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0891B1 -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91B1
KR102320891B1 KR1020190159696A KR20190159696A KR102320891B1 KR 102320891 B1 KR102320891 B1 KR 102320891B1 KR 1020190159696 A KR1020190159696 A KR 1020190159696A KR 20190159696 A KR20190159696 A KR 20190159696A KR 102320891 B1 KR102320891 B1 KR 10232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balt
ruthenium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scr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892A (ko
Inventor
이만승
안형훈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53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23/0461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6Wet processes
    • C22B7/007Wet processes by acid lea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초경합금에 포함된 고가의 금속인 루테늄과 코발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루테늄과 코발트를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유기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루테늄과 코발트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a)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및 트리-엔-옥틸아민(tri-n-octylamin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제를 사용하고, 상기 염산 침출액의 HCl 농도를 1M ~ 5M 또는 9M 이상으로 하여, 상기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루테늄 또는 코발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선택적으로 추출된 루테늄 또는 코발트를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METHOD FOR RECOVERY RUTHENIUM AND COBALT FROM SCRAP}
본 발명은 루테늄과 코발트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테늄을 함유하는 폐초경합금에 포함된 루테늄과 코발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화텅스텐(WC)은 고온에서 경도와 내마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인성이 우수하다. 초경 합금은 탄화텅스텐(WC)을 코발트(Co), 니켈(Ni) 또는 철(Fe)과 같은 결합제로 복합화하여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탄화텅스텐(WC)과의 양호한 젖음성을 나타내는 코발트가 니켈이나 철에 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초경 합금에는 기계적 및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금족 원소가 첨가되기도 하는데, 백금족 원소 중에는 루테늄(Ru)의 첨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루테늄은 코발트 상의 적층 결함 에너지를 감소시켜 코발트 구조를 입방정에서 육방정으로의 변형을 촉진하여 결합제 상의 석출 경화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WC-Co 합금에 루테늄을 첨가하면 인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루테늄, 텅스텐 및 코발트는 모두 고가의 귀금속이므로, WC-Co 합금 스크랩으로부터, 이들 금속의 회수하여 재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루테늄을 함유하지 않은 WC-Co 합금 스크랩에서 코발트와 텅스텐의 회수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루테늄을 함유한 초경 합금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WC-Co 합금 스크랩은 산 또는 알칼리 용액으로 용해될 수 있는데, 초경 합금의 산 침출 시에 텅스텐은 텅스텐산으로 침전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코발트는 암모니아의 존재 및 산소 가스의 공급 시에 알칼리 용액에 용해될 수 있지만 알칼리 용액으로 루테늄을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알칼리 용융염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루테늄을 포함하는 WC-Co 합금 스크랩의 침출 공정으로는, 산 침출이 알칼리 침출에 비해 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2-00553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루테늄을 함유하는 폐초경합금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루테늄과 코발트를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유기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루테늄과 코발트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a)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및 트리-엔-옥틸아민(tri-n-octylamin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제를 사용하고, 상기 염산 침출액의 HCl 농도를 1M ~ 5M 또는 9M 이상으로 하여, 상기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루테늄 또는 코발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선택적으로 추출된 루테늄 또는 코발트를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루테늄을 함유하는 폐초경합금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Alamine 300과 Aliquat 336에 의한 Co(II)와 Ru(III) 추출에 대한 HCl 농도의 영향([추출제]=0.1M, [Co(II)]=100 mg/L, [Ru(III)]=10 mg/L)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3M HCl 용액에서, Co(II)의 분리에 대한 Ru(III) 농도의 영향(([추출 제]=0.1M 및 [Co(II)]=100 mg/L)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3M HCl 용액에서, log[Aliquat 336] vs. Ru(III) 및 Co(II)의 logD의 플롯([Co(II)]=100 mg/L, [Ru(III)]=10 mg/L)이다.
도 4는 로딩된 Aliquat 336에서 Ru(III)을 탈거할 때 HCl 농도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루테늄과 코발트를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에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및 트리-엔-옥틸아민(tri-n-octylamin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제를 사용하고, 상기 염산 침출액의 HCl 농도를 1M ~ 5M 또는 9M 이상으로 하여, 상기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루테늄 또는 코발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단계와, 선택적으로 추출된 루테늄 또는 코발트를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추출제는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를 포함하고, 상기 염산 침출액의 HCl 농도는 1M ~ 4M로 유지하여, 루테늄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는 추출률이 높고 HCl의 농도도 낮게 유지할 수 있어, 회수 효율의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추출제는 트리-엔-옥틸아민(tri-n-octylamine)을 포함하고, 상기 염산 침출액의 HCl 농도는 2M ~ 5M로 유지하여, 루테늄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는 0.05M 미만일 경우 상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0.5M 초과일 경우 탈거율이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0.05M ~ 0.5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5M ~ 0.3M이 보다 바람직하며, 0.07M ~ 0.2M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제는 Aliquat 336 또는 Alamine 3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추출제에는 제3 상의 억제를 위하여 TBP(tributyl phosphaet)가 첨가될 수 있으며, TBP는 부피 비율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liquat 336의 농도는 0.05M 미만일 경우 추출률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고 0.3M 초과일 경우, 코발트가 함께 추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0.05M ~ 0.3M이 바람직하고, 0.07M ~ 0.2M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루테늄 함유 WC-Co 합금의 산 침출액
루테늄을 함유한 WC-Co 합금을, 5M HCl, 반응 온도 70℃, 교반 속도 200rpm, 펄프 밀도 3g/L, 반응 시간 5시간, 10 부피%의 H2O2를 산화제로서 침출액에 첨가하여 침출 공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Co(II) 및 Ru(III)의 침출률은 각각 98%와 95%로 나타났다. 이때, Co(II) 및 Ru(III)의 농도는 98 mg/L와 16 mg/L 인 반면, W(VI)의 농도는 3 mg/L에 불과했다. 즉, WC-Co 합금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텅스텐(W)은 HCl 용액에 의한 침출 공정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출액에 포함되는 W(VI)의 농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루테늄과 코발트 분리 시험에는 Co(II)와 Ru(III) 만을 용해시켜 제조한 합성 용액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RuCl3(99.9%) 및 CoCl2_6H2O(99%)를 염산 용액(35%)에 용해시켜, 루테늄과 코발트 분리 시험용 합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합성 용액은 Co(II)의 농도를 100 mg/L로 고정하고, Ru(III)의 농도를 10 mg/L ~ 100 mg/L의 범위로 조절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추출제 및 추출률 및 탈거율 계산
추출제로는 알라민 300(97%) 및 Aliquat 336(99%)를 사용하였으며, 추출제의 희석제로는 등유(대정화학)를 사용하였다.
용매 추출 및 탈거 공정은 동일한 부피(10 mL)의 유기상 및 수상을 혼합한 후, 교반기를 사용하여 40분간 교반하고 평형 상태에서 분별 깔대기를 사용하는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이 모든 공정은 실온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추출 전후의 수용액상에서의 금속이온 농도를 ICP-OES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금속이온이 추출된 유기상에서의 금속이온 농도는 매스 밸런스(mass balance)로 계산하였다. 용매추출시험을 통해 아래 [식 1] 및 [식 2]를 통해 각 성분의 추출률과 탈거율을 계산하였다.
[식 1]
추출률(%) = (유기상에서 금속 평형 질량)/(추출전 수용액상에서의 금속 초기 질량)×100
[식 2]
탈거율(%) = (탈거후 수용액상에서 금속 평형 질량)/(탈거 전 유기상에서의 금속 초기 질량)×100
용매 추출 공정
도 1은 Alamine 300과 Aliquat 336에 의한 Co(II)와 Ru(III) 추출에 대한 HCl 농도의 영향([추출제]=0.1M, [Co(II)]=100 mg/L, [Ru(III)]=10 mg/L)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추출제로 Alamine 300과 Aliquat 336을 사용할 경우, Ru(III)와 Co(II)의 추출 거동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Aliquat 336에 의한 Ru(III) 및 Co(II)의 추출률이 Alamine 300에 의한 것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Aliquat 336과 Alamine 300을 추출제로 사용할 때, Ru(III)의 추출률은 HCl 농도가 1M에서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3M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며, 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Co(II)의 경우, HCl 농도가 3M일 때부터 추출되기 시작하여 H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HCl 농도는 Ru(III) 및 Co(II)의 추출률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3M ~ 5M을 경계로 하여, Co(II)가 추출되거나 추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누어지므로, HCl 농도를 통해 양 금속 이온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HCl 농도가 3M ~ 5M 이하인 조건에 추출하게 되면, Ru(III)이 선택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9M을 경계로 하여, Alamine 300을 추출제로 사용하게 되면, Co(II)가 추출되고 Ru(II)는 추출되지 않으므로, Co(II)의 선택적인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추출 효율과 HCl의 농도 측면에서 볼 때, Aliquat 336을 사용하여 HCl 3M 이하의 조건에서 추출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Ru(III) 농도가 추출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u(III)의 농도를 10 ~ 100 mg/L로 변화시키면서 추출률을 조사하였으며, 이때 HCl의 농도는 3M로 하였고, Co(II)의 농도는 100 mg/L로 하였다.
도 2는 3M HCl 용액에서, Co(II)의 분리에 대한 Ru(III) 농도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Ru(III) vs. Co(II)의 농도 비가 1 이하로 유지할 경우, Ru(III)가 3M의 HCl 용액으로부터 Co(II)에 대해 선택적으로 추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출제로 Aliquat 336을 사용할 때 추출제의 농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Aliquat 336의 농도를 0.05M에서 0.7M까지의 농도를 변화시켜 추출 거동을 조사하였다. 이때, 3M HCl 용액 중 Ru(III) 및 Co(II)의 농도는 각각 10 mg/L와 100 mg/L로 고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0.05M ~ 0.7M의 Aliquat 336 농도 내에서, Ru(III) 및 Co(II)의 logD 에 대한 log[Aliquat 336]의 플롯은 기울기가 1에 가까운 선형 라인을 나타낸다. 도 3의 기울기는 Aliquat 336 1 몰이 3M HCl 용액으로부터 1 몰의 Ru(III) 및 Co(II)의 용매 추출에 참여함을 의미한다. Co(II)의 분배계수(D)는 Aliquat 336 농도에 비례하여 선형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분리성의 측면에서는 Aliquat 336 농도를 줄이고 역류 단계 수를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Ru(III)의 탈거
Aliquat 336에 의해 3M HCl 용액에서 Co(II)에 대해 선택적으로 추출된 Ru(III)로부터 Ru(III)의 탈거를 HCl 용액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10 mg/L의 Ru(III)과 100 mg/L의 Co(II) 합성 용액의 추출 공정을 통해 로딩된 Ali1uat 336을 준비하였다. 이때 Aliquat 336의 농도는 0.1M이고 제3상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TBP(tributyl phosphaet)가 10 부피% 첨가되었다.
탈거에 사용된 HCl 용액의 농도는 0.01M에서 3M로 조절되었고, 도 4는 탈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H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탈거율을 급격하게 감소하며, 3M 일 때 0이 되었다. 한편, HCl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Ru(III)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므로, 탈거시 HCl의 농도는 0.05 M ~ 0.5 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Claims (8)

  1. 루테늄과 코발트를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유기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루테늄과 코발트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a) 상기 염산 침출액의 HCl 농도를 1M ~ 5M로 조절하고,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및 트리-엔-옥틸아민(tri-n-octylamin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제를 사용하여, 상기 루테늄과 코발트를 포함하는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루테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선택적으로 추출된 루테늄을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추출제는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만을 포함하고, 상기 염산 침출액의 HCl 농도는 1M ~ 4M인,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추출제는 트리-엔-옥틸아민(tri-n-octylamine) 만을 포함하고, 상기 염산 침출액의 HCl 농도는 2M ~ 5M인,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는 0.05M ~ 0.5M인,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는 Aliquat 336인,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는 Alamine 300인,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추출제에 TBP(tributyl phosphaet)가 첨가되는,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liquat 336의 농도는 0.05M ~ 0.3M인,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KR1020190159696A 2019-12-04 2019-12-04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Active KR10232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696A KR102320891B1 (ko) 2019-12-04 2019-12-04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696A KR102320891B1 (ko) 2019-12-04 2019-12-04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892A KR20210069892A (ko) 2021-06-14
KR102320891B1 true KR102320891B1 (ko) 2021-11-02

Family

ID=7641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696A Active KR102320891B1 (ko) 2019-12-04 2019-12-04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8858A (ja) * 2014-03-07 2015-09-28 株式会社アライドマテリアル コバルト抽出用溶液、コバルト溶液、およびコバルト回収方法
JP2015183267A (ja) 2014-03-25 2015-10-2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塩化コバルト水溶液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861B1 (ko) 2010-11-23 2013-03-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경합금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 및 코발트 회수방법
KR101545968B1 (ko) * 2013-12-18 2015-08-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촉매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8858A (ja) * 2014-03-07 2015-09-28 株式会社アライドマテリアル コバルト抽出用溶液、コバルト溶液、およびコバルト回収方法
JP2015183267A (ja) 2014-03-25 2015-10-2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塩化コバルト水溶液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892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5735A1 (en) Nickel and cobalt recovery using continuous ion exchange
Akita et al. Solvent extraction of gold (III) from hydrochloric acid media by nonionic surfactants
FI97395B (fi) Nikkelin uutosprosessi
US8916116B2 (en) Separation of iron from value metals in leaching of laterite ores
WO2015110702A1 (en) Method for recovery of copper and zinc
US20170114429A1 (en) Method for platinum recovery from materials containing rhenium and platinum metals
JP5939910B2 (ja) コバルトの回収方法
CA2252592C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nickel
KR102320891B1 (ko)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JP5850966B2 (ja) コバルト抽出用溶液、コバルト溶液、およびコバルト回収方法
JP5502178B2 (ja) 銀の回収方法
JP3823307B2 (ja) 高純度コバルト溶液の製造方法
JP5777150B2 (ja) 白金及びパラジウムの回収方法
US2015010436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molybdenum in uranium in-situ recovery process
JP6346402B2 (ja) コバルトの回収方法
KR101950110B1 (ko) 백금과 팔라듐의 분리방법
JP2011208248A (ja) 白金族元素の分離方法
JP2011179037A (ja) 超硬合金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
JP2771218B2 (ja) 水溶液からのパラジウムの回収方法
JP5423972B2 (ja) 超硬合金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
KR102026019B1 (ko)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KR20190114078A (ko)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금의 회수방법
EP241954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verying rhenium from a copper leach
JP2010174359A (ja) 有機溶媒の活性化処理方法
KR101841230B1 (ko) 몰리브덴 침출액으로부터 몰리브덴 회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