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3168B1 - 접지 스트랩, 스프링력 단자, 및 스크류 러그 단자를 갖는 단자 블럭 - Google Patents

접지 스트랩, 스프링력 단자, 및 스크류 러그 단자를 갖는 단자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168B1
KR101853168B1 KR1020150104307A KR20150104307A KR101853168B1 KR 101853168 B1 KR101853168 B1 KR 101853168B1 KR 1020150104307 A KR1020150104307 A KR 1020150104307A KR 20150104307 A KR20150104307 A KR 20150104307A KR 101853168 B1 KR101853168 B1 KR 101853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assembly
finger
strain rel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094A (ko
Inventor
라샤논 에스. 하이더
Original Assignee
지이 라이팅 솔루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라이팅 솔루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이 라이팅 솔루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1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6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3Multiblad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Spring housing details
    • H01R4/4842Spring housing details the spring housing being provided with a single opening for insertion of a spring-activating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48Busba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단자 블럭 조립체는 하우징, 하우징에 연결되는 하우징 보유 부재,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의 푸시인 단자는, 변형 경감 부재 및 보유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보유 스프링 조립체는 핑거 부재와 도체 부재를 포함한다. 도체 부재는 핑거 부재를 대응하는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는 보유 스프링 조립체를 하우징 내에 유지하도록 보유 스프링 조립체의 도체 부재와 맞물린다. 접지 스트랩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접지 스트랩, 스프링력 단자, 및 스크류 러그 단자를 갖는 단자 블럭{TERMINAL BLOCK WITH GROUND STRAP, SPRING FORCE TERMINALS, AND SCREW LUG TERMINAL}
본 개시의 양태는 전반적으로 전력 분배를 위한 단자 블럭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는 조명 기구에 대한 전력 분배를 위한 개선된 단자 블럭에 관한 것이다.
전력의 분배에 있어서, 분배 블럭이라고도 명명되는 단자 블럭이 흔히 채용된다. 이들 단자 블럭의 용례는 폭넓게 다양할 수 있고, 예컨대 조명 기구 테스트 고정구를 포함한다. 조명 기구의 제조 프로세스 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명 기구 테스트 고정구는 전력 공급원과, 밸러스트(ballast)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블럭은 전력을 밸러스트, 또는 조명 기구를 위한 다른 구동 장치에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통상, 단자 블럭은 큰 도체 케이블 또는 버스를 위한 연결부와, 작은 도체를 위한 복수 개의 탭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용례에서, 도체의 무피복 단부가 분배 블럭의 소켓 포트 또는 홀 내에 삽입된다. 도체를 수용하는 소켓에 수직인 홀 내에 클램프 또는 바인딩 스크류가 나사 체결되어 도체를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적소에 유지 또는 고정한다. 몇몇의 경우에, 작은 도체를 위한 탭 연결부로서 푸시온 단자 플래그 타입(push-on terminal flag type)의 단자 또는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체의 플래그 단자 단부는 단자 블럭 상에 배치된 플래그 단자 단부 위에 수용된다.
조명 기구 제조 프로세스에서 통상적인 단자 블럭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압착 커넥터, 추가 도선, 추가 커넥터, 전용 접지 스크류 및 추가 접지 아일릿(eyelet)을 필요로 한다. 전력 공급원을 제공하는 전력 라인 도선은 소켓 포트 내에 수용되고 스크류가 조여졌을 때에 적소에 유지된다. "구동 장치" 도선으로도 지칭되는, 조명 기구로 이어지는 도선 또는 도체는 일반적으로 단자 블럭에 연결되게 하는 압착 단자 플래그 커넥터를 구비한다. 단자 플래그 연결부 당 다수의 도체가 존재하는 경우는 매우 흔하다.
압착 커넥터를 제조 프로세스 중에 구동 장치 도선에 조립하는 것은 비실용적일 수 있는데, 이는 압착 단자와 함께 제조되기 위해 추가 도선을 필요로 한다. 추가 도선이 요구되는 경우, 구동 장치/밸러스트 도선과 연결하기 위한 추가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조명 기구를 단자 블럭의 접지 전극에 접지하기 위해 전용 접지 스크류 및 추가의 접지 아일릿이 요구된다. 압착 커넥터, 추가 도선 및 커넥터, 전용 접지 스크류, 및 접지 아일릿에 대한 요구가 없는 단자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들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는 단자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단점들 중 하나 이상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단점을 극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한가지 양태는 단자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자 블럭 조립체는 하우징, 하우징에 연결되는 하우징 보유 부재,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로서, 복수 개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의 푸시인 단자는, 변형 경감 부재, 및 핑거 부재와 도체 부재를 포함하는 보유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도체 부재는 핑거 부재를 대응하는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는 보유 스프링 조립체를 하우징 내에 유지하도록 보유 스프링 조립체의 도체 부재와 맞물리는 것인 복수 개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보유 부재로 연장되는 접지 스트랩을 포함하고, 접지 스트랩은 복수 개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중 하나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들 및 다른 양태와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오로지 예시를 위해 구성되고 본 발명의 한계의 정의로서 구성되지 않으며, 그 정의를 위해서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 및 이점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고,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양태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특히 기재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획득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위에 제공된 대략적인 설명 및 아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품을 가리킨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를 통합한 예시적인 단자 블럭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자 블럭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자 블럭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자 블럭의 부분 조립도이며;
도 5는 도선 및 도선 제거 툴을 갖는 도 1의 단자 블럭을 도시하고;
도 6은 선 E-E를 따라 취한 도 1의 단자 블럭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단자 블럭의 저면도이고;
도 8은 선 G-G를 따라 취한 도 1의 단자 블럭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단자 블럭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선 A-A를 따라 취한 도 1의 단자 블럭의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를 통합한 예시적인 스프링 보유 부재를 도시하고;
도 12는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를 통합한 예시적인 단자 블럭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단자 블럭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단자 블럭의 부분 조립도이며;
도 15는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를 통합한 예시적인 보유 스프링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12의 단자 블럭의 정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선 A-A를 따라 취한 도 12의 단자 블럭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태를 통합한 단자 블럭 조립체(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조명 기구의 제조 프로세스 중에 제조 효율을 향상시킨다. 예컨대, 개시된 실시예의 개선된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압착 커넥터, 추가 도선, 추가 커넥터, 전용 접지 스크류, 및 추가 접지 아일릿 등의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는 본 명세서에서 대체로 조명 기구의 제조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는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변형예에서,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전력이 분배되는 임의의 적절한 용례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하우징(102), 하나 이상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 하나 이상의 푸시인(push-in) 단자 조립체(106) 및 일체형 접지 스트랩(10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은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비전도성인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3개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와 3개의 대응하는 푸시인 단자 조립체를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예컨대, 3개보다 많거나 적은)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및 대응하는 푸시인 단자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은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11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2)의 양측에 유지 부재(110)가 존재한다. 유지 부재(110)는 일반적으로 단자 블럭 조립체(100)를 고정구(도시 생략)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변형예에서, 단자 블럭 조립체(100)를 임의의 적절한 고정구에 고정시키도록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유지 부재가 임의의 적절한 지점에 실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컨대, 유지 부재(110)는 파스너(도시 생략)가 삽입되어 하우징(102)을 대응하는 고정구(도시 생략)에 고정시키게 하는 구멍(11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110)는 하우징(102)의 브래킷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는 일반적으로 도체 수용 부재(402)와 도체 유지 부재(404)를 포함한다.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는 예컨대 주석 도금된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는 주석 도금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 외에 임의의 적절한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L1, 접지 및 L2 또는 중성과 같이 전력 연결부의 각 레그 또는 페이즈에 대해 하나씩 3개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가 존재한다. 변형예에서, 예컨대 2개 또는 4개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가 존재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도체 수용 부재(402)는 개구 또는 구멍(406)을 갖는, 러그(lug)로도 지칭되는 전도성 블럭을 포함한다. 구멍(406)은 도 5에 대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의 무피복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4의 예에서 도체 유지 부재(404)는 러그(402)의 나사부(408)와 맞물리는 스크류이다. 도체의 무피복 단부가 구멍(406) 내로 삽입되면, 스크류(404)가 조여져 도체를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 내에 유지하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블럭(100)은 필드 도선(502)과 제조 도선(504) 간의 접속부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예에서, 필드 도선은 일반적으로 전력 도선을 포함한다. 통상, 필드 또는 전력 도선(502)은, 예컨대 #6 내지 #16(중실형 또는 스트랜드형) 구리 와이어 또는 #6(중실형 또는 스트랜드형) 알루미늄 와이어일 것이다. 변형예에서,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는 특정한 용례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크기의 도체 도선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 러그 타입의 단자 조립체가 단자 블럭 조립체(100)의 하우징(102) 내에 필드 도선(502)을 연결하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변형예에서, 필드 도선(502)은 스크류 러그 단자를 포함하는 것 외에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제조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가 툴 또는 압착 커넥터의 필요성 없이 푸시인 단자 조립체(106) 내에 직접 압박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푸시인 단자 조립체(106)는 일반적으로 변형 경감/와이어 캡 부재(410)와 보유 스프링 부재(420)를 포함한다. 푸시인 단자 조립체(106)는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가 변형 경감 부재(410)에서 도선 개구(414) 중 하나의 개구 내로 삽입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변형 경감 부재(410)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또는 다른 적절한 비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변형 경감 부재(410)는 하우징(102)의 대응하는 개구 내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변형 경감 부재(410)는 변형 경감 부재(410)의 측부에 하나 이상의 탭 부재(412)를 포함하고, 탭 부재는 변형 경감 부재(410)와 단자 블럭 조립체(100)의 기능성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는 일 없이 변형 경감 부재(410)가 하우징(102)의 대응하는 개구 내에 "스냅 체결(snap-in)"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탭 부재가 도 4의 예에 도시되어 있지만, 변형예에서, 변형 경감 부재(410)는 변형 경감 부재(410) 또는 하우징(102)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변형 경감 부재(410)가 삽입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하우징(102)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경감 부재(410)의 상부는 하나 이상의 도선 개구(414)를 포함한다. 도선 개구(414)는 제조 도선(5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414) 중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이한 크기의 제조 도선(504)을 수용하도록 상이한 크기를 갖는다. 도 4의 예에서, 변형 경감 부재(410)는 4개의 도선 개구(414)의 배열을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변형 경감 부재(410)는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도선 개구(414)를 임의의 적절한 배열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를 통합하는 도선 개구(414)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보유 스프링 부재(420)는 일반적으로 전도성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유 스프링 부재(420)는 주석 도금된 구리 합금을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보유 스프링 부재(420)는 주석 도금된 인 청동 등의 임의의 적절한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보유 스프링 부재(420)는 하나 이상의 핑거 부재(422), 기단부(424) 및 블레이드 도체 부분 또는 부재(426)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핑거 부재(422)는 기단부(424)에 연결되거나 일체화된다. 제조 도선(504)이 도선 개구(424) 내에 삽입될 때에, 제조 도선의 무피복 단부가 각각의 핑거 부재(422)와 맞물려 도선(504)을 푸시인 단자 조립체(106) 내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 도선(504)과 핑거 부재(422) 간에 전기 연결을 성립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보유 스프링 부재(420)의 양측부 상에 핑거 부재(422)가 존재하여 각 측부 상의 핑거 부재(422) 사이에 개구 또는 공간(428)을 획정한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428)는 변형 경감 부재(410)의 블레이드 부분(416)이 그 사이에 삽입되게 하도록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보유 스프링 부재(420)의 블레이드 도체 부재(426)는 각각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와 맞물려 보유 스프링 부재(420)를 각각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 도체(426)는 도선(504)과 스크류 러그 단자(106) 사이에 전기적 연속성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보유 스프링 부재(420)는 원피스 조립체이다. 대안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유 스프링 부재(420)는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경감 부재(410)의 블레이드 부분(416)은 변형 경감 부재(410)의 상부보다 좁다. 변형예에서, 블레이드 부분(416)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블레이드 부분(416)은 하방으로 연장하고 보유 스프링 부재(420)의 핑거(422)들 사이에서 개구(428)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 부분(416)의 바닥은 블레이드 도체(426)와 맞물려 보유 스프링 부재(420)를 하우징(102) 내의 적소에 고정시킨다.
도 6의 단면도는 보유 스프링 부재(420)의 핑거 부분(422)이 변형 경감 부재(410)의 블레이드 부분(416)에 대해 가압하는 것을 도시한다. 제조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가 대응하는 도선 개구(414) 내에 삽입될 때에,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는 각각의 핑거 부분(422)에 압력을 가하여 핑거 부분(422)을 변형 경감 부재(410)의 블레이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한다.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는 보유 스프링 부재(420)와 변형 경감 부재(410)의 블레이드 부분(416) 사이에 유지된다. 보유 스프링 부재(420)는 도선(504)과 블레이드 부분(416)에 대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개구(414)에 대응하는 보유 스프링 부재(420)의 핑거 부분(422)은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를 블레이드 부분(416)에 대해 가압하여 도선(504)을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경감 부재(410) 당 하나 이상의 도선 개구(414)가 존재할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제조 도선(504)이 각각의 보유 스프링 부재(420)를 통해 각각의 스크류 러그 단자(104)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툴 또는 압착 커넥터의 필요성 없이 제조 도선(504)이 필드 도선(5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는 변형 경감 부재(410)의 개구(414)를 통해 압박된다.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는 보유 스프링 부재(420)의 핑거 부재(422)를 누르거나, 밀치거나, 달리 이동시킨다. 변형예에서, 레버 또는 푸시 버튼이 도선(504)을 삽입하기 전에 핑거 부재(422)를 누르도록 사용되고, 이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선(504)을 유지하도록 해제될 수 있다.
핑거 부재(422)의 이동은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가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의 핑거 부재(422)와 블레이드 부분(416) 사이에서 슬라이드하게 한다.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의 핑거 부재(422)의 가요성 또는 스프링 같은 물성이 핑거 부재(422)가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는 도선(5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의 블레이드 도체(426)는 도선(504)과 러그 단자(104) 사이에 전기 연속성을 제공한다. 필드 도선(502)이 스크류 러그 단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에, 필드 도선(502)은 대응하는 제조 도선(5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푸시인 단자(106) 당 하나 이상의 도선(504)이 존재할 수 있고, 이 도선은 이어서 대응하는 스크류 러그 단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단자 블럭 조립체(100)는 일체형 접지 스트랩(108)을 포함한다. 접지 스트랩(108)은 주석 도금된 구리 합금 등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접지 스트랩(108)은 주석 도금된 황동 등의 임의의 적절한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스트랩(108)은 접지 스트랩에 대한 필요서 없이 조명 기구 등의 디바이스에 대해 전기 접지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스트랩(108)은 하우징(102) 내에 오버몰딩된다. 단자 블럭 조립체(100)를 조명 기구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장착할 때에, 전기 접지 경로가 추가 도체에 대한 필요성 없이 성립된다. 예컨대, 접지 스트랩(108)은 그린 점퍼 접지 도선을 단자 블럭의 접지 단자로부터 조명 기구 하우징까지 연결하는 대신에 접지 경로를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스트랩(108)은 하우징(102)의 본체를 통해 연장된다. 접지 스트랩(108)의 부분(802)이 단자 블럭 조립체(100)의 유지 부재 부분(110)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08)의 부분(802)은 구멍(112)을 제한한다. 전도성 스크류가 유지 부재(110)의 구멍(112) 내로 삽입될 때에, 스크류는 접지 스트랩(108)의 부분(802)과 전기 접촉하게 된다. 스크류는 조명 기구의 전기 접지 경로에 연결되어 접지 스트랩(108)을 전기 접지 경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스트랩(108)은 하우징(102)의 본체를 통해 하나의 유지 부재(110)로부터 다른 유지 부재(110)로 연장된다. 접지 스트랩(108)은 접지 스크류 러그 단자(8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의 예에서, 접지 스크류 러그 단자(804)는 중앙 스크류 러그 단자(104)이다. 변형예에서, 접지 스크류 러그 단자(804)는 중앙 단자를 포함하는 것 외에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들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접지 스트랩(108)은 접지 스크류 러그 단자(804)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만곡부 또는 연결부(806)를 포함한다. 접지 스트랩(108)은 전기 연결이 성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다른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104)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접지 스트랩(108)은 단자 블럭 조립체(100)의 접지 단자에 의해서만 전기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지 단자는, 이 예에서 중앙 단자(804)이며 다른 스크류 러그 조립체(104)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는 툴 또는 압착 커넥터의 필요성 없이 푸시인 단자(106) 내로 직접 삽입되거나 압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도선 해제 툴(510)이 사용되어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를 누르고 제조 도선(504) 상의 압력을 해제하여 도선(504)이 푸시인 단자 조립체(106)로부터 제거되게 할 수 있다. 제조 도선 해제 툴(510)은 도선 해제 개구(418) 내로 삽입된다. 도선 해제 툴(510)은 도선(504)이 제거되게 하는 압력을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의 각각의 핑거 부재(422) 상에 가한다.
도 11은 보유 스프링 조립체(11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의 보유 스프링 조립체(1120)는 도 4에 도시된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와 유사하다. 이 에에서, 핑거 부재(1122)는 유지부(1102)와 만곡부 또는 각형부(1104)를 포함한다. 핑거 부재(1122)의 유지부(1102)는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의 각각의 도선 개구(414)와 정렬한다. 만곡부(1104)는 각각의 도선 해제 개구(418)와 대체로 정렬한다. 일 실시예에서, 만곡부(1104)는 보유 스프링 조립체(1120)의 벽부(1108)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는 변형 경감 부재(410)의 블레이드 부분(416)과 핑거 부재(1122)의 유지부(1102) 사이에서 유지된다. 만곡부(1104)는 핑거 부재(1122)가 변형 경감 조립체(410)에 대해 가압될 때에 핑거 부재(1122)와 변형 경감 조립체(410)의 블레이드 부분(416) 사이에 공간을 제공한다.
도선 해제 툴(510)이 도선 해제 개구(418) 내로 삽입될 때에, 도선 해제 툴(510)은 핑거 부재(1122)의 만곡부(1104)와 맞물려서 핑거 부재(1122)를 변형 경감 조립체(410)의 블레이드 부분(416)으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한다. 도선 해제 툴(510)이 도선 해제 개구(418)로부터 제거될 때에, 만곡부(1104)와 블레이드 부분(416) 사이의 공간은 보유 스프링 조립체(420)를 붙잡거나 달리 조립체와 맞물리는 일 없이 툴(510)이 제거되게 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양태를 통합하는 단자 블럭 조립체(120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푸시인 단자 조립체(1206)의 변형 경감 조립체 또는 캡(1210)은 도 1의 변형 경감 캡(410)의 배향에 대해 하우징(1202) 내에서 대략 90도 회전된다. 따라서, 각각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1206)에서 도선 개구(1214)와 도선 해제 개구(1218)의 정렬은 도 1에 도시된 변형 경감 조립체(410)의 전방 대 후방 형태가 아니라 단부 대 단부 형태로 구성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2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1206)를 위한 변형 경감 캡(1210)과 보유 스프링 조립체(1220)의 구성요소 도면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보유 스프링 조립체(1220)는 2부품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스프링 조립체(1220)는 핑거 부재(1222)와 도체 부재(1224)를 포함한다. 도체 부재(1224)는 조립될 때에 핑거 부재(1222) 내에서 개구(1230)를 통해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변형 경감 캡(1210)은 핑거 부재(1222)와 도체 부재(1224)의 상부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체 부재(1224)의 상부 레그(1226)는 변형 경감 캡(1210)의 채널(1212) 내에 수용된다. 도체 부재(1224)의 다른 레그(1228)는 스크류 러그 단자(104)를 참조하여 위에서 대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스크류 러그 단자(10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레그(1228)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 접지 단자(804) 및 접지 스트랩(108)과 맞물린다.
도선(504)의 무피복 단부가 도선 홀(1214) 내에 삽입될 때에, 이 실시예에서, 도선(504)은 보유 스프링 조립체(1220)의 핑거 부분(1222)을 누르고 핑거 부분(1222)과 도체 부분(1224) 사이에서 압착된다. 변형 경감 캡(1210)의 채널(1212)은 도체 부재(1224)를 변형 경감 캡(1210)을 위한 개구(1240) 내의 적소에 유지한다.
도 4 및 도 14의 예는 단자 블럭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와 푸시인 단자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은 단자 블럭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저부는, 상부로부터 구성요소들을 삽입하고 상부로부터 봉입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봉입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는 단자 블럭 조립체에 스크류 러그 단자, 푸시인 도선 단자 및 일체형 접지 스트랩을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단자 블럭은 무피복 도선이 툴 또는 압착 커넥터의 필요성 없이 푸시인 단자 내로 직접 압박되게 한다. 그 결과, 제조 프로세스에서 노동이 덜 들고 구성요소의 갯수가 덜 필요하게 되어, 조명 기구의 총 비용을 전체적으로 저하시킨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을 도시, 설명 및 지적하였지만, 예시된 디바이스 및 방법의 형태 및 상세와, 그 작동에서 다양한 생략과 대체와 변화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임의의 개시된 형태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또는 설명되는 구조 및/또는 요소 및/또는 방법 단계는 임의의 다른 개시된 또는 설명된 또는 제안된 형태 또는 실시예에 일반적인 설계 선택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오직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다.

Claims (20)

  1. 단자 블럭 조립체로서,
    하우징;
    하우징에 연결되는 하우징 보유 부재;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보유 부재로 연장되는 접지 스트랩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푸시인 단자 조립체의 푸시인 단자는,
    변형 경감 부재; 및
    핑거 부재와 도체 부재를 포함하는 보유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 부재는 핑거 부재를 대응하는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는 보유 스프링 조립체를 하우징 내에 유지하도록 보유 스프링 조립체의 도체 부재와 맞물리고,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블레이드 부재는 변형 경감 부재의 상부보다 좁고, 상기 보유 스프링 조립체의 핑거 부재는 블레이드 부재의 측부와 맞물리며,
    상기 접지 스트랩은 복수 개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중 하나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경감 부재는 변형 경감 부재의 상부에 도선 개구를 포함하고, 도선 개구는 전도성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경감 부재의 상부에 도선 툴 개구를 포함하고, 도선 툴 개구는 도선 개구에 인접하며, 도선 툴 개구는 도선 해제 툴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부재는 제1 도선 맞물림부와 제2 만곡부를 포함하고, 제2 만곡부는 제1 도선 맞물림부에 대해 일정 각도로 하우징의 저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스프링 조립체의 도체 부재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은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와 맞물리도록 핑거 부재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분은 대응하는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와 맞물리도록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부재는 도체 부재의 제1 부분에 대해 가압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스트랩은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들 중 하나와 맞물리며 제2 연결부는 하우징 보유 부재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 보유 부재의 구멍 내에 삽입된 파스너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8. 단자 블럭 조립체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및
    하나 이상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각각을 위한 푸시인 단자 조립체
    를 포함하고, 각 푸시인 단자 조립체는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인접하게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푸시인 단자 조립체는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푸시인 단자 조립체는,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도성 도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 경감 부재와,
    변형 경감 부재 아래에서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유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보유 스프링 부재는 핑거 부분과 아암 부분을 포함하고, 핑거 부분은 변형 경감 부재의 하나 이상의 개구들 중 대응하는 개구 아래에 정렬되며, 아암 부분은 핑거 부분과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유 스프링 부재의 핑거 부분은 개구를 포함하고, 아암 부분의 제1 단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되어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와 맞물리며, 아암 부분의 제2 단부는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본체부 내에 배치되는 접지 스트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접지 스트랩 부재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러그 단자 조립체 중 하나와, 하우징을 고정구에 연결하는 브래킷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스트랩은 하우징의 본체부 내에 몰딩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스프링 부재의 핑거 부분은 아암 부분의 제1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는 보유 스프링 부재의 아암 부분과 맞물려 보유 스프링 부재를 하우징 내에 고정시키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고, 보유 스프링 조립체의 아암 부분의 일 단부는 상기 채널 부분과 맞물려 보유 스프링 조립체를 하우징 내에 고정시키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경감 부재의 저부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의 저부는 보유 스프링 부재의 아암 부분과 맞물리며 돌출 부재의 측부는 핑거 부재와 맞물리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부분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제1 부재에 대해 하방 각도로 배치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스프링 부재의 핑거 부분은 변형 경감 부재의 측부와 맞물리고, 제2 부재의 하방 각도는 보유 스프링 부재의 핑거 부분의 제2 부재와 변형 경감 부재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부분는 가요성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단자 블럭 조립체.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04307A 2014-07-23 2015-07-23 접지 스트랩, 스프링력 단자, 및 스크류 러그 단자를 갖는 단자 블럭 KR101853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28061P 2014-07-23 2014-07-23
US62/028,061 2014-07-23
US14/715,671 2015-05-19
US14/715,671 US9419352B2 (en) 2014-07-23 2015-05-19 Terminal block with ground strap, spring force terminals, and screw lug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94A KR20160012094A (ko) 2016-02-02
KR101853168B1 true KR101853168B1 (ko) 2018-06-04

Family

ID=5380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307A KR101853168B1 (ko) 2014-07-23 2015-07-23 접지 스트랩, 스프링력 단자, 및 스크류 러그 단자를 갖는 단자 블럭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19352B2 (ko)
EP (1) EP2978072A1 (ko)
JP (1) JP2016054141A (ko)
KR (1) KR101853168B1 (ko)
CN (1) CN105375130A (ko)
AU (1) AU2015204300B2 (ko)
BR (1) BR102015017131A2 (ko)
CA (1) CA2896772C (ko)
MX (1) MX347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1359B (zh) * 2013-09-11 2016-06-29 北京四方继保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US9667041B2 (en) * 2015-10-30 2017-05-3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WO2017199291A1 (ja) * 2016-05-16 2017-11-23 三菱電機株式会社 端子台および換気扇
CN106356664B (zh) * 2016-08-31 2018-10-19 易瓦特科技股份公司 金手指的固定连接装置
WO2018102417A1 (en) 2016-12-01 2018-06-07 Hubbell Incorporated Set screw connector with anti-backout lock
CN107504894B (zh) * 2017-09-07 2024-04-09 武汉优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应变仪的接线端子
DE202017004743U1 (de) * 2017-09-11 2018-12-12 Woertz Engineering Ag Kabelverbinder und Kabelabschluss
WO2019074665A1 (en) 2017-10-12 2019-04-18 Hubbell Incorporated SCREW CONNECTOR
JP6740291B2 (ja) * 2018-07-20 2020-08-1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EP3618191B1 (de) * 2018-09-03 2022-03-09 Nexans Anschlussklemme und elektrische apparatur
CN109586050B (zh) * 2018-12-26 2023-11-24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机械自动化设备的电气线缆连接器
EP3918891A4 (en) * 2019-01-29 2022-10-19 Appleton Grp LLC HEAT-ABSORBING AND DRAINING JACKET FOR AN ELECTRICAL DEVICE CONNECTION
CN110048285B (zh) * 2019-04-25 2024-02-20 宁波城市职业技术学院 一种可转接多功能插头的插座组
US11588256B2 (en) 2020-01-28 2023-02-21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Power input terminal block
US11626679B1 (en) * 2021-12-13 2023-04-11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Power distribution terminal
US12119597B2 (en) 2022-05-19 2024-10-15 James Brown Electrical junction box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5822A (en) 1961-10-30 1964-06-02 Advance Transformer Co Ballast with push-in terminal block
DE2632063A1 (de) 1976-07-16 1978-01-19 Tony Adels Elektro Und Waermet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DE7801829U1 (de) 1978-01-21 1981-06-11 F. Wieland, Elektrische Industrie GmbH, 8600 Bamberg Anschlußklemme für elektrische Leitungen mit einem U-förmigen Federelement
US5015201A (en) * 1990-02-20 1991-05-14 Pass & Seymour, Inc. Wiring device with improved push-wire termination release
FR2675954B1 (fr) * 1991-04-26 1993-07-02 Entrelec Sa Connexion electrique et boitier d'appareil electrique comportant une telle connexion.
DE9112548U1 (de) * 1991-10-09 1991-12-19 RIA electronic Albert Metz, 7712 Blumberg Anschlußklemme
DE4312781C2 (de) 1993-04-20 1995-10-19 Vossloh Schwabe Gmbh Anschlußelement für wenigstens ein elektrisches Betriebsmittel
GB9408326D0 (en) * 1994-04-27 1994-06-15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ductive leads
JP3279079B2 (ja) 1994-07-28 2002-04-30 松下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台
US5741073A (en) * 1995-09-18 1998-04-21 Kaye Instruments, Inc. Uniform temperature reference apparatus for use with modular terminal block
US5741161A (en) * 1996-01-04 1998-04-21 Pcd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discrete wire interconnections
DE19729014A1 (de) 1997-07-02 1999-01-07 Wago Verwaltungs Gmbh Elektronische Vorschaltgeräteklemme
US6231392B1 (en) * 1997-10-01 2001-05-15 Berg Technology, Inc. Cable interconnection
US6010347A (en) * 1998-10-02 2000-01-04 Lee; Chiu-Shan Universal electric socket
US6095862A (en) * 1999-02-04 2000-08-01 Molex Incorporated Adapter fram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DE19934550B4 (de) 1999-07-20 2008-06-26 Hager Electro Gmbh Anschluß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DE19940971B4 (de) * 1999-08-20 2009-06-1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Leiteranschlußklemme mit einer Sammelschiene
DE10245939A1 (de) 2002-09-30 2004-05-27 Siemens Ag Vorrichtung zur Energieversorgung eines Gerätes
DE20300266U1 (de) 2003-01-08 2004-05-19 Bals Elektrotechnik Gmbh & Co. Kg Leiteranschlussklemme, insbesondere für Steckverbinder
US7097502B2 (en) * 2003-05-13 2006-08-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block assembly
US7101231B2 (en) * 2003-10-09 2006-09-0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ocking spring-clamp terminal block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TWI242315B (en) * 2004-11-17 2005-10-21 Excel Cell Elect Co Ltd Terminal stand
US7347739B2 (en) * 2005-05-11 2008-03-25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electrical wiring
US7115001B1 (en) * 2005-09-30 2006-10-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Wire actuated terminal spring clamp assembly
DE102006016354A1 (de) * 2006-04-05 2007-10-18 Mc Technology Gmbh Klemmenblock zum Anschließen von elektrischen Leitern
DE102008020511A1 (de) * 2008-04-23 2009-11-05 Mc Technology Gmbh Kontaktelement für eine Anschlussklemme, Anschlussklemme und Steckbrücke für ein Kontaktelement
DE102009004513A1 (de) * 2009-01-09 2010-07-2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feder für eine Federkraftklemme
US7909633B1 (en) * 2009-09-15 2011-03-2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Wire connection apparatus
ITMI20100017U1 (it) * 2010-01-28 2011-07-29 Morsettitalia Spa Morsetto di collegamento elettrico da quadro con alloggiamento porta etichetta, etichetta per detto alloggiamento e relativo assieme morsetto/etichetta
US8353716B2 (en) 2010-12-14 2013-01-15 Ideal Industries, Inc. Terminal structures for wiring devices
JP5870467B2 (ja) 2012-05-09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WO2013168334A1 (ja) 2012-05-09 2015-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
KR20140008879A (ko) * 2012-07-12 201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삽입성 및 결합성이 향상되는 커넥터 단자
US8905766B2 (en) * 2013-01-02 2014-12-09 La Her Grounding system for terminal block
US9004956B2 (en) * 2013-05-21 2015-04-14 Switchlab Inc. Conducting wire terminal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04300A1 (en) 2016-02-11
US20160028170A1 (en) 2016-01-28
MX347116B (es) 2017-04-11
CA2896772C (en) 2018-07-03
CN105375130A (zh) 2016-03-02
AU2015204300B2 (en) 2018-03-29
CA2896772A1 (en) 2016-01-23
BR102015017131A2 (pt) 2016-02-02
US9419352B2 (en) 2016-08-16
EP2978072A1 (en) 2016-01-27
KR20160012094A (ko) 2016-02-02
JP2016054141A (ja) 2016-04-14
MX2015009478A (es)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168B1 (ko) 접지 스트랩, 스프링력 단자, 및 스크류 러그 단자를 갖는 단자 블럭
US12003070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connection terminals
US9444159B2 (en) Terminal for conta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EP1973198A2 (en) Socket with integ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terminals
JP2013182889A (ja) キャップ本体絶縁圧接コネクタ
JP2011029188A (ja) 電線基板コネクタ
CN110679042A (zh) 具有分流器的线对线连接器
JP2009506511A (ja) バスバー及びコネクタ
CN108075272B (zh) 压接连接型触头和同轴连接器
US9419349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fastener and anti-rotation projections
JP2009009748A (ja) 電線接続装置
KR20190126006A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US20200328549A1 (en) Plug connector with a conductive rubber element
US20110065327A1 (en) Electric fixture or connector
JP2012234654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