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696B1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6696B1 KR102356696B1 KR1020150095356A KR20150095356A KR102356696B1 KR 102356696 B1 KR102356696 B1 KR 102356696B1 KR 1020150095356 A KR1020150095356 A KR 1020150095356A KR 20150095356 A KR20150095356 A KR 20150095356A KR 102356696 B1 KR102356696 B1 KR 1023566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ype semiconductor
- region
- light
- visible light
- organic photoelectr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radiation-sensitiv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30/00
- H10K39/30—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10K39/32—Organic image sensors
-
- H01L51/428—
-
- H01L27/1461—
-
- H01L51/441—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 H01L2031/0344—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11—Fullerenes, e.g. C60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1—Aromatic anhydride or imide compounds, e.g. peryle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or perylene tetracarboxylic di-imid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유기 광전 소자의 흡광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의 흡광층의 제1 내지 제3 영역에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조성비의 변화의 예들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유기 CMOS 이미지 센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유기 CMOS 이미지 센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유기 CMOS 이미지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른 유기 광전 소자의 파장에 따른 외부양자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른 유기 광전 소자의 녹색 파장 영역 및 청색 파장 영역의 외부양자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5는 비교예 2, 3의 유기 광전 소자의 녹색 파장 영역 및 청색 파장 영역의 외부양자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6은 실시예 2에 따른 유기 광전 소자의 흡광층의 위치에 따른 흡수 파장 영역을 평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17은 비교예 4에 따른 유기 광전 소자의 흡광층의 위치에 따른 흡수 파장 영역을 평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18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른 유기 광전 소자를 적용한 이미지 센서의 색 변이 및 YSNR10를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19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유기 광전 소자에서 사용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파장에 따른 흡광 곡선이다.
청색 파장 영역의 외부양자효율(EQE)@ Max green EQE | |
실시예 2 | 19.9 |
실시예 3 | 19.1 |
비교예 4 | 21.1 |
비교예 5 | 20.5 |
비교예 6 | 20.0 |
평균 크로스토크(%) | |
실시예 1 | 25.1 |
비교예 1 | 26.8 |
30: 활성층 30a: 제1 영역
30b: 제2 영역 30c: 제3 영역
40, 50: 전하 보조층
100, 200: 유기 광전 소자
300, 400, 500: 유기 CMOS 이미지 센서
Claims (21)
-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고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포함하는 흡광층
을 포함하고,
상기 흡광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전극에 가까운 제1 영역, 상기 제2 전극에 가까운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3/n3)는 상기 제1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1/n1)와 상기 제2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2/n2)보다 각각 크거나, 또는 상기 제3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3/n3)는 상기 제1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1/n1)와 상기 제2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2/n2)보다 각각 작은
유기 광전 소자.
- 제1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1/n1)와 상기 제2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2/n2)는 같거나 다른 유기 광전 소자.
- 제1항에서,
상기 흡광층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n)는 두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증가 후 감소하는 유기 광전 소자.
- 제1항에서,
상기 흡광층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n)는 두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감소 후 증가하는 유기 광전 소자.
- 제1항에서,
상기 흡광층은 가시광선 파장 영역 중 적어도 일부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하고,
상기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 따라 상기 흡광층의 최대 흡수 위치가 상이한 유기 광전 소자.
- 제5항에서,
상기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인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시광은 상기 흡광층의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서 최대로 흡수되고,
상기 제2 가시광은 상기 흡광층의 제3 영역에서 최대로 흡수되는
유기 광전 소자.
- 제6항에서,
상기 p형 반도체와 상기 n형 반도체 중 하나는 상기 제1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흡광 물질이고,
상기 p형 반도체와 상기 n형 반도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가시광과 상기 제2 가시광을 흡수하는 흡광 물질인
유기 광전 소자.
- 제7항에서,
상기 p형 반도체는 상기 제1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흡광 물질이고,
상기 n형 반도체는 상기 제1 가시광과 상기 제2 가시광을 흡수하는 흡광 물질이고,
상기 흡광층의 제3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3/n3)는 상기 제1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1/n1)와 상기 제2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2/n2)보다 각각 큰 유기 광전 소자.
- 제8항에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보다 n형 반도체의 함량이 낮은 유기 광전 소자.
- 제7항에서,
상기 n형 반도체는 상기 제1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흡광 물질이고,
상기 p형 반도체는 상기 제1 가시광과 상기 제2 가시광을 흡수하는 흡광 물질이고,
상기 흡광층의 제3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3/n3)는 상기 제1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1/n1)와 상기 제2 영역의 n형 반도체에 대한 p형 반도체의 조성비(p2/n2)보다 각각 작은 유기 광전 소자.
- 제10항에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보다 p형 반도체의 함량이 낮은 유기 광전 소자.
- 제7항에서,
상기 제1 가시광은 500nm 내지 600nm의 파장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시광은 380nm 이상 500nm 미만의 파장 영역인
유기 광전 소자.
- 제7항에서,
상기 p형 반도체와 상기 n형 반도체 중 하나는 C60, C70,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광전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 제14항에서,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인 제1 가시광, 제2 가시광 및 제3 가시광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광전 소자는 상기 제1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1 광 감지 소자 및 상기 제3 가시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2 광 감지 소자가 집적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 제15항에서,
상기 제1 광 감지 소자와 상기 제2 광 감지 소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
- 제16항에서,
상기 제1 광 감지 소자와 중첩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제1 색 필터, 그리고 상기 제2 광 감지 소자와 중첩하고 상기 제3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제2 색 필터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 제15항에서,
상기 제1 광 감지 소자와 상기 제2 광 감지 소자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
- 제14항에서,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인 제1 가시광, 제2 가시광 및 제3 가시광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광전 소자는 상기 제1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제1 유기 광전 소자이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제2 유기 광전 소자 및 상기 제3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제3 유기 광전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 광전 소자, 상기 제2 유기 광전 소자 및 상기 제3 유기 광전 소자는 적층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
- 제19항에서,
상기 제1 가시광은 500nm 내지 600nm의 파장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시광은 380nm 이상 500nm 미만의 파장 영역이고,
상기 제3 가시광은 600nm 초과 780nm 이하의 파장 영역인
이미지 센서.
- 제14항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356A KR102356696B1 (ko) | 2015-07-03 | 2015-07-03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US15/156,438 US10008545B2 (en) | 2015-07-03 | 2016-05-17 | Organic pho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
EP16173355.5A EP3113225B1 (en) | 2015-07-03 | 2016-06-07 | Organic pho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
JP2016131496A JP6749157B2 (ja) | 2015-07-03 | 2016-07-01 | 有機光電素子及びイメージセンサ並びに電子装置 |
CN201610515592.XA CN106328666B (zh) | 2015-07-03 | 2016-07-01 | 有机光电器件、图像传感器以及电子装置 |
US15/986,956 US10374016B2 (en) | 2015-07-03 | 2018-05-23 | Organic pho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
US16/518,167 US11024675B2 (en) | 2015-07-03 | 2019-07-22 | Organic pho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
US17/333,749 US11641752B2 (en) | 2015-07-03 | 2021-05-28 | Organic pho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356A KR102356696B1 (ko) | 2015-07-03 | 2015-07-03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672A KR20170004672A (ko) | 2017-01-11 |
KR102356696B1 true KR102356696B1 (ko) | 2022-01-26 |
Family
ID=5611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5356A Active KR102356696B1 (ko) | 2015-07-03 | 2015-07-03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4) | US10008545B2 (ko) |
EP (1) | EP3113225B1 (ko) |
JP (1) | JP6749157B2 (ko) |
KR (1) | KR102356696B1 (ko) |
CN (1) | CN10632866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0846B1 (ko) * | 2014-11-25 | 2023-06-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
KR102356696B1 (ko) * | 2015-07-03 | 2022-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KR102529631B1 (ko) | 2015-11-30 | 2023-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KR102557864B1 (ko) | 2016-04-06 | 2023-07-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
US10236461B2 (en) | 2016-05-20 | 2019-03-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rganic pho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
KR102605375B1 (ko) | 2016-06-29 | 2023-1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KR102589215B1 (ko) | 2016-08-29 | 2023-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
KR102301117B1 (ko) * | 2017-03-08 | 2021-09-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광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2009379B2 (en) * | 2017-05-01 | 2024-06-11 |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 Image sensor |
KR102250385B1 (ko) * | 2017-10-18 | 2021-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유기 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이미지 센서 |
US11145822B2 (en) | 2017-10-20 | 2021-10-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ound and photoelectric device,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649294B1 (ko) * | 2018-02-06 | 2024-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컬러 필터가 없는 유기 이미지 센서 |
US11107860B2 (en) * | 2018-02-06 | 2021-08-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rganic image sensors without color filters |
JP7397621B2 (ja) * | 2018-10-31 | 2023-12-13 | 三星電子株式会社 | 有機化合物とそれを含む有機光電素子、イメージセンサ、及び電子素子 |
EP4415499A1 (en) * | 2020-03-31 | 2024-08-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sensor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49662A (ja) * | 2012-01-17 | 2013-08-01 | Konica Minolta Inc | 有機薄膜太陽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6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27738A (en) * | 1976-07-06 | 1978-11-28 |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mpany | Photovoltaic device containing an organic layer |
US4461922A (en) * | 1983-02-14 | 1984-07-24 | Atlantic Richfield Company | Solar cell module |
JP3150331B2 (ja) * | 1990-09-28 | 2001-03-26 | 株式会社東芝 | 有機薄膜素子 |
US5093698A (en) * | 1991-02-12 | 1992-03-03 | Kabushiki Kaisha Toshiba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FR2722612B1 (fr) * | 1994-07-13 | 1997-01-03 | Centre Nat Rech Scient | Procede de fabrication d'un materiau ou dispositif photovoltaique, materiau ou dispositif ainsi obteu et photopile comprenant un tel materiau ou dispositif |
US5849403A (en) * | 1995-09-13 | 1998-12-15 | Kabushiki Kaisha Toshiba | Organic thin film device |
US5986206A (en) * | 1997-12-10 | 1999-11-16 | Nanogram Corporation | Solar cell |
WO1999039372A2 (en) | 1998-02-02 | 1999-08-05 | Uniax Corporation | Image sensors made from organic semiconductors |
US6198092B1 (en) * | 1998-08-19 | 2001-03-06 |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 Stacked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s with an electrically parallel configuration |
US7129466B2 (en) | 2002-05-08 | 2006-10-31 | Canon Kabushiki Kaisha | Color image pickup device and color light-receiving device |
EP1447860A1 (en) | 2003-02-17 | 2004-08-18 | Rijksuniversiteit Groningen | Organic material photodiode |
KR100977905B1 (ko) * | 2003-03-19 | 2010-08-24 | 헬리아텍 게엠베하 | 유기층을 포함하는 광활성 부품 |
US6972431B2 (en) * | 2003-11-26 | 2005-12-06 |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 Multilayer organic photodetectors with improved performance |
JP5040057B2 (ja) * | 2004-09-03 | 2012-10-03 |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放射線画像検出器の製造方法 |
DE102005010978A1 (de) | 2005-03-04 | 2006-09-07 |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 Photoaktives Bauelement mit organischen Schichten |
JP4911445B2 (ja) | 2005-06-29 | 2012-04-0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有機と無機のハイブリッド光電変換素子 |
JP2007096157A (ja) * | 2005-09-30 | 2007-04-12 | Hitachi Cable Ltd | 半導体発光素子 |
US7569866B2 (en) | 2005-09-30 | 2009-08-04 | Hitachi Cable, Ltd.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
JP5016831B2 (ja) | 2006-03-17 | 2012-09-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酸化物半導体薄膜トランジスタを用いた発光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
EP2023419A4 (en) * | 2006-05-02 | 2013-03-13 | Mitsubishi Chem Corp | PROCESS FOR PRODUCING AN ORGANIC PHOTOELECTRIC TRANSMITTER ELEMENT AND ORGANIC PHOTOELECTRIC CONVERTER ELEMENT |
US20070272918A1 (en) * | 2006-05-25 | 2007-11-29 | Barry Rand | Organic photosensitive devices using subphthalocyanine compounds |
JP2008258474A (ja) | 2007-04-06 | 2008-10-23 | Sony Corp | 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 |
JP4903643B2 (ja) * | 2007-07-12 | 2012-03-28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発光素子 |
JP2009049278A (ja) * | 2007-08-22 | 2009-03-05 | Fujifilm Corp | 光電変換素子、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 |
JP5427349B2 (ja) * | 2007-10-18 | 2014-02-2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固体撮像素子 |
JP5645666B2 (ja) * | 2007-10-31 | 2014-12-24 |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 ハロゲン化フタロシアニン類の使用 |
TWI427824B (zh) * | 2008-03-14 | 2014-02-21 | Asahi Kasei Emd Corp | 紅外線發光元件 |
WO2010016101A1 (ja) * | 2008-08-04 | 2010-02-11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有機電界発光素子 |
JP5397379B2 (ja) * | 2008-09-30 | 2014-01-22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有機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1013341A1 (ja) * | 2009-07-30 | 2011-02-03 | 三菱樹脂株式会社 | 太陽電池モジュール |
JP2011054869A (ja) * | 2009-09-04 | 2011-03-17 | Nippon Hoso Kyokai <Nhk> | 有機光電変換素子、及び、これを含むイメージセンサ |
JP5573841B2 (ja) | 2009-09-18 | 2014-08-20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タンデム型有機光電変換素子、および太陽電池 |
JP5520560B2 (ja) * | 2009-09-29 | 2014-06-1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光電変換素子、光電変換素子材料、光センサ、及び撮像素子 |
WO2011052570A1 (ja) * | 2009-10-30 | 2011-05-05 | 住友化学株式会社 | 有機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TWI538271B (zh) | 2009-11-04 | 2016-06-11 | 國立清華大學 | 具有載子指向性分佈結構之有機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 |
JP5114541B2 (ja) | 2010-02-25 | 2013-01-0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光センサの製造方法 |
US20110259395A1 (en) * | 2010-04-21 | 2011-10-27 | Stion Corporation | Single Junction CIGS/CIS Solar Module |
AU2011248287A1 (en) * | 2010-05-05 | 2012-11-29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Method of improving exciton dissociation at organic donor-acceptor heterojunctions |
KR20140072830A (ko) * | 2010-10-15 | 2014-06-13 |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간 | 광전변환 디바이스에서 광활성 층의 에피택셜 성장을 제어하기 위한 물질 |
KR101938272B1 (ko) * | 2011-08-26 | 2019-01-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신규한 퀴나크리돈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광활성층 및 광전 변환 소자 |
KR101942423B1 (ko) * | 2011-09-09 | 2019-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 다이오드 |
KR102093793B1 (ko) * | 2011-10-31 | 2020-03-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 다이오드 |
KR101885244B1 (ko) * | 2011-11-07 | 2018-08-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WO2013109677A2 (en) * | 2012-01-17 | 2013-07-25 | First Solar, Inc. | Photovoltaic device having an absorber multi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5854401B2 (ja) | 2012-02-17 | 2016-02-09 |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有機薄膜光電変換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薄膜太陽電池 |
US9190626B2 (en) * | 2012-05-31 | 2015-11-17 | Lg Chem,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low driving voltage, high brightness, and excellent light emitting efficiencies |
US9660207B2 (en) | 2012-07-25 | 2017-05-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rganic solar cell |
KR102072680B1 (ko) * | 2012-07-25 | 2020-0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태양 전지 |
JP2014033165A (ja) | 2012-08-06 | 2014-02-20 | Fujitsu Ltd | 光電変換素子 |
KR101960468B1 (ko) * | 2012-10-08 | 2019-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US20140217408A1 (en) * | 2013-02-06 | 2014-08-0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on | Buffer layer for high performing and low light degraded solar cells |
JP2015032736A (ja) | 2013-08-05 | 2015-02-16 | 富士電機株式会社 | 積層型有機薄膜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2076217B1 (ko) * | 2013-08-06 | 2020-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DE112013007458T5 (de) * | 2013-09-27 | 2016-07-14 | Fujitsu Limited | Photoelektrische Umwandlungselemen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KR102270705B1 (ko) | 2013-12-06 | 2021-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US9548336B2 (en) * | 2014-04-24 | 2017-01-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
KR102338334B1 (ko) * | 2014-07-17 | 2021-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
US9356249B2 (en) * | 2014-09-30 | 2016-05-31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electric field-induced carrier generation layer |
JP6777983B2 (ja) * | 2014-11-04 | 2020-10-28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有機光電素子用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有機光電素子並びにイメージセンサー及び電子装置 |
JP6444718B2 (ja) * | 2014-12-15 | 2018-12-26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装置 |
JP6721980B2 (ja) * | 2014-12-19 | 2020-07-15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有機光電素子、並びにイメージセンサー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装置 |
KR102427157B1 (ko) * | 2015-01-20 | 2022-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장치 |
KR102410028B1 (ko) * | 2015-06-24 | 2022-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356696B1 (ko) * | 2015-07-03 | 2022-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KR101713426B1 (ko) * | 2015-07-24 | 2017-03-08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14127B1 (ko) * | 2015-08-26 | 2021-10-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KR102330698B1 (ko) * | 2015-09-04 | 2021-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KR102455528B1 (ko) * | 2015-11-24 | 2022-10-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
KR102529631B1 (ko) * | 2015-11-30 | 2023-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2015
- 2015-07-03 KR KR1020150095356A patent/KR102356696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05-17 US US15/156,438 patent/US10008545B2/en active Active
- 2016-06-07 EP EP16173355.5A patent/EP3113225B1/en active Active
- 2016-07-01 JP JP2016131496A patent/JP6749157B2/ja active Active
- 2016-07-01 CN CN201610515592.XA patent/CN106328666B/zh active Active
-
2018
- 2018-05-23 US US15/986,956 patent/US10374016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7-22 US US16/518,167 patent/US11024675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5-28 US US17/333,749 patent/US1164175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49662A (ja) * | 2012-01-17 | 2013-08-01 | Konica Minolta Inc | 有機薄膜太陽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672A (ko) | 2017-01-11 |
US20190348468A1 (en) | 2019-11-14 |
CN106328666B (zh) | 2021-12-31 |
EP3113225A1 (en) | 2017-01-04 |
US10374016B2 (en) | 2019-08-06 |
US20180269258A1 (en) | 2018-09-20 |
US11641752B2 (en) | 2023-05-02 |
EP3113225B1 (en) | 2023-05-10 |
US20170005142A1 (en) | 2017-01-05 |
US11024675B2 (en) | 2021-06-01 |
JP6749157B2 (ja) | 2020-09-02 |
US20210288114A1 (en) | 2021-09-16 |
JP2017017325A (ja) | 2017-01-19 |
CN106328666A (zh) | 2017-01-11 |
US10008545B2 (en) | 2018-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6696B1 (ko)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JP7554855B2 (ja) | 有機光電素子及びイメージセンサ並びに電子装置 | |
KR102179331B1 (ko) | 투광 전극,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US10020341B2 (en) |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05375B1 (ko)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KR102141592B1 (ko)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US10381413B2 (en) |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345977B1 (ko)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KR101920848B1 (ko)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US11849597B2 (en) |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 |
KR102282494B1 (ko)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KR102195813B1 (ko)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
KR102309884B1 (ko) | 유기광검출기 및 이미지센서 | |
KR102309885B1 (ko) |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573163B1 (ko) |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00056289A (ko) | 광전 변환 소자, 유기 센서 및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