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7571B1 -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 Google Patents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571B1
KR102307571B1 KR1020157029698A KR20157029698A KR102307571B1 KR 102307571 B1 KR102307571 B1 KR 102307571B1 KR 1020157029698 A KR1020157029698 A KR 1020157029698A KR 20157029698 A KR20157029698 A KR 20157029698A KR 102307571 B1 KR102307571 B1 KR 10230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resin layer
layer
lamin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131A (ko
Inventor
히로후미 기타노
히로아키 이누이
다이키 가타야마
마나부 마츠모토
가즈히코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5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32B17/10587Surface roughness created by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0Interconnection of layers at least one layer having inter-reactive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8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합판유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우수한 탈기성을 가지고, 또한, 다중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하는 합판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은,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오목부의 홈 깊이(Rzg)가 10~40μm이고, 또한,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을, 상기 수지층이 직접 접하는 수지층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박리한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의 상기 직접 접하고 있던 수지층측의 표면을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10점 평균 거칠기(Rz)가 2.7μm 미만인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다.

Description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LAMINATED GLASS INTERLAYER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합판유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우수한 탈기성을 가지고, 또한, 다중상(像)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하는 합판유리에 관한 것이다.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가소화 폴리바이닐뷰티랄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시켜 얻어지는 합판유리는, 자동차, 항공기, 건축물 등의 유리창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단지 1층의 수지층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2층 이상의 수지층의 적층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2층 이상의 수지층으로서,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을 가지고, 또한,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이 다른 성질을 가짐으로써, 1층만으로는 실현이 어려웠던 다양한 성능을 가지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차음층과 그 차음층을 협지하는 2층의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에서는, 가소제와의 친화성이 우수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대량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차음층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차음성을 발휘한다. 한편, 보호층은, 차음층에 포함되는 대량의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여 중간막과 유리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에서는, 합판유리 너머로 외부의 광선을 시인(視認)했을 때에, 상이 다중상으로 보이거나, 광학 왜곡이 인정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다중상이나 광학 왜곡의 발생은, 특히,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차음성이 우수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인 경우에 현저하게 볼 수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31959호
본 발명자들은,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경우의 다중상의 발생의 원인을 검토했다. 그 결과,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에 원인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합판유리의 제조에서는, 통상, 적어도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합판유리용 중간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닙롤을 통하여 압연하거나(압연 탈기법), 또는, 고무 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여(진공 탈기법), 유리판과 중간막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하면서 압착한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를, 예를 들면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가열 가압하여 압착함으로써 합판유리가 제조된다. 합판유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유리와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할 때의 탈기성이 중요하다.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는, 합판유리 제조 시의 탈기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그 요철에 있어서의 오목부를,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이하, “각선(刻線) 형상”이라고도 함.)을 가지고, 인접하는 그 각선 형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탈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은, 통상은 합판유리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압착 시에 찌그러지는 점에서, 얻어진 합판유리에 있어서는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인 경우에는, 합판유리 제조공정을 거쳐 얻어진 합판유리에 있어서, 요철의 영향이 잔존하여, 다중상의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던 것을 발견했다.
즉,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엠보스롤 등을 이용하여 요철을 형성한 경우, 중간막의 표면에만 요철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가공 시의 압력에 의하여 수지층의 층간의 계면에까지 요철이 전사되어, 계면이 평활하지 않게 된다고 생각된다. 특히 표면에 각선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면, 그 각선 형상의 오목부가 층간의 계면에도 강하게 전사된다고 생각된다. 합판유리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압착 시에 중간막 표면의 요철은 찌그러지지만, 층간의 계면에 전사된 요철은 잔존하는 점에서, 그 층간 계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하여 광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다중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차음성이 우수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에서는, 단단한 보호층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했을 때에, 그 보호층과 유연한 차음층의 층간에 요철이 전사되기 쉬운 점에서, 특히 다중상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다중상의 발생은,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으면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요철을 형성하지 않으면, 합판유리의 제조 시에 충분히 탈기할 수 없으며, 유리와 중간막의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여, 합판유리의 외관을 해쳐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합판유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우수한 탈기성을 가지고, 또한, 다중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하는 합판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은,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오목부의 홈 깊이(Rzg)가 10~40μm이고, 또한,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을, 상기 수지층이 직접 접하는 수지층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박리한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의 상기 직접 접하고 있던 수지층측의 표면을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10점 평균 거칠기(Rz)가 2.7μm 미만인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며,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고”란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고,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검토한 결과,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형성하는 요철을 합판유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충분한 탈기성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로 하는 한편,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과 그 수지층이 직접 접하는 수지층의 계면에 전사되는 요철의 거칠기를 일정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더라도, 합판유리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우수한 탈기성과, 다중상의 발생의 방지를 양립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진다. 이로써, 합판유리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탈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일방의 표면에만 가져도 되지만, 현저하게 탈기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양면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형상은, 적어도 홈 형상을 가지면 되고, 예를 들면, 각선 형상, 격자 형상 등의, 일반적으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부여되는 요철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요철 형상은 엠보스롤이 전사된 형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볼록부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부가 평면 형상이어도 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이 아닌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정상부가 평면 형상인 경우에는, 그 정상부의 평면에 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요철의 볼록부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여도 되고, 다른 높이여도 되며, 이러한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의 깊이도, 그 오목부의 바닥변이 연속되어 있으면, 동일한 깊이여도 되고, 다른 깊이여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가지는 요철의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각선 형상)을 가지고,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합판유리용 중간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압착할 때의 탈기의 용이성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의 연통성 및 평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간막의 적어도 일방의 면의 요철 형상을 각선 형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바닥부의 연통성은 보다 뛰어나, 현저하게 탈기성이 향상된다.
다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다”란, 인접하는 상기 각선 형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병렬되어 있어도 되고, 인접하는 상기 각선 형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지만, 모든 인접하는 상기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이 등간격이 아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각선 형상의 오목부가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냈다.
도 3에, 각선 형상의 오목부가 등간격은 아니지만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냈다. 도 3에 있어서, 오목부(1)와 오목부(2)의 간격(A)과, 오목부(1)와 오목부(3)의 간격(B)은 다르다.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은, 오목부의 홈 깊이(Rzg)가 10~40μm이다. 상기 홈 깊이(Rzg)를 1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탈기성을 발휘시킬 수 있고, 40μm 이하로 함으로써, 합판유리를 제조할 때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상기 홈 깊이(Rzg)의 바람직한 하한은 15μm, 바람직한 상한은 35μm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μm,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μm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오목부의 홈 깊이(Rzg)란, JIS B-0601(1994) “표면 거칠기-정의 및 표시”에 규정되는, 기준 길이를 2.5mm로 하고, 거칠기 곡선의 평균선(거칠기 곡선까지의 편차의 2제곱합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한 선)을 기준으로 하는 홈 깊이를 산출하고, 측정한 홈 수의 홈 깊이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상기 홈 수는, 기준 길이를 상기 오목부의 간격으로 나눈 값의 소수점 이하를 절상한 정수를 홈 수로 한다. 홈 수가 5 이상인 경우에는, 기준 길이에 존재하는 오목부의 가장 깊은 순으로 5개소의 홈 깊이를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기준 길이당의 홈 깊이로 한다. 홈 수가 4 이하인 경우에는, 기준 길이에 존재하는 오목부의 가장 깊은 순으로, 홈 개수의 홈 깊이를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기준 길이당의 홈 깊이로 한다. 상기 기준 길이당의 홈 깊이를 적어도 5개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오목부의 홈 깊이(Rzg)로 한다. 또, 상기 홈 깊이(Rzg)는, 예를 들면, 표면 거칠기 측정기(고사카겐큐쇼사(Kosaka Laboratory Ltd.)제, SE1700α) 등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디지털 신호를 데이터 처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엠보스롤법, 캘린더롤법, 이형압출법, 멜트프랙처를 이용한 압출립엠보스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인접하는 그 각선 형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 형상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점에서, 엠보스롤법이 적합하다.
상기 엠보스롤법에서 이용되는 엠보스롤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롤 표면에 산화 알루미늄이나 산화 규소 등의 연삭재를 이용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표면의 과대 피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버티컬 연삭 등을 이용하여 랩핑을 행함으로써, 롤 표면에 엠보스 모양(요철 모양)을 가지는 엠보스롤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조각 밀(마더 밀)을 이용하여, 이 조각 밀의 엠보스 모양(요철 모양)을 금속 롤 표면에 전사함으로써, 롤 표면에 엠보스 모양(요철 모양)을 가지는 엠보스롤을 들 수 있다. 또한, 에칭(식각)에 의하여 롤 표면에 엠보스 모양(요철 모양)을 가지는 엠보스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이하, “표면요철 수지층”이라고도 함.)을, 그 표면요철 수지층이 직접 접하는 수지층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을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10점 평균 거칠기(Rz)가 2.7μm 미만이다.
상기 서술과 같이, 다중상의 발생 등의 원인은 수지층간의 계면에 전사된 요철에 있지만, 수지층간의 계면의 요철을 직접 관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수지층간의 계면의 요철을 직접 관찰하는 대신에, 직접 접하는 수지층을 박리하고, 박리 후의 수지층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측정함으로써, 수지층간의 계면에 전사된 요철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이 요철의 거칠기를 일정 미만으로 함으로써, 전사된 요철에 기인하는 다중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21)을 가지는 수지층(20)과 수지층(10)이 적층된 2층 구조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2층 구조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수지층(10)으로부터 수지층(20)을 박리한 후에, 박리한 수지층(20)의 수지층(10)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22)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측정한다.
도 5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21)을 가지는 수지층(20)과 수지층(10)과 수지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된 3층 구조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3층 구조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수지층(10)으로부터 수지층(20)을 박리한 후에, 박리한 수지층(20)의 수지층(10)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22)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측정한다.
상기 직접 접하는 수지층의 박리는, 온도 25℃,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속도 10~15cm/s의 조건으로 행한다. 온도, 습도 및 박리 속도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측정값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박리는, 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기계를 이용하여 행해도 되고, 손가락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행해도 된다.
상기 직접 접하는 수지층의 박리를 행한 직후에 10점 평균 거칠기를 측정하면, 측정값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10점 평균 거칠기의 측정은, 온도 25℃, 습도 30%의 환경하에 2시간 정치한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정한 조건하에서 상기 표면요철 수지층을 박리하고, 정치한 후에,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측정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10점 평균 거칠기란, JIS B 0601(1994) “표면 거칠기-정의 및 표시”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또,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는, 예를 들면, 고정밀도 형상 측정 시스템(키엔스사(Keyence Corporation)제 “KS-1100”, 선단 헤드 모델명 “LT-9510VM”)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는, 2.7μm 미만이다. 10점 평균 거칠기를 2.7μm 미만으로 함으로써, 다중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0점 평균 거칠기는, 2.3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9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7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 이하인 것에 의하여, 다중상의 발생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 또, 10점 평균 거칠기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01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2.7μm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1) 표면요철 수지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2) 표면에 가지는 홈 깊이(Rzg)를 얕게 하며, (3) 표면에 가지는 인접하는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이하, “오목부의 간격”이라고도 함.)을 좁게 함으로써, 오목부 형성 시의 압력을 분산하고, (4)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때의 프레스압 또는 프레스선압을 낮게 하는 것 등을 조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표면요철 수지층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엠보스롤 등을 이용하여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때에, 직접 접하는 수지층으로의 압력이 경감하여, 계면으로의 요철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2.7μm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면요철 수지층의 두께도, 다층 구조로 하는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2.7μm 미만으로 하기 위한 상기 표면요철 수지층의 두께는, 상기 표면요철 수지층이나 이것에 직접 접하는 수지층의 재질 등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100~500μm가 바람직하고, 300~50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차음 중간막에 있어서 보호층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보호층의 두께를 100μ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의 두께를 10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계면으로의 요철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300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0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50μ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충분한 차음성을 달성할 수 있을 정도로 차음층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는 500μm가 상한이다.
상기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는, 홈 깊이(Rzg)를 얕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과 같이 압착 시에 우수한 탈기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홈 깊이(Rzg)를 10μm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지만, 이를 충족시키는 범위에 있어서 가능한 한 상기 홈 깊이를 얕게 함으로써, 수지층간의 계면으로의 요철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는,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을 좁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2.7μm 미만으로 하기 위한 상기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은, 상기 표면요철 수지층이나 이것에 직접 접하는 수지층의 재질 등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500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차음 중간막에 있어서 보호층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을 500μ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을 500μm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층간의 계면으로의 요철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은, 40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50μ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판유리 제조 시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는 10μm가 하한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간격이란, 인접하는 각선 형상의 오목부에 있어서 그 2개의 오목부의 밑바닥부간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오목부의 간격은, 광학 현미경(예를 들면, SONIC사(SONIC Corporation)제, BS-8000III)을 이용하여,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관찰 범위 20mm×20mm)을 관찰하고, 관찰된 인접하는 오목부의 밑바닥부간의 최단 거리를 모두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된 최단 거리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오목부의 간격이 얻어진다. 또, 측정된 최단 거리의 최댓값을 오목부의 간격으로 해도 된다. 오목부의 간격은 최단 거리의 평균값이어도 되고, 최단 거리의 최댓값이어도 되지만, 최단 거리의 평균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한 표면요철 수지층의 수지층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는,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때의 프레스압 또는 프레스선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엠보스롤을 이용하여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 전사 조건으로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 롤 온도, 선속(線束), 프레스압 또는 프레스선압을 조정한다. 이 때의 프레스압 또는 프레스선압 등의 전사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수지층간의 계면으로의 요철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다. 예를 들면, 2층 이상의 수지층으로서,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을 가지고, 또한,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이 다른 성질을 가짐으로써, 1층만으로는 실현이 어려웠던 다양한 성능을 가지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다중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 3불화 에틸렌,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에스터, 폴리에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 바이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바이닐아세탈,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바이닐아세탈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과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가소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염기성 유기산 에스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터 등의 유기 가소제나, 유기 인산 화합물, 유기 아인산 화합물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가소제로서, 예를 들면,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다이-n-헵타노에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n-헵타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층은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또는,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n-헵타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은,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합판유리를 제조할 때에, 유리와 접촉하는 수지층은, 상기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로서, 예를 들면,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염을 구성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틸산, 헥실산, 2-에틸뷰티르산, 뷰티르산, 아세트산, 폼산 등의 카복실산의 유기산, 또는, 염산, 질산 등의 무기산을 들 수 있다. 합판유리를 제조할 때에, 유리와 수지층의 접착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와 접촉하는 수지층은, 접착력 조정제로서, 마그네슘 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접착력 조정제로서 변성 실리콘 오일, 난연제, 대전 방지제, 내습제, 열선반사제, 열선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에서는, 2층 이상의 수지층으로서, 적어도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을 가지고, 상기 제1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바이닐아세탈(이하, 폴리바이닐아세탈 A라고 함.)의 수산기량이, 상기 제2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바이닐아세탈(이하, 폴리바이닐아세탈 B라고 함.)의 수산기량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아세탈 A와 폴리바이닐아세탈 B의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1층만으로는 실현이 어려웠던 다양한 성능을 가지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층의 상기 제2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제1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A의 수산기량이 폴리바이닐아세탈 B의 수산기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제2 수지층과 비교하여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2 수지층보다 유연해져,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차음성이 높아진다. 또, 2층의 상기 제2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제1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A의 수산기량이 폴리바이닐아세탈 B의 수산기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제2 수지층과 비교하여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2 수지층보다 단단해져,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바이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A라고 함.)이, 상기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바이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B라고 함.)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층의 상기 제2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제1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함유량 A가 상기 함유량 B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제2 수지층과 비교하여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2 수지층보다 유연해져,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차음성이 높아진다. 또, 2층의 상기 제2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제1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함유량 A가 상기 함유량 B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제2 수지층과 비교하여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2 수지층보다 단단해져,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구성하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합판유리의 차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지층으로서 차음층과, 상기 제2 수지층으로서 보호층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상기 차음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X와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Y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층의 상기 보호층 사이에, 상기 차음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우수한 차음성을 가지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이하, 차음 중간막이라고도 함.)을 얻을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차음층과 상기 보호층과 같이, 성질이 다른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다중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차음 중간막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차음 중간막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은 차음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가진다. 상기 차음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X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는, 폴리바이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에 의하여 아세탈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은, 통상, 폴리아세트산 바이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00, 바람직한 상한은 5000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를 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차음 중간막의 내관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5000 이하로 함으로써, 차음층의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00이다.
다만,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바이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구해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하기 위한 알데하이드의 탄소수의 바람직한 하한은 4, 바람직한 상한은 6이다. 알데하이드의 탄소수를 4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가소제를 안정적으로 함유시킬 수 있어, 우수한 차음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 알데하이드의 탄소수를 6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합성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가 4~6인 알데하이드로서는, 직쇄상의 알데하이드여도 되고, 분기상의 알데하이드여도 되며, 예를 들면, n-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수산기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30몰%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수산기량을 30몰% 이하로 함으로써, 차음성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어,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수산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8몰%, 더 바람직한 상한은 26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4몰%, 바람직한 하한은 10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몰%, 더 바람직한 하한은 20몰%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수산기량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몰%)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바이닐뷰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아세탈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60몰%, 바람직한 상한은 85몰%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아세탈기량을 60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음층의 소수성을 높게 하여, 차음성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어,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이나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아세탈기량을 85몰%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합성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아세탈기량의 하한은 65몰%가 보다 바람직하며, 68몰%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탈기량은, JIS K6728 “폴리바이닐뷰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아세틸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1몰%, 바람직한 상한은 30몰%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아세틸기량을 0.1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음성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어, 블리드 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아세틸기량을 30몰% 이하로 함으로써, 차음층의 소수성을 높게 하여,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세틸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몰%, 더 바람직한 하한은 5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8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몰%, 더 바람직한 상한은 20몰%이다. 상기 아세틸기량은,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몰%)로 나타낸 값이다.
특히, 상기 차음층에 차음성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용이하게 함유시킬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는, 상기 아세틸기량이 8몰% 이상인 폴리바이닐아세탈, 또는, 상기 아세틸기량이 8몰% 미만, 또한, 아세탈기량이 65몰% 이상인 폴리바이닐아세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는, 상기 아세틸기량이 8몰% 이상인 폴리바이닐아세탈, 또는, 상기 아세틸기량이 8몰% 미만, 또한, 아세탈기량이 68몰% 이상인 폴리바이닐아세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X 100질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45질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80질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을 45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높은 차음성을 발휘할 수 있고, 80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여,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나 접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질량부, 더 바람직한 하한은 55질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5질량부, 더 바람직한 상한은 70질량부이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50μm이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를 5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차음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0μm이다. 다만,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의 두께를 고려하면, 바람직한 상한은 300μm이다.
상기 보호층은, 차음층에 포함되는 대량의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여, 합판유리용 중간막과 유리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내관통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가진다.
상기 보호층은, 예를 들면, 폴리바이닐아세탈 Y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바이닐아세탈 X보다 수산기량이 많은 폴리바이닐아세탈 Y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Y는, 폴리바이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에 의하여 아세탈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은, 통상, 폴리아세트산 바이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00, 바람직한 상한은 5000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를 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5000 이하로 함으로써, 보호층의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00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하기 위한 알데하이드의 탄소수의 바람직한 하한은 3, 바람직한 상한은 4이다. 알데하이드의 탄소수를 3 이상으로 함으로써,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알데하이드의 탄소수를 4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Y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탄소수가 3~4인 알데하이드로서는, 직쇄상의 알데하이드여도 되고, 분기상의 알데하이드여도 되며, 예를 들면, n-뷰틸알데하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Y의 수산기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33몰%, 바람직한 하한은 28몰%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Y의 수산기량을 33몰% 이하로 함으로써,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Y의 수산기량을 28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Y는, 아세탈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이 60몰%, 바람직한 상한이 80몰%이다. 상기 아세탈기량을 60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내관통성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아세탈기량을 80몰%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보호층과 유리의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아세탈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5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9몰%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Y의 아세틸기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7몰%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Y의 아세틸기량을 7몰% 이하로 함으로써, 보호층의 소수성을 높게 하여,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세틸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몰%이고, 바람직한 하한은 0.1몰%이다.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A, B, 및, Y의 수산기량, 아세탈기량, 및, 아세틸기량은, 폴리바이닐아세탈 X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Y 100질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20질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45질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을 20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관통성을 확보할 수 있고, 45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하여,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나 접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질량부, 더 바람직한 하한은 35질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3질량부, 더 바람직한 상한은 41질량부이다.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더 향상되는 점에서,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더 향상되는 점에서, 폴리바이닐아세탈 Y의 수산기량은 폴리바이닐아세탈 X의 수산기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1몰% 이상 많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몰% 이상 많은 것이 더 바람직하고, 8몰% 이상 많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아세탈 X 및 폴리바이닐아세탈 Y의 수산기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차음층 및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을 제어할 수 있어, 상기 차음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더 향상된다.
또,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더 향상되는 점에서, 상기 차음층에 있어서의 폴리바이닐아세탈 X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X라고도 함.)은,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폴리바이닐아세탈 Y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Y라고도 함.)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상 많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질량부 이상 많은 것이 더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상 많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함유량 X 및 함유량 Y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차음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더 향상된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보호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범위로 조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상기 보호층 상에 요철을 가지는 경우에는, 직접 접하는 상기 차음층과의 계면으로의 요철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가능한 범위에서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100μm,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0μm, 더 바람직한 하한은 400μm,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450μm이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충분한 차음성을 달성할 수 있을 정도로 차음층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는 500μm 정도가 상한이다.
상기 차음 중간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차음층과 보호층을, 압출법, 캘린더법, 프레스법 등의 통상의 제막법에 의하여 시트 형상으로 제막한 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차음층이 2층의 보호층 사이에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차음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45~80질량부 함유하고, 상기 보호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20~45질량부 함유하며, 상기 보호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의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은,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오목부의 홈 깊이(Rzg)가 10~40μm이고, 또한,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보호층을 차음층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박리한 보호층의 차음층측 표면을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10점 평균 거칠기가 2.7μm 미만인 합판유리용 중간막도 또, 본 발명의 하나이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보호층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란 “적어도 일방의 보호층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며,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고”란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고,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이, 한 쌍의 유리판의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합판유리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유리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판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로트 판유리, 마판유리, 형판유리, 철망유리, 선입(線入)유리, 착색된 판유리, 열선흡수유리, 열선반사유리, 그린유리 등의 무기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유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 코팅층을 가지는 자외선 차폐유리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플라스틱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판으로서, 2종류 이상의 유리판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투명플로트 판유리와, 그린유리와 같은 착색된 유리판의 사이에,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한 합판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유리판으로서, 2종 이상의 두께가 다른 유리판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유리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합판유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우수한 탈기성을 가지고, 또한, 다중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하는 합판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표면에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등간격, 또한, 인접하는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표면에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등간격, 또한, 인접하는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표면에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등간격은 아니지만, 인접하는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2층 구조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 10점 평균 거칠기(Rz)를 측정하는 표면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3층 구조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 10점 평균 거칠기(Rz)를 측정하는 표면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1) 차음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평균 중합도가 2400인 폴리바이닐알코올을 n-뷰틸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바이닐뷰티랄(아세틸기량 12몰%, 뷰티랄기량 66몰%, 수산기량 22몰%)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3GO) 60질량부를 첨가하고, 믹싱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차음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2)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평균 중합도가 1700인 폴리바이닐알코올을 n-뷰틸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바이닐뷰티랄(아세틸기량 1몰%, 뷰티랄기량 69몰%, 수산기량 30몰%)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질량부를 첨가하고, 믹싱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3)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제작
얻어진 차음층용 수지 조성물과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이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450μm의 A층(보호층), 차음층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100μm의 B층(차음층) 및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450μm의 C층(보호층)이 이 순으로 적층된 3층 구조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차음 중간막)을 얻었다.
(4) 요철의 부여
제1 공정으로서, 하기의 순서에 따라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양면에 랜덤의 요철 형상을 전사했다. 먼저, 철 롤 표면에, 블라스트제를 이용하여 랜덤의 요철을 형성한 후, 그 철 롤을 버티컬 연삭하고, 또한, 보다 미세한 블라스트제를 이용하여 연삭 후의 평탄부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조대한 메인엠보스와 미세한 서브엠보스를 가지는 같은 형상의 한 쌍의 롤을 얻었다. 그 한 쌍의 롤을 요철 형상 전사장치로서 이용하여, 얻어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양면에 랜덤의 요철 형상을 전사했다. 이 때의 전사 조건으로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80℃, 상기 롤의 온도를 145℃, 선속을 10m/min, 프레스선압을 10~200kN/m로 했다. 부형 후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 거칠기는 JIS B 0601(1994)의 10점 평균 거칠기(Rz)로 측정한 결과, 16μm였다. 측정은 표면 거칠기 측정기(고사카겐큐쇼사제, SE1700α)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디지털 신호를 데이터 처리함으로써 얻었다. 측정방향은 각선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고, 컷오프값=2.5mm, 기준 길이=2.5mm, 평가 길이=12.5mm, 촉침의 선단 반경=2μm, 선단 각도=60°, 측정 속도=0.5mm/s의 조건으로 측정을 행했다.
제2 공정으로서, 하기의 순서에 따라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각선 형상)의 요철을 부여했다. 삼각형 사선형 밀을 이용하여 표면에 밀 가공을 실시한 금속 롤과 45~75의 JIS 경도를 가지는 고무롤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롤을 요철 형상 전사장치로서 이용하여, 제1 공정에서 랜덤의 요철 형상을 전사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 요철 형상 전사장치에 통과시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A층의 표면에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각선 형상)인 오목부가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병렬된 요철을 부여했다. 이 때의 전사 조건으로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min,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500kPa로 했다.
이어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C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다른 금속 롤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각선 형상)의 오목부를 부여했다. 그 때, A층의 표면에 부여한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각선 형상)의 오목부와, C층의 표면에 부여한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각선 형상)의 오목부의 교차 각도가 10°가 되도록 했다.
(5) A층 및 C층 표면의 요철의 측정
광학 현미경(SONIC제, BS-8000III)을 이용하여, 얻어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A층 및 C층의 표면(관찰 범위 20mm×20mm)을 관찰하고, 인접하는 오목부의 간격을 측정한 후에, 인접하는 오목부의 밑바닥부간의 최단 거리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오목부의 간격을 얻었다. A층의 표면의 오목부의 간격은 500μm, C층의 표면의 오목부의 간격은 750μm였다. 다만, 상기 최단 거리의 평균값 및 최댓값은 모두 동일했다.
또, 얻어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A층 및 C층의 표면의 오목부의 홈 깊이(Rzg)는, JIS B-0601(1994) “표면 거칠기-정의 및 표시”에 규정되는, 기준 길이를 2.5mm로 하고, 거칠기 곡선의 평균선(거칠기 곡선까지의 편차의 2제곱합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한 선)을 기준으로 하는 홈 깊이를 산출하고, 측정한 홈 수의 홈 깊이의 평균값을 기준 길이당의 홈 깊이로 하여, 기준 길이당의 홈 깊이의 5개소의 평균값으로 했다. 상기 A층의 홈 수는 5, 상기 C층의 홈 수는 4였다. 또, A층 및 C층의 표면의 상기 오목부의 홈 깊이(Rzg)는, 표면 거칠기 측정기(고사카겐큐쇼사제, SE1700α)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디지털 신호를 데이터 처리함으로써 얻었다. 측정방향은 각선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고, 촉침의 선단 반경=2μm, 선단 각도=60°, 측정 속도=0.5mm/s의 조건으로 측정을 행했다.
A층의 표면의 오목부의 홈 깊이(Rzg)는 21μm, C층의 표면의 오목부의 홈 깊이(Rzg)는 19μm였다.
또한, 얻어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A층 및 C층의 표면을, 표면 거칠기 측정기(고사카겐큐쇼사제, SE1700α)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10점 평균 거칠기(Rz)를 얻었다. A층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는 51μm, C층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는 50μm였다.
(6) 계면의 요철의 측정
얻어진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세로 5cm×가로 5cm로 잘라, 온도 25℃, 습도 30%의 환경하에 2시간 정치했다.
A층과 B층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10~15cm/s의 속도로 박리했다. 박리 후, 온도 25℃, 습도 30%의 환경하에 2시간 더 정치했다. 그 후, 박리한 A층의 B층측의 표면을,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고정밀도 형상 측정 시스템(키엔스사제, “KS-1100”선단 헤드 모델명 “LT-9510VM”)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10점 평균 거칠기(Rz)를 얻었다. 박리한 A층의 B층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는 1.7μm였다. 측정 조건은, 스테이지 이동 속도는 100.0μm/s, X축의 측정 피치를 2.0μm, Y축의 측정 피치를 2.0μm로 설정한다.
B층과 C층의 사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박리하고, 박리한 C층의 B층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얻었다. 박리한 C층의 B층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는 1.9μm였다.
(실시예 2~5, 비교예 1)
각 층의 두께와, A층 및 C층 표면의 오목부의 간격, 오목부의 홈 깊이(Rzg), 10점 평균 거칠기(Rz)와, 박리한 A층의 B층측의 표면 및 박리한 C층의 B층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작했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200kPa로 했다.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400kPa로 했다.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500kPa로 했다.
실시예 5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500kPa로 했다.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200kPa로 했다.
또한, 실시예 2~5 및 비교예 1의 오목부의 간격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최단 거리의 평균값 및 최댓값은 모두 동일했다.
(실시예 6, 7, 비교예 2)
각 층의 두께와, A층 및 C층 표면의 오목부의 간격, 오목부의 홈 깊이(Rzg), 10점 평균 거칠기(Rz)와, 박리한 A층의 B층측의 표면 및 박리한 C층의 B층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고,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작했다.
실시예 6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700kPa로 했다.
실시예 7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200kPa로 했다.
비교예 2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100kPa로 했다.
또한, 실시예 6, 7 및 비교예 2의 오목부의 간격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최단 거리의 평균값 및 최댓값은 모두 동일했다.
(비교예 3, 4)
산화 알루미늄(#36: 포화 조건에서 65μm 거칠기가 되는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재를 토출 압력 50×104Pa로 토출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한 2개 한 쌍의 롤을, 유자껍질 형상(오렌지필 형상)의 엠보스 전사장치로서 이용했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 유자껍질 형상(오렌지필 형상)의 엠보스 전사장치에 통과시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A층 및 C층의 표면에 유자껍질 형상(오렌지필 형상)의 엠보스를 형성했다.
이 때의 전사 조건으로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500kPa로 했다.
또한, 비교예 3 및 4에서 얻어진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대해서는, 홈 깊이(Rzg)를 측정할 수 없었다.
(실시예 8~10)
각 층의 두께와, A층 및 C층 표면의 오목부의 간격, 오목부의 홈 깊이(Rzg), 10점 평균 거칠기(Rz)와, 박리한 A층의 B층측의 표면 및 박리한 C층의 B층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작했다.
실시예 8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200kPa로 했다.
실시예 9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500kPa로 했다.
실시예 10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압을 500kPa로 했다.
또한, 실시예 8~10의 오목부의 간격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최단 거리의 평균값 및 최댓값은 모두 동일했다.
(실시예 11~14)
보호층 및 차음층에 이용되는 폴리바이닐뷰티랄의 아세틸기량, 뷰티랄기량 및 수산기량과, 가소제의 함유량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각 층의 두께와, A층 및 C층 표면의 오목부의 간격, 오목부의 홈 깊이(Rzg), 10점 평균 거칠기(Rz)와, 박리한 A층의 B층측의 표면 및 박리한 C층의 B층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고,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작했다. 또한, 보호층 및 차음층에 이용되는 폴리바이닐뷰티랄은, 평균 중합도가 1700인 폴리바이닐알코올을 n-뷰틸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었다.
실시예 11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선압을 200kPa로 했다.
실시예 12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선압을 500kPa로 했다.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선압을 500kPa로 했다.
실시예 14에 있어서는, 요철의 부여 시의 전사 조건을,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상온, 롤 온도를 130℃, 선속을 10m/분, 막폭을 1.5m, 프레스선압을 550kPa로 했다.
또한, 실시예 11~14의 오목부의 간격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최단 거리의 평균값 및 최댓값은 모두 동일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다만, 표 중의 Bu화도는 뷰티랄기량을, OH화도는 수산기량을, Ac화도는 아세틸기량을, 가소제 부수는 폴리바이닐뷰티랄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을, 각각 나타낸다.
(1) 탈기성의 평가
얻어진 표면에 요철을 가지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압 탈기법으로 예비 압착을 행하고, 이어서 본 압착을 행하여, 합판유리를 제작했다.
(감압 탈기법)
중간막을 2매의 클리어 유리판(세로 30cm×가로 30cm×두께 2.5mm)의 사이에 끼워, 삐져 나온 부분을 잘라내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합판유리 구성체(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옮겨, 고무 백을 흡인 감압기에 접속하고, 가열함과 동시에 -60kPa(절대 압력 16kPa)의 감압하에서 10분간 유지하며, 합판유리 구성체(적층체)의 온도(예비 압착 온도)가 70℃가 되도록 가열한 후, 대기압으로 되돌려 예비 압착을 종료했다. 다만, 상기 예비 압착 시의 탈기 개시 온도는 40℃, 50℃ 및 60℃의 3조건에서 행했다.
(본 압착)
상기 방법으로 예비 압착된 합판유리 구성체(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안에 넣어, 온도 140℃, 압력 1300kPa의 조건하에서 10분간 유지한 후, 50℃까지 온도를 낮춰 대기압으로 되돌림으로써 본 압착을 종료하여, 합판유리를 제작했다.
(합판유리의 베이크 테스트)
얻어진 합판유리를 140℃의 오븐 안에서 2시간 가열했다. 이어서, 오븐으로부터 꺼내 3시간 방랭한 후, 합판유리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각 20매에 대하여 유리판과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사이에 발포(기포)가 발생한 매수를 조사하여, 모든 조건하에 있어서 발포 매수가 5매 이하였던 경우를 “○”로, 발포 매수가 6매 이상이었을 경우를 “×”로 평가했다.
(2) 광학 왜곡의 평가
관측자로부터 7m 떨어진 지점에 형광등(파나소닉사(Panasonic Corporation)제 FL32S. D)을 두고, 형광등과 관측자를 이은 직선 상의 관측자로부터 40cm 떨어진 지점에, 얻어진 합판유리를 수평면에 대하여 20°가 되도록, 기울여 설치했다. 합판유리를 통하여, 형광등이 왜곡되어 보인 경우를 ×, 왜곡되어 보이지 않는 경우를 ○로 했다.
(3) 다중상의 발생의 평가
휘도가 다른 2종류의 광원 1 및 광원 2를 이용하여, 다중상의 발생의 유무를 평가했다. 여기에서 광원 1은, 10W 실리카 전구(교코 덴키사(Kyokko Ins)제, PS55 E26 110V-10W, 전체 광속 70lm)이며, 자동차, 항공기, 건축물 등의 유리창에 입사할 수 있는 일반적인 휘도의 광원을 상정한 것이다. 또, 광원 2는, 40W 실리카 전구(아사히 덴키사(Asahi Electric Co.,Ltd.)제, LW100V38W-W, 전체 광속 440lm)이며, 자동차, 항공기, 건축물 등의 유리창에 입사할 수 있는 광 중에서도 특히 고휘도의 광원을 상정한 것이다. JIS R 3212(2008)에 준거하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합판유리의 다중상의 발생의 유무를 평가했다. 그 결과, 광원 1, 광원 2 중 어느 것을 이용했을 때에도, 단일상이 관찰되거나, 또는, 15분 이내의 2중상이 발생한 경우를 “○○”로, 광원 2를 이용했을 때에는 다중상이 발생하지만, 광원 1을 이용했을 때에는, 단일상이 관찰되거나, 또는, 15분 이내의 2중상이 발생한 경우를 “○”로, 광원 1, 광원 2 중 어느 것을 이용했을 때에도, 3중상이 발생한 경우를 “×”로 평가했다.
다만, 실제로 차에 장착하는 각도는 30°로 설정하여 측정을 행했다. 또, A층의 표면에 부여한 각선 형상의 오목부와 수평방향이 이루는 각을 5°가 되도록 배치하고, C층의 표면에 부여한 각선 형상의 오목부와 수평방향이 이루는 각을 -5°가 되도록 배치했다.
또, 15분 이내의 2중상이란 중간막에 기인하는 상이 아닌, 유리에 기인하는 상이었다.
[표 1]
Figure 112015099675792-pct00001
[표 2]
Figure 112015099675792-pct00002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합판유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우수한 탈기성을 가지고, 또한, 다중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하는 합판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1 임의로 선택한 하나의 오목부
2 임의로 선택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하는 오목부
3 임의로 선택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하는 오목부
A 오목부(1)와 오목부(2)의 간격
B 오목부(1)와 오목부(3)의 간격
10 수지층
20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
21 수지층(20)의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
22 수지층(20)의 수지층(10)과 접하고 있던 측의 표면
30 수지층

Claims (8)

  1.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은,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오목부의 홈 깊이(Rzg)가 10~40μm이고, 또한,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을, 상기 수지층이 직접 접하는 수지층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박리한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수지층의 상기 직접 접하고 있던 수지층측의 표면을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10점 평균 거칠기(Rz)가 2.7μ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오목부가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병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과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을 가지고, 상기 제1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바이닐아세탈의 수산기량이, 상기 제2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바이닐아세탈의 수산기량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5.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바이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바이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6. 차음층이 2층의 보호층 사이에 적층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차음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45~80질량부 함유하고, 상기 보호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20~45질량부 함유하며,
    상기 보호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의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은,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오목부의 홈 깊이(Rzg)가 10~40μm이고, 또한,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는 보호층을 차음층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박리한 보호층의 차음층측 표면을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10점 평균 거칠기(Rz)가 2.7μ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판유리용 중간막이, 한 쌍의 유리판의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유리.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Rz)가 2.3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KR1020157029698A 2013-08-01 2014-08-01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Active KR102307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0502 2013-08-01
JPJP-P-2013-160502 2013-08-01
PCT/JP2014/070398 WO2015016361A1 (ja) 2013-08-01 2014-08-01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131A KR20160037131A (ko) 2016-04-05
KR102307571B1 true KR102307571B1 (ko) 2021-09-30

Family

ID=5243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698A Active KR102307571B1 (ko) 2013-08-01 2014-08-01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70254B2 (ko)
EP (1) EP3029001A4 (ko)
JP (2) JP6564570B2 (ko)
KR (1) KR102307571B1 (ko)
CN (3) CN113910691A (ko)
AU (1) AU2014297192B2 (ko)
BR (1) BR112016002064B8 (ko)
CA (1) CA2916667A1 (ko)
MX (1) MX384737B (ko)
RU (1) RU2661949C2 (ko)
WO (1) WO2015016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7884B1 (en) * 2014-03-31 2023-08-02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RU2687661C2 (ru) 2014-04-09 2019-05-15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рулонное изделие,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KR102363884B1 (ko) * 2014-05-30 2022-02-1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필름 및 권회체
EP3202729B1 (en) 2014-09-30 2024-06-12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997396B2 (ja) 2014-09-30 2016-09-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
BR112017020937B8 (pt) 2015-04-08 2023-10-1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camada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US10850476B2 (en) 2015-04-10 2020-12-01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production method for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RU2017135253A (ru) * 2015-04-10 2019-04-09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ый слой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равированного валика для тиснен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слоя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US20170015082A1 (en) 2015-07-16 2017-01-19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having enhanced surface roughness
EP3330238B1 (en) * 2015-07-31 2021-02-2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method for producing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102616635B1 (ko) * 2015-09-11 2023-12-2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17057334A1 (ja) * 2015-09-28 2017-04-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150373A1 (en) * 2015-09-30 2017-04-05 AGC Glass Europe Vehicle glazing
JP2017178676A (ja) * 2016-03-30 2017-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
TWI714751B (zh) * 2016-03-31 2021-01-01 日商積水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TWI714752B (zh) * 2016-03-31 2021-01-01 日商積水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US11117351B2 (en) * 2016-08-03 2021-09-1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colored laminated glass, and colored laminated glass
EP3546539B1 (en) 2016-11-22 2024-02-07 Zeon Corporation Roll-shaped body
JPWO2018097146A1 (ja) 2016-11-24 2019-10-1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接着剤シート及び合わせガラス
JP7242301B2 (ja) * 2017-03-31 2023-03-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US20180326696A1 (en) 2017-05-10 2018-11-15 Kuraray Europe Gmbh Interlayer film with shade band
CN109641423B (zh) 2017-05-24 2022-06-24 法国圣戈班玻璃厂 复合玻璃板和制造该复合玻璃板的方法
KR102231719B1 (ko) * 2019-11-13 2021-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WO2021108069A1 (en) * 2019-11-25 2021-06-03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having surface fea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390A (ja) 1998-06-18 2000-01-11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4143008A (ja) 2002-10-25 2004-05-2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US20060188695A1 (en) * 2005-02-22 2006-08-24 Solutia, Inc. Low distortion interlayer
US20060210782A1 (en) * 2005-03-17 2006-09-21 Solutia, Inc. Sound reducing polymer interlayers
JP2011088783A (ja) 2009-10-22 2011-05-0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967B2 (ja) * 1991-10-16 2000-06-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遮音性中間膜
US5455103A (en) * 1994-01-24 1995-10-03 Monsanto Company Rough-surfaced interlayer
JP3895798B2 (ja) * 1996-03-07 2007-03-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H1045438A (ja) * 1996-07-30 1998-02-1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H10231150A (ja) 1997-02-24 1998-09-02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H1135348A (ja) * 1997-07-22 1999-02-09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
JP2000203900A (ja) 1999-01-14 2000-07-25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US6093471A (en) * 1999-02-08 2000-07-25 Solutia Inc. Polyvinyl butyral sheet
KR100680578B1 (ko) 1999-07-01 2007-02-0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라미네이트된 글래스용 중간막 및 라미네이트된 글래스
TW524784B (en) 1999-07-01 2003-03-21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DE19951444A1 (de) * 1999-10-25 2001-04-26 Huels Troisdorf Verfahren und Folie zur Herstellung von Verbundsicherheitsscheiben
JP2003286049A (ja) 2002-03-28 2003-10-0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01300133A (zh) 2005-09-01 2008-11-05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部分由塑料板构成的夹层玻璃的制造方法及夹层玻璃
JP4951515B2 (ja) 2005-09-01 2012-06-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一部がプラスチック板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合わせガラス
US7678441B2 (en) * 2005-12-02 2010-03-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yers for laminated safety glass with superior de-airing and laminating properti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4465333B2 (ja) 2006-06-12 2010-05-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1876016A1 (de) * 2006-07-07 2008-01-09 Kuraray Europe GmbH Geprägte Kunststofffolien für Verbundverglasungen
US20080268204A1 (en) 2007-04-29 2008-10-30 David Paul Bourcier Multiple layer polymer interlayers having an embossed surface
JP4513921B2 (ja) * 2008-12-09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ブラインド、ロールカーテン、ならびに障子
US8734937B2 (en) * 2009-12-28 2014-05-27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745776B2 (ja) * 2010-03-15 2015-07-0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建具
WO2012043818A1 (ja) * 2010-09-30 2012-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0744744B2 (en) 2012-08-02 2020-08-1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390A (ja) 1998-06-18 2000-01-11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4143008A (ja) 2002-10-25 2004-05-2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US20060188695A1 (en) * 2005-02-22 2006-08-24 Solutia, Inc. Low distortion interlayer
US20060210782A1 (en) * 2005-03-17 2006-09-21 Solutia, Inc. Sound reducing polymer interlayers
JP2011088783A (ja) 2009-10-22 2011-05-0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02064B1 (pt) 2022-01-04
EP3029001A4 (en) 2017-01-04
US10870254B2 (en) 2020-12-22
CN113858713A (zh) 2021-12-31
RU2015153546A (ru) 2017-09-04
JP6856713B2 (ja) 2021-04-07
US20160151995A1 (en) 2016-06-02
JPWO2015016361A1 (ja) 2017-03-02
CN113910691A (zh) 2022-01-11
MX2016001189A (es) 2016-06-02
MX384737B (es) 2025-03-14
AU2014297192A1 (en) 2016-02-18
BR112016002064A2 (pt) 2017-08-01
JP6564570B2 (ja) 2019-08-21
BR112016002064B8 (pt) 2022-05-24
CA2916667A1 (en) 2015-02-05
AU2014297192B2 (en) 2018-02-22
RU2661949C2 (ru) 2018-07-23
CN105473527A (zh) 2016-04-06
CN113858713B (zh) 2023-10-13
JP2020007220A (ja) 2020-01-16
KR20160037131A (ko) 2016-04-05
RU2015153546A3 (ko) 2018-05-17
WO2015016361A1 (ja) 2015-02-05
EP3029001A1 (en)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571B1 (ko)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JP6370451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568356B2 (ja) 車両用フロントガラスの製造方法
JP6522943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52294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