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0160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160B1
KR102380160B1 KR1020150046934A KR20150046934A KR102380160B1 KR 102380160 B1 KR102380160 B1 KR 102380160B1 KR 1020150046934 A KR1020150046934 A KR 1020150046934A KR 20150046934 A KR20150046934 A KR 20150046934A KR 102380160 B1 KR102380160 B1 KR 10238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lor filter
pixel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315A (ko
Inventor
박은길
박경호
라유미
김재원
태창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160B1/ko
Priority to US15/053,774 priority patent/US10394095B2/en
Publication of KR2016011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0Organic dyes or pigments; Optical brightening ag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1Cells with varying thicknes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3415Drop filling proce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2Colour filters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4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having more than one switching element per pix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3가지 색의 색필터 및 상기 색필터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3가지 색의 색필터 중 어느 하나의 색은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라인과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도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의 장축을 상하 표시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한 수직 배향 방식(vertically aligned mode) 액정 표시 장치가 대비비가 크고 넓은 기준 시야각 구현이 용이하여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수직 배향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시야각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나의 화소에 액정의 배향 방향이 다른 복수의 도메인(domain)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전기장 생성 전극에 미세 슬릿 등의 절개부를 형성하거나 전기장 생성 전극 위에 돌기를 형성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절개부 또는 돌기의 가장자리(edge)와 이와 마주하는 전기장 생성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프린지 필드(fringe field)에 의해 액정이 프린지 필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향됨으로써 복수의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차광 부재를 형성하여, 빛에 따른 채널층의 누설 전류 등을 방지한다. 그러나 차광 부재의 광학 밀도(Optical Density)가 낮은 경우, 차광 부재가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일부 빛샘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두 표시판의 정렬 오차에 따른 투과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색필터를 차광 부재와 마찬가지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형성하는 경우, 색필터 간의 중첩으로 발생한 단차에 의하여 접촉 구멍 등의 형성 위치에 대한 디자인 제약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채널층의 빛 샘 문제와 색필터 간의 중첩으로 발생한 단차로 인한 디자인 제약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3가지 색의 색필터 및 상기 색필터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3가지 색의 색필터 중 어느 하나의 색은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라인과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수직으로 교차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는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청색 색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인과 상기 색필터 중 상기 제2 라인과 다른 색의 색필터는 중첩되지 않으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간격 하부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빛 샘 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수직으로 교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청색 색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3가지 색의 색필터 및 상기 색필터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고,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불투명 전극을 더 포함 한다.
상기 3가지 색의 색필터 중 어느 하나의 색은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라인과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수직으로 교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청색 색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투명 전극은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라인과 상기 색필터 중 상기 제2 라인과 다른 색의 색필터는 중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불투명 전극은 상기 제2 라인 및 상기 이격된 간격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채널층의 빛 샘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접촉 구멍, 스페이서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 색필터 중첩 단차로 인한 디자인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화소 영역에 대한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Ⅱ-Ⅱ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Ⅲ-Ⅲ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인접한 3개의 화소 영역에 색필터(230R, 230G, 230B)까지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3개의 화소 영역에 화소 전극(191)과 차광 부재(220)를 더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화소 영역(PX1)에 대한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Ⅶ-Ⅶ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인접한 3개의 화소 영역(PX1, PX2, PX3)에 색필터(230R, 230G, 230B)까지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화소 영역(PX1)에 대한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Ⅹ-Ⅹ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화소 영역(PX1)에 대한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ⅩⅡ-ⅩⅡ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등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위에", "아래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화소 영역에 대한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Ⅱ-Ⅱ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Ⅲ-Ⅲ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과 대향 표시판(200),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 및 표시판(100, 200) 바깥 면에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편광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먼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제1 기판(110) 위에 일방향으로 게이트선(121) 및 게이트선(121)과 평행한 유지 전극선(13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게이트선(121)에는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게이트 전극(124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게이트 전극(124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과 이격되도록 제3 게이트 전극(124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a, 124b, 124c)은 동일한 게이트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동일한 게이트 신호가 인가된다.
유지 전극선(131)은 게이트선(121)과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고,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유지 전극선(13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유지 전극(135, 136), 그리고 기준 전극(137)을 포함한다. 제1 유지 전극(135, 136)은 이후 설명하게 될 제1 화소 전극(191a)을 둘러 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31)에 연결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2 화소 전극(191b)과 중첩하는 제2 유지 전극(138, 139)이 위치되어 있다.
게이트선(121),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a, 124b, 124c), 유지 전극선(131), 제1 유지 전극(135, 136), 제2 유지 전극(138, 139)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40)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층(154a), 제2 반도체층(154b), 및 제3 반도체층(154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도체층(154a)은 제1 게이트 전극(124a)의 위에 위치하고, 제2 반도체층(154b)은 제2 게이트 전극(124b)의 위에 위치하며, 제3 반도체층(154c)은 제3 게이트 전극(124c)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반도체층(154a, 154b, 154c) 위에는 복수의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 163b, 165b, 163c, 165c)가 형성되어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 163b, 165b, 163c, 165c)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2 소스 전극(173b)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제1 드레인 전극(175a), 제2 드레인 전극(175b),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도전체 및 그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반도체층 및 저항성 접촉 부재는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층(154a, 154b, 154c)은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a, 124b, 124c) 위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선(171) 아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과 교차한다.
제1 소스 전극(173a)은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제1 게이트 전극(124a)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전극(173a)은 제1 게이트 전극(124a) 위에서 C자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게이트 전극(124a) 위에서 제1 소스 전극(173a)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소스 전극(173a)과 제1 드레인 전극(175a) 사이로 노출된 부분의 제1 반도체층(154a)에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전극(173b)은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제2 게이트 전극(124b)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전극(173b)은 제2 게이트 전극(124b) 위에서 C자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2 게이트 전극(124b) 위에서 제2 소스 전극(173b)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 소스 전극(173b)과 제2 드레인 전극(175b) 사이로 노출된 부분의 제2 반도체층(154b)에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3 소스 전극(173c)과 연결되어 있으며, 넓게 확장된 확장부(177)를 포함한다. 제3 드레인 전극(175c)는 제3 게이트 전극(124c) 위에서 제3 소스 전극(173c)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3 소스 전극(173c)과 제3 드레인 전극(175c) 사이로 노출된 부분의 제3 반도체층(154c)에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섬형인 제1 반도체층(154a)과 함께 하나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루며, 유사하게, 제2 게이트 전극(124b),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는 섬형 제2 반도체층(154b)과 함께 하나의 제2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룬다. 제3 게이트 전극(124c),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는 섬형 제3 반도체층(154c)과 함께 하나의 제3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룬다.
데이터 도전체(171, 173c, 175a, 175b, 175c) 및 노출된 반도체층(154a, 154b, 154c) 부분 위에는 제1 보호막(180p)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호막(180p)은 질화규소 또는 산화규소 등의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막(180p)은 색필터(230R, 230G, 230B)의 안료가 노출된 반도체층(154a, 154b, 154c) 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보호막(180p) 위의 적층 구조부터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인접한 3개의 화소 영역에 색필터(230R, 230G, 230B)까지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3개의 화소 영역에 화소 전극(191)과 차광 부재(220)를 더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 보호막(180p) 위에는 색필터(230R, 230G, 23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PX1, PX2, PX3)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데이터선(171)사이에 후술할 화소 전극(191a, 191b)이 형성되는 영역을 그 영역에 형성되는 색필터(230R, 230G, 230B) 별로 구분한 것이다. 제1 화소 영역(PX1)에는 적색 색필터(230R), 제2 화소 영역(PX2)에는 녹색 색필터(230G), 제3 화소 영역(PX3)에는 청색 색필터(23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적색 색필터(230R)는 제1 화소 영역(PX1)에서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 상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녹색 색필터(230G) 역시 제2 화소 영역(PX2)에서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 상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1 화소 영역(PX1)에서 적색 색필터(230R)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선(121)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2 화소 영역(PX2)에서 녹색 색필터(230G)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선(121)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청색 색필터(230B)는 제3 화소 영역(PX3)에 나아가 제1 화소 영역(PX1) 및 제2 화소 영역(PX2)의 제1 내지 제3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즉, 청색 색필터(230B)는 제3 화소 영역(PX3)에 형성된 부분을 제1 라인이라고 하였을 때,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며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PX1, PX2, PX3)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상에 형성되는 제2 라인이 더 형성되어 있다. 제2 라인은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PX1, PX2, PX3)의 제1 내지 제3 박막트랜지스터, 후술할 제1 내지 제3 접촉 구멍(185a, 185b, 185c) 및 게이트선(121)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라인은 게이트선(121)과 같은 방향으로 뻗어, 하나의 화소 영역의 양 옆에 위치하는 두 개의 데이터선(171)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도록 위치한다. 즉, 청색 색필터(230B)는 제1 라인과 제2 라인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교차하며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는 제1 화소 영역 및 제2 화소 영역이 위치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 위치한 제1 화소 영역에 적색 색필터가, 제2 화소 영역에 녹색 색필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청색 색필터(230B)가 제3 화소 영역(PX3)에 형성된 부분을 제1 라인이라고 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라인의 청색 색필터(230B)는 제1 화소 영역(PX1) 또는 제2 화소 영역(PX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청색 색필터(230B)는 적색 색필터(230R)나 녹색 색필터(230G)에 비해 투과율이 낮으므로 청색 색필터(230B)로 형성된 제2 라인은 이후 설명할 차광 부재(220)에 더하여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선(121) 영역의 빛 샘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라인이 청색 색필터(230B) 하나로 형성되므로,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여러 색의 색필터(230R, 230G, 230B)가 중첩되어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를 피하여 접촉 구멍, 스페이서 등을 배치해야 하는 디자인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1 보호막(180p) 및 색필터(230R, 230G, 230B) 위에는 제2 보호막(180q)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호막(180q)은 질화규소 또는 산화규소 등의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막(180q)은 색필터(230R, 230G, 230B)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색필터(230R, 230G, 230B)로부터 유입되는 용제(solvent)와 같은 유기물에 의한 액정층(3)의 오염을 억제하여 화면 구동 시 초래할 수 있는 잔상과 같은 불량을 방지한다.
제1 보호막(180p), 색필터(230R, 230G, 230B) 및 제2 보호막(180q)에는 제1 드레인 전극(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의 일부를 각각 드러내는 제1 접촉 구멍(185a) 및 제2 접촉 구멍(185b)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제3 드레인 전극(175c), 제1 보호막(180p), 색필터(230R, 230G, 230B) 및 제2 보호막(180q)에는 기준 전극(137)의 일부를 드러내는 제3 접촉 구멍(185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호막(180q) 위에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호막(180q) 위에는 제1 화소 전극(191a), 제2 화소 전극(191b) 및 연결 부재(19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화소 전극(191)은 게이트선(1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게이트선(121)을 중심으로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을 포함한다. 전체적인 모양은 사각형이며 가로 줄기부(192) 및 이와 교차하는 세로 줄기부(193)로 이루어진 십자형 줄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가로 줄기부(192)와 세로 줄기부(193)에 의해 네 개의 부영역으로 나뉘어지며 각 부영역은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를 포함한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의 미세 가지부(194) 중 하나는 가로 줄기부(192) 또는 세로 줄기부(193)에서부터 왼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 또는 세로 줄기부(193)에서부터 오른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 또는 세로 줄기부(193)에서부터 왼쪽 아래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 또는 세로 줄기부(193)에서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각 미세 가지부(194)는 게이트선(121) 또는 가로 줄기부(192)와 대략 40도 내지 45도의 각을 이룬다. 특히, 제1 화소 전극(191a)에 포함되는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와 대략 40도의 각을 이룰 수 있고, 제2 화소 전극(191b)에 포함되는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와 대략 45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두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2 화소 전극(191b)의 면적은 제1 화소 전극(191a)의 면적 대비하여 1배 이상 2배 이하일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ITO 및 IZO 등의 투명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ITO 또는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화소 전극(191a)은 제1 접촉 구멍(185a)을 통하여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화소 전극(191b)은 제2 접촉 구멍(185b)을 통하여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은 각각 제1 드레인 전극(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이 때, 제2 드레인 전극(175b)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 중 일부는 제3 소스 전극(173c)을 통해 분압되어,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화소 전극(191a)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작게 된다. 이는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이 정극성(+)인 경우이고, 이와 반대로,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이 부극성(-)인 경우에는 제1 화소 전극(191a)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된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은 후술할 대향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두 전극(191, 270) 사이의 액정층(3)의 액정 분자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액정 분자의 방향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휘도가 달라진다.
연결 부재(195)는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과 같은 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3 접촉 구멍(185c)을 덮고 있다. 연결 부재(195)는 제3 접촉 구멍(185c)을 통해 드러나 있는 기준 전극(137)과 제3 드레인 전극(175c)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다시 도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보호막(180q),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의 가장자리, 그리고 데이터선(171) 위에는 차광 부재(220)가 위치되어 있다. 차광 부재(220)는 데이터선(171)을 따라 뻗어 있으며, 인접한 두 개의 색필터 사이에 위치된다. 차광 부재(220)의 폭은 데이터선(171)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이처럼, 차광 부재(220)의 폭을 데이터선(171)의 폭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된 빛이, 금속인 데이터선(171) 표면에서 반사되는 것을 차광 부재(220)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선(171) 표면에서 반사된 빛이 액정층(3)을 통과한 빛과 간섭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220)는 청색 색필터(230B)로 형성된 제2 라인 위에 형성되어 청색 색필터(230B)에 더하여 게이트선(121) 및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에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제1 배향막(11)이 위치한다. 제1 배향막(11)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제1 배향막(11)은 폴리 아믹산(Polyamic acid) 또는 폴리 이미드(Polyimide) 등의 액정 배향막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향막(11)은 UV 조사에 의해 형성된 반응성 메소겐(Reactive Mesogen)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대향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제2 기판(21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제2 배향막(21)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배향막(21)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배향막(11)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사이에는밀봉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액정층(3)이 형성된다. 액정층(3)에는 액정 분자(31)가 주입된다. 액정층(3)의 액정 분자(31)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다
제1 및 제2 화소 전극(191a, 191b)과 공통 전극(270)은 액정 축전기를 이루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된 후에도 인가된 전압을 유지한다. 이때, 미세 가지부(194)의 변들은 전기장을 왜곡하여 미세 가지부(194)의 변에 수직인 수평 성분을 만들어 내고 액정 분자(31)들의 경사 방향은 수평 성분에 의하여 결정되는 방향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액정 분자(31)들이 처음에는 미세 가지부(194)의 변에 수직인 방향으로 기울어지려 한다. 그러나 이웃하는 미세 가지부(194)의 변에 의한 전기장의 수평 성분의 방향이 반대이고 미세 가지부(194)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려는 액정 분자(31)들이 함께 미세 가지부(194)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한 화소의 미세 가지부(194)가 뻗어 나가는 길이 방향이 모두 네 방향이므로 액정 분자(31)들이 기울어지는 방향도 총 네 방향이 된다. 이와 같이 액정 분자(31)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다양하게 하면 표시 장치의 기준 시야각이 커진다.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210)의 일측면에는 편광자(polariz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는데, 두 편광자의 편광축은 평행 또는 직교한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두 개의 편광자 중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 외 구성 요소들의 형상 및 적층 구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화소 영역(PX1)에 대한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는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Ⅶ-Ⅶ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인접한 3개의 화소 영역(PX1, PX2, PX3)에 색필터(230R, 230G, 230B)까지 적층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제1 기판(110) 상에는 유지 전극선(131), 유지 전극(135, 136, 138, 139) 및 게이트선(121) 등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40),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 제1 보호막(180p) 등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제1 보호막(180p) 위에는 색필터(230R, 230G, 23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영역(PX1)에는 적색 색필터(230R), 제2 화소 영역(PX2)에는 녹색 색필터(230G), 제3 화소 영역(PX3)에는 청색 색필터(23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적색 색필터(230R) 및 녹색 색필터(230G)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선(121)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청색 색필터(230B)는 제3 화소 영역(PX3)에 형성된 부분인 제1 라인과,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며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PX1, PX2, PX3)의 제1 내지 제3 박막트랜지스터, 제1 내지 제3 접촉 구멍(185a, 185b, 185c) 및 게이트선(121)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는 제2 라인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라인과 제2 라인은 수직으로 교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는 제1 화소 영역 및 제2 화소 영역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 위치한 제1 화소 영역에 적색 색필터가, 제2 화소 영역에 녹색 색필터가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2 라인이 적색 색필터(230R) 및 녹색 색필터(230G)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2 라인이 적색 색필터(230R) 및 녹색 색필터(230G)와 중첩되지 않으므로, 색필터가 서로 중첩되어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차를 피하여 접촉 구멍, 스페이서 등을 배치해야 하는 디자인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라인과 적색 색필터(230R) 및 녹색 색필터(230G)간의 간격은 유지 전극선(131) 또는 게이트선(1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31) 또는 게이트선(121) 상에 상기 간격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간격을 통해 빛이 새는 것을 유지 전극선(131) 또는 게이트선(121)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 상에는 제2 보호막(180q)과 화소 전극(191)이 적층되며, 제2 보호막(180q)과 화소 전극(191) 상에는 불투명 전극(197)이 적층되어 있다.
불투명 전극(197)은 하나의 화소 영역의 양 옆에 위치하는 두 개의 데이터선(171)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도록 게이트선(121)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뻗어 형성되어 있다. 불투명 전극(197)은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PX1, PX2, PX3)의 제1 내지 제3 박막트랜지스터, 제1 내지 제3 접촉 구멍(185a, 185b, 185c), 게이트선(121) 및 제2 라인과 적색 색필터(230R), 녹색 색필터(230G)간의 간격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불투명 전극(197)은 빛 샘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및 불투명 전극(197) 위에는 차광 부재(220), 제1 배향막(11)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으며, 제2 기판(210) 위에 공통 전극(270) 및 제2 배향막(21)이 형성되어 있는 대향 표시판(200)과 마주하여, 그 사이에 액정층(3)을 형성한다. 액정층(3)에는 액정 분자(31)가 주입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 외 구성 요소들의 형상 및 적층 구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화소 영역(PX1)에 대한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Ⅹ-Ⅹ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제1 기판(110) 상에는 유지 전극선(131), 유지 전극(135, 136, 138, 139) 및 게이트선(121) 등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40),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 제1 보호막(180p) 등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제1 보호막(180p) 위에는 제1 화소 영역(PX1)에 적색 색필터(230R)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1 화소 영역(PX1)에서 적색 색필터(230R)가 분리되지 않고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적색 색필터(230R)는 제1 화소 영역(PX1)의 제1 내지 제3 박막트랜지스터, 제1 내지 제3 접촉 구멍(185a, 185b, 185c) 및 게이트선(121)의 상부를 포함하여 제1 화소 영역(PX1)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및 제3 화소 영역도 제1 화소 영역(PX1)과 마찬가지로 색필터가 각 화소 영역 내에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화소 영역(PX2) 전체에는 녹색 색필터(230G)가 형성되어 있고, 제3 화소 영역(PX3)전체에는 청색 색필터(23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청색 색필터(230B)는 제3 화소 영역(PX3)만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화소 영역(PX1) 및 제2 화소 영역(PX2)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색필터(230R, 230G, 230B) 상에는 제2 보호막(180q)과 화소 전극(191)이 적층되며, 제2 보호막(180q)과 화소 전극(191) 상에는 불투명 전극(197)이 적층된다. 불투명 전극(197)은 하나의 화소 영역의 양 옆에 위치하는 두 개의 데이터선(171)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도록 게이트선(121)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뻗어 형성된다. 불투명 전극(197)은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PX1, PX2, PX3)의 제1 내지 제3 박막트랜지스터, 제1 내지 제3 접촉 구멍(185a, 185b, 185c) 및 게이트선(121)을 모두 덮도록 형성된다. 불투명 전극(197)은 빛 샘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및 불투명 전극(197) 위에는 차광 부재(220), 제1 배향막(11)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으며, 제2 기판(210) 위에 공통 전극(270) 및 제2 배향막(21)이 형성되어 있는 대향 표시판(200)과 마주하여, 그 사이에 액정층(3)을 형성한다. 액정층(3)에는 액정 분자(31)가 주입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 외 구성 요소들의 형상 및 적층 구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화소 영역(PX1)에 대한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액정 표시 장치를 ⅩⅡ-ⅩⅡ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제1 기판(110) 상에는 유지 전극선(131), 유지 전극(135, 136, 138, 139) 및 게이트선(121) 등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도전체와 같은 층에는 상기 게이트 도전체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빛 샘 방지층(127)이 형성되어있다. 빛 샘 방지층(127)은 상기 게이트 도전체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독립하여 위치한다. 빛 샘 방지층(127)은 후술할 색필터 간의 간격 하부에 위치하여 간격을 통하여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이트 도전체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40),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 제1 보호막(180p) 등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제1 보호막(180p) 위에는 색필터(230R, 230G, 23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영역(PX1)에는 적색 색필터(230R)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화소 영역(PX2)에는 녹색 색필터(230G), 제3 화소 영역(PX3)에는 청색 색필터(23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적색 색필터(230R) 및 녹색 색필터(230G)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제1 내지 제3 박막 트랜지스터와 게이트선(121)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청색 색필터(230B)는 제3 화소 영역(PX3)에 형성된 부분인 제1 라인과,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며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PX1, PX2, PX3)의 제1 내지 제3 박막트랜지스터, 제1 내지 제3 접촉 구멍(185a, 185b, 185c) 및 게이트선(121)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는 제2 라인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2 라인이 적색 색필터(230R) 및 녹색 색필터(230G)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간격이 상기 빛 샘 방지층(127)의 상부에 형성된다는 점이다. 제2 라인이 적색 색필터(230R) 및 녹색 색필터(230G)와 중첩되지 않으므로 색필터가 서로 중첩되어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차를 피하여 접촉 구멍, 스페이서 등을 배치해야 하는 디자인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을 빛 샘 방지층(127)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간격을 통해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 상에는 제2 보호막(180q)과 화소 전극(191)이 적층되며, 화소 전극(191) 및 불투명 전극(197) 위에는 차광 부재(220), 제1 배향막(11)이 차례로 적층 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은 제2 기판(210) 위에 공통 전극(270) 및 제2 배향막(21)이 형성되어 있는 대향 표시판(200)과 마주하여, 그 사이에 액정층(3)을 형성한다. 액정층(3)에는 액정 분자(31)가 주입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각 색필터(230R, 230G, 230B)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중 하나를 표시하지만,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에 제한되지 않고,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옐로(yellow), 화이트 계열의 색 중 하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라인과 제2 라인으로 형성되는 색필터가 청색 색필터(230B)가 아니라 적색 색필터(230R), 녹색 색필터(230G) 등 다른 색의 색필터일 수도 있다.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 21: 배향막 100: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10, 210: 기판 121: 게이트선
124a, 124b, 124c: 게이트 전극 127: 빛 샘 방지층
131: 유지 전극선 135, 136, 138, 139: 유지전극
137: 기준 전극 140: 게이트 절연막
154a, 154b, 154c: 반도체층 171: 데이터선
173a, 173b, 173c: 소스 전극 175a, 175b, 175c: 드레인 전극
180p: 제1 보호막 180q: 제2 보호막
183a, 183b, 185: 접촉 구멍 191: 화소 전극
195: 연결 부재 200: 대향 표시판
220: 차광 부재 230R, 230G, 230B: 색필터
270: 공통 전극 3: 액정층
31: 액정 분자

Claims (15)

  1.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3가지 색의 색필터 및
    상기 색필터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은 각각 제1 화소 전극 및 제2 화소 전극,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3가지 색의 색필터 중 어느 하나의 색은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라인과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라인과 상기 색필터 중 상기 제2 라인과 다른 색의 색필터는 중첩되지 않으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격된 간격 하부에 유지 전극선 또는 게이트선이 위치하고,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트랜지스터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수직으로 교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이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청색 색필터로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가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수직으로 교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가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청색 색필터로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3가지 색의 색필터 및
    상기 색필터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은 각각 제1 화소 전극 및 제2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며,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불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3가지 색의 색필터 중 어느 하나의 색은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라인과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라인과 상기 색필터 중 상기 제2 라인과 다른 색의 색필터는 중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투명 전극은 상기 제2 라인 및 상기 이격된 간격을 덮고,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삭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수직으로 교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가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청색 색필터로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전극은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15. 삭제
KR1020150046934A 2015-04-02 2015-04-02 액정 표시 장치 Active KR102380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34A KR102380160B1 (ko) 2015-04-02 2015-04-02 액정 표시 장치
US15/053,774 US10394095B2 (en) 2015-04-02 2016-02-25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34A KR102380160B1 (ko) 2015-04-02 2015-04-02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315A KR20160119315A (ko) 2016-10-13
KR102380160B1 true KR102380160B1 (ko) 2022-03-29

Family

ID=5701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34A Active KR102380160B1 (ko) 2015-04-02 2015-04-02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94095B2 (ko)
KR (1) KR102380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072B1 (ko) * 2015-09-16 2022-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CN108155208B (zh) * 2016-12-06 2020-09-01 郑百乔 显示设备
KR20180069563A (ko) * 2016-12-15 2018-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6648737B2 (ja) * 2017-06-30 2020-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7479288A (zh) * 2017-09-06 2017-12-1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及其制作方法
US11092858B2 (en) * 2018-09-26 2021-08-17 Xianyang Caihong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ixel structure and pixel unit
JP7237633B2 (ja) 2019-02-14 2023-03-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825750B1 (ko) * 2019-07-19 2025-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09544B1 (ko) * 2019-10-16 2020-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13075811B (zh) 2020-01-06 2023-08-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230097620A (ko) * 2021-12-24 202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48B1 (ko) * 1999-12-17 2006-10-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1692B2 (ja) * 2000-01-21 2003-12-0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パネル
JP4554798B2 (ja) * 2000-10-30 2010-09-29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0104B1 (ko) * 2001-07-25 2008-04-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TW565720B (en) 2002-02-20 2003-12-1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wide viewing angle
KR101036723B1 (ko) 2003-12-30 2011-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07519B1 (ko) 2004-05-24 2006-08-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칼라 필터를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00635A (ko)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337285B (en) 2006-04-25 2011-02-11 Au Optronics Corp Active device array substrate, color filter substrate and respectiv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JP2007310334A (ja) 2006-05-19 2007-11-29 Mikuni Denshi Kk ハーフトーン露光法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法
KR20080034545A (ko) 2006-10-17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174450B2 (ja) * 2007-12-18 2013-04-03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269924B2 (en) * 2007-12-26 2012-09-18 Nlt Technologies, Ltd.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KR101490489B1 (ko) 2008-11-28 2015-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603224B1 (ko) * 2009-09-15 2016-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7635B1 (ko) * 2009-09-21 2016-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5574773B2 (ja) * 2010-03-23 2014-08-20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tft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30100390A1 (en) 2011-10-25 2013-04-25 Yewen Wang Liquid Crystal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856006B2 (ja) 2012-04-27 2016-02-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パネル
CN103529589B (zh) * 2012-07-05 2016-12-28 乐金显示有限公司 立体图像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2040084B1 (ko) * 2013-03-25 2019-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03501B1 (ko) * 2013-09-16 2020-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48B1 (ko) * 1999-12-17 2006-10-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4095B2 (en) 2019-08-27
KR20160119315A (ko) 2016-10-13
US20160291369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16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791201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800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260872B1 (ko) 액정 표시 장치
CN103309102B (zh) 横向电场型液晶显示装置
JP6339810B2 (ja) 液晶表示装置
US10146089B2 (en) Curved display device
CN103309093B (zh) 液晶显示装置
US20110176100A1 (en) Lateral-electric-field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4011187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20104720A (ko) 액정 표시 장치
US9658481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icrocavity wherein a polarizer, a pixel electrode, a common electrode, a roof lay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are not disposed in a transparent region
KR100920348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13457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90043114A (ko)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KR20160073689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364864B1 (ko) 표시 장치
KR10211760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29412A (ko)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표시판의 제조방법
KR10220552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6184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도메인 액정표시 장치
KR10225646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567013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2804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6331B1 (ko)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4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1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