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439B1 - 개폐체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 연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4439B1 KR101164439B1 KR1020120017203A KR20120017203A KR101164439B1 KR 101164439 B1 KR101164439 B1 KR 101164439B1 KR 1020120017203 A KR1020120017203 A KR 1020120017203A KR 20120017203 A KR20120017203 A KR 20120017203A KR 101164439 B1 KR101164439 B1 KR 1011644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 coupling
- fitting
- insertion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4—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sliding wings ope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그 개폐체 연동장치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111), 상기 각각의 체결홈(111)의 내측으로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112) 및 양단부에 삽입홈(113)이 형성된 중앙부(11)와,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에지(121) 및 내측 하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122)를 구비한 측부(12)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삽입홈(113)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R)의 제1가이더(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가이드블록(22)과, 상기 개폐체(51)의 상부면 양단에 설치된 끼움체(60)의 끼움부(63)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공(23)과, 상기 몸체(21)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24)를 구비하는 결합체(20); 상기 본체(10)의 측부(12)의 에지(121)에 이동가능하게 외삽되는 이동부(31)와, 상기 이동부(31)의 측방으로 확장 형성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의 중앙부에 상기 개폐체(52;53)의 상부면 양단에 설치된 끼움체(60)의 끼움부(6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33)과, 상기 이동부(31)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단(34)을 구비하는 전달체(30); 및 상기 결합체(20)의 풀리(24)에 감겨지며, 각각의 전달체(30)의 고정단(34)에 각각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각각의 전달체(30)를 연동시키도록 분리되어 형성된 제1와이어(41) 및 제2와이어(42)로 이루어진 연동 와이어(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연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폐체 연동장치의 결합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체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선Ⅴ-Ⅴ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의 선Ⅵ-Ⅵ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연동장치에 적용되는 끼움체의 3가지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연동장치가 개폐체 및 레일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연동장치에서의 본체의 삽입홈과 결합체의 몸체의 결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
30 : 전달체 40 : 연동 와이어
50 : 개폐체 60 : 끼움체
G : 가스켓 R : 레일
Claims (12)
- 도어의 문틀 또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체(51;52;53)를 상호 연동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개구부 또는 문틀의 상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가이더(1;2;3)를 구비한 레일(R)에 왕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개폐체(51;52;53)가 상호 연동적으로 설치되는 개폐체 연동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111), 상기 각각의 체결홈(111)의 내측으로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112) 및 양단부에 삽입홈(113)이 형성된 중앙부(11)와,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에지(121) 및 내측 하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122)를 구비한 측부(12)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각각의 삽입홈(113)에 설치깊이가 조절가능하고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R)의 제1가이더(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가이드블록(22)과, 상기 개폐체(51)의 상부면 양단에 설치된 끼움체(60)의 끼움부(63)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공(23)과, 상기 몸체(21)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24)를 구비하는 결합체(20);
상기 본체(10)의 측부(12)의 에지(121)에 이동가능하게 외삽되는 이동부(31)와, 상기 이동부(31)의 측방으로 확장 형성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의 중앙부에 상기 개폐체(52;53)의 상부면 양단에 설치된 끼움체(60)의 끼움부(6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33)과, 상기 이동부(31)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단(34)을 구비하는 전달체(30); 및
상기 결합체(20)의 풀리(24)에 감겨지며, 각각의 전달체(30)의 고정단(34)에 각각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각각의 전달체(30)를 연동시키도록 분리되어 형성된 제1와이어(41) 및 제2와이어(42)로 이루어진 연동 와이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의 몸체(21)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10)의 중앙부(11)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홈(111)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1)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22)가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변(21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11)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의 단턱부(112)에 외삽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2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의 몸체(21)의 전방에는 2등변 원형의 고정공(2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214)에는 상기 레일(R)의 제1가이더(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블록(22)이 볼트(B)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22)은 상기 제1가이더(1)에 삽입되는 가이드부(221)와, 상기 가이드부(221)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저지부(222)와, 상기 저지부(222)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214)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2등변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부(223)와, 상기 삽입부(223)의 내측에 구비된 너트부(224)와, 상기 고정공(214)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너트부(224)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볼트(2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결합체(20)중 하나의 결합체(20)의 삽입공(23)은 정원형으로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결합체(20)의 삽입공(23)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의 삽입공(23)은, 상기 본체(10)의 중앙부(11)에 형성된 체결홈(111)에 삽입되어 연통하는 개구부(231)와, 상기 개구부(231)로부터 상방으로 단을 이루며 형성된 수용부(232)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공(23)은 상기 끼움체(60)의 끼움부(63)가 상방으로 노출되거나 이탈되어 레일(R)의 제1가이더(1)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의 후방부에는 타원형의 설치부(215)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215)에 설치되는 상기 풀리(24)는 상기 설치부(215)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축(241)과, 상기 축(241)을 상기 설치부(2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시키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 지지편(242)과, 상기 지지편(242)상에서 상기 축(2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 중앙부에 상기 연동 와이어(40)가 접속되는 홈(244)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2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의 몸체(21)의 최후단에는 상기 전달체(30)가 상기 본체(10)의 양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21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33)은 상기 끼움체(60)의 끼움부(63)의 전,후방향(개폐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33)은 상기 끼움체(60)의 끼움부(63)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하방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수렴 형성되어 돌출되는 도입부(331)와, 상기 도입부(331)로부터 상방으로 정원형을 이루는 원통부(332)와, 상기 원통부(332)의 상단에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체(60)의 끼움부(63)의 삽입범위의 제한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저지부(333)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삽입홈(113)의 종단은 라운드형, 직선형 또는 톱니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20)의 몸체(21)의 전방단은 상기 삽입홈(113)의 종단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중앙부(11)의 하부 중앙에는 설치홈(11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14)에는 가스켓(G)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7203A KR101164439B1 (ko) | 2012-02-21 | 2012-02-21 | 개폐체 연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7203A KR101164439B1 (ko) | 2012-02-21 | 2012-02-21 | 개폐체 연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4439B1 true KR101164439B1 (ko) | 2012-08-06 |
Family
ID=4688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720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4439B1 (ko) | 2012-02-21 | 2012-02-21 | 개폐체 연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4439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686B1 (ko) | 2012-06-26 | 2013-10-23 | 장영근 |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
KR101615075B1 (ko) * | 2015-11-12 | 2016-04-22 | 박석준 | 중문용 레일결합체 |
KR20170000207A (ko) | 2015-06-23 | 2017-01-02 | 이재수 | 개폐체 연동장치 |
KR200483841Y1 (ko) * | 2016-06-30 | 2017-07-11 | 김용갑 | 도어 개폐시에 진동 및 흔들림 방지형 피봇홀더가 장착된 슬라이드 도어 |
KR101772029B1 (ko) * | 2017-01-18 | 2017-09-05 | 주식회사 한샘 |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
KR101784718B1 (ko) * | 2016-01-20 | 2017-10-12 | 남승원 | 삽입형 풀리를 이용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
KR101794259B1 (ko) * | 2016-07-14 | 2017-11-07 | 안중식 |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KR101823053B1 (ko) * | 2016-07-22 | 2018-01-31 | 정재홍 | 삽입형 연결구를 이용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
KR101832173B1 (ko) * | 2016-08-11 | 2018-02-26 | 김용갑 | 피봇홀더를 이용하여 도어 착탈과 도어 슬라이딩이 용이한 다중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장치 |
KR101873644B1 (ko) | 2016-08-31 | 2018-07-03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이중 슬라이딩 도어 |
KR102250558B1 (ko) | 2020-08-27 | 2021-05-11 | 주식회사 라움 | 연동도어 이송장치 |
KR20240086305A (ko) | 2022-12-09 | 2024-06-18 | 서종덕 | 행거형 연동 미닫이 겸용 여닫이 도어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0022A (ja) | 1998-10-27 | 2000-05-0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連動引戸 |
KR101012061B1 (ko) | 2010-10-01 | 2011-02-01 | 한의수 |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 지지봉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이동장치 |
-
2012
- 2012-02-21 KR KR1020120017203A patent/KR10116443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0022A (ja) | 1998-10-27 | 2000-05-0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連動引戸 |
KR101012061B1 (ko) | 2010-10-01 | 2011-02-01 | 한의수 |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 지지봉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이동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686B1 (ko) | 2012-06-26 | 2013-10-23 | 장영근 |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
KR20170000207A (ko) | 2015-06-23 | 2017-01-02 | 이재수 | 개폐체 연동장치 |
KR101615075B1 (ko) * | 2015-11-12 | 2016-04-22 | 박석준 | 중문용 레일결합체 |
KR101784718B1 (ko) * | 2016-01-20 | 2017-10-12 | 남승원 | 삽입형 풀리를 이용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
KR200483841Y1 (ko) * | 2016-06-30 | 2017-07-11 | 김용갑 | 도어 개폐시에 진동 및 흔들림 방지형 피봇홀더가 장착된 슬라이드 도어 |
KR101794259B1 (ko) * | 2016-07-14 | 2017-11-07 | 안중식 |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KR101823053B1 (ko) * | 2016-07-22 | 2018-01-31 | 정재홍 | 삽입형 연결구를 이용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
KR101832173B1 (ko) * | 2016-08-11 | 2018-02-26 | 김용갑 | 피봇홀더를 이용하여 도어 착탈과 도어 슬라이딩이 용이한 다중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장치 |
KR101873644B1 (ko) | 2016-08-31 | 2018-07-03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이중 슬라이딩 도어 |
KR101772029B1 (ko) * | 2017-01-18 | 2017-09-05 | 주식회사 한샘 |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
KR102250558B1 (ko) | 2020-08-27 | 2021-05-11 | 주식회사 라움 | 연동도어 이송장치 |
KR20240086305A (ko) | 2022-12-09 | 2024-06-18 | 서종덕 | 행거형 연동 미닫이 겸용 여닫이 도어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4439B1 (ko) | 개폐체 연동장치 | |
JP4295672B2 (ja) | 開閉体連動装置 | |
KR101037681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 개폐장치 | |
EP2972021B1 (en) | Snap off center flipper mullion | |
KR101728078B1 (ko) |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연동장치 | |
US10693285B2 (en) | Guide device | |
US20130026899A1 (en) | Pull-out guide | |
KR101630300B1 (ko) |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
KR101464041B1 (ko) |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 |
US9290086B2 (en) | Sunroof apparatus | |
KR101321686B1 (ko) |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 |
TW201600700A (zh) | 移動門用的輪箍 | |
CA2987509A1 (en) | Rail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 |
KR101900144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 |
KR200488952Y1 (ko) |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 |
KR20170030547A (ko) |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 피팅 | |
US20160185196A1 (en) | Vehicle sunroof device | |
JP2012057372A (ja) | 吊車型の連動引戸 | |
KR101772651B1 (ko) | 개폐체 연동장치 | |
CN108350712B (zh) | 用于滑动门的引导组件和橱柜单元 | |
KR101012061B1 (ko) |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 지지봉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이동장치 | |
KR101539949B1 (ko) | 다중 미닫이 도어의 연동장치 | |
KR101772029B1 (ko) |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 |
KR101832173B1 (ko) | 피봇홀더를 이용하여 도어 착탈과 도어 슬라이딩이 용이한 다중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장치 | |
KR20130001596U (ko) | 3 슬라이딩 도어용 이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4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