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7062B1 - 그로밋 - Google Patents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62B1
KR102127062B1 KR1020187026706A KR20187026706A KR102127062B1 KR 102127062 B1 KR102127062 B1 KR 102127062B1 KR 1020187026706 A KR1020187026706 A KR 1020187026706A KR 20187026706 A KR20187026706 A KR 20187026706A KR 102127062 B1 KR102127062 B1 KR 10212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small
cylinder
grommet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849A (ko
Inventor
료 수에나가
고우세이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관통 구멍에 대한 삽입력의 저감과 관통 구멍에 대한 유지력의 향상을 양립하여 달성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 와이어 하네스(1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소직경 통부(14)와, 고정 부재(16)의 관통 구멍(18)에 고정되는 대직경 통부(20)와, 소직경 통부(14)와 대직경 통부(20) 사이를 연결하는 직경 확장 통부(22)를 구비한 그로밋(10)에 있어서, 직경 확장 통부(22)가, 소직경 통부(14)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와, 직경 확장 통부(22)의 내주면을 소직경 통부(14)에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34)를 갖고 있고, 직경 확장 통부(22)의 외주면 상에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직경 통부(20)측으로부터 소직경 통부측 단부(32)를 향해 연장된 복수의 접촉 리브(36)가 돌출되어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그로밋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에 외장된 상태로, 차체 패널 등의 고정 부재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장착되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에 설치되는 와이어 하네스가, 엔진룸 등의 차실외와 차실내를 구획하는 차체 패널 등의 고정 부재에 걸쳐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로밋이 와이어 하네스에 외장된 상태로, 차체 패널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이 그로밋은,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에 밀접하여 고정되는 소직경 통부와,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끼워져 고정되는 대직경 통부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직경 확장 통부가 일체적으로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어, 관통 구멍을 통한 차실외로부터 차실내로의 물의 침입 등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그로밋을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끼워서 고정할 때에는, 처음에 그로밋의 소직경 통부측을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키고, 직경 확장 통부를 관통 구멍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압축 변형하여 관통 구멍을 통과시킨다.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가 대직경 통부에 형성된 고리형 홈에 도달하면, 직경 확장 통부가 탄성 복귀하여,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가 대직경 통부의 고리형 홈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그로밋이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이탈 불가능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직경 확장 통부를 관통 구멍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압축 변형시켜,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키는 작업에는, 큰 삽입력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일본 실용 공개 평1-68625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직경 확장 통부의 외주면 상에, 대직경 통부로부터 소직경 통부에 걸쳐 연장된 리브를 직경 확장 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시켜, 직경 확장 통부의 관통 구멍에 대한 접촉 면적을 저감함으로써, 삽입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대직경 통부로부터 소직경 통부에 걸쳐 연장된 복수의 리브를 직경 확장 통부에 돌출시킨 경우, 확실히 삽입력의 저감은 도모되지만, 그로밋 장착후의 그로밋의 유지력이 저감된다고 하는 문제가 내재했다. 즉, 관통 구멍에 장착된 그로밋에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가 대직경 통부측으로 과대한 힘으로 인장되면, 그로밋의 소직경 통부가 대직경 통부측으로 인장 변형되고, 소직경 통부에 연결된 리브와 함께 직경 확장 통부도 내주측으로 쓰러져 변형되어 버려, 대직경 통부의 고리형 홈이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이탈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 공개 평1-68625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 과제는, 관통 구멍에 대한 삽입력의 저감과 관통 구멍에 대한 유지력의 향상을 양립하여 달성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소직경 통부와, 고정 부재의 관통 구멍에 고정되는 대직경 통부와, 상기 소직경 통부와 상기 대직경 통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경 확장 통부를 포함하는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직경 확장 통부가, 상기 소직경 통부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소직경 통부측 단부와, 상기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면을 상기 소직경 통부에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직경 확장 통부의 외주면 상에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대직경 통부측으로부터 상기 소직경 통부측 단부를 향해 연장된 복수의 접촉 리브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직경 확장 통부의 외주면 상에 복수의 접촉 리브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할 때의 직경 확장 통부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켜 삽입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양태의 그로밋에 있어서는, 직경 확장 통부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는, 소직경 통부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내주면측에서 가요성 연결부를 통해 소직경 통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접촉 리브가 직접 소직경 통부에 연결되는 것이 회피된다. 이에 따라,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장착한 후에, 와이어 하네스가 대직경 통부측으로 과대한 힘으로 인장된 경우에도, 소직경 통부에 전달된 인장력이 직접 접촉 리브에 전달되는 것이 회피되어, 종래 구조에서 문제였던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측으로 쓰러지는 변형이 회피되고, 그로밋의 유지력 향상도 양립하여 달성할 수 있다.
덧붙여, 직경 확장 통부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가, 소직경 통부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있고, 또한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면이 가요성 연결부를 통해 소직경 통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킬 때에는, 직경 확장 통부의 압축 변형을 한층 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그로밋 장착후에 소직경 통부가 대직경 통부를 향해 인장되었을 때에는, 이러한 인장력을 가요성 연결부에 의해 흡수하여 직경 확장 통부에 인장력이 미치는 것을 유리하게 회피할 수 있고, 한층 더 유지력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각 상기 접촉 리브가 상기 소직경 통부측 단부의 단부면에 도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소직경 통부측 단부의 상기 단부면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리브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접촉 리브의 단부면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직경 확장 통부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측으로 쓰러지는 변형을 한층 더 유리하게 방지하여, 한층 더 유지력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 제2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각 상기 접촉 리브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는 중량 경감 홀(lightening hole)이 외주면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량 경감 홀이 상기 돌출부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접촉 리브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 중량 경감 홀을 형성함으로써, 관통 구멍에 대한 접촉 면적이 더욱 저감하고, 삽입력의 저감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중량 경감 홀은 돌출부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직경 확장 통부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의 강성은 확보되어 있어, 직경 확장 통부가 내측으로 쓰러지는 변형을 방지하여, 유지력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부의 상기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면에서의 연결 위치가, 상기 소직경 통부측 단부보다 상기 대직경 통부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한 후에, 소직경 통부가 대직경 통부측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직경 확장 통부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보다 대직경부측으로 인장력이 미치게 되므로, 소직경 통부측 단부가 내측으로 쓰러지지 않고, 소직경 통부나 와이어 하네스에 접촉된다. 그 결과, 직경 확장 통부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의 내주면이 넓은 접촉 면적으로 소직경 통부나 와이어 하네스에 접촉되어, 직경 확장 통부의 변형을 더욱 유리하게 저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로밋의 유지력을 한층 더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경 확장 통부의 외주면 상에 복수의 접촉 리브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할 때의 직경 확장 통부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켜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더구나, 직경 확장 통부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가 소직경 통부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리브가 직접 소직경 통부에 연결되는 것이 회피된다. 이에 따라,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장착한 후에, 와이어 하네스가 대직경 통부측으로 과대한 힘으로 인장된 경우에도, 소직경 통부에 전달된 인장력이 직접 접촉 리브에 전달되는 것이 회피되고, 종래 구조에서 문제였던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측으로 쓰러지는 변형이 회피되어, 그로밋의 유지력의 향상도 양립하여 달성할 수 있다. 덧붙여,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면이 가요성 연결부를 통해 소직경 통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킬 때의 직경 확장 통부의 압축 변형을 한층 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그로밋 장착후에 소직경 통부가 대직경 통부를 향해 인장되었을 때에는, 이러한 인장력을 가요성 연결부에 의해 흡수하여 직경 확장 통부에 인장력이 미치는 것을 유리하게 회피할 수 있고, 한층 더 유지력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그로밋이 와이어 하네스에 외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며, 고정 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그로밋(10)이 와이어 하네스(12)에 외장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로밋(10)은, 대략 원통형상이며 축방향(도 3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소직경 통부(14)와, 축방향 일방측(도 3 중 하측)에 위치하여 고정 부재인 차체 패널(16)에 형성된 관통 구멍(18)에 끼워맞춰지는 두꺼운 대직경 통부(20)와, 축방향 타방측(도 3 중 상측)으로부터 대직경 통부(20)를 향해 직경 확장하면서 연장되어 소직경 통부(14)와 대직경 통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돔형의 직경 확장 통부(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 CR(클로로프렌고무), SI(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측이란, 도 2, 3 중의 상측, 하측이란, 도 2, 3 중의 하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1∼3에서는, 와이어 하네스(12)를 가상선으로 기재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직경 통부(14)는, 그로밋(10)의 축방향(도 3 중 상하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고,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테이프 고정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고정부(2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개구 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의 둘레벽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고정부(24)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고정부(24)의 외주에 도시하지 않은 결속 테이프를 감는 것에 의해, 테이프 고정부(24)를 직경 축소하여 소직경 통부(14)를 와이어 하네스(12)의 외주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대직경 통부(20)에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고리형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홈(26)의 하측 측면의 개구 단부에는, 고리형 홈(26)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으로 연장된 하측 측면 리브(28)(도 3 참조)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고리형 홈(26)의 저면에는, 고리형 홈(26)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으로 연장된 저면 리브(30)(도 2, 도 3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리형 홈(26)에 대하여, 차체 패널(16)에 형성된 원환형의 관통 구멍(18)의 내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그로밋(10)이 차체 패널(16)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 패널(16)의 관통 구멍(18)과 고리형 홈(26) 사이의 간극을, 하측 측면 리브(28)와 저면 리브(30)에 의해 확실하게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체 패널(16)의 관통 구멍(18)과 고리형 홈(26) 사이의 간극을 통한 먼지나 물 등의 침입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있다. 또,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3에서는 차체 패널(16)을 가상선으로 기재하고 있다.
직경 확장 통부(22)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직경 통부(14)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와, 직경 확장 통부(22)의 내주면을 소직경 통부(14)에 연결하는 정면도에서 볼 때 대략 V자 단면 형상인 가요성 연결부(34)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경 확장 통부(22)의 외주면 상에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직경 통부(20)측으로부터 소직경 통부측 단부(32)를 향해 연장된 정면도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인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접촉 리브(36)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 리브(36)는,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의 단부면에 도달할 때까지 마련되어 있고,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의 단부면에 있어서, 접촉 리브(36)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8)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접촉 리브(36)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는, 정면도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인 중량 경감 홀(40)이 외주면에 개구되고 돌출부(38)에 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요성 연결부(3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경 확장 통부(22)의 내주면에서의 연결 위치가, 소직경 통부측 단부(32)보다 대직경 통부(20)측에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연결부(34)를 구성하는 직경 확장 통부측 연결부(34a)와 소직경 통부측 연결부(34b) 사이에 펼쳐진 중간 영역(42)이, 대직경 통부(20)측을 향해 볼록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연결부(34)의 직경 확장 통부측 연결부(34a)에는, 가요성 연결부(34)의 소직경 통부측 연결부(34b)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축방향 타방측(도 3 중 상측)을 향해 소직경 통부(14)와 동심이며 대직경으로 된 대략 원통형상이며 소직경 통부(14)의 테이프 고정부(24)에 도달하지 않는 위치까지 연장된 중간 통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통부(44)의 연장 단부에는 테이프 고정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고정부(46)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개구 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의 둘레벽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고정부(46)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고정부(46)의 외주에 도시하지 않은 결속 테이프를 감는 것에 의해, 테이프 고정부(46)를 직경 축소하여 중간 통부(44)를 소직경 통부(14)의 외주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간 통부(44), 소직경 통부(14), 가요성 연결부(34)로 둘러싸인 차음용 밀폐 공간(48)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그로밋(10)에 의하면, 직경 확장 통부(22)의 외주면 상에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접촉 리브(36)가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로밋(10)을 차체 패널(16)에 장착할 때에, 직경 확장 통부(22)의 외주면이 차체 패널(16)의 관통 구멍(18)에 접촉하는 면적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그로밋(10)의 차체 패널(16)에 대한 삽입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직경 확장 통부(22)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32)가 소직경 통부(14)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로밋(10)이 차체 패널(16)의 관통 구멍(18)에 장착된 후에, 와이어 하네스(12)가 대직경 통부(20)측으로 과대한 힘으로 인장되었다 하더라도, 접촉 리브(36)가 직접 소직경 통부(14)에 연결되는 것이 회피되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12)로부터 소직경 통부(14)에 전달된 인장력이 직접 접촉 리브(36)에 전달되는 것이 회피되도록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 구조에서 문제였던 직경 확장 통부(22)의 내주측으로 쓰러지는 변형이 회피되기 때문에, 그로밋(10)의 유지력의 향상도 함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직경 확장 통부(22)의 내주면이 가요성 연결부(34)를 통해 소직경 통부(14)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로밋(10)을 차체 패널(16)의 관통 구멍(18)에 삽입 관통 장착시킬 때에, 가요성 연결부(34)가 그로밋(1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탄성 변형함으로써, 직경 확장 통부(22)의 압축 변형을 한층 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구나, 그로밋(10) 장착후에 소직경 통부(14)가 대직경 통부(20)측을 향해 과대한 힘으로 인장되었다 하더라도, 이러한 인장력을 가요성 연결부(34)가 대직경 통부(20)측을 향해 탄성 변형함으로써 흡수하여 직경 확장 통부(22)에 인장력이 미치는 것을 유리하게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그로밋(10)의 유지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가요성 연결부(34)는, 직경 확장 통부(22)의 내주면에서의 연결 위치가, 소직경 통부측 단부(32)보다 대직경 통부(20)측에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로밋(10) 장착후에 소직경 통부(14)가 대직경 통부(20)측을 향해 과대한 힘으로 인장되었다 하더라도, 직경 확장 통부(22)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32)보다 대직경 통부(20)측으로 인장력이 미치게 되므로, 소직경 통부측 단부(32)가 내측으로 쓰러지지 않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경 확장 통부(22)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의 내주면이 넓은 접촉 면적으로 중간 통부(44)나 소직경 통부(14)나 와이어 하네스(12)에 대하여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직경 확장 통부(22)의 변형을 한층 더 유리하게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로밋(10)의 유지력을 한층 더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접촉 리브(36)는,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의 단부면에 도달할 때까지 마련되어 있고,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의 단부면에 있어서, 접촉 리브(36)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8)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직경 확장 통부(22)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직경 확장 통부(22)의 내주측으로 쓰러지는 변형을 한층 더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한층 더 그로밋(10)의 유지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있다. 또한, 접촉 리브(36)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는, 중량 경감 홀(40)이 외주면에 개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체 패널(16)의 관통 구멍(18)에 대한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그로밋(10)의 차체 패널(16)에 대한 삽입력을 한층 더 저감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중량 경감 홀(40)이 돌출부(38)에 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경 확장 통부(22)의 소직경 통부측 단부(32)의 강성은 확보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직경 확장 통부(22)가 내측으로 쓰러지는 변형을 방지하면서 그로밋(10)의 유지력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가요성 연결부(34)의 직경 확장 통부측 연결부(34a)와 소직경 통부측 연결부(34b) 사이에 펼쳐진 중간 영역(42)이, 대직경 통부(20)측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12)가 대직경 통부(20)측으로 과대한 힘으로 인장되었다 하더라도, 이러한 굴곡된 중간 영역(42)이 대직경 통부(20)측을 향해 탄성 변형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12)로부터 소직경 통부(14)에 전달된 인장력이 직접 직경 확장 통부(22)에 전달되는 것이 회피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 통부(44), 소직경 통부(14), 가요성 연결부(34)로 둘러싸인 차음용 밀폐 공간(4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룸 내의 소음 등을 차음용 밀폐 공간(48)에서 흡수하여, 차실내에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저감,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의 그로밋(10)에서는, 8개의 접촉 리브(36)가, 직경 확장 통부(22)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부등 간격으로 마련되어도 좋고, 갯수도 2개 이상이라면 몇개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리브(36)나 중량 경감 홀(40)의 형상은 정면도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지만,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10 : 그로밋, 12 : 와이어 하네스, 14 : 소직경 통부, 16 : 차체 패널(고정 부재), 18 : 관통 구멍, 20 : 대직경 통부, 22 : 직경 확장 통부, 32 : 소직경 통부측 단부, 34 : 가요성 연결부, 36 : 접촉 리브, 38 : 돌출부, 40 : 중량 경감 홀

Claims (4)

  1.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소직경 통부와, 고정 부재의 관통 구멍에 고정되는 대직경 통부와, 상기 소직경 통부와 상기 대직경 통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경 확장 통부를 포함하는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직경 확장 통부가, 상기 소직경 통부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소직경 통부측 단부와, 상기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면을 상기 소직경 통부에 연결가하는 가요성 연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직경 확장 통부의 외주면 상에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대직경 통부측으로부터 상기 소직경 통부측 단부를 향해 연장된 복수의 접촉 리브가 돌출되고,
    각 상기 접촉 리브가 상기 소직경 통부측 단부의 단부면에 도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소직경 통부측 단부의 상기 단부면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리브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성하고,
    각 상기 접촉 리브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는 중량 경감 홀(lightening hole)이 외주면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량 경감 홀이 상기 돌출부의 일부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밋.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부의 상기 직경 확장 통부의 내주면에서의 연결 위치가 상기 소직경 통부측 단부보다 상기 대직경 통부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인 그로밋.
KR1020187026706A 2016-03-18 2017-03-02 그로밋 Expired - Fee Related KR102127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5273A JP2017169424A (ja) 2016-03-18 2016-03-18 グロメット
JPJP-P-2016-055273 2016-03-18
PCT/JP2017/008232 WO2017159376A1 (ja) 2016-03-18 2017-03-02 グロ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849A KR20180112849A (ko) 2018-10-12
KR102127062B1 true KR102127062B1 (ko) 2020-06-25

Family

ID=5985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706A Expired - Fee Related KR102127062B1 (ko) 2016-03-18 2017-03-02 그로밋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87134B2 (ko)
JP (1) JP2017169424A (ko)
KR (1) KR102127062B1 (ko)
CN (1) CN108713279B (ko)
WO (1) WO2017159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3152B1 (ko) 2018-09-20 2024-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자층 증착 장치
JP6933678B2 (ja) * 2019-03-13 2021-09-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シール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117337B2 (ja) 2020-02-03 2022-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077347B2 (ja) * 2020-02-17 2022-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1129478A (ja) 2020-02-17 2021-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212231033U (zh) * 2020-07-01 2020-12-25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线缆引出系统
DE102021118919A1 (de) * 2020-09-23 2022-03-24 Illinois Tool Works Inc. Tüllenvorrichtung
GB2606055B (en) * 2021-03-01 2025-01-29 Caterpillar Inc A gromm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989A (ja) * 2007-06-12 2008-12-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9296737A (ja) * 2008-06-03 2009-12-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12100396A (ja) * 2010-10-29 2012-05-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226B2 (ja) 1987-09-10 1995-06-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源検出装置
US6897380B2 (en) * 2002-11-29 2005-05-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for a wire harness
JP5157513B2 (ja) * 2008-02-20 2013-03-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5098718B2 (ja) * 2008-03-13 2012-1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5365569B2 (ja) * 2010-04-01 2013-12-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JP5408043B2 (ja) * 2010-06-07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N203358501U (zh) * 2013-07-24 2013-12-25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bcm固定支架
JP2015173550A (ja) 2014-03-12 2015-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6015851A (ja) * 2014-07-03 2016-01-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N104393551A (zh) * 2014-11-28 2015-03-04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接插件
CN204249961U (zh) * 2014-12-05 2015-04-08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远程智能终端与低压配电控制器支架及安装结构
WO2016163358A1 (ja) * 2015-04-07 2016-10-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6770924B2 (ja) * 2017-05-25 2020-10-21 株式会社ニフコ グロメ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989A (ja) * 2007-06-12 2008-12-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9296737A (ja) * 2008-06-03 2009-12-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12100396A (ja) * 2010-10-29 2012-05-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849A (ko) 2018-10-12
US20190351849A1 (en) 2019-11-21
WO2017159376A1 (ja) 2017-09-21
CN108713279A (zh) 2018-10-26
JP2017169424A (ja) 2017-09-21
US10787134B2 (en) 2020-09-29
CN108713279B (zh)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062B1 (ko) 그로밋
KR101078482B1 (ko) 그로밋
KR101335197B1 (ko)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US8544147B2 (en) Grommet
JP4791396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その組付方法
KR101335080B1 (ko)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KR101661845B1 (ko)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
JP7117337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262051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8046704A (ja) グロメットの車体取付け構造
JP546958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US20180312119A1 (en) Grommet and wire harness
JP2016207358A (ja) グロメット
JP7691018B2 (ja) グロメット
CN108291572B (zh) 控制线缆的支承装置
KR102008713B1 (ko)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JP4062218B2 (ja) グロメット
WO2017163801A1 (ja) グロメット
JP7613165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862543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7326150B2 (ja) グロメット
JP6943615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4918294B2 (ja) グロメットのバンド締め付け構造
JP2015092791A (ja) グロメット
JP6815721B2 (ja) 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