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7289B1 -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289B1
KR102327289B1 KR1020207007673A KR20207007673A KR102327289B1 KR 102327289 B1 KR102327289 B1 KR 102327289B1 KR 1020207007673 A KR1020207007673 A KR 1020207007673A KR 20207007673 A KR20207007673 A KR 20207007673A KR 102327289 B1 KR102327289 B1 KR 10232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idewall
battery
case
pl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768A (ko
Inventor
춘준 탕
궈원 장
쿠이청 리
Original Assignee
닝더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닝더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닝더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2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81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배터리는 제1 케이스 및 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제1 곡면 측벽 및 상기 제1 곡면 측벽과 서로 연결되는 평면 측벽을 포함하고, 포스트는 상기 평면 측벽에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서 포스트를 배터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에 대신하기에, 본 출원은 포스트로 인해 배터리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피하고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포스트의 설치로 인해 배터리 단부의 공간이 차지되고, 이는 극판층의 수량를 감소되며, 본 출원의 해결수단은 극판층의 수량의 감소를 피하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본 출원은 전기 화학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휴대성으로 인해 널리 환영받고 있으며 휴대용 전자장치 및 기타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지된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케이스, 상단 덮개 및 셀 등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셀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 덮개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의 개구부에 위치한다. 상기 상단 덮개에는 상기 상단 덮개를 관통하고 있는 포스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스트와 상기 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을 실현한다. 그러나, 상기 포스트의 설치는 배터리의 두께를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의 손실을 유발시킨다.
이를 고려하여,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셀,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와 함께 하나의 캐비티를 형성하여 상기 캐비티가 상기 셀을 수용하며, 그중, 상기 제1 케이스는 제1 평면, 제1 곡면 측벽 및 제1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곡면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곡면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1 곡면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는 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제1 측벽에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서 포스트를 배터리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에 대신하여, 본 출원은 포스트를 제1 측벽에 설치하여, 포스트로 인해 배터리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피하고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포스트의 설치로 인해 배터리 단부의 공간이 차지되고, 이는 극판층의 수량를 감소되며, 본 출원의 해결수단은 극판층의 수량의 감소를 피하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벽은 제2 곡면 측벽 혹은 평면 측벽 중의 일종이다.
상기 실시예에는 세 가지 상황을 포함하고, 제1 상황은 제1 측벽이 제2 곡면 측벽일 때, 포스트는 제2 곡면 측벽에 설치되고, 제2 상황은 제1 측벽이 평면 측벽일 때, 포스트는 평면 측벽에 설치되며, 제 3 상황은 제1 측벽이 제2 곡면 측벽 및 평면 측벽을 구비하고, 포스트는 평면 측벽 혹은 제2 곡면 측벽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평면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평면의 둘레의 가장자리에는 원호 구간 및 직선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 측벽과 상기 원호 구간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평면 측벽과 상기 직선 구간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평면 측벽에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서 포스트를 배터리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에 대신하여, 본 출원은 포스트를 평면 측벽에 설치하여, 포스트로 인해 배터리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피하고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포스트의 설치로 인해 배터리 단부의 공간이 차지되고, 이는 극판층의 수량를 감소되며, 본 출원의 해결수단은 극판층의 수량의 감소를 피하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평면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의 원호구간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가상원의 반경보다 작다.
평면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의 원호 구간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상기 제1 평면의 원호 구간에 의해 한정된 가상원의 반경보다 작게 한정하기에 포스트가 상기 평면 측벽의 외접원 내에 위치하고, 따라서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의 이용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평면 측벽으로부터 상기 가상원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가상원의 반경의 비는 4:5 내지 9:10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평면 측벽과 평행하는 포스트 평면을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 평면의 중심은 상기 평면 측벽의 높이의 중간 및 그이상에 배치되고, 및/혹은 상기 포스트 평면의 중심은 상기 평면 측벽의 너비의 중부에 배치된다.
상기 포스트 평면의 중심을 상기 평면 측벽의 높이의 중간부보다 위에 설치되기에 전극 탭 및 포스트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극 탭 및 포스트의 용접을 위해 충분한 공간을 남겨둔다. 상기 포스트 평면의 중심은 상기 평면 측벽의 너비의 중간부에 설정되고, 이는 포스트가 평면 측벽의 외접원을 초과하는 것을 피하며, 따라서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 평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혹은 삼각형 등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가 상기 평면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0.3mm 내지 10mm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가 상기 평면 측벽에 수직된 높이는 0.6mm 내지 20mm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는 제1 포스트 분체 및 제2 포스트 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포스트 분체는 제1 포스트 평면 및 상기 제1 포스트 평면과 서로 연결되는 제1 원통형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포스트 분체는 제2 포스트 평면 및 상기 제2 포스트 평면과 서로 연결되는 제2 원통형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원통형 구조는 중공 구조이고, 상기 제1 원통형 구조는 상기 제2 원통형 구조에 삽입된다.
상기 포스트를 제1 포스트 분체 및 제2 포스트 분체로 나뉘어지기에, 포스트의 설치가 편리해지고, 제1 포스트 분체 및 제2 포스트 분체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포스트의 신뢰성이 있는 설치를 보장 할 수 있다.
제1 원통형 구조는 원통형 구조이고, 제1 원통형 구조(221)는 원통형 구조로 설계하여 포스트와 제1 전극 탭을 용접할 시, 용접 침투에 필요한 두께를 줄여 용접 구조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포스트 및 상기 평면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절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일체형 혹은 분할형으로 형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는 제2 케이스 및 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가 접합하며, 상기 셀은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가 형성한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셀은 복수개의 제1 전극 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과 상기 포스트는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어댑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이 상기 포스트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어댑터를 생략할 수 있고, 어댑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에는 절연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기에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과 상기 제1 케이스가 접촉하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셀은 복수개의 제2 전극 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전극 탭은 상기 제1 케이스 혹은 상기 제2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의 연장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 2 전극 탭의 연장 방향 사이의 협각은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케이스는 두 개의 상기 평면 측벽을 구비하고, 그중 하나의 상기 평면 측벽은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과 서로 대향하며, 또 다른 하나의 상기 평면 측벽은 상기 복수개의 제2 전극 탭과 서로 대향하기에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전극 탭의 위치에 각기 케비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는 주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이 위치하는 케비티와 대응하기에 전해질를 주입할 시 방해받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제2 평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가 위치하는 케비티에 대응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의 배터리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배터리의 또 다른 각도에서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배터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배터리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동그라미로 표시된 극부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또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배터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A-A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또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전극 탭을 설치하여 용접되는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도시된 동그라미로 표시된 극부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배터리를 위로부터 아래로 보았을 시의 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형 미용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솔루션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 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예일 뿐이며 전체 예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창조적 노력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 예들이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로 충돌되지 않는한, 이하의 실시 예 및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배터리는 코인셀이다. 코인셀은 제1 케이스(1), 제2 케이스(3), 셀(5) 및 포스트(2)를 구비하고, 포스트(2)는 제1 케이스(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는 제1 곡면 측벽(11) 및 평면 측벽(12)을 구비하고, 평면 측벽(12) 및 제1 곡면 측벽(11)는 서로 연결되며, 포스트(2)는 평면 측벽(12)에 설치된다.
제2 케이스(3)는 제1 케이스(1)에 설치되며, 또한 제1 케이스(1)와 함께 하나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는 셀(5)을 수용한다. 그중, 제1 케이스(1)는 또한 제1 평면(13)을 구비하고, 제1 평면(13) 및 제2 케이스(3)는 제1 곡면 측벽(11) 및 평면 측벽(12)의 서로 대향하고 있는 위아래 두 측면에 위치하고, 제1 평면(13)은 제1 곡면 측벽(11) 및 평면 측벽(12)과 서로 연결된다.
본 출원 중, 포스트(2)를 평면 측벽(12)에 설치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포스트(2)가 배터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대신하고, 이는 포스트로 인한 배터리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피하고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의 포스트의 설치로 인해 배터리 단부의 공간을 차지하고, 극판층(極片層)의 수량를 감소되며. 이에 있어서 본 출원의 해결책은 극판층의 수량의 감소를 피하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삭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배터리의 케이스는 제1 케이스(1) 및 제2 케이스(3)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1) 및 제2 케이스(3)는 용접방식을 통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1) 및 상기 제2 케이스(3)의 재질은 모두 스테인리스강 등 금속일 수 있다. 그중, 상기 제1 케이스(1) 및 제2 케이스(3)의 두께T는 모두 1000 mm를 초과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평면(13)의 둘레의 가장자리는 원호 구간(131) 및 상기 원호 구간(131)과 서로 연결되는 직선 구간(132)을 구비하고, 호형 측벽(11) 및 원호 구간(131)은 서로 연결되며, 평면 측벽(12) 및 직선 구간(132)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평면(13)은 하나의 코너가 없는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이루고, 제1 평면(13)은 타원형일 수도 있으며, 제1 평면(13)의 형태는 본 출원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측벽(12)으로부터 제1 평면(13)의 원호 구간(131)의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L은 제1 평면(13)의 원호 구간(131)에 의해 한정(형성)된 가상원의 반경보다 작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평면 측벽 (12)으로부터 제1 평면 (13)의 원호 구간(131)의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 L와 제1 평면(13)의 원호 구간(131)에 의해 한정된 가상 원의 반경의 비는 4:5 내지 9:10이므로, 포스트(2)는 평면 측벽(12)의 외접원 내에 위치하고,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의 이용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포스트(2)는 평면 측벽 (12)에 평행되는 포스트 평면(21)을 포함하고, 포스트 평면(21)의 중심은 평면 측벽 (12)의 중부에 배치된다. 평면 측벽 (12)의 너비의 중부로부터 그것의 외접 원호까지의 거리가 가장 크며, 이는 포스트(2)의 설치에 유리하다. 포스트 평면(21)의 중심은 평면 측벽 (12)의 높이의 중간 및 그이상에 배치되어, 포스트(2)와 제1 전극 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포스트(2)의 포스트 평면(21)은 원형이고, 이러한 설치는 포스트(2)와 제1 케이스(1)의 조립에 이롭다. 물론, 포스트 평면은 타원형, 사각형 혹는 삼각형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포스트(2)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금과 같은 전도성 재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트(2)의 재질는 강철 합금, 알루미늄 합금, 철 합금, 구리 합금 등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평면 측벽(12)으로부터 돌출된 포스트(2)의 높이H1는 0.3mm 내지 10mm이고, 포스트(2)의 전체 높이H2는 0.6mm 내지 20mm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는 제1 포스트 분체(22) 및 제2 포스트 분체(23)를 포함하고, 제1 포스트 분체(22)와 제2 포스트 분체(23)가 서로 결합되어 I자형 포스트(2)를 형성한다. 평면 측벽 (12)에는 설치홀(24)이 설치되고, 설치홀(24)은 관통 홀이며, 포스트(2)는 설치홀(24)에 설치된다. 그중, 설치홀(24)의 직경은 1000mm 미만일 수 있고, 설치홀(24)의 깊이는 100mm 미만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포스트 분체(22)는 제1 포스트 평면(즉 상기 포스트 평면(21)) 및 상기 제1 포스트 평면과 서로 연결되는 제1 원통형 구조(221)를 구비하고 제2 포스트 분체(23)는 제2 포스트 평면 및 상기 제2 포스트 평면과 서로 연결되는 제2 원통형 구조(23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원통형 구조(231)는 중공 구조이다. 제1 포스트 분체(22) 및 제2 포스트 분체(23)는 각기 T자 형태를 이루고, 제1 원통형 구조(221)를 제2 원통형 구조(231) 내에 삽입하여 I자 형태의 포스트(2)를 형성한다. 제1 원통형 구조(221)와 제2 원통형 구조(231)가 서로 결합하여 설치홀(24)을 통과하여 제1 포스트 평면 및 제2 포스트 평면이 각기 설치홀(24)의 각 일측에 한정된다. 설치 과정에서, 제2 원통형 구조(231)는 먼저 설치홀(24)을 통해 삽입되고, 그후 제1 원통형 구조(221)는 제2 원통형 구조(231)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 포스트 평면(즉, 포스트 평면(21))은 평면 측벽(12) 외부 (즉, 배터리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2 포스트 평면은 평면 측벽(12)의 내부 (즉, 배터리 내부)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원통형 구조(221)는 실심인 원형 구조일 수 있고, 물론 제1 원통형 구조(221)는 중공 원통형 구조이며, 제1 원통형 구조(221)는 중공 원통형 구조로 설계하여 포스트(2)와 제1 전극 탭을 용접할 시, 용접 침투에 필요한 두께를 줄여 용접 구조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장착 구멍 (24)에는 포스트(2)과 평면 측벽 (12) 사이의 절연체로서의 제1 절연부재(4)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포스트 평면 및 평면 측벽(12) 사이, 제2 원통형 구조(231) 및 평면 측벽(12) 사이 및 제2 포스트 평면 및 평면 측벽(12)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절연부재(4)는 평면 측벽 (12)에 직접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一體)형로 형성되거나 분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절연부재(4)는 제 1 절연부 및 제 2 절연부를 포함 할 수 있고, 제 1 절연부는 제2 원통형 구조(231), 제2 포스트 평면과 평면 측벽(12)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절연부는 제1 포스트 평면과 평면 측벽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절연부재(4)의 재질는 고분자 재료일수 있고, 예컨데 나일론, PFA (copolymer of tetrafluoroethylene and perfluoroalkylvinylether) 등 플라스틱 혹은 고무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5)은 양극편, 분리막 및 음극편을 포함하고, 분리막은 양극편과 음극편 사이에 배치되어 양극편과 음극편을 절연시킨다. 음극편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표면에 형성된 음극 활성재료층을 포함한다. 양극편은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표면에 형성된 양극 활성재료층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셀(5)은 적층셀이고, 즉 셀(5)은 양극편-분리막-음극편-분리막의 순서에 따라 스택하여 형성된다. 양극편 및 음극편는 모두 원형 형태를 가깝고, 양극편 및 음극편의 양측에는 각각 가장자리를 잘라내어 각기 전극 탭을 인출할 수 있다. 셀(5)이 스택된 후, 셀 (5)은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제 1전극 탭 (6)은 셀(5)의 제 1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포스트 (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 2 전극 탭(7)은 셀(5)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터리의 케이스 즉 제1 케이스(1) 혹은 제2 케이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의 연장 방향과 복수개의 제 2 전극 탭(7)의 연장 방향 사이의 협각은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극 탭(6)은 양극 전극 탭이고, 제2 전극 탭(7)은 음극 전극 탭이다. 즉, 포스트(2)는 양극 포스트이고, 제1 케이스(1) 및 제2 케이스2 전체가 음극의 극성을 갖는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전극 탭(6)에는 절연 접착제(61)가 접착되어 있기에, 제1 전극 탭(6) 및 제1 케이스(1)를 절연하여, 접촉하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1 전극 탭(6)은 양극 집전체에 용접되거나, 직접 양극 집전체를 절단하여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2 전극 탭(7)은 음극 집전체에 용접되거나, 직접 음극 집전체를 절단하여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5)의 제1 측면(2)은 포스트(2)의 위치 에 대응하기에, 제1 측면으로부터 셀 (5)이 위치하는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제2 측면에서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이에 의해 포스트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도 9 및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은 어댑터(62)를 통해 포스트(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즉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 과 포스트 (2)를 용접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이 먼저 어댑터(62)와 용접 된 후, 어댑터(62)는 포스트(2)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용접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은 직접 포스트 (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즉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 (6)은 포스트(2)에 직접 용접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은 사전에 용접되어 하나의 전체를 실현하고, 상기 전체는 포스트(2)와 용접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2)의 제1 원통형 구조(2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 형으로 설계되어,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를 용접할때 포스트(2)가 침투해야하는 두께를 감소시키고 용접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제 1 케이스(1)는 평면 측벽 (12) 및 제 1 곡면 측벽 (11)을 포함한다. 즉, 제1 전극 탭(6)에 대응하는 측벽은 평면 측벽(12)이고, 포스트(2)를 설치하고 포스트(2)을 제1 전극 탭(6)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제 2 전극 탭(7)에 대응하는 측벽은 여전히 제1 곡면 측벽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제 1 케이스(1)는 2 개의 평면 측벽(12) 및 2 개의 제 1 곡면 측벽 (11)을 포함 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 탭(6) 및 제2 전극 탭(7)에 대응하는 측벽은 모두 평면 측벽 (12)이며, 이는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1 및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배터리는 배터리 셀(5)을 습윤시키기 위해 배터리 내에 전해질을 주입하기위한 주입구(8)를 더 포함한다.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과 복수개의 제 2 전극 탭(7)의 배열로 인해, 셀(5)과 케이스 사이에 간극 (10)이 형성된다. 주입구(8)는 제 1 케이스(1) 또는 제 2 케이스(3) 상에 설치되고 셀(5)과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간극(10)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입구(8)는 제 2 케이스(3)의 제2 평면에 설치된다. 또한, 주입구 (8)는 셀(5)의 제 2 측면과 제 1 케이스(1) 사이의 간극(10)에 대응하고, 복수개의 제 2 전극 탭(7)을 피한다. 이러한 설치는 전해질의 주입을 방해하지 않고 셀(5)을 용이하게 침투시킨다. 물론,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입구는 제2 평면에 설치될 수 있고, 셀 (5)의 제 1 측면과 케이스 사이의 간극에 대응한다. 셀 (5)의 제 1 측면,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6) 및 포스트(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측면과 케이스 사이의 간극이 제 2 측면과 케이스 사이의 간격보다 크며, 전해질의 주입에 더 편리하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주입구는 평면 측벽(12) 또는 제 1 곡면 측벽 (11)에 설치 될 수도 있다. 또한, 주입구(8)에는 주입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입 플러그는 주입구(8)를 밀봉하여 주입된 전해질이 누출되거나 외부 불순물이 배터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폭 밸브(9)도 배터리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방폭 밸브(9)는 포스트(2)를 피하기 위해 제 1 케이스(1)의 제1 곡면 측벽(11)에 설치한다. 물론, 제 1 케이스(1)의 제1 평면(13)또는 제 2 케이스(3)에 설치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폭 밸브(9)는 중국한자"一"문자 형태이며, 물론 V자형, 십자형 등의 형태 일 수도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방폭 밸브(9)의 벽 두께는 제 1 케이스(1)의 다른 위치의 벽 두께보다 작고, 배터리의 내부 압력이 너무 높으면, 배터리는 배터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먼저 방폭 밸브(9)가 깨져 압력을 해제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셀(5)과 제2 케이스(3) 사이에 제 2 절연 부재가 설치되고, 제 2 절연 부재는 셀 (5)과 제 2 케이스(3)를 격리시킬 수 있다. 셀 (5)과 제 1 케이스(1)의 제1 평면(13) 사이에 제 3 절연 부재가 설치되며, 셀 (5)과 제 1 케이스(1)의 측벽 (즉, 평면 측벽 (12)과 제 1 곡면 측벽(11)) 사이에 제 4 절연 부재가 설치된다. 제 2 절연부재 및 제 3 절연부재, 제 4 절연부재의 설치는 셀(5)을 제 1 케이스(1) 및 제 2 케이스(3) 내부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기에, 제1 케이스(1) 및 제2 케이스(3) 내에서 셀 (5)이 이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셀(5)의 이동으로 인해 극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1 케이스(1) 및 제 2 케이스(3)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극성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음극의 극성을 갖추고, 제 2 절연부재, 제 3 절연 부재 및 제 4 절연 부재는 셀(5)을 제 1 케이스(1) 및 제 2 케이스 (3)와 절연시켜 접촉 단락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측벽은 모두 평면 측벽 (12)이다. 물론, 제 1 측벽은 제 2 곡면 측벽일 수 있고, 제 1 곡면 측벽 (11)은 제 2 곡면 측벽과 서로 연결되며, 포스트는 제 2 곡면 측벽 설치되고, 예를 들어 제1 곡면 측벽 및 제2 곡면 측벽 전체가 원통형 측벽인 경우이다. 물론, 제1 측벽은 제2 곡면 측벽 및 평면 측벽(12)을 포함하고, 제1 곡면 측벽(11) 및 제2 곡면 측벽이 서로 연결되며, 포스트는 제2 곡면 측벽 혹은 평면 측벽(12)에 설치되어 있다. 혹은, 제 1 측벽은 2 개의 제 2 곡면 측벽을 포함하고, 평면 측벽 (12)은 2 개의 제 2 곡면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의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사상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어떠한 수정, 균등한 대체 및 개선도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제1 케이스1 제1 곡면 측벽11
평면 측벽12 제1 평면13
원호 구간131 직선 구간132
포스트2 포스트 평면21
제1 포스트 분체22 제1원통형 구조221
제2 포스트 분체23 제2 원통형 구조231
설치홀24 제1 절연부재4
셀5 제1 전극 탭6
절연 접착제61 어댑터62
제2 전극 탭7 주입구8
방폭 밸브9 케비티10

Claims (20)

  1.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셀,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와 함께 하나의 캐비티를 형성하여 상기 캐비티가 상기 셀을 수용하며,
    그중, 상기 제1 케이스는 제1 평면, 제1 곡면 측벽 및 제1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곡면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곡면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1 곡면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는 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제1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벽은 평면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평면의 둘레의 가장자리에는 원호 구간 및 직선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 측벽과 상기 원호 구간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평면 측벽과 상기 직선 구간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평면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평면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의 원호 구간에 의해 한정된 가상원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가상원의 반경의 비는 4:5 내지 9:10이며, 상기 포스트가 상기 평면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0.3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평면 측벽과 평행하는 포스트 평면을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 평면의 중심은 상기 평면 측벽의 높이의 중간 및 그 이상에 배치되고, 및/혹은 상기 포스트 평면의 중심은 상기 평면 측벽의 너비의 중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평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혹는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가 상기 평면 측벽에 수직된 높이는 0.6mm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제1 포스트 분체 및 제2 포스트 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포스트 분체는 제1 포스트 평면 및 상기 제1 포스트 평면과 서로 연결되는 제1 원통형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포스트 분체는 제2 포스트 평면 및 상기 제2 포스트 평면과 서로 연결되는 제2 원통형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원통형 구조는 중공 구조이고,
    상기 제1 원통형 구조는 상기 제2 원통형 구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포스트 및 상기 평면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절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일체형 혹은 분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복수개의 제1 전극 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과 상기 포스트는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어댑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에는 절연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복수개의 제2 전극 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전극 탭은 상기 제1 케이스 혹은 상기 제2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 전극 탭의 연장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 2 전극 탭의 연장 방향 사이의 협각은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두 개의 상기 평면 측벽을 구비하고, 그중 하나의 상기 평면 측벽은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과 서로 대향하며, 또 다른 하나의 상기 평면 측벽은 상기 복수개의 제2 전극 탭과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전극 탭의 위치에 각기 케비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는 주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탭이 위치하는 케비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복수개의 상기 제2 전극 탭로 부터 떨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는 설치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설치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포스트 평면과 상기 제2 포스트 평면은 각기 상기 설치홀의 각 일측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홀의 직경은 1000mm 보다 작고, 상기 설치홀의 깊이는 100m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형 구조는 중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7007673A 2019-09-19 2019-11-27 배터리 Active KR102327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88937.X 2019-09-19
CN201910888937.XA CN110880566B (zh) 2019-09-19 2019-09-19 电池
PCT/CN2019/121281 WO2021051653A1 (zh) 2019-09-19 2019-11-27 电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68A KR20210035768A (ko) 2021-04-01
KR102327289B1 true KR102327289B1 (ko) 2021-11-17

Family

ID=6972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673A Active KR102327289B1 (ko) 2019-09-19 2019-11-27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42554B2 (ko)
EP (1) EP3817131A4 (ko)
JP (1) JP7295097B2 (ko)
KR (1) KR102327289B1 (ko)
CN (3) CN113078421B (ko)
WO (1) WO2021051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3326B (zh) * 2019-09-30 2024-06-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扁平型二次电池
WO2021185074A1 (zh) * 2020-03-18 2021-09-23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电池外壳、电池和电子设备
CN211605201U (zh) * 2020-03-31 2020-09-2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和具有所述电池的用电装置
CN111342111A (zh) * 2020-04-15 2020-06-26 东莞市能优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带充电系统和管理模组的扣式电池
CN112151737B (zh) * 2020-05-13 2023-09-19 深圳市格瑞普电池有限公司 扣式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及壳体
CN113725559A (zh) * 2020-05-21 2021-11-30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电池及电池的组装方法
US11862806B2 (en) 2020-06-03 2024-01-02 Zhuhai Cosmx Battery Co., Ltd. Button cell and electronic device
CN111697245B (zh) * 2020-06-10 2022-07-15 东莞哈工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圆柱锂电池的焊接贴胶设备
JP2023528611A (ja) * 2020-06-15 2023-07-05 寧徳新能源科技有限公司 電池及び前記電池を有する電気機器
CN115398719A (zh) * 2020-06-18 2022-11-2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及具有所述电池的用电装置
CN115702522B (zh) * 2020-06-23 2024-06-04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电子装置和电池的装配方法
CN213242683U (zh) * 2020-10-23 2021-05-18 广东微电新能源有限公司 储能装置
WO2022109939A1 (zh) * 2020-11-26 2022-06-02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电子设备
CN112615088A (zh) * 2020-12-15 2021-04-06 广东微电新能源有限公司 电芯结构、电池、电子设备及电芯结构制备方法
CN113285148B (zh) * 2021-05-13 2023-09-12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
CN113488728B (zh) * 2021-07-02 2022-06-28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圆柱形电池
CN114552086B (zh) * 2021-11-11 2025-05-30 东莞锂威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钢壳电池的极柱焊接结构及电池
CN114628862A (zh) * 2022-03-24 2022-06-14 广东国光电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WO2024120135A1 (zh) * 2022-12-09 2024-06-13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电池和电子设备
CN116207462B (zh) * 2023-03-30 2024-05-31 厦门海辰储能科技股份有限公司 端盖组件、储能装置和用电设备
US20250174846A1 (en) * 2023-11-28 2025-05-29 Google Llc Battery Configuration for Directing Relative H-field Distribu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33058U (zh) * 2015-01-22 2015-05-1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及动力电池顶盖
JP2016029609A (ja) * 2014-07-25 2016-03-03 Fdk鳥取株式会社 筒型電池の絶縁ガスケット及び筒型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630A (ja) 1991-02-14 1994-02-25 Mitsubishi Motors Corp 保冷車用冷凍コンプレッサの制御方式
US7479349B2 (en) * 2002-12-31 2009-01-20 Cardiac Pacemakers, Inc. Batteries including a flat plate design
JP2007208137A (ja) * 2006-02-03 2007-08-16 Sanyo Electric Co Ltd 蓄電デバイス及びその実装体
US20070231681A1 (en) * 2006-03-31 2007-10-04 Casby Kurt J Immobilization system for an electrochemical cell
JP2009224173A (ja) * 2008-03-17 2009-10-01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池
JP5819043B2 (ja) * 2010-04-01 2015-11-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及び回路基板
CN201887117U (zh) * 2010-11-25 2011-06-29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扁平电池
US8974949B2 (en) * 2011-04-07 2015-03-10 Cardiac Pacemakers, Inc. Electrical insulator shaped to conform to power source electrodes
KR101671143B1 (ko) * 2011-10-24 2016-10-31 어드밴스드 배터리 컨셉츠, 엘엘씨 바이폴라 배터리 조립체
JP6050630B2 (ja) * 2012-07-27 2016-12-2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システム
EP2706592B1 (de) 2012-09-11 2016-05-04 swissbatt AG Batterie mit präzis positioniertem Aufbau
CN202940279U (zh) * 2012-11-26 2013-05-15 梅岭化工厂 密封高压氢镍电池单体电池外壳
JP2014232666A (ja) * 2013-05-29 2014-12-11 株式会社カネカ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203521496U (zh) 2013-09-04 2014-04-02 厦门钨业股份有限公司 一种苹果形大功率聚合物锂电池
WO2016011046A1 (en) * 2014-07-14 2016-01-21 Apple Inc. Stacked-cell battery with notches to accommodate electrode connections
JP6404045B2 (ja) * 2014-09-09 2018-10-10 三井化学株式会社 蓋体、電気素子、電気素子ユニット及び蓋体の製造方法
KR101834605B1 (ko) 2014-11-07 201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머 배터리 및 폴리머 배터리 제조 방법
CN105789547B (zh) * 2014-12-23 2019-01-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极端子及其制备方法以及电池盖板组件、电池、电池组、电池包和电动汽车
US10629943B2 (en) 2015-04-03 2020-04-21 Apple Inc. Battery can
CN205016623U (zh) 2015-09-15 2016-02-03 曙鹏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聚合物锂离子电池
JP6572710B2 (ja) * 2015-09-29 2019-09-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端子構造、蓄電装置及び蓄電モジュール
WO2017143750A1 (zh) * 2016-02-25 2017-08-3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CN206059542U (zh) 2016-08-30 2017-03-29 上海产业技术研究院 一种高能量密度高电压的异形锂离子电池
JPWO2018173751A1 (ja) 2017-03-24 2019-11-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
US20200168886A1 (en) * 2017-09-11 2020-05-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econdary battery
CN208970566U (zh) * 2018-08-30 2019-06-11 深圳市能锐创新科技有限公司 扣式锂离子电池用壳体及扣式叠片锂离子电池
CN114503326B (zh) * 2019-09-30 2024-06-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扁平型二次电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9609A (ja) * 2014-07-25 2016-03-03 Fdk鳥取株式会社 筒型電池の絶縁ガスケット及び筒型電池
CN204333058U (zh) * 2015-01-22 2015-05-1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及动力电池顶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78421A (zh) 2021-07-06
JP2022512517A (ja) 2022-02-07
EP3817131A1 (en) 2021-05-05
CN110880566A (zh) 2020-03-13
US11742554B2 (en) 2023-08-29
WO2021051653A1 (zh) 2021-03-25
CN113078421B (zh) 2024-05-17
JP7295097B2 (ja) 2023-06-20
CN113097657B (zh) 2024-05-17
EP3817131A4 (en) 2021-05-05
KR20210035768A (ko) 2021-04-01
US20210367310A1 (en) 2021-11-25
CN113097657A (zh) 2021-07-09
CN110880566B (zh)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289B1 (ko) 배터리
KR102411458B1 (ko) 배터리 케이스 부품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 부품을 구비하는 배터리
CN102035012B (zh) 二次电池以及形成二次电池的方法
EP4277013A1 (en)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 device
KR101233573B1 (ko) 이차 전지
KR101233470B1 (ko) 이차 전지
US11784381B1 (en) Energy storage device and electrical apparatus
CN211789108U (zh) 锂离子电池
KR20060010483A (ko) 이차 전지
US12155094B2 (en)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electric device
KR20110029309A (ko) 이차전지
US9153809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retainer for electrode assembly
US20220045392A1 (en) Top cover assembly, secondary battery, and power consumption apparatus
CN117175094A (zh) 二次电池及其盖板组件
KR101233514B1 (ko) 이차 전지
EP3712978B1 (en) Secondary battery
KR20110068454A (ko) 이차전지
CN220474857U (zh) 一种下塑胶件、盖板组件及动力电池
CN220042214U (zh) 单体电池
CN220585462U (zh) 电池、电池装置
CN216288827U (zh) 一种硬壳锂离子电池
KR20070108764A (ko) 리튬 이차전지와 그 제조방법
CN113937436A (zh) 一种电池外壳和电池
KR20070107920A (ko) 리튬 이차전지
KR20100059769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