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8813B1 -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 Google Patents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813B1
KR101288813B1 KR1020100038347A KR20100038347A KR101288813B1 KR 101288813 B1 KR101288813 B1 KR 101288813B1 KR 1020100038347 A KR1020100038347 A KR 1020100038347A KR 20100038347 A KR20100038347 A KR 20100038347A KR 101288813 B1 KR101288813 B1 KR 10128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frame
guide rail
sliding door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936A (ko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to KR102010003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81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8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05Y2201/614Anti-derai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미닫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의 롤러가 탈선되거나 튕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문틀의 상부에 다면체형 본체가 설치되고, 미닫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광하협(上廣下夾)의 경사진 형태로 개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홈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와 안내돌기의 마찰면을 최소화시켜 미닫이 도어를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미닫이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롤러가 안내돌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GUILD RAIL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미닫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의 롤러가 탈선되거나 튕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몸체 양측에 설치공(3)이 형성된 베이스판(2)과, 상기 베이스판(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윗면이 평평하게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1)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5)가 하부에 설치된 미닫이 도어(6)의 문틀 상면에 베이스판(2)을 개재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2)에 형성된 설치공(3)에 체결부재(미도시)를 관통ㅇ체결하여 베이스판(2)을 문틀 상면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롤러(5)와 상기 베이스판(2)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4)가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1)은 미닫이 도어를 오랜 시간 사용하다보면, 상기 롤러(5)가 안내돌기(4)의 상면에서 이탈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거나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안내돌기(4)에 먼지나 이물질이 안착되어 있는 경우에 미닫이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되면 롤러(5)가 안내돌기(4)의 상면에서 이탈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거나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롤러(5)가 안내돌기(4)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도어(6)를 무리하게 열거나 닫게 되면 롤러(5)가 파손되어 롤러를 교체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밖에도 최근에는 롤러가 안내돌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돌기를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760호(2004년10월8일 공고)에는 가이드 레일의 안내돌기를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하여 미닫이 도어의 롤러와의 마찰면이 적어짐으로써, 미닫이 도어가 손쉽게 슬라이딩되며, 안내돌기의 형상에 맞도록 내측부에 홈이 형성된 롤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안내돌기가 롤러의 홈에 위치하여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 시 롤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나 상기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은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롤러의 내측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롤러를 사용하면 미닫이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나 이물질이 롤러와의 접촉면에 안착되지 않으며, 롤러에 맞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어 롤러가 잘 미끄러지며, 롤러가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미닫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에 접촉되어 상기 롤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문틀의 상부에 다면체형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다면체형 본체의 상부에 상광하협(上廣下夾)의 경사진 형태로 개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홈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와 안내돌기의 마찰면을 최소화시켜 미닫이 도어를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롤러의 형상에 맞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사용함으로써 미닫이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롤러가 안내돌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이 문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노출을 최소화시킬 있으며, 이에 따라 미관이 개선된다. 아울러, 가이드 레일이 문틀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가이드 레일이 벌어지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롤러와 접촉되는 마찰면에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여 상기 롤러의 이동 시 이물질에 의한 튕김 현상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이물질의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어 미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이하, "가이드 레일"이라 한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100)은 미닫이 도어(200)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210)에 접촉되어 상기 롤러(210)에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문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00)은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문틀의 상부에 다면체형 본체(102)가 설치되고, 미닫이 도어(200)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210)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다면체형 본체(102)의 상부에 상광하협의 경사진 형태로 개방홈(104)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홈(104)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본체(102)의 내부에 이물질 보관홈(106)이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가이드 레일(100)의 실시 양태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200)용 가이드 레일(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레일은 문틀(3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는 가이드 레일의 상부만이 노출되는 것으로서, 평판형의 제 1 베이스판(110)과, 상기 제 1 베이스판(110)의 양 측에 형성된 한 쌍의 평판형 제 1 지지판(120, 120')과, 상기 한 쌍의 평판형 제 1 지지판(120, 120')의 말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 안내돌기(130, 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은 미닫이 도어의 이동방향에 따라 홈, 예를 들어 직육면체 홈이 형성된 기존의 문틀에 설치되거나 기존의 문틀 대신에 상기 홈이 형성된 새로운 문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베이스판(110)은 문틀(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닫이 창호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지지판(120, 120')은 상기 제 1 베이스판(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베이스판(110)의 양 말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이 문틀(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그 상면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 1 지지판(120, 120')은 상기 문틀(300)의 상면과 동일 선상까지만 돌출된다.
또한, 안내돌기(130, 130')는 미닫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210)를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롤러(2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한 쌍의 평판형 제 1 지지판(120, 120')의 말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평판형 제 1 지지판(120, 120')은 롤러(21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일부의 너비와 대응되는 간격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평판형 안내돌기(130, 130')는 말단부, 즉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상측면에 각각 40 내지 50˚의 경사면인 마찰면(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내돌기(130, 130')와 롤러(210) 사이의 마찰면(132)을 최소화시켜 안내돌기(130, 130')와 롤러(210) 사이에 이물질(400)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마찰면(123)의 너비는 사용되는 롤러(210)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1.5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100)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안내돌기(130, 130')를 통해 이물질(400)이 유입되는 개방홈(104)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130, 130')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베이스판(110) 및 제 1 지지판(120, 120')을 통해 개방홈(104)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400)을 보관할 수 있도록 이물질 보관홈(106)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100)은 롤러(210)와 접촉되는 마찰면(132)의 단면이 '∨'형 또는 '∪'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이 안착되지 못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200)를 열거나 닫을 때 이물질(400)에 의한 튕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롤러(210)는 안내돌기(130, 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200)용 가이드 레일(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레일(100)은 문틀(300)의 상부면 설치되는 것으로서, 문틀(30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평판형의 제 2 베이스판(150)과, 상기 제 2 베이스판(150)과 문틀(300) 사이에 구비되는 체결수단(미도시)과, 상기 제 2 베이스판(15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판형 제 2 지지판(160, 160')과, 상기 한 쌍의 평판형 제 2 지지판(160, 160')의 말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돌기(130, 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100)은 기존의 문틀(30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베이스판(150)은 문틀(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미닫이 창호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수단은 상기 제 2 베이스판(150)을 문틀(300)의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 2 베이스판(150)과 문틀(3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체결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접착제 또는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체결수단으로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나사를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판(150)의 내부에 나사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평판형 제 2 지지판(160, 160')은 상기 제 2 베이스판(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판형 제 2 지지판(160, 160')에는 이물질 보관홈(106)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홈(162)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안내돌기(130, 130')는 미닫이 도어(200)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210)를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롤러(2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한 쌍의 평판형 제 2 지지판(160, 160')의 말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평판형 제 2 지지판(160, 160')은 롤러(21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일부의 너비와 대응되는 간격을 갖는다. 이때, 한 쌍의 평판형 안내돌기(130, 130')는 말단부, 즉 서로 인접한 위치의 상측면에 각각 40 내지 50˚의 경사면인 마찰면(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내돌기(130, 130')와 롤러(210) 사이의 마찰면(132)을 최소화시켜 안내돌기(130, 130')와 롤러(210) 사이에 이물질(400)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마찰면의 너비는 사용되는 롤러(210)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1.5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돌기(130, 130')의 경사면에는 롤러(210)와 접촉되어도 상기 롤러(210)를 마모시키지 않도록 베네케(beckene)사의 세라프렌(ceraprene) 또는 쉘러(scholler)사의 케프로텍(keprotec)으로 형성된 보호층(미도시)이 증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가이드 레일 102 : 본체
104 : 개방홈 106 : 이물질 보관홈
110 : 제 1 베이스판 120, 120' : 제 1 지지판
130, 130' : 안내돌기 150 : 제 2 베이스판
160, 160' : 제 2 지지판 200 : 미닫이 도어
210 : 롤러 300 : 문틀
400 : 이물질

Claims (8)

  1. 미닫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에 접촉되어 상기 롤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문틀의 상부에 다면체형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다면체형 본체의 상부에 상광하협(上廣下夾)의 경사진 형태로 개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홈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문틀의 내부에 안착되어 미닫이 창호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평판형 제 1 베이스판;
    상기 제 1 베이스판의 양 말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기 문틀의 상면과 동일 선상까지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평판형 제 1 지지판;
    상기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평판형 제 1 지지판의 말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위치의 상측면에 각각 40 내지 50˚의 경사면인 마찰면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안내돌기; 및
    상기 마찰면에 구비되며 세라프렌 또는 케프로텍으로 형성된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의 너비는
    1.0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5. 삭제
  6. 미닫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에 접촉되어 상기 롤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문틀의 상부에 다면체형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다면체형 본체의 상부에 상광하협(上廣下夾)의 경사진 형태로 개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홈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문틀의 상면에 안착되는 평판형 제 2 베이스판;
    상기 제 2 베이스판을 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해 베이스판과 문틀 사이에 구비되는 체결수단;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되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평판형 제 2 지지판; 및
    상기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평판형 제 2 지지판의 말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안내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안내돌기는
    서로 인접한 위치의 상측면에 각각 40 내지 50˚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KR1020100038347A 2010-04-26 2010-04-26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Active KR10128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347A KR101288813B1 (ko) 2010-04-26 2010-04-26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347A KR101288813B1 (ko) 2010-04-26 2010-04-26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936A KR20110118936A (ko) 2011-11-02
KR101288813B1 true KR101288813B1 (ko) 2013-07-23

Family

ID=4539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347A Active KR101288813B1 (ko) 2010-04-26 2010-04-26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83Y1 (ko) 2016-06-14 2017-05-08 안중식 이물질 유입 방지기능을 갖는 미닫이도어용 하부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6295B2 (ja) * 2016-11-30 2021-07-21 株式会社Lixil 引戸レール部材、建具、建具の施工方法および建具の改修方法
CN112727285A (zh) * 2021-01-24 2021-04-30 万秋华 一种推拉门用单轨自粘轨道
CN112932330A (zh) * 2021-01-28 2021-06-11 何超 一种基于磁力的家用滑门清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304A (ja) * 1994-02-08 1995-08-15 Tomiyasu Honda 戸車用レール
JPH08296361A (ja) * 1995-04-26 1996-11-12 Eidai Co Ltd 引き戸装置
JP2002168034A (ja) 2000-12-01 2002-06-11 Nippon Spindle Mfg Co Ltd 開閉扉の戸車装置
JP2006249901A (ja) * 2005-03-12 2006-09-21 Kg Paltec Co Ltd 戸車用レ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304A (ja) * 1994-02-08 1995-08-15 Tomiyasu Honda 戸車用レール
JPH08296361A (ja) * 1995-04-26 1996-11-12 Eidai Co Ltd 引き戸装置
JP2002168034A (ja) 2000-12-01 2002-06-11 Nippon Spindle Mfg Co Ltd 開閉扉の戸車装置
JP2006249901A (ja) * 2005-03-12 2006-09-21 Kg Paltec Co Ltd 戸車用レ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83Y1 (ko) 2016-06-14 2017-05-08 안중식 이물질 유입 방지기능을 갖는 미닫이도어용 하부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936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813B1 (ko) 이물질 보관홈이 형성된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 레일
KR20100015373A (ko) 슬라이딩 도어 디바이스
KR101760014B1 (ko)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KR20130118136A (ko) 문턱없는 도어의 차단구조
KR101204004B1 (ko) 출입이 용이하고 조립성이 개선된 고기밀 성능 도어 프레임
KR102197822B1 (ko) 비노출형 레일을 갖춘 창호
KR20130087797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79425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JP2008163587A (ja) 切欠閉鎖部材及び切欠閉鎖部材を備えた建具
KR101745693B1 (ko) 창호
JP2015151722A (ja) スライド式建具
JP2016130390A (ja) 引戸装置
KR100977866B1 (ko) 곡면 레일 미닫이문
JP5270945B2 (ja) 網戸装置
KR20130087794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JP5535157B2 (ja) 目地装置
JP2016121507A (ja) 建具のスライダーとスライダー機構
KR200385435Y1 (ko) 먼지 청소용 창호의 호차
JP2009019466A (ja) フラット引戸装置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WO2019153528A1 (zh) 用于淋浴房的上轨道和淋浴房
JP7560435B2 (ja) 遮煙構造を有する横開き扉、及びこれを用いた機械式駐車装置
JP6960793B2 (ja) 障子及び建具
KR200294738Y1 (ko) 미닫이 도어 안내장치
KR20190100822A (ko) 3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