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6602B1 -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602B1
KR101896602B1 KR1020180036622A KR20180036622A KR101896602B1 KR 101896602 B1 KR101896602 B1 KR 101896602B1 KR 1020180036622 A KR1020180036622 A KR 1020180036622A KR 20180036622 A KR20180036622 A KR 20180036622A KR 101896602 B1 KR101896602 B1 KR 10189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seat plate
seat
bracke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영
박봉환
Original Assignee
이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종 filed Critical 이순종
Priority to KR102018003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좌판부의 움직임이 개선된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좌판부;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수평한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다리부; 및 상기 지지축과 좌판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되, 3절 링크구조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좌판부의 회전 및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하면서 좌판부의 자세를 수평한 제1자세와 전방으로 기울어진 제2자세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져 좌판부가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보조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후단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제1회전브라켓; 상기 제1회전브라켓의 타측단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바가 삽입되는 장공이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2회전브라켓; 및 제2자세의 좌판부가 제1자세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변형되면서 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자세의 좌판부를 제2자세로 전환시키도록 유도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장공은 고정바의 삽입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밑단이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Active seat with standing and sitting assistance functions}
본 발명은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좌판부가 회전 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을 병행하면서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보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부와 등받이부 및 다리부로 이루어지며, 등받이부의 각도 변경, 좌판부의 높이 변경 등을 통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노약자가 의자로부터 용이하게 기립하거나 앉을 수 있도록 좌판이 동작하는 기능성 의자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능성 의자는 좌판(10)과 팔걸이(20)의 연동에 의해 좌판(10)이 회전동작을 하면서 사용자의 기립이나 착석을 도와주게 된다.
즉, 상기 기능성 의자는 좌판(10)의 일부가 회동수단(30)에 의해 의자프레임의 연결축(4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좌판(10)의 양측에 팔걸이(20)가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성 의자는 팔걸이(20)를 가압하여 누를 경우, 좌판(10)이 연결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처럼 동작하는 좌판(10)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밀어 올려 기립동작을 보조하거나, 착석하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미리 접촉하면서 사용자의 안정적인 착석을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의자는 단순히 좌판의 회전동작을 통해서만 사용자의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좌판이 기립하거나 착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따라가지 못하므로, 착석 시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없고, 기립동작을 보조하는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4342호(2011.06.30.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좌판부의 움직임이 개선된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좌판부; 상기 좌판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좌판부와 연결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는 수평한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다리부; 및 상기 지지축과 좌판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되, 3절 링크구조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좌판부의 회전 및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하면서 좌판부의 자세를 수평한 제1자세와 전방으로 기울어진 제2자세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져 좌판부가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보조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후단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제1회전브라켓; 상기 제1회전브라켓의 타측단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고정브라켓 및 제1회전브라켓과 함께 상기 3절 링크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바가 삽입되는 장공이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2회전브라켓; 및 제2자세의 좌판부가 제1자세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변형되면서 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자세의 좌판부를 제2자세로 전환시키도록 유도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장공은 고정바의 삽입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장공과 고정바의 분리 및 제2회전브라켓의 회전을 통해 좌판부를 의자의 등받이 방향으로 기립하여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브라켓과 제2회전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2자세의 좌판부가 제1자세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좌판부에 의해 인장되면서 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자세의 좌판부를 제2자세로 전환시키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면과 상기 제2회전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브라켓의 상면 또는 제2회전브라켓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착석 시 발생되는 충격을 부가적으로 완화시키는 탄성블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립하거나 착석할 때, 의자에 마련된 좌판부가 회전 동작과 더불어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하면서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게 되게 되므로,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 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하는 좌판부는 무릎 관절의 들림을 작게 하여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는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좌판부를 등받이부에 밀착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의자의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기능성 의자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측면도,
도 5 는 착석 시 연결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기립 시 연결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부가 제2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기능성 의자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부가 제1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기능성 의자의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회전브라켓이 기립된 상태를 보인 연결부의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연결부의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연결부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좌판부(100)가 회전 동작과 더불어 슬라이딩 동작을 하면서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좌판부(100)와 다리부(200) 및 연결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좌판부(100)는 사용자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직물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외피의 내부에 스폰지와 같은 완충재가 삽입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좌판부(100)는 수평한 제1자세(P1)와, 전방으로 기울어진 제2자세(P2)로 전환되며, 이러한 좌판부(100)의 자세 전환은 사용자가 기립하거나 착석할 때 연결부(30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다리부(200)는 좌판부(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좌판부(100)와 연결되어 좌판부(100)를 지지하는 수평한 지지축(21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200)는 수평한 지지축(210)과, 상기 지지축(210)에 결합된 4개의 다리(221,222,223,2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리부(200)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다리(221,222,223,224) 중 2개의 다리(221,222)에는 팔걸이(231,232)가 각각 구성되고, 두 팔걸이(231,232)의 사이에 두 팔걸이(231,232)를 연결하는 등받이부(2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측면도를, 도 5는 착석 시 연결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6은 기립 시 연결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부가 제2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기능성 의자의 측면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부가 제1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기능성 의자의 측면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회전브라켓이 기립된 상태를 보인 연결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지지축(210)과 좌판부(10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되, 3절 링크구조 및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좌판부(100)의 회전 동작과 병행하여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하면서 좌판부(100)의 자세를 수평한 제1자세(P1)와 전방으로 기울어진 제2자세(P2)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고정브라켓(310), 제1회전브라켓(320), 제2회전브라켓(330), 탄성부재(34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10)과 제1,2회전브라켓(320,330)이 3절 링크구조를 형성하면서 좌판부(100)를 제1자세(P1)와 제2자세(P2)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10)은 제1회전브라켓(320)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축(210)에 고정되게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지지축(210)으로부터 지지축(2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브라켓(310)의 상단부에는 탄성부재(340)가 결합되는 걸림고리(3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브라켓(320)은 고정브라켓(310)과 제2회전브라켓(330)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ㄴ'자 형태로 굽어지게 형성되며, 일측단이 제1핀(321)에 의해 고정브라켓(3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제1핀(32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회전브라켓(330)은 좌판부(100)와 함께 움직이면서 좌판부(100)의 자세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좌판부(100)의 밑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처럼 좌판부(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회전브라켓(330)은 후단부가 제2핀(331)에 의해 제1회전브라켓(320)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제2핀(33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좌판부(100)의 자세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310)과 제1회전브라켓(320) 및 제2회전브라켓(33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되, 브라켓 간의 연결부위가 핀에 의해 결합되면서 3절 링크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3절 링크구조에 의해 좌판부(100)의 회전 동작과 병행한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회전브라켓(330)의 선단에는 지지축(210)에 형성된 고정바(21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공(33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332)은 제2회전브라켓(33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브라켓(330)의 하단부에는 지지축(21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3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33)은 지지축(2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좌판부(100)가 제1자세(P1)로 전환된 경우, 지지축(21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착홈(333)에 의하면 좌판부(100)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좌판부(100) 및 연결부(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축(210))을 통해 다리부(200)로 분산시킴으로서 연결부(300)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회전브라켓(3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장공(332)은 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고정바(211)를 장공(332)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장공(332)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바(211)를 장공(33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장공(332)의 밑단이 개방되어 고정바(211)와 장공(332)의 결합 및 분리가 자유로울 경우, 고정바(211)와 장공(332)을 분리시키게 되면, 제2회전브라켓(330)을 제2핀(331)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좌판부(100)를 기립시킬 수 있게 되므로(도 9 참조), 여러 개의 기능성 의자를 서로 긴밀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40)는 고정브라켓(310)과 제2회전브라켓(330)을 연결하되, 사용자의 착석 시 에너지를 축적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고, 사용자의 기립 시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2회전브라켓(330)을 회전시킴으로써 좌판부(100)를 동작시키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340)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대략 수평한 자세로써 선단이 고정브라켓(310)에 형성된 걸림고리(311)에 결속되고, 후단이 제2핀(331)에 결속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340)의 후단을 제2핀(331)에 결속하지 않고, 제2회전브라켓(330)에 걸림고리(미도시됨)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탄성부재(340)의 후단을 제2회전브라켓(330)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2회전브라켓(330)과 탄성부재(34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300)는 2개가 지지축(210) 상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좌판부(110)의 좌우측을 균형 있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300)에는 착석 시 발생되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블록(3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연결부의 측면도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연결부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탄성블록(350)은 고정브라켓(310)의 제2회전브라켓(3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브라켓(310)의 상면 또는 제2회전브라켓(330)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탄성블록(350)은 고무나 스폰지와 같이 탄성변형이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착석 시 지지축(211) 보다 먼저 제2회전브라켓(330)과 접촉하면서 제2회전브라켓(330)과 지지축(221)의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 및 충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평상 시(사용자가 좌판부(100)에 착석하지 않은 경우), 좌판부(100)가 탄성부재(340)에 의해 의자의 앞쪽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선단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제2자세(P2)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40)는 고정브라켓(310)과 제2회전브라켓(330)의 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2회전브라켓(330)을 의자의 앞쪽으로 잡아당기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결국 사용자가 좌판부(100)에 착석하지 않은 경우, 좌판부(100)는 제2자세(P2)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착석할 경우, 좌판부(100)와 연결부(3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면서 착석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사용자의 안정적인 착석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제2자세(P2)의 좌판부(100)의 의자의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보다 편안한 자세로 좌판부(100)에 앉을 수 있다.
한편, 제2자세(P2)의 좌판부(100)에 사용자가 착석할 경우, 사용자의 무게로 인해 좌판부(100)는 가압되며, 이로 인하여 제1회전브라켓(320)이 제1핀(321)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제1회전브라켓(320)은 제2회전브라켓(330)의 후단부를 아래쪽 및 의자의 뒤쪽 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제2자세(P2)의 좌판부(100)는 의자의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수평한 자세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좌판부(100)가 제2자세(P2)에서 제1자세(P1)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340)는 인장되면서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때 발생되는 충격의 상당부분이 인장되는 탄성부재(340)에 흡수되므로, 착석 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10)과 제2회전브라켓(330)의 사이에 탄성블록(350)이 설치된 경우, 착석 시 발생되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특히, 제2자세(P2)에서 제1자세(P1)로 전환되는 좌판부(100)는 단순히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의자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둔부를 따라 가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부하를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기립할 경우, 좌판부(100)와 연결부(3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면서 사용자의 기립을 돕게 된다.
사용자의 기립으로 인하여 좌판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된 경우, 착석과정에서 인장된 탄성부재(340)가 수축하면서 제2핀(331)을 의자의 앞쪽으로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제1회전브라켓(320)은 제1핀(321)을 축으로 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제1회전브라켓(320)은 제2회전브라켓(330)의 후단부를 들어 올리는 것과 함께 의자의 앞쪽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제1자세(P1)의 좌판부(100)는 제2자세(P2)로 전환되며, 이처럼 제2자세(P2)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둔부를 밀어주게 되므로 사용자의 기립을 도와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좌판부(100)의 회전 동작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의자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착석과 기립을 보조하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착석과 기립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좌판부 200: 다리부
210: 지지축 211: 고정바
300: 연결부 310: 고정브라켓
320: 제1회전브라켓 330: 제2회전브라켓
332: 장공 340: 탄성부재
350: 탄성블록

Claims (5)

  1. 좌판부;
    상기 좌판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좌판부와 연결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는 수평한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다리부; 및
    상기 지지축과 좌판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되, 3절 링크구조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좌판부의 회전 및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하면서 좌판부의 자세를 수평한 제1자세와 전방으로 기울어진 제2자세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져 좌판부가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보조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후단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제1회전브라켓;
    상기 제1회전브라켓의 타측단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고정브라켓 및 제1회전브라켓과 함께 상기 3절 링크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바가 삽입되는 장공이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2회전브라켓; 및
    제2자세의 좌판부가 제1자세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변형되면서 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자세의 좌판부를 제2자세로 전환시키도록 유도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장공은 고정바의 삽입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장공과 고정바의 분리 및 제2회전브라켓의 회전을 통해 좌판부를 의자의 등받이 방향으로 기립하여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브라켓과 제2회전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2자세의 좌판부가 제1자세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좌판부에 의해 인장되면서 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자세의 좌판부를 제2자세로 전환시키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면과 상기 제2회전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브라켓의 상면 또는 제2회전브라켓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착석 시 발생되는 충격을 부가적으로 완화시키는 탄성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KR1020180036622A 2018-03-29 2018-03-29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KR10189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22A KR101896602B1 (ko) 2018-03-29 2018-03-29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22A KR101896602B1 (ko) 2018-03-29 2018-03-29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602B1 true KR101896602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22A KR101896602B1 (ko) 2018-03-29 2018-03-29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6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820B1 (ko) 2019-01-24 2019-10-10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친환경 d.i.y. 착석 보조기기
CN110477656A (zh) * 2019-08-28 2019-11-22 浙江工业大学 一种弹簧储能的起身联动装置
CN110537797A (zh) * 2019-08-21 2019-12-06 贵州奇威奇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脑电波电信号特征自动调节睡姿的躺椅
CN111513949A (zh) * 2020-05-28 2020-08-11 杭州灵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护理机器人可变形床面结构
KR20210037237A (ko) 2019-09-27 2021-04-0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보조의자
KR20240103439A (ko) 2022-12-27 2024-07-04 김현호 기립 보조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35A (ja) * 1993-09-27 1995-04-04 Amashiro Sangyo Kk 着座および起立補助装置付椅子
US6238000B1 (en) * 1998-02-04 2001-05-29 Unit Press Limited Mechanism for chair
KR20110074342A (ko) 2009-12-24 2011-06-30 김효진 기능성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35A (ja) * 1993-09-27 1995-04-04 Amashiro Sangyo Kk 着座および起立補助装置付椅子
US6238000B1 (en) * 1998-02-04 2001-05-29 Unit Press Limited Mechanism for chair
KR20110074342A (ko) 2009-12-24 2011-06-30 김효진 기능성 의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820B1 (ko) 2019-01-24 2019-10-10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친환경 d.i.y. 착석 보조기기
CN110537797A (zh) * 2019-08-21 2019-12-06 贵州奇威奇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脑电波电信号特征自动调节睡姿的躺椅
CN110537797B (zh) * 2019-08-21 2023-06-16 贵州奇威奇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脑电波电信号特征自动调节睡姿的躺椅
CN110477656A (zh) * 2019-08-28 2019-11-22 浙江工业大学 一种弹簧储能的起身联动装置
KR20210037237A (ko) 2019-09-27 2021-04-0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보조의자
CN111513949A (zh) * 2020-05-28 2020-08-11 杭州灵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护理机器人可变形床面结构
KR20240103439A (ko) 2022-12-27 2024-07-04 김현호 기립 보조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602B1 (ko)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US12161225B2 (en) Mechanical extension apparatus for extendable seat and extendable seat
US3141700A (en) Seat control means for chair of the tall-cushion type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JPH0687817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長いす
US8205936B2 (en) Chair convertible into a chaise-lounge
US20100156158A1 (en) Lumbar support system for furniture member
CN113142861B (zh) 用于可活动的座椅单元的机械伸展装置及座椅单元
CN113163949B (zh) 具有临墙能力的斜躺式座位单元
JP2020508778A (ja) 椅子の背部傾動機構
JP3201565U (ja) 安楽椅子
JP4933153B2 (ja) シンクロニーチルト機構
CN108158260B (zh) 一种机械伸展装置及座椅单元
JP2007175520A (ja) 椅子
JP2010162337A (ja) 椅子
CN215502137U (zh) 全连杆式沙发功能铁架
JP4181266B2 (ja) 椅子
JP5453632B2 (ja) 椅子
CN211408301U (zh) 带有顺序控制功能的沙发架
JP3636892B2 (ja) 座席のレグレスト
JP2022026201A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背座一体型ソファー
JP3242718U (ja) 折り畳み椅子
CN220360254U (zh) 用于可活动座椅的机械伸展装置和可活动的座椅单元
WO2022241984A1 (en) Mechanical extension apparatus for extendable seat and extendable seat
JP3669871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