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3936B1 -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936B1
KR102243936B1 KR1020140083795A KR20140083795A KR102243936B1 KR 102243936 B1 KR102243936 B1 KR 102243936B1 KR 1020140083795 A KR1020140083795 A KR 1020140083795A KR 20140083795 A KR20140083795 A KR 20140083795A KR 102243936 B1 KR102243936 B1 KR 10224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incident
reflective surface
refle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794A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936B1/ko
Priority to US14/750,285 priority patent/US9920897B2/en
Priority to DE102015211969.6A priority patent/DE102015211969A1/de
Priority to CN201520476442.3U priority patent/CN204879823U/zh
Publication of KR2016000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9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는,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의 일측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입사면의 타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베이스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직접 조사된 직사광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상기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 및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반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상기 직사광 및 상기 반사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시키는 출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Lens and lamp using the sma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로 조명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그 기동성과 유용성이 향상됨으로써 현대사회에서 필수적인 제품이 되었으며,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라이트(Position Light)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각 램프에 대한 법규를 만족하기 위해, 차량용 램프는 빛을 제공하는 광원,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렌즈를 향해 굴절 및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차량의 외부로 굴절시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광원과 리플렉터 사이의 간격, 리플렉터와 렌즈 사이의 간격 등으로 인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는 최종적으로 렌즈를 통과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의 빛에 대한 이용 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는,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의 일측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입사면의 타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베이스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직접 조사된 직사광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상기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 및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반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상기 직사광 및 상기 반사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시키는 출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이며, 상기 렌즈는,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의 일측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입사면의 타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베이스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 및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햐도록 상기 제2 반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출사시키는 출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는 별도의 리플렉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광원에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대부분을 출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는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는 쉐이드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 외부로 조사되는 빔을 일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비해 별도의 리플렉터 부재 및 쉐이드 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컴팩트한 구조의 차량용 램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 및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에 의해 조사된 로우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1)는 베이스면(21), 입사면(11), 제1 반사면(12), 제2 반사면(22) 및 출사면(23)을 포함하는 입체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면(21)은 차량용 램프 내에서 렌즈(1)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미도시)와 결합되는 면일 수 있다.
입사면(11)은 베이스면(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베이스면(21)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입사면(11)에는 제1 반사면(12)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광원 설치홈(13)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설치홈(13)에는 광원(2)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광원 설치홈(13)은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어, 광원(2)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제1 반사면(12)을 향해 굴절되며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반사면(12)은 입사면(11)의 일측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이 차량의 후방이 된다.
제1 반사면(12)은 광원(2)의 설치 위치를 제1 초점(F1)으로 하고, 입사면(11)의 타측을 제2 초점(F2)으로 하는 타원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2)은 광원 설치홈(13) 내에 설치되므로 제1 초점(F1)은 광원 설치홈(13)에 위치한다.
따라서, 광원(2)으로부터 출사되어 입사면(11),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 설치홈(13)으로 입사된 빛 중 일부(L2)는 제1 반사면(12)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초점(F2)인 입사면(11)의 타측으로 집광된다.
또한, 광원(2)으로부터 출사되어 광원 설치홈(13)으로 입사된 빛 중 다른 일부(L1)는 제1 반사면(12)으로 향하지 않고 직접 제2 초점(F2)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광원(2)으로부터 출사되어 광원 설치홈(13)으로 입사된 빛 중 또 다른 일부(L3)는 제1 반사면(12)으로 향하지 않고 직접 제2 반사면(2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원(2)으로부터 출사되어 광원 설치홈(13)으로 입사된 빛 중 제1 반사면(12)에 의해 반사된 빛(L2)은 반사광이라 하고, 광원(2)으로부터 출사되어 광원 설치홈(13)으로 입사된 빛 중 제1 반사면(12)으로 향하지 않고 직접 제2 초점(F2)으로 진행한 빛(L1)은 제1 직사광이라 하고, 광원(2)으로부터 출사되어 광원 설치홈(13)으로 입사된 빛 중 제1 반사면(12)으로 향하지 않고 직접 제2 반사면(22)으로 진행한 빛(L3)은 제2 직사광이라 한다. 그리고, 제1 직사광(L1)과 제2 직사광(L3)을 통칭하여 직사광이라 한다.
제2 초점(F2)의 위치와 대응하는 입사면(11)의 타측은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이다.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은 반사광(L2) 및 제1 직사광(L1)의 광 일부를 차단한다.
따라서, 반사광(L2) 및 제1 직사광(L1)은 제2 초점(F2)을 통과하며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고 차단되지 않은 나머지 광 만이 제2 반사면(22)으로 진행한다.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에 의해 광 일부가 차단된 이후, 제2 반사면(22) 및 출사면(23)을 통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된 반사광(L2) 및 제1 직사광(L1)은 소정의 로우빔 패턴을 형성한다(도 4 참고).
종래의 차량용 헤드 램프에서 로우빔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쉐이드를 별도로 장착하여 이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는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을 통해 종래의 쉐이드의 기능을 구현한다.
따라서,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은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과 대응하며,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의 형상은 종래의 쉐이드의 형상과 대략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컷-오프 라인의 형상에 따라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입사면(11)이 베이스면(21)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은 렌즈(1) 내에서 피크(peak)를 형성한다. 따라서, 반사광(L2) 및 제1 직사광(L1) 중 일부는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에 의해 상향 굴절되어 제2 반사면(22)의 상부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사면(22)은 베이스면(21)의 타측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이 차량의 전방이 된다.
제2 반사면(22)은 그 단면이 제1 반사면(12)의 제2 초점(F2)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선의 일부인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초점(F2)을 통과한 반사광(L2) 및 제1 직사광(L1)은 제2 반사면(22)에 의해 반사되어 출사면(23)을 향해 대략 평행하게 진행하게 된다.
제2 직사광(L3) 역시 제2 반사면(22)에 의해 반사되어 출사면(23)을 향해 진행하게 되지만, 제2 직사광(L3)은 제2 초점(F2)으로부터 진행하는 빛이 아니므로 반사광(L2) 및 제1 직사광(L1)과는 평행하지 않게 진행할 수 있다.
제2 직사광(L3)은 주로 제2 반사면(22)의 상부 영역으로 입사되므로, 제2 반사면(22)의 상부 영역은 하부 영역과 다른 포물선 형상 또는 다른 곡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 직사광(L3)을 이용해 로우빔 패턴을 보강하는 추가적인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출사면(23)은 제2 반사면(2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출사면(23)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대략 연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출사면(23)은 제2 반사면(22)에 의해 반사된 제1 직사광(L1), 제2 직사광(L3) 및 반사광(L2)을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면(23)은 제1 반사면(12)과 제2 반사면(22)을 연결하도록 형성하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면(23)은 제1 반사면(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출사면(23)의 양측으로는, 출사면(23)과 제2 반사면(22)을 연결하는 측면(24, 25)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는 평면 형태의 측면(24, 25)을 도시하였으나, 설계 필요성에 따라 측면(24, 25)은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측면(24, 25)은 제2 반사면(22)이 연장된 형태의 포물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1)는 광이 입사되는 광원 설치홈(13)과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23)을 제외한 베이스면(21), 제1 반사면(12), 제2 반사면(22) 및 측면(24, 25)에 광 반사성의 금속층이 포함된다. 이는 광원(2)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출사면(23)이외의 면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광 반사성의 금속층은 알루미늄, 크롬 등의 금속 층일 수 있으며, 광 반사성의 금속층은 출사면(23)을 제외한 베이스면(21), 제1 반사면(12), 제2 반사면(22) 및 측면(24, 25)의 외표면에 증착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에 의해 조사된 로우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1)는 광원(2)으로부터 제공된 빛을 로우빔 패턴으로 조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1)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은 원방 패턴(A1), 측방 패턴(A2) 및 시그널 패턴(A3)을 포함한다.
반사광(L2)은 대부분 로우빔 패턴의 중앙에 집중되어 원방 패턴(A1)을 형성한다. 원방 패턴(A1)은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에서 원거리에 도달하는 빛이다. 반사광(L2)은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을 통과하며 광 일부가 차단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빔 패턴을 형성한다.
제1 직사광(L1)은 반사광(L2)과 함께 원방 패턴(A1)을 형성하거나, 로우빔 패턴의 하부에 집중되는 측방 패턴(A2)을 형성한다. 측방 패턴(A2)은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에서 근거리에 도달하는 빛이다. 제1 직사광(L1) 역시 입사면(11)과 베이스면(21)의 경계 라인(31)을 통과하며 광 일부가 차단되며 원방 패턴(A1)의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거나, 측방 패턴(A2)의 컷-오프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직사광(L3)은 제1 직사광(L1)과 함께 측방 패턴(A2)을 형성하거나,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상부로 집중되어 도로 표지판을 조사하는 시그널 패턴(A3)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1)는 별도의 리플렉터 및 쉐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광원(2)이 제공한 빛을 이용해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리플렉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차량용 램프의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를 사용하지 않고 광원(2)과 렌즈(1)가 인접하도록 설치되므로, 광원(2)으로부터 제공된 빛 중 버려지는 빛이 거의 없게 되어 광원(2)의 이용 효율이 우수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의 렌즈(1)의 사용 일례로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1)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포그 램프, 주간등 램프는 물론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에 사용될 수 있다. 각 램프의 기능 및 그에 따른 법규에 맞추어 렌즈는 변형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1)와 베젤(3)을 포함한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1)로 빛을 제공하는 광원(2; 도 2 참고)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3)은 제1 반사면(12)의 전방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사면(12)은 외표면에 광 반사성의 금속층이 증착된다. 따라서, 차량의 외부에서 렌즈(1)를 보았을 때, 베젤(3)이 없다면 제1 반사면(12)의 금속층이 관측된다. 이는 차량의 전체적인 디자인적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베젤(3)을 제1 반사면(12)의 전방에 위치시켜 제1 반사면(12)은 외표면에 형성된 금속층이 외부에서 관측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베젤(3)의 디자인을 통해 차량용 램프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차량 제조사의 브랜드 아이덴터티를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한 예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렌즈(1)로는 조도가 부족하거나,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을 위해 복수 개의 렌즈(1a, 1b, 1c)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베젤(3a, 3b, 3c) 역시 각각의 렌즈(1a, 1b, 1c)의 제1 반사면(12a, 12b, 12c)의 전방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한 예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렌즈(1)로는 조도가 부족하거나,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을 위해 복수 개의 렌즈(1a, 1b, 1c)를 좌우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3d)은 각각의 렌즈(1a, 1b, 1c)의 제1 반사면(12a, 12b, 12c)을 한번에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젤은 복수 개로 구분되어, 각각의 렌즈(1a, 1b, 1c)의 제1 반사면(12a, 12b, 12c)의 전방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a, 1b, 1c: 렌즈 2: 광원
3, 3a, 3b, 3c, 3d: 베젤 11: 입사면
12, 12a, 12b, 12c: 제1 반사면 13: 광원 설치홈
21: 베이스면 22: 제2 반사면
23, 23a, 23b, 23c: 출사면 24, 25: 측면
L1: 제1 직사광 L2: 반사광
L3: 제2 직사광 F1: 제1 초점
F2: 제2 초점

Claims (11)

  1.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의 일측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입사면의 타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베이스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직접 조사된 직사광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상기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 및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반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상기 직사광 및 상기 반사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시키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직사광은 상기 제1 반사면을 향하지 않고 직접 상기 제2 반사면으로 향하되 상기 입사면의 타측에 구성된 초점으로 진행하는 제1 직사광과 바로 상기 제2 반사면으로 진행하는 제2 직사광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직사광은 상기 반사광과 함께 로우빔 패턴 중 원방 패턴과 상기 로우빔 패턴의 하부에 집중되는 측방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직사광은 상기 제1 직사광과 함께 상기 측방 패턴을 형성하거나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의 상부로 집중되는 시그널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의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광원 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광원 설치홈을 제1 초점으로 하고, 상기 입사면의 타측의 상기 초점을 제2 초점으로 하는 타원의 일부인, 차량용 램프의 렌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의 단면은 상기 입사면의 타측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선의 일부인, 차량용 램프의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의 타측은 상기 직사광 및 상기 반사광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상기 직사광 및 상기 반사광의 일부를 상기 제2 반사면을 향해 굴절시켜 상기 출사면을 통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이 상기 로우빔 패턴이 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의 렌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의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은 광 반사성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렌즈.
  8.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의 일측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입사면의 타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베이스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직접 조사된 직사광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상기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 및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햐도록 상기 제2 반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출사시키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직사광은 상기 제1 반사면을 향하지 않고 직접 상기 제2 반사면으로 향하되 상기 입사면의 타측에 구성된 초점으로 진행하는 제1 직사광과 바로 상기 제2 반사면으로 진행하는 제2 직사광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직사광은 상기 반사광과 함께 로우빔 패턴 중 원방 패턴과 상기 로우빔 패턴의 하부에 집중되는 측방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직사광은 상기 제1 직사광과 함께 상기 측방 패턴을 형성하거나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의 상부로 집중되는 시그널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상하로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좌우로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상기 제1 반사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40083795A 2014-07-04 2014-07-04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Active KR10224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95A KR102243936B1 (ko) 2014-07-04 2014-07-04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US14/750,285 US9920897B2 (en) 2014-07-04 2015-06-25 Head lamp for vehicle
DE102015211969.6A DE102015211969A1 (de) 2014-07-04 2015-06-26 Frontscheinwerfer für Fahrzeug
CN201520476442.3U CN204879823U (zh) 2014-07-04 2015-07-03 车辆用前照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95A KR102243936B1 (ko) 2014-07-04 2014-07-04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794A KR20160004794A (ko) 2016-01-13
KR102243936B1 true KR102243936B1 (ko) 2021-04-23

Family

ID=5517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795A Active KR102243936B1 (ko) 2014-07-04 2014-07-04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9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856A (ja) 2004-10-27 2006-05-18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06324013A (ja) 2005-05-17 2006-11-30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09026462A (ja) * 2007-07-17 2009-02-05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灯具
JP2011082066A (ja) * 2009-10-08 2011-04-21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2129002A (ja) * 2010-12-14 2012-07-05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および導光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9565B2 (ja) * 2007-12-14 2012-07-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5445923B2 (ja) * 2009-09-04 2014-03-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856A (ja) 2004-10-27 2006-05-18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06324013A (ja) 2005-05-17 2006-11-30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09026462A (ja) * 2007-07-17 2009-02-05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灯具
JP2011082066A (ja) * 2009-10-08 2011-04-21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5481764B2 (ja) 2009-10-08 2014-04-2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2012129002A (ja) * 2010-12-14 2012-07-05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および導光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794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9311B (zh) 车辆用灯具
KR101873441B1 (ko) 차량용 램프
JP2008251243A (ja) 車輌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2013222553A (ja) 車両用灯具
JP2010049886A (ja)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及び車両用前照灯
KR102289755B1 (ko)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CN204879823U (zh) 车辆用前照灯
KR20130010836A (ko) 차량용 전조등
CN102252251A (zh) 车辆用前照灯
JP2014107049A (ja) 車両用前照灯
KR20190009524A (ko) 차량용 램프
JP2011025820A (ja) 車両用灯具
KR102118137B1 (ko) 차량용 램프
KR101486818B1 (ko) 차량용 램프
KR102405441B1 (ko) 차량용 램프
JP2009134963A (ja) 灯具用レンズ及び車両用前照灯
US8956029B2 (en) Vehicle lighting unit
KR20150048353A (ko) 차량용 조명장치
KR101342060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041082B1 (ko) 헤드램프
KR10155585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114321828B (zh) 车辆用灯具
KR102243936B1 (ko)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2706415B1 (ko) 차량용 램프
JP6043842B2 (ja) 反射鏡および反射鏡を備えた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