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4259B1 -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259B1
KR101794259B1 KR1020160089306A KR20160089306A KR101794259B1 KR 101794259 B1 KR101794259 B1 KR 101794259B1 KR 1020160089306 A KR1020160089306 A KR 1020160089306A KR 20160089306 A KR20160089306 A KR 20160089306A KR 101794259 B1 KR101794259 B1 KR 10179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ivot
upper portion
rail
movab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102016008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에 대응하여 피벗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도어의 수직프레임의 폭이 작은 경우 수평프레임에 피벗을 설치하여 연동장치에 고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양측으로 피벗(P)이 설치된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2,3가동레일(110)(120)(130); 상기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와이어(4)가 연결된 풀리(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재(200); 상기 제2,3가동레일(120)(13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연동부재(300); 상기 제2가동레일(120)의 일측과 제3가동레일(130)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300)에 각각 고정되어 와이어(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 상기 가동부재(200)와 연동부재(300)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패널(6)의 레일(6a)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슬라이더(500)와 하부슬라이더(610)(620);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하부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피벗고정판(710)과, 상기 피벗(P)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피벗고정판(710)에 형성된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을 구비하는 마감캡(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가구의 전면패널 또는 출입문이나 이동식 칸막이벽 등을 다중으로 중첩되게 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에 대응하여 피벗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를 추구함과 동시에 도어의 슬림화에 따라 도어의 수직프레임의 폭이 작은 경우 수평프레임에 피벗을 설치하여 연동장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를 설치할 때 어느 하나의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다른 도어들도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폐되게 하는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는 기존의 2도어 시스템에 비하여 출입구를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222841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다수의 도어 상단부에 롤러부가 각각 설치되며, 이 롤러부가 문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송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에 기재된 롤러부는 안내레일의 내측면에 접하는 외측면이 수직하게 이루어지고 다른 직경을 가지고 단차가 형성되는 통상의 롤러의 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롤러와 외측면과 안내롤러의 내측면이 수직한 면으로 접촉되는 경우, 롤러가 삽입되기 위한 홈을 가공하기 까다롭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롤러와 안내레일의 조립시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여 인건비가 상승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629501호에는 가이드레일; 원뿔형태로 마련되어 제 1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피벗롤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피벗롤러를 구속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풀리; 상기 한쌍의 풀리에 연결되는 연동와이어; 상기 연동와이어에 결속되고 상기 제 1문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연동와이어에 함께 이송되는 제 1연동부재; 원뿔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 1문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 2문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연동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 1연동부재와 함께 이송되는 제 2피벗롤러; 상기 연동와이어에 결속되고 상기 제 1문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연동와이어에 함께 이송되는 제 2연동부재; 및 원뿔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 1문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3문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연동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 2연동부재와 함께 이송되는 제 3피벗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피벗롤러와 상기 제 3피벗롤러는 상단부가 상기 제 1연동부재와 상기 제 2연동부재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함입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2피벗롤러와 상기 제 3피벗롤러의 경사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경사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미닫이 문의 연동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연동장치는 피벗롤러 및 피벗롤러가 삽입되는 홀의 가공이 간편하고, 피벗롤러와 홀의 조립이 간편하므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동장치에 있어서는 피벗롤러가 삽입되는 홀이 1개만 형성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피벗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를 추구하기 위해 도어의 수직프레임의 폭을 작게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동장치는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에 대응하여 피벗롤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로 인하여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를 추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어의 슬림화 추세에 따라 도어의 수직프레임의 폭이 작은 경우 수직프레임에 피벗롤러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때에는 도어의 수평프레임에 피벗롤러를 설치해야 하지만, 이 경우 종래에는 피벗롤러와 홀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연동부재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에 대응하여 피벗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연동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222841호(등록일자 : 2013.01.10)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1629501호(등록일자 : 2016.06.0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에 대응하여 피벗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를 추구함과 동시에 도어의 슬림화에 따라 도어의 수직프레임의 폭이 작은 경우 수평프레임에 피벗을 설치하여 연동장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패널의 레일에 낀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도록 하고, 방풍 및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가동레일의 상부에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가이드패널과 제1가동레일 사이 공간부를 차단하고, 이를 통해 제1가동레일의 공간부로 햇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양측으로 피벗이 설치된 중앙,전면,후면도어의 상부에 제1,2,3가동레일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가동레일의 상부 양측에 와이어가 연결된 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재를 각각 배치하며, 상기 제2,3가동레일의 상부 양측에 연동부재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2가동레일의 일측과 제3가동레일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에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가동부재와 연동부재의 상부에 가이드패널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슬라이더와 하부슬라이더를 중첩되도록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1,2,3가동레일의 하부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마감캡의 피벗고정판에 피벗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피벗고정홀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3가동레일의 전,후방 하부에는 모헤어가 끼워지는 홈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동부재의 상부에는 풀리를 수용하는 풀리홈을 형성하고, 상기 풀리홈의 중앙부에는 풀리의 축공으로 끼워지는 보스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슬라이더의 전,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슬라이더의 전,후방에는 양모가 끼워지는 양모홈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3가동레일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마감캡에 구비되는 다수의 피벗고정홀은 장공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가동레일의 상부에 제1가동레일과 가이드패널 사이 공간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더 설치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제1가동레일의 안내돌기 사이로 안착되는 하부수평판과,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가동레일의 고정홈으로 끼워지는 고정훅과, 상기 하부수평판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차단판과, 상기 제1차단판의 상부에 연결되어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수평판과,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이드패널의 레일 사이로 끼워지는 제2차단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따르면, 마감캡의 피벗고정판에 피벗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피벗고정홀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에 대응하여 피벗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를 추구함과 동시에 도어의 슬림화에 따라 도어의 수직프레임의 폭이 작은 경우 수평프레임에 피벗을 설치하여 다수의 피벗고정홀들 중 해당 피벗고정홀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슬라이더에 양모가 설치되므로 가이드패널의 레일에 낀 이물질을 닦아내는 동시에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제1,2,3가동레일에 모헤어가 설치되므로 방풍 및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가동레일의 상부에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가이드패널과 제1가동레일 사이 공간부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제1가동레일의 공간부로 햇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와 도 5는 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a,6b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의 피벗고정홀을 보인 평면도.
도 8a,8b,8c는 본 발명에 따른 피벗의 다양한 고정 위치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차단부재와 연동장치가 제1가동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양측으로 피벗(P)이 설치된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2,3가동레일(110)(120)(130); 상기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와이어(4)가 연결된 풀리(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재(200); 상기 제2,3가동레일(120)(13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연동부재(300); 상기 제2가동레일(120)의 일측과 제3가동레일(130)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300)에 각각 고정되어 와이어(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 상기 가동부재(200)와 연동부재(300)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패널(6)의 레일(6a)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슬라이더(500)와 하부슬라이더(610)(620);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하부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피벗고정판(710)과, 상기 피벗(P)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피벗고정판(710)에 형성된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을 구비하는 마감캡(7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는 가구의 전면패널 또는 출입문이나 이동식 칸막이벽 등을 3중으로 중첩되게 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는 제1,2,3가동레일(110)(120)(130), 가동부재(200), 연동부재(300), 지지부재(400), 상부슬라이더(500), 하부슬라이더(610)(620) 및 마감캡(7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도어는 중앙도어(1)와, 전면도어(2) 및 후면도어(3)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전면,후면도어(1)(2)(3)는 양측 수직프레임(1a)(2a)(3a)과 상,하부 수평프레임(1b)(2b)(3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 양측에는 피벗(P)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벗(P)은 도 8a에서와 같이 양측 수직프레임(1a)(2a)(3a)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고, 한편 도어의 슬림화에 따라 수직프레임(1a)(2a)(3a)의 폭이 작아 수직프레임(1a)(2a)(3a)에 피벗(P)을 설치할 수 없을 경우에는 도 8b와 도 8c에서와 같이 상부 수평프레임(1b)(2b)(3b)의 상부 양측에 피벗(P)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은 도 3에서와 같이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전,후방 하부에는 모헤어(H)가 끼워지는 홈(111)(121)(131)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헤어(H)는 제1,2,3가동레일(110)(120)(130)과 중앙,전면,후면도어(1)(2)(3)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헤어(H)는 방풍 및 방음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동부재(200)는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동부재(200)는 와이어(4)가 연결된 풀리(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4)는 양측 가동부재(200)에 각각 설치된 양측 풀리(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재(200)의 상부에는 풀리(5)를 수용하는 풀리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풀리홈(210)의 중앙부에는 풀리(5)의 축공(5a)으로 끼워지는 보스(211)가 돌출된다.
상기 연동부재(300)는 제2,3가동레일(120)(13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동부재(300)의 저면에는 지지부재(400)를 고정하기 위한 홈(31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제2가동레일(120)의 일측과 제3가동레일(130)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300)의 홈(310)에 끼워진 상태로 각각 고정되어 와이어(4)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부재(400)는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개폐시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을 연동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00)에는 연동부재(300)의 홈(310)에 끼워지는 고정부(410)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400)에는 와이어(4)가 끼워지는 와이어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더(500)와 하부슬라이더(610)(620)는 가동부재(200)와 연동부재(300)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슬라이더(500)와 하부슬라이더(610)(620)는 가이드패널(6)의 레일(6a)을 따라 이동한다.이때, 상기 하부슬라이더(610)는 가동부재(200)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슬라이더(620)는 연동부재(30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슬라이더(500)의 전,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5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슬라이더(620)의 전,후방에는 양모(Y)가 끼워지는 양모홈(62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모(Y)는 가이드패널(6)의 레일(6a)에 낀 이물질을 닦아내는 역할과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마감캡(700)은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마감캡(700)에는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하부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피벗고정판(710)이 구비되고, 상기 피벗고정판(710)에는 피벗(P)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캡(700)의 피벗고정판(710)은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하부 양측으로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피벗고정판(710)에는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캡(700)의 피벗고정홀(720)은 피벗고정판(710)에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에는 피벗(P)이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a에서와 같이 피벗(P)이 수직프레임(1a)(2a)(3a)에 설치된 경우 피벗(P)은 첫 번째 피벗고정홀(720)에 끼워지고, 한편 도 8b와 도 8c에서와 같이 도어의 슬림화에 따라 피벗(P)이 상부 수평프레임(1b)(2b)(3b)에 설치된 경우 피벗(P)은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피벗고정홀(720)에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마감캡(700)에 구비되는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은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때, 일측 마감캡(700)의 피벗고정홀(720)은 장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피봇(P)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가동레일(110)과 가이드패널(6) 사이 공간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800)는 제1가동레일(110)의 안내돌기(110a) 사이로 안착되는 하부수평판(810)과, 상기 하부수평판(810)의 하부로 돌출되어 가동레일(110)의 고정홈(110b)으로 끼워지는 고정훅(820)과, 상기 하부수평판(810)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차단판(830)과, 상기 제1차단판(830)의 상부에 연결되어 가이드패널(6)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수평판(840)과, 상기 상부수평판(840)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이드패널(6)의 레일(6a) 사이로 끼워지는 제2차단판(8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800)는 제1가동레일(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차단부재(800)는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가동레일(110)과 가이드패널(6) 사이 공간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800)는 하부수평판(810), 고정훅(820), 제1차단판(830), 상부수평판(840) 및 제2차단판(850)을 포함하는 길이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부재(800)의 하부수평판(810), 고정훅(820), 제1차단판(830), 상부수평판(840), 제2차단판(850)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수평판(810)은 차단부재(8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수평판(810)은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 전,후단에 형성된 안내돌기(100a)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된다.
상기 고정훅(820)은 하부수평판(810)의 하부 전,후방에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훅(820)은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 전,후방에 형성된 고정홈(100b)으로 각각 끼워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가동레일(110)의 고정홈(100b)에는 고정훅(820)이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제1차단판(830)은 하부수평판(810)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차단판(830)의 전,후방에는 와이어안내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차단판(830)은 제1가동레일(110)과 가이드패널(6) 사이 공간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안내공간은 와이어(4)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와이어안내공간에는 와이어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차단판(830)은 하부수평판(810)의 중앙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제1차단판(830) 사이에는 재료를 절감함과 동시에 경량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길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수평판(840)은 제1차단판(83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수평판(840)은 가이드패널(6)의 레일(6a)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차단판(850)은 상부수평판(840)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차단판(850)은 가이드패널(6)의 레일(6a) 사이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제2차단판(850)은 가이드패널(6)의 레일(6a) 사이 공간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재(800)와 양측 가동부재(200)가 제1가동레일(110)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차단부재(800)는 양측 가동부재(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800)에 형성된 와이어안내공간으로는 와이어(4)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가동레일(110)과 제2가동레일(120) 및 제3가동레일(130)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두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를 닫기 위해 전면도어(2)를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가동레일(120)의 상부에 고정된 양측 가동부재(200)가 닫히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이때 좌측 가동부재(200)에는 지지부재(400)를 통해 와이어(4)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부재(200)의 이동과 함께 와이어(4)도 연동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와이어(4)가 이동함에 따라 제1가동레일(110)도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3가동레일(130)은 좌측 연동부재(300)에 설치된 임시고정핀이 가이드패널(6)에 설치된 임시고정홀더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3가동레일(130)은 이동하지 않고 제1가동레일(110)만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 2와 도 6a에서와 같이 제2가동레일(120)은 우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1가동레일(110)은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제3가동레일(130)은 좌측에 위치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 2와 도 6a에서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전면도어(2)를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가동레일(120)의 상부에 고정된 양측 가동부재(200)가 열리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좌측 가동부재(200)에는 지지부재(400)를 통해 와이어(4)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부재(200)의 이동과 함께 와이어(4)도 연동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와이어(4)가 이동함에 따라 제1가동레일(110)도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가동레일(110)과 제2가동레일(120) 및 제3가동레일(130)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두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마감캡(700)의 피벗고정판(710)에 피벗(P)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에 대응하여 피벗(P)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의 슬림화와 경량화를 추구함과 동시에 도어의 슬림화에 따라 수직프레임(1a)(2a)(3a)의 폭이 작은 경우 수평프레임(1b)(2b)(3b)에 피벗(P)을 설치하여 다수의 피벗고정홀(720)들 중 해당 피벗고정홀(720)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슬라이더(620)에 양모(Y)가 설치되므로 가이드패널(6)의 레일(6a)에 낀 이물질을 닦아내는 동시에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제1,2,3가동레일(110)(120)(130)에 모헤어(H)가 설치되므로 방풍 및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에 차단부재(800)를 설치하여 가이드패널(6)과 제1가동레일(110) 사이 공간부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제1가동레일(110)의 공간부로 햇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중앙도어 2 : 전면도어
3 : 후면도어 4 : 와이어
5 : 풀리 5a : 축공
6 : 가이드패널 6a : 레일
110 : 제1가동레일 110a : 안내돌기
110b : 고정홈 111 : 홈
120 : 제2가동레일 121 : 홈
130 : 제3가동레일 131 : 홈
200 : 가동부재 210 : 풀리홈
211 : 보스 300 : 연동부재
400 : 지지부재 500 : 상부슬라이더
510 : 지지편 610 : 하부슬라이더
620 : 하부슬라이더 621 : 양모홈
700 : 마감캡 710 : 피벗고정판
720 : 피벗고정홀 800 : 차단부재
810 : 하부수평판 820 : 고정훅
830 : 제1차단판 840 : 상부수평판
850 : 제2차단판 P : 피벗
H : 모헤어 Y : 양모

Claims (6)

  1. 상부 양측으로 피벗(P)이 설치된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2,3가동레일(110)(120)(130); 상기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와이어(4)가 연결된 풀리(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재(200); 상기 제2,3가동레일(120)(13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연동부재(300); 상기 제2가동레일(120)의 일측과 제3가동레일(130)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300)에 각각 고정되어 와이어(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 상기 가동부재(200)와 연동부재(300)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패널(6)의 레일(6a)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슬라이더(500)와 하부슬라이더(610)(620);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하부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피벗고정판(710)과, 상기 피벗(P)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피벗고정판(710)에 형성된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을 구비하는 마감캡(70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슬라이더(500)의 전,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5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슬라이더(620)의 전,후방에는 양모(Y)가 끼워지는 양모홈(62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전,후방 하부에는 모헤어(H)가 끼워지는 홈(111)(121)(131)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200)의 상부에는 풀리(5)를 수용하는 풀리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풀리홈(210)의 중앙부에는 풀리(5)의 축공(5a)으로 끼워지는 보스(211)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가동레일(110)(120)(13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마감캡(700)에 구비되는 다수의 피벗고정홀(720)은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레일(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가동레일(110)과 가이드패널(6) 사이 공간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800)는 제1가동레일(110)의 안내돌기(110a) 사이로 안착되는 하부수평판(810)과, 상기 하부수평판(810)의 하부로 돌출되어 가동레일(110)의 고정홈(110b)으로 끼워지는 고정훅(820)과, 상기 하부수평판(810)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차단판(830)과, 상기 제1차단판(830)의 상부에 연결되어 가이드패널(6)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수평판(840)과, 상기 상부수평판(840)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이드패널(6)의 레일(6a) 사이로 끼워지는 제2차단판(8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20160089306A 2016-07-14 2016-07-14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79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06A KR101794259B1 (ko) 2016-07-14 2016-07-14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06A KR101794259B1 (ko) 2016-07-14 2016-07-14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259B1 true KR101794259B1 (ko) 2017-11-07

Family

ID=6038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306A KR101794259B1 (ko) 2016-07-14 2016-07-14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39Y1 (ko) 2017-12-07 2019-02-18 주식회사 우리기업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102172283B1 (ko) * 2019-07-24 2020-10-30 정지숙 다단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439B1 (ko) * 2012-02-21 2012-08-06 주식회사 미다지인 개폐체 연동장치
KR101300450B1 (ko) * 2012-04-06 2013-08-27 진영선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 개폐장치
KR101498641B1 (ko) * 2013-12-30 2015-03-04 정재홍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439B1 (ko) * 2012-02-21 2012-08-06 주식회사 미다지인 개폐체 연동장치
KR101300450B1 (ko) * 2012-04-06 2013-08-27 진영선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 개폐장치
KR101498641B1 (ko) * 2013-12-30 2015-03-04 정재홍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39Y1 (ko) 2017-12-07 2019-02-18 주식회사 우리기업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102172283B1 (ko) * 2019-07-24 2020-10-30 정지숙 다단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4212B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040497B1 (ko) 복수 문의 연동이 가능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055107B1 (ko) 포켓 도어
US20190048659A1 (en) Screen device
KR10179425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675090B1 (ko)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KR101331393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CN109415924B (zh) 左右推拉窗
KR20042233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KR101288813B1 (ko)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KR101103152B1 (ko) 창호 시스템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KR20170000381U (ko)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을 이용한 복합창호
KR101867038B1 (ko) 미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욕실수납장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KR101472225B1 (ko) 창호용 방풍부재, 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 및 방풍부재의 시공방법
KR20200009284A (ko) 벨트창호
CN110273608B (zh) 门窗滑轮、门窗扇体及门窗
KR101589659B1 (ko) 방풍방음 창호
KR101530665B1 (ko) 연동식 수지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도어를 이용한 창호장치
JPH0113187Y2 (ko)
KR101570468B1 (ko) 자동 도어 장치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