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0111B1 -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111B1
KR101950111B1 KR1020170129648A KR20170129648A KR101950111B1 KR 101950111 B1 KR101950111 B1 KR 101950111B1 KR 1020170129648 A KR1020170129648 A KR 1020170129648A KR 20170129648 A KR20170129648 A KR 20170129648A KR 101950111 B1 KR101950111 B1 KR 10195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palladium
platinum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승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1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22B3/0017
    • C22B3/0052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22B3/10Hydrochloric acid, other halogenated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6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liquid-liquid extraction using organic compounds
    • C22B3/30Oxim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6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liquid-liquid extraction using organic compounds
    • C22B3/38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liquid-liquid extraction us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22B3/382Phosphine chalcogenides, e.g. compounds of the formula R3P=X with X = O, S, Se or 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에서,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에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을 포함하는 제1 추출제를 사용하여 금(Au)과 팔라듐(Pd)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백금(Pt)을 분리하는 제1 단계와, 탈거제를 사용하여 상기 금(Au)과 팔라듐(Pd)이 추출된 제1 추출제로부터 금(Au)과 팔라듐(Pd)을 탈거하여 염산 수용액을 만드는 제2 단계와, 상기 염산 수용액에 포함된 금(Au)을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을 포함하는 제2 추출제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금(Au)과 팔라듐(Pd)을 분리하는 제3 단계와, 탈거제를 사용하여 상기 금(Au)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제2 추출제로부터 금(Au)을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SEPARATION METHOD OF GOLD, PLATINIUM AND PALLADIUM FROM HYDROCHLORIC ACID CONTAINING GOLD, PLATINIUM AND PALLADIUM}
본 발명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에서,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귀금속은 그 우수한 화학적,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산업용 재료로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고, 귀금속의 순도는 응용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고순도의 귀금속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이온 교환법이나 용매 추출법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구리 양극의 전기 정제 과정에 생성되는 양극 슬라임에는 금(Au) 뿐만 아니라 백금(Pt)과 팔라듐(Pd)이 포함되어 있어, 이 양극 슬라임의 침출 용액으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Au(III), Pt(IV) 및 Pd (II)의 효율적인 분리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Au(III)의 용매 추출에는 아민과 이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있고, 이들 추출제에 의한 염산 용액으로부터의 Au(III)의 추출 반응은 음이온 교환이나 용매화 반응 중 하나에 의한다.
한편, 공지의 아민계 추출제에 의한 Au(III)의 추출 과정에서는 제3상이 형성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강한 염산 용액에 포함된 Au(III), Pt(IV) 및 Pd(II)으로부터 Au(III)을 분리하기 위하여, 아민과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할 경우, Pt(IV)와 Pd(II)에 대해 Au(III) 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특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함께 추출된 Pd(Ⅱ)와 Pt(Ⅳ)를 추출제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스크러빙(scrubbing) 또는 선택적 탈거(stripping)가 필요하게 되어,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41080호
본 발명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에서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에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을 포함하는 제1 추출제를 사용하여 금(Au)과 팔라듐(Pd)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백금(Pt)을 분리하는 제1 단계와, 탈거제를 사용하여 상기 금(Au)과 팔라듐(Pd)이 추출된 제1 추출제로부터 금(Au)과 팔라듐(Pd)을 탈거하여 염산 수용액을 만드는 제2 단계와, 상기 염산 수용액에 포함된 금(Au)을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을 포함하는 제2 추출제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금(Au)과 팔라듐(Pd)을 분리하는 제3 단계와, 탈거제를 사용하여 상기 금(Au)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제2 추출제로부터 금(Au)을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기술에 비해,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 효율이 우수하고, 극소량으로 포함된 금(Au)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추출제의 제품명, 구조 및 화학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에 따른 LIX 63의 각 성분에 대한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금(Au)만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 및 LIX 63의 농도에 따른 금(Au)의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에 따른 Cyanex 272의 각 성분에 대한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금(Au)만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 및 Cyanex 272의 농도에 따른 금(Au)의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금(Au)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교반시간에 따른 Cyanex 272의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이 포함된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분리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에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을 포함하는 제1 추출제를 사용하여 금(Au)과 팔라듐(Pd)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백금(Pt)을 분리하는 제1 단계와, 탈거제를 사용하여 상기 금(Au)과 팔라듐(Pd)이 추출된 제1 추출제로부터 금(Au)과 팔라듐(Pd)을 탈거하여 염산 수용액을 만드는 제2 단계와, 상기 염산 수용액에 포함된 금(Au)을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을 포함하는 제2 추출제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금(Au)과 팔라듐(Pd)을 분리하는 제3 단계와, 탈거제를 사용하여 상기 금(Au)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제2 추출제로부터 금(Au)을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제1 추출제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염산 침출액에서 염산의 농도는 0.5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5~5.5M의 범위에서는 Au(III)와 Pd(II)의 추출 효율이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제1 추출제의 적정 농도는 초기 금(Au)의 농도에 의존하는데, 금(Au) 100 ppm에 대해 추출제의 농도를 0.1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제1 추출제는 LIX 63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탈거제는 (NH4)2S2O3 및 (NH2)2C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제2 추출제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염산의 농도는 0.5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3M의 범위에서는 Pd(II)가 함께 존재할 때, Au(III)만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제2 추출제의 적정 농도는 초기 금(Au)의 농도에 의존하는데, 금(Au) 100 ppm에 대해 추출제의 농도를 0.1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 이상으로 하는 것이 금(Au)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제2 추출제는 Cyanex 272일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탈거제는 (NH4)2S2O3 및 (NH2)2C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및 제3 단계의 추출 공정에서, 수상과 유기상의 교반 공정은 추출률을 고려할 때 5분 이상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 수행하는 것이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한 추출제의 제품명, 구조 및 화학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추출제는 별도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으며, 추출제의 희석제로는 등유(대정 화학 공업)를 사용하였다.
용매 추출 및 탈거 공정은 동일한 부피(10 mL)의 유기상 및 수상을 혼합한 후, 교반기를 사용하여 30분간(추출 및 탈거 평형이 초기 테스트에서 30분 이내에 도달하였음) 교반하고 평형 상태에서 분별 깔대기를 사용하는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이 모든 공정은 상온(25±1℃)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추출 전후의 수용액상에서의 금속이온 농도를 ICP-AES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금속이온이 추출된 유기상에서의 금속이온 농도는 매스 밸런스(mass balance)로 계산하였다.
용매추출시험을 통해 아래 [식 1] 및 [식 2]를 통해 각 성분의 추출률과 탈거율을 계산하였다.
[식 1]
추출률(%) = (유기상에서 금속 평형 질량)/(추출전 수용액상에서의 금속 초기 질량)×100
[식 2]
탈거율(%) = (탈거후 수용액상에서 금속 평형 질량)/(탈거 전 유기상에서의 금속 초기 질량)×100
Au(III) 및 Pd(II)의 선택적 추출
LIX 63의 Au(III), Pt(IV) 및 Pd(II)를 함유한 염산 용액에서 Au(III)의 선택적 추출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HAuCl4, PtCl4(99.9%, 알파-에이사) 및 PdCl2(99.9%, 시그마-알드리치)를 용해하여 Au(III), Pt(IV) 및 Pd(II)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본 시험에서 HCl의 농도는 0.5~9M로 변화되었고, Au(III), Pt(IV) 및 Pd(II)는 각각 100mg/L, LIX 63의 농도는 0.2M로 고정되었고, 유기상(O)과 수상(A)의 부피비(O/A)는 1이었고, 추출시 교반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도 3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에 따른 LIX 63의 각 성분에 대한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0.5~5M의 HCl 농도 범위에서 LIX 63에 의해 Pd(II)는 거의 대부분이 추출되었으며, HCl 농도가 7M일 때는 다소 감소하였고, HCl 농도가 9M일때는 Pd(II)의 추출률이 80% 이하고 낮아졌다. 한편, HCl 농도가 0.5~3M의 범위에서는 추출률은 70~90% 수준이었고, 5~9M에서는 95% 이상의 추출률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HCl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경우, Au(III), Pt(IV) 및 Pd(II)를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에서 Au(III)와 Pd(II)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HCl 농도가 4.5~5.5M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 4는 금(Au)만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에 따른 LIX 63의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LIX 63의 농도가 0.1M일 때 HCl 농도 0.5~9M 범위에서 약 60%~90%의 추출률을 나타내며, LIX 63의 농도가 0.2M 이상일 때 HCl 농도 0.5~9M 범위에서는 약 80~100%의 추출률을 나타내며, 금(Au)의 추출 효율의 관점에서 0.2M 이상의 농도에서 HCl 농도가 2.5M ~9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Au(III) 및 Pd(II)의 탈거
용매 추출 공정에서 추출된 금속의 탈거의 용이성은 추출제의 재사용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효율적인 공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탈거시험에는, 0.2M의 LIX 63을 5M HCl 용액 중의 100mg/L Au(III)와 접촉시켜 Au(III)을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LIX 63에 추출된 Au(III)의 농도는 97mg/L이었다.
아래 표 1은 LIX 63으로 추출된 Au(III))의 탈거제로 시험된 다양한 물질의 탈거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추출제 탈거율(%)
1M HCl 1M NH4SCN 1M (NH2)2CS 1M NH4Cl 0.5M (NH4)2S2O3
LIX 63 13.0 11.8 100 16.2 100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HCl, NH4SCN 및 NH4Cl의 경우, LIX 63으로 추출된 Au(III))의 탈거제로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에 비해, (NH4)2S2O3와 (NH2)2CS는 Au(III)을 완전하게 탈거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NH4)2S2O3 또는 (NH2)2CS로 이루어진 탈거제를 사용할 경우 Au(III)와 함께 Pd(II)도 탈거되므로, 탈거액에 포함된 Au(III)와 Pd(II)을 분리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Au(III)와 Pd(II)가 탈거된 LIX 63은 재사용될 수 있다.
Au(III)의 선택적 추출
Au(III)와 Pd(II)을 포함하는 탈거액으로부터 Au(III)와 Pd(II)의 분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yanex 272를 사용하였다.
Cyanex 272의 Au(III)의 선택적 추출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HAuCl4, PtCl4(99.9%, 알파-에이사) 및 PdCl2(99.9%, 시그마-알드리치)를 용해하여 Au(III), Pt(IV) 및 Pd(II)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본 시험에서 HCl의 농도는 0.5~9M로 변화되었고, Au(III), Pt(IV) 및 Pd(II)는 각각 100mg/L, 추출제의 농도는 0.2M로 고정되었고, 유기상(O)과 수상(A)의 부피비(O/A)는 1이었고, 추출시 교반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도 5는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에 따른 Cyanex 272의 각 성분에 대한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0.5~9M의 HCl 농도 범위에서 Cyanex 272에 의해 Au(III)만 선택적으로 추출되었다. 특히 HCl 농도가 3M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M 이하)인 경우, Cyanex 272에 의해 Au(III) 이외에 Pt(Ⅳ)와 Pd(II)가 전혀 추출되지 않아, Pt(IV)와 Pd(II)로부터 Au(III)를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yanex 272를 사용할 경우, Au(III)와 Pd(II)을 포함하는 탈거액으로부터 Au(III)가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금(Au)만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와 추출제의 농도에 따른 Cyanex 272의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시험에서 HCl의 농도는 0.5 ~ 9M로 변화되었고, Au(III)는 100ppm, 추출제의 농도는 0.1 ~ 0.5M로 변화되었고, 유기상(O)과 수상(A)의 부피비(O/A)는 1이었고, 추출시 교반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Cyanex 272의 농도가 0.1M일 경우에는 HCl의 농도가 낮으면 Au(III)의 추출률이 상당히 낮아지므로, Cyanex 272의 농도는 0.1M 이상, 낮은 HCl 농도에서는 바람직하게 0.2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M 이상인 것이 Au(III)의 추출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금(Au)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교반시간(shaking time)에 따른 Cyanex 272의 추출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시험에서 HCl의 농도는 5M로 고정되었고, Au(III)는 100mg/L, 추출제의 농도는 0.2M로 고정되었고, 유기상(O)과 수상(A)의 부피비(O/A)는 1이었고, 추출시 교반시간은 1분 ~ 30분으로 변화되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반시간이 약 5분경에 추출률은 100%에 도달하였고, 30분이 경과한 시점에 평형 상태를 이룬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반시간은 적어도 5분 이상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분 이상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u(III)의 탈거
Au(III)의 탈거시험에는, 0.2M의 Cyanex 272를 3M HCl 용액 중의 100mg/L Au(III)와 접촉시켜 Au(III)을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Cyanex 272에 추출된 Au(III)의 농도는 100mg/L이었다.
아래 표 2는 Cyanex 272로 추출된 Au(III))의 탈거제로 시험된 다양한 물질의 탈거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추출제 탈거율(%)
1M HCl 1M NH4SCN 1M (NH2)2CS 1M NH4Cl 0.5M (NH4)2S2O3
Cyanex 272 1.5 60.8 100 54.7 99.7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HCl, NH4SCN 및 NH4Cl의 경우, Cyanex 272로 추출된 Au(III))의 탈거제로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에 비해, (NH4)2S2O3와 (NH2)2CS는 Au(III)을 완전하게 또는 거의 완전하게 탈거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Cyanex 272 추출제로부터 Au(III)을 완전하게 탈거할 수 있어, Cyanex 272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에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을 포함하는 제1 추출제를 사용하여 금(Au)과 팔라듐(Pd)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백금(Pt)을 분리하는 제1 단계와,
    (NH4)2S2O3 및 (NH2)2C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탈거제를 사용하여 상기 금(Au)과 팔라듐(Pd)이 추출된 제1 추출제로부터 금(Au)과 팔라듐(Pd)을 탈거하여 염산 수용액을 만드는 제2 단계와,
    상기 염산 수용액에 포함된 금(Au)을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을 포함하는 제2 추출제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금(Au)과 팔라듐(Pd)을 분리하는 제3 단계와,
    (NH4)2S2O3 및 (NH2)2C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탈거제를 사용하여 상기 금(Au)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제2 추출제로부터 금(Au)을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염산 침출액에서 염산의 농도는 0.5M 이상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염산 침출액에서 염산의 농도는 4.5~5.5M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금(Au) 100 ppm에 대해 제1 추출제의 농도는 0.1M 이상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금(Au) 100 ppm에 대해 제1 추출제의 농도는 0.2M 이상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제는 LIX 63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제2 추출제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염산 수용액에서 염산의 농도는 0.5M 이상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제2 추출제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염산 수용액에서 염산의 농도는 0.5~3M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제의 농도는 금(Au) 100 ppm에 대해 0.1M 이상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제의 농도는 금(Au) 100 ppm에 대해 0.2M 이상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제2 추출제는 Cyanex 272인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제3 단계의 추출 공정에서, 수상과 유기상의 교반 공정은 5분 이상 수행하는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의 분리방법.
KR1020170129648A 2017-10-11 2017-10-11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Active KR10195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48A KR101950111B1 (ko) 2017-10-11 2017-10-11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48A KR101950111B1 (ko) 2017-10-11 2017-10-11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111B1 true KR101950111B1 (ko) 2019-02-19

Family

ID=6552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648A Active KR101950111B1 (ko) 2017-10-11 2017-10-11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59B1 (ko) 2020-12-28 2021-05-04 한국광물자원공사 하이드록시 옥심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080A (ko) 2010-06-09 2013-04-24 오토텍 오와이제이 용매 추출에 의한 금 회수 방법
KR101720900B1 (ko) * 2016-06-21 2017-03-2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염산용액에 포함된 백금, 팔라듐, 로듐 및 이리듐의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080A (ko) 2010-06-09 2013-04-24 오토텍 오와이제이 용매 추출에 의한 금 회수 방법
KR101720900B1 (ko) * 2016-06-21 2017-03-2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염산용액에 포함된 백금, 팔라듐, 로듐 및 이리듐의 분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rzegorz WOJCIK, et al., RECOVERY OF GOLD(III), PALLADIUM(II) AND PLATINUM(IV) IONS FROM CHLORIDE SOLUTIONS ON SOLVENT IMPREGNATED RESIN-PUROLITE? MN 202, p. 270~271,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ysic* *
Grzegorz WOJCIK, et al., RECOVERY OF GOLD(III), PALLADIUM(II) AND PLATINUM(IV) IONS FROM CHLORIDE SOLUTIONS ON SOLVENT IMPREGNATED RESIN-PUROLITE® MN 202, p. 270~271,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ys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59B1 (ko) 2020-12-28 2021-05-04 한국광물자원공사 하이드록시 옥심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900B1 (ko) 염산용액에 포함된 백금, 팔라듐, 로듐 및 이리듐의 분리방법
CA1036363A (en) Separation of metals
KR101950111B1 (ko)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KR101950108B1 (ko)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의 분리방법
KR20230131356A (ko) 비수용액을 이용한 선택적 침출에 의한 백금과 팔라듐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이를 위한 침출액
JP6929240B2 (ja) 電池用硫酸コバルトの製造方法
JP5777150B2 (ja) 白金及びパラジウムの回収方法
KR101950110B1 (ko) 백금과 팔라듐의 분리방법
JPH09279264A (ja) 貴金属の連続抽出方法および回収方法
WO2014069463A1 (ja) 銀の回収方法
KR102136456B1 (ko)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금의 회수방법
JPH11229052A (ja) 白金およびパラジウムの分離除去方法
KR102026019B1 (ko)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KR101858873B1 (ko) 코발트 회수를 위한 용매추출방법
KR101925725B1 (ko) 유리 산업 스크랩으로부터 백금 및 로듐의 회수방법
JPH07331349A (ja) パラジウムと銀の分離回収方法
EP3861144A1 (en) Method for the recovery of palladium
JP2021075755A (ja) 金イオンの高効率抽出剤及びそれを用いた金の分離回収方法
JPH07300630A (ja) 銀の分離回収方法及び銀とパラジウムの分離回収方法
JP4321929B2 (ja) 銀の分離・回収方法
KR102320891B1 (ko)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JP4506041B2 (ja) 塩化ニッケル溶液からのオスミウムとルテニウムの除去方法
RU2260068C1 (ru) Экстракционный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мышьяка (+5) из кислых сульфатных растворов
JP2007308749A (ja) 白金とパラジウムの分離方法
CN119351767A (zh) 一种含银贵金属物料硝酸脱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