 에어콘 컴프레서, 인버터 등의 전기 (電機) 를 들 수 있다. 또, 기기 케이스 (186) 에 수납되는 전자 기기 (188) 는, 1 개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그리고, 기기 유닛 (104) 은, 센터 패널 (118) 의 주벽부 (118A) 의 차량 상방측이면서 또한 프론트 패널 (116) 의 연장 벽부 (116B) 및 센터 패널 (118) 의 연장 벽부 (118B) 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기 유닛 (104) 은, 기기 케이스 (186) 의 상면의 차량 상하 방향의 위치가, 프론트 패널 (116) 의 주벽부 (116A) 에 있어서의 상면의 차량 상하 방향의 위치와 동일한 정도의 위치가 된 상태로, 시트 (98) 의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기기 유닛 (104) 은, 도 7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벽부 (118A) 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그 전체가 주벽부 (118A)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 유닛 (104) 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그 전체가 연장 벽부 (116B, 118B)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 (40) 내에 시트 (98) 가 배치되어 있고, 시트 (98) 는, 전자 기기 (188) 의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실 (40) 내에 있어서의 운전자 (96) 의 승차 스페이스가, 전자 기기 (188) 의 차량 상방측에 확보된다.
그런데, 전자 기기 (188) 가 차실 (40) 외에 배치되면, 차량 (10) 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이, 전자 기기 (188) 에 입력되기 쉬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실 (40)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에 의해, 차실 (40) 내와 차실 (40) 외가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 (188) 는,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의 일부를 구성하는 센터 패널 (118) 의 주벽부 (118A) 에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에 있어서, 프론트 패널 (116) 은 연장 벽부 (116B) 를, 센터 패널 (118) 은 연장 벽부 (118B) 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연장 벽부 (116B, 118B) 는, 전자 기기 (188) 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주벽부 (118A) 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전자 기기 (188)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연장 벽부 (116B, 118B) 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전자 기기 (188)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이, 전자 기기 (188) 보다 먼저, 주벽부 (118A) 또는 연장 벽부 (116B, 118B) 에 입력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기기 (188) 에 의해 차실 (40) 내에 있어서의 운전자 (96) 의 승차 스페이스가 제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차량 (10) 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에 의한 전자 기기 (188) 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의 연장 벽부 (116B, 118B) 측으로부터 차실 (4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의 주벽부 (118A) 측으로부터 차실 (4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실 (40) 내에 있어서의 운전자 (96) 의 승차 스페이스가,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는, 각각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에 있어서의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2 차 모멘트에 비해,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에 있어서의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또는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2 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실 (40) 내에 있어서의 운전자 (96) 의 승차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전자 기기 (188) 의 주변부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을 변형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가, 연장 벽부 (116B) 의 차량 상방측의 주연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에는, 시트 (98) 가 전측 지지부 (166) 및 제 3 크로스 멤버 (112)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어, 시트 (98)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98) 를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에 대해서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98) 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된 파티션부 (94) 에 의해, 차실 (40) 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런데, 시트 (98) 를 지지함에 있어서, 센터 패널 (118) 의 주벽부 (118A) 에 지지 부재를 배치하고 당해 지지 부재로 시트 (98) 를 지지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시트 (98)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에 의해 지지 부재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가 커져, 시트 (98) 를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98) 가, 파티션부 (94) 와 후측 지지부 (168)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파티션부 (94) 는, 차실 (40)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54) 과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의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 있다. 이 때문에, 시트 (98)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은, 파티션부 (94) 를 개재하여 루프 패널 (54) 및 센터 플로어 패널 (74)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98) 와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의 사이에 전자 기기 (188) 가 수납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시트 (98) 를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티션부 (94) 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러부 (50) 가 배치되어 있고, 파티션부 (94) 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에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필러부 (52) 가 배치되어 있다.
또, 루프 패널 (54) 이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 크로스부 (58) 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어퍼 크로스부 (58) 는, 제 1 필러부 (50) 및 제 2 필러부 (52) 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우어 크로스부 (78) 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로우어 크로스부 (78)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필러부 (50) 및 제 2 필러부 (52) 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실 (40) 에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환상 구조부 (92) 가 구성되게 된다.
또, 파티션부 (94) 에는, 시트 (98) 에 착좌하는 운전자 (96) 를 구속 가능한 구속 장치 (102) 가 장착되어 있어, 차량 (10) 의 제동시나 차량 (10) 에 대한 충돌 하중 입력시에 있어서, 운전자 (96) 에게 발생하는 관성력은, 구속 장치 (102) 를 개재하여 파티션부 (94) 로 전달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티션부 (94) 와, 환상 구조부 (92) 가 연속되어 있어, 운전자 (96) 에게 발생하는 관성력이, 구속 장치 (102) 및 파티션부 (94) 를 개재하여 환상 구조부 (92) 에 전달되고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속 장치 (102) 에 의해, 시트 (98) 에 착좌하는 운전자 (96) 를 안정적인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기기 (188) 가, 센터 패널 (118) 의 주벽부 (118A) 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주벽부 (118A)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 (10) 에 대한 차량 폭 방향의 충돌 하중의 입력시에 있어서, 당해 충돌 하중의 입력 지점으로부터 전자 기기 (188) 까지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충돌 하중이, 전자 기기 (188) 에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1)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12) 의 프론트 플로어부 (70) 에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가 설치되어 있지만, 차체 (12)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서, 차체 (12) 에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차체 (12) 의 구성의 간략화를 꾀해도 된다.
(2)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제 2 플로어 크로스부 (124) 를, 각각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통 형상의 단일 부재로 구성하여, 차체 (12) 를 구성하는 부재의 단순화를 꾀해도 된다.
(3)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이 복수의 패널재 (판재) 로 구성되어 있지만,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서,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을 단일 패널재로 구성하여, 차체 (12) 의 구성의 간략화를 꾀해도 된다. 또,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서, 프론트 플로어 패널 (106) 과 센터 플로어 패널 (74) 을 단일 패널재로 구성해도 된다.
(4)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98) 가 부재를 개재하여 파티션부 (94) 및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에 연결되어 있지만, 시트 (98)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서, 시트 (98) 를 파티션부 (94) 및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에 직접 연결하여, 부품 점수의 저감을 꾀해도 된다.
(5)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파티션부 (94) 가 어퍼 크로스부 (58) 를 개재하여 루프 패널 (54) 과 연결되어 있지만, 파티션부 (94)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서, 파티션부 (94) 를 루프 패널 (54) 에 직접 연결하여, 파티션부 (94) 와 루프 패널 (54) 의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하중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6)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기기 (188) 가, 센터 패널 (118) 의 주벽부 (118A) 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자 기기 (188) 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서, 전자 기기 (188) 를 주벽부 (118A)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 등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7) 이에 추가하여,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98) 와 기기 유닛 (104) 의 사이에 각종 기기를 배치하여, 차실 (40) 내의 데드 스페이스의 저감을 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시트 지지부 (100) 대신에 차량 하방측이 개방된 상자 모양의 베이스 부재로 시트 (98) 를 지지함과 함께, 당해 베이스 부재를 제 1 플로어 크로스부 (122) 및 파티션부 (94) 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의 내측에 각종 기기를 배치하면서, 당해 기기를 당해 베이스 부재에 의해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차실 구조로서,
    차실 내에 배치됨과 함께 전자 기기 (188) 의 차량 상방측에 배치된 차량용 시트 (98) ;,
    상기 차실 내와 차실 외를 나눔과 함께 당해 차실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74, 106) 의 일부를 구성하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자 기기 (188)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당해 전자 기기 (188) 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제 1 패널부 (118A) ;
    상기 플로어 패널 (74, 106) 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 (188) 의 차량 전방측에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당해 전자 기기 (188) 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 2 패널부 (118B) ; 및
    상기 플로어 패널 (74, 106) 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패널부 (118A)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제 3 패널부 (118C) 를 포함하는, 차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 1 패널부 (118A) 및 상기 제 2 패널부 (118B) 의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차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플로어 크로스부 (122, 124) 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실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크로스부 (122) 는, 상기 제 2 패널부 (118B) 의 차량 상방측의 주연부를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 (98) 는,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플로어 크로스부 (122) 에 연결되어 있는, 차실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 (98) 의 차량 후방측에는, 상기 차실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누는 칸막이부 (94) 가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부 (94) 는, 상기 차실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54) 과 상기 플로어 패널 (74, 106) 의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 있고,
    상기 차량용 시트 (98) 는, 상기 칸막이부 (94) 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차실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 (94) 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러부 (50) ;
    상기 칸막이부 (94) 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필러부 (52) ;
    상기 제 1 필러부 (50) 및 상기 제 2 필러부 (52) 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패널 (54) 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어퍼 크로스부 (58) ; 및
    상기 제 1 필러부 (50) 및 상기 제 2 필러부 (52) 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 (74) 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로우어 크로스부 (78)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구속 가능한 구속 장치가 상기 칸막이부에 장착되어 있는, 차실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 (188) 는, 상기 제 1 패널부 (118A) 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당해 제 1 패널부 (118A)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실 구조.
KR1020200161952A 2020-02-10 2020-11-27 차실 구조 Active KR102503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0945A JP6795109B1 (ja) 2020-02-10 2020-02-10 車室構造
JPJP-P-2020-020945 2020-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045A KR20210102045A (ko) 2021-08-19
KR102503915B1 true KR102503915B1 (ko) 2023-02-24

Family

ID=7354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952A Active KR102503915B1 (ko) 2020-02-10 2020-11-27 차실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53445B2 (ko)
EP (1) EP3862252B1 (ko)
JP (2) JP6795109B1 (ko)
KR (1) KR102503915B1 (ko)
CN (1) CN113306632B (ko)
BR (1) BR102020023956A2 (ko)
RU (1) RU2750437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6150B1 (ja) * 2020-02-10 2021-04-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構造
JP6795109B1 (ja) * 2020-02-10 202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構造
JP2023002334A (ja) * 2021-06-22 2023-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支持構造
JP7517267B2 (ja) * 2021-06-22 2024-07-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7589651B2 (ja) * 2021-06-22 2024-1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7452498B2 (ja) * 2021-06-22 202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7517268B2 (ja) 2021-06-22 2024-07-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7504343B2 (ja) 2021-09-29 2024-06-2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床下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4768A (ja) * 2012-05-23 2013-12-09 Honda Motor Co Ltd 高電圧部品と送風機とを備える高圧電装部品
JP2015217819A (ja) * 2014-05-19 2015-1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収納構造
JP2016068840A (ja) * 2014-09-30 2016-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2004B2 (ja) * 1997-05-21 2007-09-2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電子装置格納構造
JPH11348690A (ja) * 1998-06-08 1999-12-21 Hino Motors Ltd 車両のバッテリー格納室構造
JP2004098880A (ja) 2002-09-10 2004-04-02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バス
DE112004002247B8 (de) 2003-11-28 2014-04-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efestigungsstruktur für ein Fahrzeugbatteriepaket
US7290829B2 (en) * 2004-06-29 2007-11-06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with a cab
JP4385020B2 (ja) * 2005-06-02 2009-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US7677646B2 (en) 2006-03-13 2010-03-16 Kubota Corporation Vehicle frame for work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827028B2 (en) * 2006-07-28 2014-09-09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TV
EP2180100B1 (en) * 2007-08-13 2012-10-2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MX2011008831A (es) * 2009-02-24 2011-09-21 Nissan Motor Estructura de montaje de bateria de vehiculo.
US8424944B2 (en) * 2009-04-21 2013-04-23 Echo Automotive, Inc. Integral structural bulkhead for cargo vans
JP4985721B2 (ja) 2009-07-17 2012-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ルーム構造
JP5560922B2 (ja) * 2010-06-08 2014-07-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パック収納構造
US8944493B2 (en) * 2011-09-09 2015-02-0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667964B2 (ja) 2011-11-28 2015-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ケーブル配設構造及び車両の組立方法
HU4110U (en) 2011-12-23 2012-05-02 Evopro Kft Road vehicle (specially bus)
JP5525562B2 (ja) * 2012-03-29 2014-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構造
DE102012112540A1 (de) * 2012-12-18 2014-06-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bauteil
JP2016088157A (ja) * 2014-10-30 2016-05-23 スズキ株式会社 パーティショントリムのシートベルトのロック防止構造
JP6471134B2 (ja) * 2016-10-25 2019-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JP6795109B1 (ja) 2020-02-10 202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4768A (ja) * 2012-05-23 2013-12-09 Honda Motor Co Ltd 高電圧部品と送風機とを備える高圧電装部品
JP2015217819A (ja) * 2014-05-19 2015-1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収納構造
JP2016068840A (ja) * 2014-09-30 2016-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50437C1 (ru) 2021-06-28
JP2021126914A (ja) 2021-09-02
EP3862252B1 (en) 2023-08-30
CN113306632A (zh) 2021-08-27
BR102020023956A2 (pt) 2021-09-14
CN113306632B (zh) 2023-06-23
US20210245815A1 (en) 2021-08-12
US11453445B2 (en) 2022-09-27
EP3862252A1 (en) 2021-08-11
JP7006756B2 (ja) 2022-01-24
KR20210102045A (ko) 2021-08-19
JP2021127104A (ja) 2021-09-02
JP6795109B1 (ja)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915B1 (ko) 차실 구조
EP3786031B1 (en) Rear structure for vehicle,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US10315704B2 (en) Side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KR102537657B1 (ko)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US60861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rear shoulder belt loads to a vehicle frame
JP4314991B2 (ja) 車体後部構造
KR100337830B1 (ko) 트렁크룸의 수화물침입 방지구조
JP2009280153A (ja) 車体上部構造
EP4108515A1 (en) Vehicle seat support structure
JP2005225436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支持構造
JP3911818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2580176Y2 (ja) 自動車の車体マウント構造
JP7525034B1 (ja) 車両
JP5311404B2 (ja) 車両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4455729B2 (ja) 自動車の後部中央席3点式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取付構造
JP2025100199A (ja) 車両下部構造
JPH0528135Y2 (ko)
JP2024177930A (ja) 車両の側部構造
CN116890923A (zh) 车身的侧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