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5358B1 - 브러시리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브러시리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358B1
KR102035358B1 KR1020137034225A KR20137034225A KR102035358B1 KR 102035358 B1 KR102035358 B1 KR 102035358B1 KR 1020137034225 A KR1020137034225 A KR 1020137034225A KR 20137034225 A KR20137034225 A KR 20137034225A KR 102035358 B1 KR102035358 B1 KR 10203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miconductor
electric motor
switches
semiconductor switches
winding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170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도너
티모 구르차브스키
사바 괴리
보그단 소프로네스쿠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4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3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internal faults, e.g. shoot-throug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2Monitoring commutation; Providing indication of commutation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motor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32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e.g. setting individual current limits for different driv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02P6/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in a bridg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들이 6 개의 스위치들을 이용하는 인버터에 의해 제어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인버터는 전기 모터의 권선들과 연관된 3 개의 출력부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개별 전력 반도체 스위치는 인버터의 출력부들과 권선들 사이에 배열되며, 결함이 있는 스위치들 (5) 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 인버터의 출력부들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유닛 및 스위치들과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3) 는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가 검출된 후에, 어떤 전력도 전기 모터 (1) 의 권선들 (U, V, W) 에 도입되지 않고,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이 미리 결정된 모터 각도 포지션
Figure 112013117955499-pct00039
에서 오픈되도록 마이크로제어기 (4) 에 의해 스위칭 오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모터 각도 포지션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40
은 개별 권선 (u, v, w) 및 그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과 연관되고, 연관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이 오프닝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Description

브러시리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BRUSHLESS MOTOR}
본 발명은 권선들이 6 개의 스위치들을 이용하는 AC 변환기에 의해 제어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AC 변환기는 전기 모터의 권선들에 할당되는 3 개의 출력부들을 포함하고, 전력 반도체 스위치는 각 경우에 AC 변환기의 출력부들과 권선들 사이에 배열되며, 결함이 있는 스위치들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 AC 변환기의 출력부들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유닛, 및 스위치들과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브러시리스 모터들을 제어하는 AC 변환기들은 일반적으로 6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결함의 발생시, 각각의 스위치는 원칙적으로 2 가지 상이한 특성들: 비-전도성 (즉, 오픈된 스위칭 포지션에서 스위치가 블로킹 기능을 수행함) 또는 전도성 (즉, 클로징된 스위칭 포지션에서 스위치가 블로킹 기능을 수행함) 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결함이 있는 스위치는 또한 구어로는 단락 회로로서 알려져 있다. 그 후에, 특히, 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전기 모터를 긴급 모드로 매우 신속하게 스위칭하거나, 전기 모터를 즉시 스위칭 오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계식 계전기들과는 달리,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의 이용은, 유도성 부하들이 스위칭 오프될 때, 부하 전류와 부하의 유도성의 크기에 의존하여, 유도성 부하가 스위칭 오프되는 순간에 전력 반도체 스위치가 파손될만한 크기의 에너지 양을 방출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가 더 이상 그 역할을 완수할 수 없는 단점에 의해 방해된다. 특히, 안전이 중요하고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 회로에서 모터를 스위칭 오프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브러시리스 모터들에 대하여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을 이용할 경우에,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안전이 중요한 일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차의 전기-기계식 스티어링 장치에서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부하 회로의 유도성 에너지가 전력 반도체 스위치의 허용가능한 흡수 용량을 초과하는, 이러한 타입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그 구조로 인해, 현재 시장에서 이용가능한 전력 반도체 스위치에 비해 훨씬 큰 흡수 용량을 갖는 기계식 계전기를 대신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유도성 부하를 스위칭 오프하는 중에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을, 예컨대 전력 반도체 스위치 상의 부하를 완화시키는 서프레서 다이오드와 같은 에너지 싱크로 우회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성 부하들을 스위칭 오프하는 중에 반도체 스위치들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부들에 의해 달성된다. AC 변환기는, 결함이 있는 스위치의 검출 이후에, 전력이 더 이상 전기 모터의 권선들로 도입되지 않고,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이 미리 정의된 모터 포지션 각도에서 연속해서 오픈되도록,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스위칭 오프된다.
유리한 전개들이 종속 청구항들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모터 포지션 각도들은 각 경우, 권선 및 그 전력 반도체 스위치에 할당되고,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이 오프닝 프로세스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모터 포지션 각도들은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에서 우세한 드레인 전류가 0, 거의 0, 또는 네거티브가 되도록 선택된다.
유도성 부하들이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에 손상을 주지 않고 스위칭 오프되게 하는 드레인 전류들의 순시 값들은, 결정론적으로 모터 각도에 의존하며, 순시 값들은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에서 우세하다. 중요한 것은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위상 전류들을 직접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인데, 이는 그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가 측정된 모터 각도로부터 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목적은 또한, 결함이 있는 스위치의 검출 이후에, 전력이 더 이상 전기 모터의 권선들로 도입되지 않고, 추가로 마이크로제어기가 미리 결정된 모터 포지션 각도에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을 연속해서 오픈하도록 설계되는 방식으로,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AC 변환기를 스위칭 오프하도록 마이크로제어기가 설계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청구물의 특히 유리한 전개에서, 마이크로제어기는 모터 포지션 각도들을 각 경우 권선과 권선의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에 할당하고,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이 오프닝 프로세스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들을 선택하도록 설계된다. 마이크로제어기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에서 우세한 드레인 전류가 0, 거의 0, 또는 네거티브이도록, 모터 포지션 각도들을 선택하도록 설계된다.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은 전력 MOSFET 트랜지스터들로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청구물의 더 유리한 전개는 결함이 있는 스위치들을 검출하기 위한 유닛 및 AC 변환기의 출력부들에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유닛이 마이크로제어기에 통합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 1 대안에서, 모터 포지션 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모터 포지션 각도 센서가 제공된다.
제 2 대안에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에 걸친 전압 강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류 비교기들이 제공된다. 마이크로제어기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 포지션 각도들을 결정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2 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이용하여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 1 은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의 권선들, AC 변환기, 및 "위상 스위칭 유닛" 으로서 구성된 안전 스위칭 수단들로서의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2a 는 전기 모터의 포지티브 회전 방향의 경우,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를 스위칭 오프하기 위한 모터 포지션 각도들을 갖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b 는 전기 모터의 네거티브 회전 방향의 경우,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를 스위칭 오프하기 위한 모터 포지션 각도들을 갖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다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스타-포인트 스위칭 유닛" 으로서 구성된 안전 스위칭 수단들로서의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을 갖는 제 2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모터 포지션 각도 센서가 없는, 도 1 에 대응하는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권선들 (U, V, W) 이 AC 변환기 (3) 에 의해 제어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를 위해, AC 변환기 (3) 는 6 개의 스위치들 (5) 을 포함하며, 여기서 도 1 의 상부 스위치들 (5) 에는 포지티브 공급 전압이 할당되고, 도 1 의 하부 스위치들 (5) 에는 네거티브 공급 전압이 할당된다. 추가로 도 1 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전압 탭핑 포인트들 (17, 18, 19) 은 포지티브 공급 전압이 할당되는 상부 스위치들 (5) 과 네거티브 공급 전압이 할당되는 하부 스위치들 (5) 사이에 위치되며, 그 전압 탭핑 포인트들에서, 권선들 (U, V, W) 에서 우세한 전압이 탭핑되고, 상기 전압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 유닛 (11) 에 공급된다.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 유닛 (11) 으로부터의 측정 결과들은, 한편으로는 스위치들 (5) 을 제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 유닛 (11) 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평가하는 마이크로제어기 (4) 에 공급된다. 또한, 결함이 있는 스위치들 (5) 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 (10) 이 제공된다. 검출 유닛 (10) 에 의해 생성된 정보는 유사하게 평가를 위해 마이크로제어기 (4) 에 공급된다.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은 권선들 (U, V, W) 로 이어지는 위상 라인들에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실제로, 스위치들 (5) 은 반도체 스위치들 및/또는 트랜지스터들 또는 MOSFET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형성된다. 실제로, 검출 유닛 (10) 은 브리지 드라이버로서 구현되고, 트랜지스터로서 구현된 스위치들 (5) 에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검출 유닛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포지션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실제로, 전압 탭핑 포인트들 (17, 18, 19) 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 유닛 (11) 은 전압 분배기로서 구현되며, 펄스폭 변조된 전압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한다. 듀티 사이클은 펄스 지속시간 및 주기 지속시간으로부터 발생하는 몫에 대응한다.
각 스위치 (5) 는 원칙적으로 2 개의 상이한 타입의 결함을 포함할 수 있거나, 오히려 결함의 발생시, 각각의 스위치는 본질적으로 2 개의 이후 설명되는 상태들 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비-전도성 결함 (즉, 오픈된 스위칭 포지션에서, 스위치는 차단 기능을 수행함); 또는 전도성 결함 (즉, 클로징된 스위칭 포지션에서, 스위치는 차단 기능을 수행함). 전도성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는 또한 구어로는 단락 회로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기기계식 스티어링 디바이스와 같은 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전기 모터 (1) 를 긴급 모드로 매우 신속하게 스위칭하거나, 전기 모터를 즉시 스위칭 오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도성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의 고장은, 결함의 발생시 차량 운전자가 제너레이터 모드에서 전기 모터 (1) 를 움직이고 스티어링 휠에서의 스티어링 움직임에 즉시 대응하는 전류를 유도하기 때문에 증가된 스티어링 토크를 초래한다. 차량 운전자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이러한 토크는, 이하 제동 토크로 공지된다. 회전 속도에 의존하는 제동 토크는, AC 변환기 (3) 에서의 단락 회로로 인해 영구적으로 여기된 동기식 기계에서 발생된다. 전도성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는 유도의 결과로서 모터 권선들 (U, V, W) 에 걸쳐 단락 회로가 발생하게 한다.
전기 모터 (1) 의 위상 커넥터들은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이용하기 위해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에 의해 구동중인 AC 변환기 (3) 의 출력부들에 접속된다. 이러한 배열의 목적은, AC 변환기 (3) 에서 결함의 발생시 전기 모터 (1) 의 전원을 끊는 것 및 결과적으로 상기 전기 모터를 앞서 설명된 제동 토크로부터 연결 해제하는 것이다. 이는 또한 안전 셧다운 (safety shutdown) 으로 설명된다. 마이크로제어기 (4) 에 의해 AC 변환기 (3) 의 결함이 검출된 후, AC 변환기 (3) 는 먼저 스위칭 오프되며, 즉 스위치들 (5) 이 오픈되어 전력이 더 이상 전기 모터 (1) 로 도입되지 않게 된다. 전기 모터 (1) 가 관성에 의하여 또는 외부로부터의 드라이브에 의해 여전히 회전 상태에 있다면, 전류 피크는 기생 다이오드들 및 전도성 결함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 스위치 (5) 에 의한 전기 모터 (1) 의 유도 전압의 정류 (rectification) 에 의해 AC 변환기 (3) 내에서 주기적으로 증가하며, 이러한 전류 피크는 원하지 않는 제동 토크를 발생한다. 위상 라인들에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을 스위칭 오프하는 프로세스는 이를 방지한다. 전기 모터 (1) 로부터의 허용 불가능하게 높은 유도성의 에너지 양의 결과로 인해,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은 정의된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1
의 윈도우에서 개별적으로 스위칭 오프되며, 그 결과 개별 영향의 권선 (U, V, W) 을 통해 흐르는 임의의 전류는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 (2) 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은 전력 MOSFET 트랜지스터들로서 구현되고, 0, 네거티브 또는 낮은 포지티브인 드레인 전류 (ID) 의 단기 값은 손상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의 일 특징은 적절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2
이 AC 변환기 (3) 에서 전도성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의 포지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오직 전기 모터 (1) 의 회전 방향에만 의존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마이크로제어기 (4) 에 의한 허용가능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3
의 검출에 의해 의도적인 방식으로 개별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을 스위칭 오프하는 것은 충분하다. 모터 포지션 각도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4
는 모터 포지션 각도 센서 (6) 를 이용하여 검출된다.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제어하기 위해 모터 포지션 각도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5
를 검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추가의 센서가 필요하지 않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적절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6
은 AC 변환기 (3) 의 전도성으로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의 포지션에 의존하지 않는다. 적절한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7
은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상관이 도 2 에 도시된다.
3 위상 BLDC 모터의 경우, 유도 전압들에 의해 발생되고 AC 변환기 (3) 에서의 전도성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들이 개별 위상들에서 0 인,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은, 이론적으로는 120°까지 넓다. 위상 (U) 의 외부로부터 구동되는 모터 (1) 의 유도 전압이 최대인 포인트에서 모터 각도가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8
로서 정의된다면, 전원이 끊긴 각도 윈도우들은 간격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09
=[300°; 60°],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0
=[60°; 180°] 및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1
=[180°; 300°] 에서 3 개의 위상들로 놓인다. 이들 값들은, 모터의 기계적인 회전 속도 N 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시간 주기 TPER = 1 / (N * 극 쌍들의 개수) 가 위상 임피던스 τPH = L / R 의 시간 상수들과 비교하여 작게 유지되며, 따라서 모터에서의 전류들 및 전압들이 여전히 대략 적절한 방식으로 증가하는 이상화된 비율들에 적합하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이상화된 비율들은 자동으로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터 특성 변수들 및 고려할 최대 회전 속도에 의존하여,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는 120°보다 작게 될 수 있고, 추가로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전 방향에 의존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의 경계 값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디맨셔닝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미리 정의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 내의 유도성 부하들을 스위칭 오프하는 기본적인 방법에 있어 어떤 변경들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스위칭 오프 프로세스에 대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2
은 불행히도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동일하지 않다. 회전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모터 샤프트의 회전은, 실제로는 항상 3 위상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에 대한 3 위상 시스템에 대응하여 서로에 대하여 각각 120°로 변위된 사인파 형상의 진행을 갖는 3 개의 유도 전압들을 생성하며, 그 후 결과적으로 전류 피크들의 증가 (buildup) 를 초래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류 피크들은 유도 전압들에 대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모터 위상들 (U, V, W) 의 복소 임피던스의 결과로서, 첫번째로 시간 지연을 경험하고 두 번째로 AC 변환기 (3) 에서의 단락 회로와의 외부 경계 조건의 결과로서 형태 왜곡을 경험한다. 추가로, 전류 피크들은 증가하는 모터 회전 속도 (N) 에 따라 증가하며,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3
은 그에 상응하여 더 작아진다. 결국,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4
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이용되고 있는 전기 모터의 특성 값들 및 또한 고려될 최대 회전 속도 (N) 를 고려하는 측정 작업이다.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에 대하여 허용가능한 에너지의 양은 또한 하나의 기준이다: 이러한 에너지의 양이 커질수록, 스위칭 오프 프로세스 동안 여전히 존재할 수 있는 위상 전류의 단기 값도 커지며, 이는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5
를 최대화할 때 유용하다.
도 2a 및 도 2b 에서, 위상 저항성에 대한 위상 유도성의 비율이 매우 작은 모터의 경우에 이상화된 비율들은 검정 색의 연속적인 블록들로서 도시된다. 이러한 이상적인 조건들에서, 권선 (U) 에 대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6
) 는 300°부터 60°까지에 이르고, 권선 (V) 은 60°부터 180° 까지의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7
) 에 대응하고, 권선 (W) 은 180°부터 300°까지의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8
) 에 대응한다. 이는 높은 L/R 비율을 갖는 모터들에 대한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19
의 이전에 요약하여 설명된 원칙적인 감소들을 포함하며, 높은 회전 속도들은 여기서 음영 표시된 블록들로서 도시된다.
도 3 은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S1 에서, 체킹 프로세스는 전기 모터 (1) 의 회전 속도가 충분히 느리고, 이에 대응하여 유도 전류들이 충분히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행된다. 그러한 경우라면, 단계 S2 에서, 모든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이 모든 권선들 (U, V, W) 에 대하여 오픈되고, 방법이 종료된다. 유도 전류들이 견딜 수 없을 만큼 낮은, 더 심각한 경우에, 체킹 프로세스는 단계 S3 에서 모터 포지션 각도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0
) 가 위상 (U) 에 대한 스위칭 오프 윈도우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1
) 내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행된다. 그러한 경우라면, 위상 (U) 에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 (2) 가 단계 S4 에서 오픈된다.
단계 S5 에서, 대응하는 체킹 프로세스는 모터 포지션 각도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2
) 가 적절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3
) 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행된다. 그러한 경우라면,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 (2) 가 오픈된다 (단계 S6). 차후에, 그 방법은 단계 S7 로 진행되며, 이 단계에서 체킹 프로세스는 모터 포지션 각도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4
) 가 적절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5
) 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행되고, 긍정의 존재시 권선 (W) 에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 (2) 를 오픈한다. 단계 S9 에서, 체킹 프로세스는 단계들 S3, S5, S7 모두에서의 결정들이 한번씩 긍정이었는지, 따라서 다시 말하면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모두가 오픈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행된다.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단계 S3 로의 리턴이 실시된다.
도 4 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의 토폴로지를 "스타-포인트 스위치" 로서 포함하는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은 차례로 전력 MOSFET 트랜지스터들로 구현되며, 모터 위상들 (U, V, W) 의 종단 커넥터들을 "스타-포인트 포인트" 에 접속한다. 적절한 모터 포지션 각도 윈도우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6
에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을 개별적으로 스위칭 오프하기 위한 모터 포지션 각도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7
) 의 이용은, 도 1 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비교할 때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도 5 는 각각의 모터 위상 (U, V, W) 에서 전류 방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모터 포지션 각도 정보 (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8
) 의 대안적인 이용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에 걸친 전력 강하를 모니터링하고, 따라서 각각의 모터 위상 (U, V, W) 에서의 전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압 비교기들 (7) 을 이용하여 모니터링되며, 그 정보는 정확한 시간 윈도우에, 다시 말해서 파손의 위험을 발생하지 않는 전류 방향 동안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을 개별적으로 스위칭 오프하기 위해 마이크로제어기 (4) 에 요구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컨대 제어 용도의 위상 전류들의 션트들에 의해 "실제" 전류 측정치를 이용하는 시스템들에서, 이러한 위상 전류 정보를 파손의 위험을 발생하지 않는 전류 방향의 타임 윈도우를 검출하기 위해 유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명된 방법의 애플리케이션은,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시스템에서,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의 모터 인덕턴스들 및 전류들의 크기로 인해 발생하는 최대 가능한 양의 유도성 에너지가, 사용가능하고 및/또는 경제적으로 정당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의 흡수 용량을 초과하더라도, 안전 특성으로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다양한 이유들 : 마모 특성들, 습기에 대한 민감도, 변화하는 접촉 특성들 및 신뢰성의 부족, 등등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기계적 계전기의 이용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서프레서 다이오드들 또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과 같이 외부 에너지 흡수를 위한 추가의 스위칭 수단들을 도입해야할 필요없이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을 이용하는 그 구성으로 인해 때때로 더 바람직한 솔루션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 모터 (1) 의 권선들 (U, V, W) 은 6 개의 스위치들 (5) 을 이용하는 AC 변환기 (3)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AC 변환기 (3) 는 상기 전기 모터 (1) 의 권선들 (U, V, W) 에 할당되는 3 개의 출력부들 (17, 18, 19) 을 포함하고, 전력 반도체 스위치 (2) 가 각 경우에 상기 AC 변환기 (3) 의 출력부들 (17, 18, 19) 과 상기 권선들 (U, V, W) 사이에 배열되고, 결함이 있는 스위치들 (5) 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 (10), 상기 AC 변환기 (3) 의 출력부들 (17, 18, 19) 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유닛 (11) 및 상기 스위치들 (5) 과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 (4) 가 제공되며,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를 검출한 후에, 상기 AC 변환기 (3) 는, 전력이 더 이상 상기 전기 모터 (1) 의 권선들 (U, V, W) 내에 도입되지 않고,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이 미리 정의된 모터 포지션 각도
    Figure 112013117955499-pct00029
    에서 연속해서 오픈되도록,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4) 에 의해 스위칭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30
    은 각 경우, 권선 (U, V, W) 및 상기 권선의 전력 반도체 스위치 (2) 에 할당되고,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이 오프닝 프로세스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31
    은,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에서 우세한 드레인 전류 (ID) 가 0 또는 거의 0 이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32
    은,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에서 우세한 드레인 전류 (ID) 가 네거티브이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9026355331-pct00033
    은 상기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의 포지션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상기 전기 모터 (1) 의 회전 방향에만 의존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6.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기 모터 (1) 의 권선들 (U, V, W) 은 6 개의 스위치들 (5) 을 이용하는 AC 변환기 (3)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AC 변환기 (3) 는 상기 전기 모터 (1) 의 권선들 (U, V, W) 에 할당되는 3 개의 출력부들 (17, 18, 19) 을 포함하고, 전력 반도체 스위치 (2) 가 각 경우에 상기 AC 변환기 (3) 의 출력부들 (17, 18, 19) 과 상기 권선들 (U, V, W) 사이에 배열되고, 결함이 있는 스위치들 (5) 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 (10), 상기 AC 변환기 (3) 의 출력부들 (17, 18, 19) 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유닛 (11) 및 상기 스위치들 (5) 과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 (4) 가 제공되며,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4) 는, 결함이 있는 스위치 (5) 의 검출 후에, 전력이 더 이상 상기 전기 모터 (1) 의 권선들 (U, V, W) 내에 도입되지 않도록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4) 에 의해 상기 AC 변환기 (3) 를 스위칭 오프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4) 는 추가로,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을 미리 정의된 모터 포지션 각도
    Figure 112019026355331-pct00034
    에서 연속해서 오픈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4) 는,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35
    을 각 경우 권선 (U, V, W) 및 상기 권선의 전력 반도체 스위치 (2) 에 할당하고, 할당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이 오프닝 프로세스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을 선택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4) 는,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에서 우세한 드레인 전류 (ID) 가 0, 거의 0 또는 네거티브이도록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3117955499-pct00036
    을 선택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은 전력 MOSFET 트랜지스터들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이 있는 스위치들 (5) 을 검출하기 위한 유닛 (10) 및 상기 AC 변환기 (3) 의 출력부들 (17, 18, 19) 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유닛 (11) 은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4)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
    Figure 112019026355331-pct00037
    를 결정하기 위해 모터 포지션 각도 센서 (6)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12.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들 (2) 에 걸친 전압 강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비교기들 (7) 이 제공되고,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4) 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 포지션 각도들
    Figure 112019026355331-pct00038
    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KR1020137034225A 2011-05-24 2012-05-23 브러시리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디바이스 Active KR102035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76406 2011-05-24
DE102011076406.2 2011-05-24
PCT/EP2012/059594 WO2012160092A2 (de) 2011-05-24 2012-05-2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eines bürstenlosen mo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170A KR20140040170A (ko) 2014-04-02
KR102035358B1 true KR102035358B1 (ko) 2019-10-22

Family

ID=4620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225A Active KR102035358B1 (ko) 2011-05-24 2012-05-23 브러시리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12796B2 (ko)
EP (1) EP2715932B1 (ko)
KR (1) KR102035358B1 (ko)
CN (1) CN103548254B (ko)
DE (1) DE102012208632A1 (ko)
WO (1) WO20121600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0090A2 (de) * 2011-05-26 2012-11-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eines bürstenlosen motors
DE102011078672A1 (de) 2011-07-05 2013-01-10 Robert Bosch Gmbh Elektronisch kommutierter Elektromotor mit einer Defektabschaltung
US9065275B2 (en) 2013-08-26 2015-06-23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Driving circuit for an electric motor
FR3013170B1 (fr) * 2013-11-14 2015-12-25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Procede d'evacuation de l'energie stockee dans un stator d'un moteur electrique
US9876458B2 (en) 2014-03-19 201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device for AC rotating machin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GB201416011D0 (en) * 2014-09-10 2014-10-22 Trw Ltd Motor drive circuitry
EP3131198B1 (en) * 2015-08-10 2022-06-08 Goodrich Actuation Systems Limited Control strategy of a dual lane fault tolerant permanent magnet motor to reduce drag torque under fault condition
FR3042322B1 (fr) * 2015-10-07 2017-11-0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pour limiter le courant dans des dispositifs de type "pont en h"
DE102016221438A1 (de) * 2016-10-11 2018-04-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otoranordnung
DE102017211219A1 (de) 2017-06-30 2019-01-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insbesondere eines Lenkunterstützungsantriebs
GB201719771D0 (en) * 2017-11-28 2018-01-10 Trw Ltd Control circuit for a multi-phase motor
DE102018123903A1 (de) * 2018-09-27 2020-04-02 Thyssenkrupp Ag Temperaturmessung eines Halbleiterleistungsschaltelementes
DE102018220768A1 (de) * 2018-11-30 2020-06-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torsystems mit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nd zugehöriges Motorsystem
US11063535B2 (en) * 2019-09-13 2021-07-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ering motor brake
DE102020109438A1 (de) 2020-04-03 2021-10-07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Schutz eines Sicherheitsschalters einer Steuereinheit eines Elektromotor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0435A (en) * 1980-01-04 1981-02-10 General Electric Company Clock rate control of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rotational velocity
US5339235A (en) 1993-05-11 1994-08-16 Alliedsignal Inc. Fault compensating multi-step wave inverter
JP3297159B2 (ja) 1993-09-14 2002-07-0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直流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およびその良否識別方法
TW328190B (en) 1994-06-14 1998-03-11 Toshiba Co Ltd Control device of brushless motor and method of fault detection and air conditioner
US5473241A (en) * 1994-07-26 1995-12-05 Allen-Bradley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MS measurements in induction motor without sampling
JP4249916B2 (ja) * 2000-09-18 2009-04-08 エドワーズ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回路、ブラシレスモータ装置、及び真空ポンプ装置
JP4493865B2 (ja) 2001-02-19 2010-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DE10223139A1 (de) * 2002-05-24 2003-12-11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 kommutierbarer Motor
US20040228050A1 (en) 2003-05-13 2004-11-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Use of unidirectional FET switches for motor electrical disengagement
JP4422567B2 (ja) 2004-06-30 2010-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モータ駆動装置,電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884450B2 (ja) 2004-07-08 2007-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081327A (ja) 2004-09-10 2006-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ータの故障検出装置
KR20070021573A (ko)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인버터부의 고장검출장치
JP4784478B2 (ja) 2006-04-20 2011-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多相回転電機の制御装置
EP2075907B1 (en) 2006-10-19 2020-04-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converter
JP4333751B2 (ja) 2007-02-15 2009-09-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US8232752B2 (en) * 2007-04-16 2012-07-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motor control apparatus
DE102007024659A1 (de) 2007-05-26 2008-11-27 Zf Lenksysteme Gmbh Hilfskraftlenkung
JP5282376B2 (ja) * 2007-06-29 2013-09-04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623063B2 (ja) * 2007-08-02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操舵補助装置
JP5082719B2 (ja) * 2007-09-26 2012-11-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112956B2 (ja) 2008-05-30 2013-01-09 株式会社マキタ 充電式電動工具
DE102010001241A1 (de) * 2009-04-01 2010-10-07 Robert Bosch Gmbh Elektronisch kommutierter Elektromotor mit einer Notlaufeigenschaft
JP4998836B2 (ja) 2009-09-30 2012-08-15 株式会社デンソー 多相回転機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688689B2 (ja) * 2012-08-27 2015-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機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170A (ko) 2014-04-02
WO2012160092A3 (de) 2013-08-08
CN103548254B (zh) 2016-06-01
WO2012160092A2 (de) 2012-11-29
US9312796B2 (en) 2016-04-12
EP2715932A2 (de) 2014-04-09
US20140077736A1 (en) 2014-03-20
CN103548254A (zh) 2014-01-29
DE102012208632A1 (de) 2012-11-29
EP2715932B1 (de)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358B1 (ko) 브러시리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87573B1 (ko) 인버터용 작동 상태 회로, 및 인버터의 작동 상태 설정 방법
US8760095B2 (en) Rotator control device, rotator system, vehicle, electric car and electric generation system
US8947838B2 (en) Overcurrent fault de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drive control system
JP4968698B2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6053052B2 (ja) 回転式電気機械を制御する方法、同じく制御システム、および回転式電気機械
US9065275B2 (en) Driving circuit for an electric motor
EP3193443B1 (en) Inverter device for driving multi-phase ac motor
US20140191700A1 (en) Operating state circuit for inverter and method for setting operating states of an inverter
US11070161B2 (en) Electric-motor driving device and refrigeration-cycle application apparatus including electric-motor driving device
US7239099B2 (en) Circuit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motor, in particular of a washing machine
JP5441481B2 (ja) インバータ装置の故障診断方法
CN105813881A (zh) 用于运行电机的装置和方法
KR101912970B1 (ko) 브러시리스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9941815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overcurrent simulating circuit
US1070339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 electric network in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US9240751B2 (en) Phase current detection system
US201801151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 Electrical Network in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JP2022515397A (ja) 電圧変換器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7852126B (zh) 用于运行变频器的方法和变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