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342A -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4342A KR20110074342A KR1020090131273A KR20090131273A KR20110074342A KR 20110074342 A KR20110074342 A KR 20110074342A KR 1020090131273 A KR1020090131273 A KR 1020090131273A KR 20090131273 A KR20090131273 A KR 20090131273A KR 20110074342 A KR20110074342 A KR 201100743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r
- seat
- armrest
- chair frame
- functio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5—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C7/22 - A47C7/35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5—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springs; Adjustable springs; Attachment of springs to other springs or to the base frame ; Springs for seat par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자의 시트로부터 일어서거나 앉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부를 구비한 의자프레임, 상기 의자프레임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의자프레임에 설치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부와 팔걸이부를 상호 협력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팔걸이부를 가압시, 상기 시트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는 회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사용자가 의자프레임의 시트부에 착석된 상태에서 기립하고자할 경우, 상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팔걸이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팔걸이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기 시트부를 회동시켜 사용자의 둔부를 자연스럽게 밀어주게 되므로 기력이 쇄약해진 사용자를 쉽게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자, 팔걸이부, 시트부, 회동수단,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의자의 시트부로부터 일어서거나 앉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로써, 형태, 용도, 구조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하고 있으며, 가장 기본적인 의자의 구성은 신체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자를 형태에 구분하면, 크게 등받이 의자와 팔걸이 의자로 구분하고 있으며, 상기 등받이 의자는 기본적인 의자의 구성에 신체의 등을 받칠 수 있도록 등받이가 설치된 것이고, 팔걸이 의자는 상기 등받이 의자의 좌, 우 양측에 사용자의 팔을 걸칠 수 있는 팔걸이가 설치된 것이다.
현대사회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급격하게 고령화되고 있고, 노인의 수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숭에 따른 의자의 대부분은 디자인에 치중하거나, 또는 안락감 을 제공하도록 시트나 등받이 구조 및 형태를 변경하는 정도가 대부분이어서, 노약자와 같이 기력이 쇄약한 사용자가 의자에 용이하게 앉을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은 없었다.
즉, 노약자의 대부분은 다리힘과 팔힘이 약하여 의자에 앉거나 일어서기가 매우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일어서거나 앉는 과정에서 중심 이동이 잘못되면 쉽게 넘어져서 골절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력이 쇄약해진 사람들이나 노인 등이 의자로부터 용이하게 앉거나 기립할 수 있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부를 구비한 의자프레임, 상기 의자프레임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의자프레임에 설치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부와 팔걸이부를 상호 협력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팔걸이부를 가압시, 상기 시트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는 회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의자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연결축을 감싸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의자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연결축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는,
받침대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의 측후방을 향하여 연결되는 경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의자프레임에는 제3 연결축을 추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연결축과 상기 시트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결합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부와 팔걸이부를 상호 협력적으로 연결하여 회동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프레임의 시트부에 착석된 상태에서 기립하고자할 경우, 상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팔걸이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팔걸이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기 시트부를 회동시켜 사용자의 둔부를 자연스럽게 밀어주게 되므로 기력이 쇄약해진 사용자를 쉽게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1000)는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부(110)를 구비한 의자프레임(100)과, 상기 의자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등받이부(200)와, 상기 의자프레임(100)에 설치되는 팔걸이부(300)와, 상기 시트부(110) 와 팔걸이부(300)를 상호 협력적으로 연결하여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회동수단(400)은 상기 시트부(110)를 회동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둔부를 밀어서 기립시키거나, 기립한 사용자가 둔부와 미리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착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회동수단(400)은 후술하는 의자프레임(100)의 제1 연결축(120)을 감싸는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410)와, 상기 의자프레임(100)의 제2 연결축(130)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결합부재(42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410)는 상기 제1 연결축(120)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분할 조립되는 제1 결합부(411) 제2 결합부(412)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결합부재(420)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410)와 보조 결합부재(420)는 상기 의자프레임(100)의 제1 연결축(120)과 제2 연결축(130)에 대하여 고정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트부(110)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회동수단(400)은 후술하는 팔걸이부(300)를 누르는 가압력이 발생할 경우, 상기 결합부재(410)가 의자프레임(100)의 제1 연결축(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보조 결합부재(420)는 상기 제2 연결축(130)으로부터 착탈되어 상기 시트부(110)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의자프레임(100)은 봉 또는 환형 스틸로 구성된 구조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은 자세를 유지지키는 기본 골조로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의자프레임(100)에는 상기 시트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제1 연결축(120)과 제2 연결축(130)이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의자프레임(100)에는 제3 연결축(140)을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3 연결축(140)과 상기 시트부(110) 사이에 스프링(150)이 개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시트부(110)의 회동작용이 보다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의자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등받이부(200)는 기본 골격판의 표면에 탄성력을 가진 고무, 스펀지, 가죽 등을 덧붙이거나 씌우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200)는 일단이 상기 시트부(1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어 상기 시트부(1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역할을 수행한다(도 3참조).
아울러, 상기 팔걸이부(300)는 사용자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상 기 시트부(11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팔걸이부(300)는 사용자의 팔이 얹혀지는 받침대(310)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310)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110)의 측후방을 향하여 연결되는 경사부재(3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상기 팔걸이부(300)는 받침대(310)의 선단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받침대(310)가 아래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부재(320)가 이 힘을 전달받아 상기 시트부(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프레임(100)의 시트부(110)에 착석된 상태에서 기립하고자할 경우, 상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팔걸이부(30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팔걸이부(30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재(320)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시트부(110)를 회동시켜 둔부를 자연스럽게 밀어주게되므로 기력이 쇄약해진 사용자를 쉽게 기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는 기능성 의자(1000)는 상기 시트부(110)와 팔걸이부(300)를 상호 협력적으로 연결하여 회동하는 회동수단(400)이 설치됨으로써, 기력이 쇄약해진 사용자를 용이하게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나타낸 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의자프레임
110 : 시트부
200 : 등받이부
300 : 팔걸이부
400 : 회동수단
Claims (6)
-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부를 구비한 의자프레임,상기 의자프레임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상기 의자프레임에 설치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되,상기 시트부와 팔걸이부를 상호 협력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팔걸이부를 가압시, 상기 시트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는 회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동수단은,상기 의자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연결축을 감싸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의자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연결축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팔걸이부는,받침대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의 측후방을 향하여 연결되는 경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의자프레임에는 제3 연결축을 추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연결축과 상기 시트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보조 결합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1273A KR20110074342A (ko) | 2009-12-24 | 2009-12-24 | 기능성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1273A KR20110074342A (ko) | 2009-12-24 | 2009-12-24 | 기능성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4342A true KR20110074342A (ko) | 2011-06-30 |
Family
ID=4440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1273A Abandoned KR20110074342A (ko) | 2009-12-24 | 2009-12-24 | 기능성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4342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9076B1 (ko) * | 2011-09-07 | 2013-06-26 | 이호성 | 무릎관절 집중압력방지용 의자 |
KR101581290B1 (ko) | 2014-11-14 | 2016-01-11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
KR101706610B1 (ko) | 2015-08-27 | 2017-02-1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
KR20170115282A (ko) | 2016-04-07 | 2017-10-17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스실린더와 탄성체를 이용한 기립보조의자 |
KR101896602B1 (ko) | 2018-03-29 | 2018-09-10 | 이순종 |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
KR20190053022A (ko) | 2017-11-09 | 2019-05-17 | (주)테크노베이션 |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
KR102322788B1 (ko) * | 2021-03-12 | 2021-11-09 | 주식회사 토퍼스 | 틸팅 의자 |
KR20230032123A (ko) | 2021-08-30 | 2023-03-07 | (주)테크노베이션 | 조절 볼트를 이용한 고정이 가능한 기립 보조 의자 |
KR20230041393A (ko) | 2021-09-17 | 2023-03-24 | (주)테크노베이션 | 장애인용 전동 기립 의자 |
KR20240126739A (ko) | 2023-02-14 | 2024-08-21 | 김태영 | 높이조절을 겸한 무동력 기립도움의자 |
-
2009
- 2009-12-24 KR KR1020090131273A patent/KR20110074342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9076B1 (ko) * | 2011-09-07 | 2013-06-26 | 이호성 | 무릎관절 집중압력방지용 의자 |
KR101581290B1 (ko) | 2014-11-14 | 2016-01-11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
KR101706610B1 (ko) | 2015-08-27 | 2017-02-1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
KR20170115282A (ko) | 2016-04-07 | 2017-10-17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스실린더와 탄성체를 이용한 기립보조의자 |
KR20190053022A (ko) | 2017-11-09 | 2019-05-17 | (주)테크노베이션 |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
KR101896602B1 (ko) | 2018-03-29 | 2018-09-10 | 이순종 |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
KR102322788B1 (ko) * | 2021-03-12 | 2021-11-09 | 주식회사 토퍼스 | 틸팅 의자 |
KR20230032123A (ko) | 2021-08-30 | 2023-03-07 | (주)테크노베이션 | 조절 볼트를 이용한 고정이 가능한 기립 보조 의자 |
KR20230041393A (ko) | 2021-09-17 | 2023-03-24 | (주)테크노베이션 | 장애인용 전동 기립 의자 |
KR20240126739A (ko) | 2023-02-14 | 2024-08-21 | 김태영 | 높이조절을 겸한 무동력 기립도움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74342A (ko) | 기능성 의자 | |
CN213820632U (zh) | 座椅 | |
KR100872907B1 (ko) |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 |
KR20100106833A (ko) | 안전의자 | |
KR100942429B1 (ko) |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 |
KR200421443Y1 (ko) |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 |
KR101374075B1 (ko) |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 |
CN207477255U (zh) | 斜靠式站坐一体办公椅 | |
KR101022764B1 (ko) | 의자 | |
KR101809586B1 (ko) |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이동식 기립 보조 장치 | |
JP2006296960A (ja) |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 |
KR100607537B1 (ko) |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 |
CN208909432U (zh) | 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 |
KR200388338Y1 (ko) |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 |
KR200180804Y1 (ko) | 스텐드형 의자 | |
KR200379699Y1 (ko) |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 |
CN208243246U (zh) | 人体模型座椅 | |
CN222109685U (zh) | 一种分背支撑办公椅 | |
CN204033637U (zh) | 椅具 | |
KR200327969Y1 (ko) |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 |
KR102290271B1 (ko) |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 |
CN211673325U (zh) | 一种舒适的座椅 | |
KR102837544B1 (ko) | 기립 보조 의자 | |
KR101311814B1 (ko) | 기능성 의자 | |
CN212879107U (zh) | 一种可调节助力马桶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0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