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7635B1 -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635B1
KR101607635B1 KR1020090089264A KR20090089264A KR101607635B1 KR 101607635 B1 KR101607635 B1 KR 101607635B1 KR 1020090089264 A KR1020090089264 A KR 1020090089264A KR 20090089264 A KR20090089264 A KR 20090089264A KR 101607635 B1 KR101607635 B1 KR 101607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spacers
color
island
color filt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849A (ko
Inventor
주선규
백주현
김범준
김유준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635B1/ko
Priority to US12/762,006 priority patent/US8810755B2/en
Priority to CN201010260370.0A priority patent/CN102023409B/zh
Publication of KR2011003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849A/ko
Priority to US14/328,277 priority patent/US920737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6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6Spacers having different siz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복수의 색필터 중 어느 하나는 그물 형 색필터이고, 나머지 색필터는 섬 형 색필터인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색필터, 그물, 간격재, 접촉 감지,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판에는 색필터(color filter), 간격재(spacer)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색필터는 다양한 색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색상 별로 표시판 위에 형성된다. 이때, 색상 별로 색필터의 두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색필터 위에 간격재가 위치함으로써,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thickness uniformity)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은 기판,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색필터 및 제2 색필터, 그리고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색필터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그물형 색필터이고, 상기 제2 색필터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하는 섬형 색필터이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상기 그물 형 색필터와 중첩한다.
상기 제2 색필터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행 방향으로 길게 뻗을 수 있다.
상기 제2 색필터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 및 제1 색필터와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와 상기 복수의 간격재 사이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1 색필터 사이 또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공통 전극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표시판 및 제2 표시판, 그리고 상기 제1 표시판 및 제2 표시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판은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색필터 및 제2 색필터, 그리고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색필터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그물형 색필터이고, 상기 제2 색필터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하는 섬 형 색필터이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상기 그물 형 색필터와 중첩한다.
상기 제1 표시판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감지 신호선,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상기 반도체 위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반도체 위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데이터선, 상기 반도체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감지 신호선과 교차하는 제2 감지 신호선, 그리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감 지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와 중첩하는 간격재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그물형의 제1 색필터 및 상기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하는 섬형의 제2 색필터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색필터와 중첩하는 간격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색필터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색필터 또는 상기 제2 색필터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 및 제1 색필터와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차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재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재는 복수의 간격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 나 이상의 간격재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판을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표시판은 복수의 화소 영역(pixel region)(RP, GP, BP)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들 화소 영역(RP, GP, BP)은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화소 영역(RP, GP, BP)은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하며 이들 기본색의 공간적,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 삼원색을 들 수 있는데 적색 화소 영역(RP), 녹색 화소 영역(GP) 및 청색 화소 영역(BP)은 행 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열되어 있다.
각 화소 영역(RP, GP, BP)은 각 색필터(230R, 230G, 230B)에 대응되며, 해당 색필터(230R, 230G, 230B)의 색이 표시된다. 각 색필터(230R, 230G, 230B)는 각 화소 영역(RP, GP, BP)을 덮고 있다. 도 1에서 각 화소 영역(RP, GP, BP)은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이다.
기판(210) 위에 색필터(230R, 230G, 230B)가 위치한다. 기판(210)은 투명할 수 있으며,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210)의 재료로 유리,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는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며,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이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는 안료, 감광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어느 하나는 그물 형(net shape)이고, 나머지 둘은 섬 형(island shape)이다. 즉,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인 어느 하나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섬 형인 나머지 둘은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청색 색필터(230B)가 그물 형이며, 적색 색필터(230R)와 녹색 색필터(230G)는 섬 형일 수 있다. 도 1에서 청색 색필터(230B)는 빗금 부분이다. 이때, 적색 색필터(230R) 하나와 녹색 색필터(230G) 하나는 청색 색필터(230B)의 하나의 동일한 개구부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적색 색필터(230R)가 그물 형일 때 녹색 색필터(230G)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이고, 녹색 색필터(230G)가 그물 형일 때 적색 색필터(230R)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각 색필터(230R, 230G, 230B)간 경계 부근에서 색필터(230R, 230G, 230B)는 서로 만난다. 이외에도, 색필터(230R, 230G, 230B)는 서로 중첩될 수도 있으며,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간격재(320)는 기둥형 간격재(columnar spacer)로서, 색필터(230R, 230G, 230B) 위에 위치한다. 또한, 복수의 간격재(320) 중 하나 이상은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한다. 즉, 복수의 간격재(320) 중 하나 이상은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의 색이 표현되는 화소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간격재(320)는 그물형 색필터(230B)와 중첩될 수 있다. 또는 간격재(320)는 청색 화소 영역(BP)과 그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또 다른 청색 화소 영역(BP)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간격재(320)는 동시에 복수의 청색 화소 영역(BP) 사이, 복수의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 및 복수의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는 복수의 녹색 색필터(230G) 사이를 의미하며, 복수의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는 복수의 적색 색필터(230R) 사이를 의미한다. 즉, 열 방향으로 배열된 섬형 색필터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간격재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간격재(320)는 청색 화소 영역(BP) 사이에 위치하며, 동시에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간격재(320)가 두 종류 이상의 화소 영역(RP, GP, BP) 사이에 위치할 때, 복수의 간격재(320) 중 일부는 두께가 두꺼운 주 간격재(main spacer)이며, 나머지는 주 간격재보다 얇은 보조 간격재(sub-spacer)가 될 수 있다. 간격재(320)는 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간격재(320)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청색 화소 영역(B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간격재(320) 각각의 평면 모양은 원형, 타원, 사각형 등 일 수 있다. 이외에도 간격재(320) 각각의 배치, 개수, 종류 및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간격재(320) 중 두 개 이상이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때,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의 표시판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 고, 도 4는 도 3의 표시판을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기판(210)과 색필터(230R, 230G, 230B) 사이에 차광 부재(light blocking member)(220)가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의 표시판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표시판은 복수의 화소 영역(RP, GP, BP)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들 화소 영역(RP, GP, BP)은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각 화소 영역(RP, GP, BP)은 각 색필터(230R, 230G, 230B)에 대응되며, 해당 색필터(230R, 230G, 230B)의 색이 표시된다. 각 색필터(230R, 230G, 230B)는 각 화소 영역(RP, GP, BP)을 덮고 있다. 도 3에서 각 화소 영역(RP, GP, BP)은 실선으로 표시된 영역이다.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어느 하나는 그물 형이고, 나머지 둘은 섬 형이다. 즉,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인 어느 하나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섬 형인 나머지 둘은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청색 색필터(230B)가 그물 형이며, 적색 색필터(230R)와 녹색 색필터(230G)는 섬 형일 수 있다. 이때, 적색 색필터(230R) 하나와 녹색 색필터(230G) 하나는 청색 색필터(230B)의 하나의 동일한 개구부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적색 색필터(230R)가 그물 형일 때 녹색 색필터(230G)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이고, 녹색 색필터(230G)가 그물 형일 때 적색 색필터(230R)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 색필터(230R, 230G, 230B)간 경계 부근에서 색필터(230R, 230G, 230B)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외에도, 색필터(230R, 230G, 230B)는 서로 중첩될 수도 있으며, 서로 만날 수도 있다.
차광 부재(220)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고도 하며, 복수의 색필터(230R, 230G, 230B) 사이에 빛샘을 방지한다. 차광 부재(220)는 그물형으로서, 다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를 통하여 빛이 통과한다. 도 3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이 차광 부재(220)이다. 섬형의 색필터(230R, 230G) 각각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 각각을 덮을 수 있다. 그물형의 색필터(230B)는 섬형의 색필터(230R, 230G)에 의해 덮이지 않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230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220)는 섬형 색필터(230R, 230G)와 그물형 색필터(2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와 주 간격재(320)보다 두께가 얇은 보조 간격재(321)가 청색 색필터(230B)와 중첩한다. 따라서,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청색 색필터(230B)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간격재가 서로 다른 색의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 간격재(320) 중 하나 이상은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의 색이 표현되는 화소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간격재(320)는 청색 화소 영역(BP)과 그 위 또는 아 래에 위치한 또 다른 청색 화소 영역(BP)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복수의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 및 복수의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열 방향으로 배열된 섬형 색필터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조 간격재가 위치할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 간격재(320)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청색 화소 영역(B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보조 간격재(321)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의 배치, 개수 및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두 개 이상이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때,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의 표시판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색필터(230R, 230G, 230B)와 간격재(320) 사이에 공통 전극(common electrode)(270)이 위치하는 것과 보조 간격재(321)가 생략되어 있는 것 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의 표시판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은 ITO, IZO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색필터(230R, 230G, 230B)와 공통 전극(270) 사이에 덮개막(overcoa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어느 하나는 그물 형이고, 나머지 둘은 섬 형이다. 즉,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인 어느 하나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섬 형인 나머지 둘은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청색 색필터(230B)가 그물 형이며, 적색 색필터(230R)와 녹색 색필터(230G)는 섬 형일 수 있다. 이때, 적색 색필터(230R) 하나와 녹색 색필터(230G) 하나는 청색 색필터(230B)의 하나의 동일한 개구부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적색 색필터(230R)가 그물 형일 때 녹색 색필터(230G)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이고, 녹색 색필터(230G)가 그물 형일 때 적색 색필터(230R)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일 수 있다. 각 색필터(230R, 230G, 230B)간 경계 부근에서 색필터(230R, 230G, 230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서로 중첩될 수도 있으며, 서로 만날 수도 있다.
차광 부재(220)는 그물형으로서, 다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를 통하여 빛이 통과한다. 섬형의 색필터(230R, 230G) 각각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 각각을 덮을 수 있다. 그물형의 색필터(230B)는 섬형의 색필터(230R, 230G)에 의해 덮이지 않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230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220)는 섬형 색필터(230R, 230G)와 그물형 색필터(2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와 주 간격재(320)보다 두께가 얇은 보조 간격재(321)가 청색 색필터(230B)와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청색 색필터(230B)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간격재가 서로 다른 색의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 간격재(320) 중 하나 이상은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의 색이 표현되는 화소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간격재(320)는 청색 화소 영역(BP)과 그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또 다른 청색 화소 영역(BP)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복수의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 및 복수의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열 방향으로 배열된 섬형 색필터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조 간격재가 위치할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 간격재(320)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청색 화소 영역(B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보조 간격재(321)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의 배치, 개수 및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두 개 이상이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때,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에 대하여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표시판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공통 전극(270)이 간격재(320) 위에 위치하고, 공통 전극(270) 위에 간격재(321)가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표시판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간격재(321)는 주 간격재와 보조 간격재 두 가지 종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주 간격재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간격재(320)는 주 간격재보다 약간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공통 전극(270)은 표시판 전면을 덮고 있으며, 공통 전극(270) 중 간격재(320)와 중첩하는 부분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응용될 수 있다. 그 응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또한, 색필터(230R, 230G, 230B)와 공통 전극(270) 사이에 덮개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어느 하나는 그물 형이고, 나머지 둘은 섬 형 이다. 즉,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인 어느 하나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섬 형인 나머지 둘은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청색 색필터(230B)가 그물 형이며, 적색 색필터(230R)와 녹색 색필터(230G)는 섬 형일 수 있다. 이때, 적색 색필터(230R) 하나와 녹색 색필터(230G) 하나는 청색 색필터(230B)의 하나의 동일한 개구부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적색 색필터(230R)가 그물 형일 때 녹색 색필터(230G)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이고, 녹색 색필터(230G)가 그물 형일 때 적색 색필터(230R)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일 수 있다. 각 색필터(230R, 230G, 230B)간 경계 부근에서 색필터(230R, 230G, 230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서로 중첩될 수도 있으며, 서로 만날 수도 있다.
차광 부재(220)는 그물형으로서, 다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를 통하여 빛이 통과한다. 섬형의 색필터(230R, 230G) 각각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 각각을 덮을 수 있다. 그물형의 색필터(230B)는 섬형의 색필터(230R, 230G)에 의해 덮이지 않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230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220)는 섬형 색필터(230R, 230G)와 그물형 색필터(2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와 주 간격재(320)보다 두께가 얇은 보조 간격재(321)가 청색 색필터(230B)와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청색 색필터(230B)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간격재가 서로 다른 색의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 간격재(320) 중 하나 이상은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의 색이 표현되는 화소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간격재(320)는 청색 화소 영역(BP)과 그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또 다른 청색 화소 영역(BP)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복수의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 및 복수의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열 방향으로 배열된 섬형 색필터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조 간격재가 위치할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 간격재(320)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청색 화소 영역(B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보조 간격재(321)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의 배치, 개수 및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두 개 이상이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때,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에 대하여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의 표시판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보조 간격재(321)가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와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에 행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의 표시판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간격재(321) 외에도 주 간격재(320)가 행 방향으로 길게 뻗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간격재(320, 321)의 개수는 줄면서, 간격재(320, 321)가 차지하는 면적은 유지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격재(320, 321)의 복원력이 증가되고, 액정 충진량에 대한 마진이 향상될 수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어느 하나는 그물 형이고, 나머지 둘은 섬 형이다. 즉,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인 어느 하나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섬 형인 나머지 둘은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청색 색필터(230B)가 그물 형이며, 적색 색필터(230R)와 녹색 색필터(230G)는 섬 형일 수 있다. 이때, 적색 색필터(230R) 하나와 녹색 색필터(230G) 하나는 청색 색필터(230B)의 하나의 동일한 개구부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적색 색필터(230R)가 그물 형일 때 녹색 색필터(230G)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이고, 녹색 색필터(230G)가 그물 형일 때 적색 색필터(230R) 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일 수 있다. 각 색필터(230R, 230G, 230B)간 경계 부근에서 색필터(230R, 230G, 230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서로 중첩될 수도 있으며, 서로 만날 수도 있다.
차광 부재(220)는 그물형으로서, 다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를 통하여 빛이 통과한다. 섬형의 색필터(230R, 230G) 각각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 각각을 덮을 수 있다. 그물형의 색필터(230B)는 섬형의 색필터(230R, 230G)에 의해 덮이지 않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230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220)는 섬형 색필터(230R, 230G)와 그물형 색필터(2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와 주 간격재(320)보다 두께가 얇은 보조 간격재(321)가 청색 색필터(230B)와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청색 색필터(230B)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간격재가 서로 다른 색의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 간격재(320) 중 하나 이상은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의 색이 표현되는 화소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간격재(320)는 청색 화소 영역(BP)과 그 위 또는 아 래에 위치한 또 다른 청색 화소 영역(BP)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복수의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 및 복수의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열 방향으로 배열된 섬형 색필터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조 간격재가 위치할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의 배치, 개수 및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두 개 이상이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때,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의 표시판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액정 표시 장치를 I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액정 표시 장치를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표시판(100), 제2 표시판(200) 및 제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 사이에 게재되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하며, 외부 접촉을 인식할 수 있는 접촉 감지 기능을 포함한다.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안쪽 면에는 배향막(alignment layer)(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은 수평 배향막일 수 있다.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바깥쪽 면에는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제1 표시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기판(110) 위에 게이트선(gate line)(121), 유지 전극선(storage electrode line)(131) 및 제1 감지 신호선(sensing signal line)(61)이 위치한다. 게이트선(121), 유지 전극선(131) 및 제1 감지 신호선(61)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구리, 알루미늄,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층, 삼중층 등의 복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투명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등이 있다.
게이트선(121)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대략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게이트선(121)은 위로 돌출한 복수의 게이트 전극(gate electrode)(124)을 포함한다.
유지 전극선(131)은 소정의 전압을 인가 받으며 게이트선(121)과 거의 나란하게 뻗어 있을 수 있다. 유지 전극선(131)은 게이트선(121)에 인접해 있다. 유지 전극선(131)은 대략 세로 방향으로 뻗은 유지 전극(storage electrode)(133)을 포함한다. 유지 전극선(131)은 유지 전극(133)과 접촉 구멍(183)을 통하여 연결 부재(8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부재(83)는 투명한 도전 물질, 반사성 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과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유지 전극선(131) 및 유지 전극(133)의 연결 방법, 모양 및 배치는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감지 신호선(61)은 게이트선(121)과 거의 나란하게 뻗어 있다. 제1 감지 신호선(61)은 게이트선(121)의 아래쪽에 게이트선(121)과 인접해 있다. 제1 감지 신호선(61)은 제2 감지 신호선(91)과 함께 외부 접촉(touch)이 발생한 지점의 좌표를 감지 신호부(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한다. 제1 감지 신호선(61)은 게이트선(12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감지 신호선(91)은 데이터선(17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감지 신호선(61)과 제2 감지 신호선(91) 각각은 접촉 구멍(184a, 184b)을 통하여 연결 부재(84a, 84b)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84a, 84b)는 투명한 도전 물질, 반사성 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과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선(121), 유지 전극선(131) 및 제1 감지 신호선(61)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semiconductor island)(154)가 위치한다. 반도체(154)는 수소화 비정질 규소(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비정질 규소는 약칭 a-Si로 씀), 다결정 규소(polysilic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154)는 게이트 전극(124)과 중첩하며, 이 중첩 영역에 제1 표시판(100)의 두께 균일성을 위하여 간격재(321)가 위치할 수 있다.
반도체(154)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163, 165)가 위치한 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는 인 등의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규소, 실리사이드(silic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데이터선(171)과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175), 제2 감지 신호선(91)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제2 감지 신호선(91)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구리, 알루미늄,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층, 삼중층 등의 복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며 대략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게이트선(121)과 교차한다. 데이터선(171)은 유지 전극(133)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해 있다. 데이터선(171)은 소스 전극(source electrode)(173)을 포함한다. 소스 전극(173)은 게이트 전극(124)와 중첩한다. 이외에도, 소스 전극(173)의 모양은 U, J 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75)은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있으며, 돌출부(protrusion member)(177)를 포함한다. 드레인 전극(175)의 끝 부분은 소스 전극(173)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돌출부(177)는 대략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77)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드레인 전극(175) 및 돌출부(177)의 모양, 크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75)의 일부는 접촉 구멍(185)을 통하여 화소 전극(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감지 신호선(91)은 데이터선(171)과 거의 나란하게 뻗어 있다. 제2 감 지 신호선(91)은 데이터선(171)의 왼쪽에 데이터선(171)과 인접해 있다. 제2 감지 신호선(91)은 제1 감지 신호선(61)과 함께 외부 접촉(touch)이 발생한 지점의 좌표를 감지 신호부(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한다.
게이트 전극(124),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반도체(154)와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루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channel)은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154)에 위치한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는 그 아래의 반도체(154)와 그 위의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 사이에만 존재하며 이들 사이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 준다. 반도체(154)에는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 영역,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제2 감지 신호선(91)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 등의 노출부가 있다.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제2 감지 신호선(91) 및 노출된 반도체(154) 부분 위에는 보호막(passivation layer)(180)이 위치한다. 보호막(18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질화규소, 산화규소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막(180)은 상부막(upper film)과 하부막(lower film)의 이중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막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하부막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보호막(180)에는 접촉 구멍(183, 184a, 184b, 185)이 위치한다.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pixel electrode)(191) 및 연결 부재(83, 84a, 84b)가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 및 연결 부재(83, 84a, 84b)는 동일한 층 에 위치하며, ITO,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접촉 구멍(185)을 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75)과 연결되어 있으며, 드레인 전극(175)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화소 전극(191)은 제2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의 액정층(3)의 액정 분자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액정 분자의 방향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휘도가 달라진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은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를 이루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된 후에도 인가된 전압을 유지한다.
화소 전극(191)은 유지 전극선(131) 및 유지 전극(133)과 중첩하여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를 이룬다.
다음, 제2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표시판(200)은 전술한 도 6 및 도 7의 표시판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어느 하나는 그물 형이고, 나머지 둘은 섬 형이다. 즉,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인 어느 하나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색필터(230R, 230G, 230B) 중 섬 형인 나머지 둘은 복수의 개구부 안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청색 색필터(230B)가 그물 형이며, 적색 색필터(230R)와 녹색 색필터(230G)는 섬 형일 수 있다. 이때, 적색 색필터(230R) 하나와 녹색 색필터(230G) 하나는 청색 색필터(230B)의 하나의 동일한 개구부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적색 색필터(230R)가 그물 형일 때 녹색 색필터(230G)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이고, 녹색 색필터(230G)가 그물 형일 때 적색 색필터(230R)와 청색 색필터(230B)는 섬 형일 수 있다. 각 색필터(230R, 230G, 230B)간 경계 부근에서 색필터(230R, 230G, 230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서로 중첩될 수도 있으며, 서로 만날 수도 있다.
주 간격재(320)와 주 간격재(320)보다 두께가 얇은 보조 간격재(321)가 청색 색필터(230B)와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청색 색필터(230B)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간격재가 서로 다른 색의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 간격재(320) 중 하나 이상은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의 색이 표현되는 화소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간격재(320)는 청색 화소 영역(BP)과 그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또 다른 청색 화소 영역(BP)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주 간격재(320)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복수의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 및 복수의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열 방향으로 배열된 섬형 색필터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조 간격재가 위 치할 수 있다. 보조 간격재(321)는 표시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하나 이상은 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 간격재(320)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청색 화소 영역(B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보조 간격재(321)는 녹색 화소 영역(GP) 사이와 적색 화소 영역(RP) 사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주 간격재(320)와 보조 간격재(321)의 배치, 개수 및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주 간격재(320)와 복수의 보조 간격재(321) 중 두 개 이상이 색필터(230R, 230G, 230B) 중 그물 형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색필터(230R, 230G, 230B)와 중첩할 때, 표시판의 두께 균일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그물형으로서, 다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를 통하여 빛이 통과한다. 섬형의 색필터(230R, 230G) 각각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 각각을 덮을 수 있다. 그물형의 색필터(230B)는 섬형의 색필터(230R, 230G)에 의해 덮이지 않은 차광 부재(22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아울러, 차광 부재(220)는 제2 기판(210) 위에 위치하며, 게이트선(121), 유지 전극선(131), 제1 감지 신호선, 데이터선(171), 제2 감지 신호선(91), 반도체(154)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한다. 색필터(230R, 230G, 230B)와 공통 전극(270) 사이에 덮개막(25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 표시판(200)의 외부에 접촉이 발생하면, 그 접촉 부분은 아래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여 제1표시판(100)과 거리가 가까워 진다. 이 때, 간격재(320)의 상부 표면과 중첩하는 공통 전극(270)의 일부 영역은 연결 부재(84a, 84b)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84a, 84b)가 서로 도통함으로써, 접촉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제1 감지 신호선(61)과 제2 감지 신호선(91)에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다음, 감지 신호를 감지 신호부(도시하지 않음) 및 신호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등에서 연산 처리함으로써, 접촉 부분의 좌표를 계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판을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판을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액정 표시 장치를 I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액정 표시 장치를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1: 감지 신호선 91: 제2 감지 신호선
83, 84a, 84b: 연결 부재 183, 184a, 184b, 185: 접촉구멍
220: 차광 부재 230R, 230G, 230B: 색필터
250: 덮개막 270: 공통 전극
320, 321: 간격재

Claims (27)

  1. 기판,
    기판 위에 위치하며, 제1 개구 영역과 제2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색필터,
    상기 제1 색필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1 개구 영역에 위치하고, 섬형(island)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색필터와 다른 색을 표시하는 제2 색필터,
    상기 제1 색필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2 개구 영역에 위치하고, 섬형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와 다른 색을 표시하는 제3 색필터,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상기 제1 색필터와 중첩하는 표시판.
  2. 제1항에서,
    상기 제2 색필터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판.
  3.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표시판.
  4.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행 방향으로 길게 뻗은 표시판.
  5. 제1항에서,
    상기 제2 색필터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 및 제1 색필터와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판.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와 상기 복수의 간격재 사이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판.
  7.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판.
  8.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표시판.
  9.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행 방향으로 길게 뻗은 표시판.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1 색필터 사이 또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판.
  11.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공통 전극의 위에 위치하는 표시판.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색필터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판.
  13. 제12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표시판.
  14. 제13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행 방향으로 길게 뻗은 표시판.
  15. 서로 마주하는 제1 표시판 및 제2 표시판, 그리고
    상기 제1 표시판 및 제2 표시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판은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색필터, 제2 색필터 및 제3 색필터,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색필터는 제1 개구 영역과 제2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색필터는 상기 제1 색필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1 개구 영역에 위치하고, 섬형(island)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색필터와 다른 색을 표시하고, 상기 제3 색필터는 상기 제1 색필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2 개구 영역에 위치하고, 섬형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와 다른 색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상기 제1 색필터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표시판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감지 신호선,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상기 반도체 위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반도체 위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데이터선, 상기 반도체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감지 신호선과 교차하는 제2 감지 신호선, 그리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 감지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감지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위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와 중첩하는 간격재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공통 전극의 위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21. 제15항에서,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2. 기판 위에 제1 개구 영역과 제2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그물형의 제1 색필터, 상기 제1 색필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1 개구 영역에 위치하고, 섬형(island)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색필터와 다른 색을 표시하는 제2 색필터, 그리고 상기 제1 색필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2 개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와 다른 색을 표시하는 섬형의 형태를 가지는 제3 색필터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색필터와 중첩하는 간격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판 제조 방법.
  23. 제22항에서,
    상기 제2 색필터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재는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판 제조 방법.
  24. 제23항에서,
    상기 간격재는 복수의 간격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은 행 방향으로 길게 뻗은 표시판 제조 방법.
  25. 제22항에서,
    상기 제2 색필터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섬형 색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색필터 또는 상기 제2 색필터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섬형 색필터 사이 및 제1 색필터와 상기 제2 색필터 사이에 차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판 제조 방법.
  26. 제25항에서,
    상기 간격재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색필터 및 상기 제2 색필터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판 제조 방법.
  27. 제25항에서,
    상기 간격재는 복수의 간격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중 하나 이상의 간격재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판 제조 방법.
KR1020090089264A 2009-09-21 2009-09-21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Active KR10160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264A KR101607635B1 (ko) 2009-09-21 2009-09-21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2/762,006 US8810755B2 (en) 2009-09-21 2010-04-16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CN201010260370.0A CN102023409B (zh) 2009-09-21 2010-08-20 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液晶显示器
US14/328,277 US9207375B2 (en) 2009-09-21 2014-07-10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264A KR101607635B1 (ko) 2009-09-21 2009-09-21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849A KR20110031849A (ko) 2011-03-29
KR101607635B1 true KR101607635B1 (ko) 2016-03-31

Family

ID=4375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264A Active KR101607635B1 (ko) 2009-09-21 2009-09-21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810755B2 (ko)
KR (1) KR101607635B1 (ko)
CN (1) CN1020234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4130B2 (en) 2019-11-19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lumn spac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011B1 (ko) * 2012-09-26 2019-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6203575B2 (ja) * 2013-08-29 2017-09-27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50078310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330925A (zh) * 2014-12-01 2015-02-04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5988249A (zh) * 2015-02-26 2016-10-05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显示装置及其彩色滤光片的制造方法
KR102380160B1 (ko) * 2015-04-02 2022-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6324870A (zh) * 2015-06-17 2017-01-11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液晶显示面板的像素结构及像素形成方法
US10747046B2 (en) * 2015-07-01 2020-08-1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04950527A (zh) * 2015-07-01 2015-09-30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5204217B (zh) * 2015-10-13 2018-05-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CN105372881B (zh) * 2015-12-01 2018-04-2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KR102347665B1 (ko) * 2017-03-21 2022-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045223A (zh) * 2017-04-13 2017-08-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液晶显示器
JP7007817B2 (ja) * 2017-06-14 2022-01-25 トライベイ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液晶表示装置
US10304378B2 (en) 2017-08-17 2019-05-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low refresh rate display pixels
US10509280B2 (en) * 2017-09-01 2019-12-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panel
KR20190031390A (ko) 2017-09-15 2019-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505784A (zh) * 2017-09-22 2017-12-22 惠科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片基板和液晶显示装置
CN107479263A (zh) * 2017-09-22 2017-12-15 惠科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07450242A (zh) * 2017-09-22 2017-12-08 惠科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片基板和液晶显示装置
KR102825750B1 (ko) * 2019-07-19 2025-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74462A1 (zh) * 2020-03-04 2021-09-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和显示面板
CN116794875A (zh) 2022-03-17 2023-09-2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结构及包含其的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808A (ja) * 2001-01-09 2003-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160916A1 (en) * 2002-02-28 2003-08-28 Hidetoshi Nakagawa Color display device
US20050099581A1 (en) * 2001-01-09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5905B2 (ja) 1999-02-15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0305089A (ja) 1999-04-20 2000-11-02 Nec Corp 液晶表示装置
JP4132528B2 (ja) 2000-01-14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471692B2 (ja) 2000-01-21 2003-12-0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パネル
KR100940555B1 (ko) 2002-12-31 2010-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 기판의 스페이서 형성과 제조방법
KR20060116878A (ko) 2005-05-11 200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3974141B2 (ja) 2005-06-23 2007-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KR101226440B1 (ko) * 2005-09-26 2013-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터치 위치검출방법
KR101182313B1 (ko) 2005-09-29 2012-09-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09696B1 (ko) 2005-12-28 2014-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42993B1 (ko) 2006-02-20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감지부 검사 방법
KR20080005758A (ko) 2006-07-10 2008-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5381A (ko) 2006-11-20 2008-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내장형 액정표시패널 및 이를 구비한액정표시장치
KR20080052836A (ko) 2006-12-08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8011B1 (ko) 2007-01-25 2013-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2008281616A (ja) 2007-05-08 2008-11-20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026576A (ko) 2007-09-10 200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2331B1 (ko) 2014-04-10 201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808A (ja) * 2001-01-09 2003-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99581A1 (en) * 2001-01-09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30160916A1 (en) * 2002-02-28 2003-08-28 Hidetoshi Nakagawa Color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4130B2 (en) 2019-11-19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lumn spa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849A (ko) 2011-03-29
CN102023409B (zh) 2016-04-20
US9207375B2 (en) 2015-12-08
US20110069258A1 (en) 2011-03-24
US8810755B2 (en) 2014-08-19
CN102023409A (zh) 2011-04-20
US20140313607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635B1 (ko)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4059676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51538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101490473B1 (ko) 색필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0209812B2 (en) Touch substrate and touch device
EP304076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75411A (ko) 터치센서 인셀 타입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3836A (ko) 색필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188675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0774B1 (ko) 컬러필터를 가지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TWI633473B (zh) 內嵌式觸控液晶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KR20130015734A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09579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1013085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119395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620527B1 (ko)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5247477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34796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0975A (ko) 액정표시장치
JP200915128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58894A (ja) 液晶表示装置
KR10267819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20794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0826B1 (ko)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69162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